KR930000778Y1 - 마그네트론의 애노우드 베인 - Google Patents

마그네트론의 애노우드 베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778Y1
KR930000778Y1 KR2019870016255U KR870016255U KR930000778Y1 KR 930000778 Y1 KR930000778 Y1 KR 930000778Y1 KR 2019870016255 U KR2019870016255 U KR 2019870016255U KR 870016255 U KR870016255 U KR 870016255U KR 930000778 Y1 KR930000778 Y1 KR 9300007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ron
grooves
walls
vane
a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6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8100U (ko
Inventor
이상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16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778Y1/ko
Publication of KR8900081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1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7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7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00Details of transit-time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25/00
    • H01J23/12Vessels;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00Details of transit-time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25/00
    • H01J23/02Electrodes; Magnetic control means;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5/00Transit-time tubes, e.g. klystrons, travelling-wave tubes, magnetrons
    • H01J25/50Magnetrons, i.e. tubes with a magnet system producing an H-field crossing the E-field

Landscapes

  • Microwave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그네트론의 애노우드 베인
제1도의 (a)는 일반적인 마그네트론의 애노드 실린더를 보인 평면도, (b)는 제1도 (a)의 a-a선 단면도.
제2도는 일반적인 마그네트론의 애노우드 베인과 내,외 스트랩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일반적인 마그네트론의 애노우드 베인에 내,외 스트랩이 고정되어 브레이징재가 녹아내린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4도는 일반적인 마그네트론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애노우드 베인에 내. 외 스트랩이 고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5도는 일반적인 마그네트론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애도우드 베인을 보인 종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마그네트론 애노우드 베인의 일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에 의한 마그네트론 애노우드 베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베인 12 : 요홈
12a, 12b : 내,외측 단턱부 12c,12d : 내, 외측벽
15, 15' : 고임홈
본 고안은 가정용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MAGNETRON)의 에노우드 베인(ANODEVAIN)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외 스트랩(STRAP)이 압입고정되는 애도우드 베인에 형성된 요홈의 양내벽에 브레이징재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고임홈을 각각 형성하여, 브레이징재에 의한 고주파 발진동작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게 마그네트론의 애노우드 베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마그네트론의 애노드 실린더는, 제1도 내지 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원통형 애노드 몸체(1)의 내벽에 방사상으로 다수제의 베인(2)이 형성되고, 상기 베인(2)의 상,하단면 내측에 직각단면 형상의 요홈(3)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요홈(3)의 양 내벽에 내, 외측 단턱부(3a)(3b)가 형성되며, 상기 내, 외측 단턱부(3a)(3b)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외측벽(3c)(3d)에는 환상(環狀) 내,외 스트랩(4)(5)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형성된 접촉돌기(4a)가 교호(交互)로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일반적인 마그네트론의 애노드 실린더에 있어서는, 베인(2)에 내,외 스트랩(4)(5)을 고정하기 위하여, 요홈(3)의 내, 외측 단턱부(3a)(3b)와, 내,외측벽(3c)(3d)에 내, 외 스트랩(4)(5)의 교호상 접촉돌기(4a)(4b)가 얹혀진 상태에서 지그를 사용하여 압입시킨 후, 800℃정도의 수소로에서 브레이징을 실시하여, 베인(2)에 내,외 스트랩(4)(5)을 접착고정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은 일반적인 애노우드 실린더는, 요홈(3)이 수평의 내,외측 단턱부(3a)(3b)와, 수직의 내외측 단턱부(3a)(3b)로 형성된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요홈(3)에 내,외 스트랩(4)(5)을 압입시킨후, 800℃정도의 수소로에서 브레이징을 실시한 경우에 횡방향으로의 열선행창과, 열체적팽창이 동시에 발생됨으로써 요홈(3)에 압입되었던 내, 외 스트랩(O(5)이 헐거워지거나, 또는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각 베인(2)의 사이에서 하나의 공진 주파수가 일어나지 않고 여러 주파수의 공진이 발생됨으로써 이상 발진으로 인한 출력 저하와 마그네트론의 고주파 발생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같은 내, 외 스트랩(4)(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베인(2)이 요홈(3)에 내,외 스트랩(4)(5)을 종전보다 더욱 강제로 압입하여 고정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강제 압입시 베인(2)의 자체가 변형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강제 압입상태에서는 용융된 브레이징재가 베인(2)과 각 내, 외 스트랩(4)(5)의 사이에 스며들지 못하고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요홈(3)의 저부에 흘러들어 마그네트론의 고주파 발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요홈(2)의 양 내, 외측벽(3c)(3d)이 상협하광(上夾下廣)형상으로 10°이하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 애노우드 베인(2')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따르는 내,외 스트랩(4)(5)의 치수는 압입되는 치수(h)의 ½되는 지점(C)에 해당되는 치수로 형성되며, 내,외 스트랩(4)(5)의 두께는 2㎜이내로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요홈(3)의 양 내,외측벽(3c)(3d)이 상협하광(上夾下廣)형상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애노우드 베인(1)에 내,외 스트랩(4)(5)을 압입할 경우에는, 내,외측벽(3c)(3d)이 상협하광(上夾下廣)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B방향으로 압입하게 되면, 베인(2)의 상측부분에서 밀림현상이 발생되어, 내,외 스트 립(4)(5)이 완전하게 압입 고정되며, 압입된 후에는 베인(2)과 내,외 스트랩(4)(5)의 사이에 F,F'의 응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브레이징을 위하여 온도가 상승되어도 열전팽창 및 열체적 팽창에 따르는 베인(2)의 수축과 팽창에도 거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됨으로서 내, 외 스트랩(4)(5)의 이탈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이 요홈(3)의 양 내,외측벽(3ac(3d)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애노우드 베인(1)에 있어서는, 내,외 스트랩(4)(5)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여 이탈 현상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으나, 브레이징 작업이 과도한 압입력이나, 과도한 브레이징재가 공급될 경우에는 브레이징재가 고이지 못하고 하측으로 요홈(3)의 저부로 흘러내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직각 형상의 요홈(3)이 형성된 베인(2)의 경우처럼 마그네트론의 고주파 발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됨으로서 출력 저하등의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요홈의 저부로 브레이징재가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고주파 발진동작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마그네트론의 애도우도 베인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베인의 상,하단면 내측에 형성된 요홈의 양 내벽에 내, 외측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 외측 단턱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 외측벽에는 내, 외 스트랩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형성된 접촉돌기가 교호로 고정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내, 외측벽에 브레이징재가 요홈의 저부로 흘러내리지 못하고 고이도록 고임홈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의 애노우드 베인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마그네트론의 애노우드 베인을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마그네트론 애노우드 베인의 일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베인(11)의 상,하 단면 내측에 형성된 요홈(12)의 양 내벽에 내,외측 단턱부(12a)(12b)가 형성되며, 상기 내,외측 단턱부(12a)(12b)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외측벽(12c)(12d)에는 내,외 스트랩(4)(5)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형성된 접속돌기(4a)(4b)(제2도에 도시)가 교호로 고정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내, 외측벽(12c)(12d)에 브레이징재(16)가 요홈(3)의 저부로 흘러내리지 못하고 고이도록 하는 고임홈(15)(15')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고임홈(15)(15')은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내,외측 단턱부(12a)(12b)에 대하여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내, 외측벽(12c)(12d)에 형성되거나, 또는 제7도에 도시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내, 외측 단턱부(12a)(12b)에 대하여 수직을 유지하는 내, 외측벽(12c)(12d)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내, 외측 단턱부(13a)(13b)에 대하여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내, 외측벽(12c)(12d)에 형성되는 고임홈(15)(15')은 내, 외측 단턱부(12a)(12b)와, 내, 외측벽(12c)(12d)가 만나는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마그네트론의 애노우드 베인에 있어서는, 요홈(12)의 경사 내,외측벽(12c)(12d), 또는 직선 내,외측벽(12c)(12d)에 고임홈(15)(15')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베인(11)에 내,외 스트랩(4)(5)을 압입시킬 경우, 브레이징재(16)가 고임홈(15)(15')으로 흘러들어 고이게 됨으로써 요홈(12)의 저부로 고이지 않게 되는 것이며, 또한 베인(11)에 변형을 줄 수 있는 힘의 완충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마그네트론의 애노우드 베인은, 요홈의 내, 외측벽에 고임홈을 각각 형성하여, 내, 외 스트랩의 압입 고정시 브레이징재가 요홈의 저부로 흘러내리지 못하고 고이도록 함으로써 요홈의 저부로 흘러내리는 브레이징재에 의한 고주파 발진동작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마그네트론의 출력 저하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베인(11)의 상, 하단면 내측에 형성된 요홈(12)의 양 내벽에 내, 외측 단턱부(12a)(12b)가 형성되며, 상기 내,외측 단턱부(12a)(12b)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외측벽(12c)(12d)에는 내,외 스트랩(4)(5)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형성된 접속돌기(4c)(4b)가 교호로 고정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벽(12c)(12d)에 브레이징재(16)가 요홈(3)의 저부로 흘러내리지 못하고 고이도록 고임홈(15)(15')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의 애노우드 베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임홈(15)(15')은 내, 외측 단턱부(13a)(13b)에 대하여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각을 갖는 내,외측벽(12c)(12d)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의 애노우드 베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임홈(15)(15')은 내, 외측 단턱부(13a)(13b)와, 내, 외측벽(12c)(12d)가 만나는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의 애노우드 베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임홈(15)(15')은 내, 외측 단턱부(13a)(13b)에 대하여 수직을 유지하는 내, 외측벽(12c)(12d)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의 애노우드 베인.
KR2019870016255U 1987-09-24 1987-09-24 마그네트론의 애노우드 베인 KR9300007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6255U KR930000778Y1 (ko) 1987-09-24 1987-09-24 마그네트론의 애노우드 베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6255U KR930000778Y1 (ko) 1987-09-24 1987-09-24 마그네트론의 애노우드 베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100U KR890008100U (ko) 1989-05-18
KR930000778Y1 true KR930000778Y1 (ko) 1993-02-25

Family

ID=19268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6255U KR930000778Y1 (ko) 1987-09-24 1987-09-24 마그네트론의 애노우드 베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77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307A (ko) * 2002-08-05 200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마그네트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100U (ko) 1989-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0778Y1 (ko) 마그네트론의 애노우드 베인
KR870003540A (ko) 마그네트론의 양극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0185059B1 (ko) 곡형으로 돌출된 접촉부를 갖는 포크
US3011091A (en) Resonator for single-circuit magnetron
KR940007491Y1 (ko) 마그네트론용 애노드 바디
KR920001576Y1 (ko) 음극선관용 음극구조체
KR200196980Y1 (ko) 터미널 블록
KR970009779B1 (ko) 마그네트론의 양극체와 그 조립방법
JPH0739242Y2 (ja) 半導体デバイス
SU1164470A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 деталей турбомашины
JPS6115571Y2 (ko)
JP4036994B2 (ja) バーナタイルの支持構造
GB2105397A (en) Scaffolding platform support
KR970004313B1 (ko) 마그네트론용 양극체
JPH0340341A (ja) 電子レンジ用マグネトロン
JPH0310678Y2 (ko)
KR200143899Y1 (ko) 핀헤더 고정용 섀시
KR0179477B1 (ko) 밀폐공간이 형성된 자동차 디젤엔진의 연소실
JPH0534764B2 (ko)
JPS62147935A (ja) 誘導機の回転子
JPH09250238A (ja) 足場板の製造方法
JPS5833672B2 (ja) 端子ブロツク
JPS5936848Y2 (ja) コンタクト脚部
JPS63132762A (ja) 低圧鋳造用スト−ク
KR970007085Y1 (ko) 세라믹 발진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