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772Y1 - 리니어 오디오주파수 특성 개선회로 - Google Patents

리니어 오디오주파수 특성 개선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772Y1
KR930000772Y1 KR2019880016157U KR880016157U KR930000772Y1 KR 930000772 Y1 KR930000772 Y1 KR 930000772Y1 KR 2019880016157 U KR2019880016157 U KR 2019880016157U KR 880016157 U KR880016157 U KR 880016157U KR 930000772 Y1 KR930000772 Y1 KR 9300007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udio
predetermined
level contro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61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336U (ko
Inventor
김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61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772Y1/ko
Publication of KR9000073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3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7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7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46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18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analog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or reproduction
    • G11B20/10027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analog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djusting the signal strength during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variable gain amplifie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리니어 오디오주파수 특성 개선회로
제1도는 종래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동작 파형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
제4도는 제3도에 따른 동작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제1임피던스매칭부 40 : 재생등화증폭부
50 : 제1선택스위치 60 : 오디오신호 감쇄부
70 : 자동레벨제어부 71 : 제2선택스위치
80 : 동작시점제어부 90 : 선형증폭부
100 : 저역필터부 110 : 제2임피던스매칭부
120 : 레벨제어신호의 출력레벨결정부 130 : 자동레벨제어검출부
본 고안은 브티알 및 오디오시스템의 리니어 오디어(Linear Audio)주파수 특성 개선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부품의 추가없이 소정 오디오신호에 포함된 수평동기신호성분을 제거하여 주파수 특성의 열화를 개선할 수 있는 리니어 오디오 주파수 특성 개선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리니어 오디오 주파수 특성 열화 개선회로로서, 헤드(10), 재생등화앰프(11), 제1선택스위치(12), 자동레벨 제어부(13), 선형증폭부(14), 자동레벨제어검출부(15), 저역필터부(16), 제2선택스위치(17)로 구성된다.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동작파형도로서, 인용부호증(Vp)는 오디오신호의 출력레벨이며, (f)는 오디오신호의 출력주파수이고, (25)는 자동레벨제어검출부(13)의 최소검출레벨이다.
이하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회로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헤드(10)은 소정의 테이프에 기록된 재생신호를 추출하여 재생등화앰프(11)로 입력하고, 상기 재생등화앰프(11)는 입력된 재생신호의 역특성을 보정하여 제1선택스위치(12)로 입력한다.
한편 제2선택스위치(17)는 오디오 잭(20)을 통한 소정의 제1오디오 신호 혹은 튜너신호입력단자(21)을 통한 소정의 제2오디오신호를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는 입력제어단(171)의 입력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되어 자동레벨제어부(13)로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자동레벨제어부(13)는 선택된 소정의 오디오신호를 자동레벨제어검출부(15)의 소정 레벨제어신호에 의해 제어하여 상기 제1선택스위치(12)로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1선택스위치(12)를 재생(PB) 또는 EE모드의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단자(22)를 통한 소정의 선택신호에 의해 선택된다. 이때 상기 제1선택스위치(12)는 상기 재생등화앰프(11)의 출력신호 혹은 자동이득제어부(13)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선형증폭부(14)로 입력한다. 또한 상기 선형증폭부(14)는 입력된 소정의 신호를 선형증폭한 후에 자동이득제어검출부(15)로 입력하는 동시에 저역필터부(16)로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자동이득 제어검출부(15)는 입력한 소정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이에 따른 레벨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자동레벨제어부(13)로 입력한다. 또한 상기저역필터부(16)는 입력된 소정 신호를 제2도와 같이 저역필터링하여 입력된 오디오신호에 포함된 수평동기신호 성분을 제거한후 출력단자(18) 및 출력단자(19)을 통해 소정의 RF컨버터로 출력한다. 그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회로는 저역필터부(16)을 통과한 소정 출력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수평동기신호를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므로 신호대잡음비(S/N)특성은 개선되나 주파수 특성면에서는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어 왔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신호대잡음(S/N)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출력 오디오신호에 포함된 수평동기신호성분을 제거하고 원하는 주파수 대역까지 고른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주파수 특성의 열화를 개선하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로서 캐패시터(31, 32), 저항(33)으로 구성되어 제어헤드(1)에서 추출된 소정의 재생신호에 대해 임피던스 메칭하는 제1임피던스 매칭부( 30)와, 연산증폭기(41), 저항(42, 43, 44), 캐패시터(45, 46), 가변저항(47)로 구성되어 상기 제1임피던스매칭부(30)의 재생 제어신호를 비반전증폭하여 역특성을 개선하는 재생동화증폭부(40)와, 오디오 잭 입력단자(51)을 통한 제1오디오신호 혹은 튜너신호입력단자(52)를 통한 제2오디오신호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하는 제1선택스위치(50)와, 저항(61, 62)로 구성되어 상기 제1선택스위치(50)를 통한 소정 오디오신호의 레벨을 감쇄하는 오디오신호레벨감쇄부(60)와, 상기 제2임피던스매칭부(60)의 출력신호 레벨을 소정의 레벨제어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자동레벨제어부(70)와, 캐패시터(81), 저항(82)로 구성되어 상기 자동레벨제어부(70)의 동작시킴을 RC시정수에 의해 조정하는 동작시점제어부(80)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재생등화증폭부(40)의 재생제어신호 혹은 상기 자동레벨제어부(70)의 출력신호를 선택하는 제2선택스위치부(71)와, 연산증폭기(91), 저항(92,93)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스위칭부(71)을 통한 소정의 신호를 비반전증폭하여 선형성을 향상시키는 선형증폭부(90)와, 캐패시터(101-104), 리액던스(105)로 저항(106)으로 구성되어 상기 선형증폭부(90)의 출력신호를 저역필터링하여 수평동기신호 성분을 제거한후 출력단자(2)를 통해 소정의 RF컨버터로 출력하는 저역필터부(100)와, 저항(111),(112)로 구성되어 상기 저역필터부(100)의 출력신호를 임피던스 매칭시킨후 오디오 잭 출력단자(3)로 출력하는 제2임퍼던스 매칭부(110)와, 저항(121,122)로 구성되어 상기 저역필터부(100)의 출력신호를 받아 소정 레벨제어신호의 출력레벨을 결정하는 레벨제어신호의 출력레벨결정부(120)와, 상기 레벨제어신호의 출력레벨결정부(120)의 레벨결정신호를 입력하여 그에 대응하는 레벨제어신호를 생성해 상기 자동레벨제어부(70)로 입력하는 자동레벨제어검출부(130)로 구성된다.
제4도는 제3도에 따른 동작파형도로서 인용부호중 (Vp)는 오디오신호의 출력레벨이며, (f)는 오디오신호의 출력주파수이고, (200)은 자동레벨제어검출부(130)의 최소 검출레벨이다.
이하 본 고안을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오디오헤드(1)는 테이프에 기록된 재생신호를 추출하여 캐패시터(31) 및 저항(33)으로 입력하고 상기캐패시터(31) 및 저항(33)은 입력된 재생신호를 임피던스 매칭시킨 후 결합캐패시터(32)를 통해 연산증폭기(41)의 비반전단자(+)로 입력한다.
상기 연산증폭기(41)의 반전단자(-)와 출력단 사이는 저항(42-44), 캐패시터(45)가 병직렬 접속되므로 상기 연산증폭기(41)은 입력된 재생신호를 비반전증폭 즉 역특성을 개선하여 결합캐패시터(46) 및 가변저항(47)을 통해 제2선택스위치(71)로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2선택스위치(71)는 사용자에 의해 재생모드 혹은 EE(electronic and electronic)모드를 선택한다.
여기서 재생모드를 선택한 경우를 먼저 살펴보면, 상기 제2선택스위치(71)을 통한 재생신호는 연산증폭기(91)의 비반전단자(+)로 입력하고 상기 연산증폭기(91)의 반전단자(-)는 저항(93)을 통해 접지하므로 상기연산증폭기(91)은 비반전단자(+)로 입력한 재생신호를 비반전증폭 즉 선형성을 향상시킨후 결합캐폐시터(101), 저항(106)을 통해 인덕던스(105)로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인덕던스(105), 캐패시터(102-104)는 통상적인 저역 필터구조이므로 상기 연산증폭기(91)의 재생신호를 저역필터링한 후 출력단자(2)를 통해 소정의 RF컨버터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저역필터링된 재생신호는 저항(111, 112)에 의해 임피던스 매칭된후 오디오 객 입력단자(3)도 입력한다.
한편 사용자가 제2선택스위치(71)에서 EE모드를 선택하면, 제2선택스위치(50)는 오디오 잭 입력단자(51) 및 저항(53)을 통한 제1오디오신호 혹은 튜너신호입력단자(52)를 통한 제2오디오신호를 역시 사용자가 선택에 의해 저항(62)의 한측단으로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저항(62) 및 (6l)에 의해 감쇄된 소정 오디오신호는 자동레벨조정기(70)로 입력하고 상기 자동레벨조정기(70)는 캐패시터(81), 저항(82)에 의해 동작시간이 조정된후 입력한 신호의 레벨에 대응하는 소정오디오신호를 상기 제2선택스위치(71)로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2선택스위치(71)을 통한 소정 오디오신호는 상기 연산증폭기(91)의 비반전단자(+)로 입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연산증폭기(91)은 입력한 소정의 오요디오신호를 결합 캐패시터(101) 및 저항(106)을 통해 인덕던스(105), 캐패시터(102, 103)의 한측단으로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인덕던스(105), 캐패시터(102-104)로 이루어진 저역필터는 입력한 소정의 오디오신호에 포함된 수평동기신호성분을 저역필터링 제거한후 상기 RF컨버터 입력단자(2)를 통해 소정의 RF 컨버터로 입력하고 또한 상기 저항(111, 112)에 의해 임피던스 매칭되어 잭 출력단자(3)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저역필터링된 오디오신호는 저항(121,122)에 의해 소정 자동레벨제어신호의 출력레벨을 결정한후 자동레벨제어검출부(130)로 입력한다.
상기 자동레벨 제어검출부(130)은 상기 인덕던스(105), 캐패시터(102-104)로 이루어진 저역필터에 의해 발생하는 소정 오디오신호의 레벨차를 출력주파수 10(K)까지는 정확하게 검출하여 그에 대응하는 레벨제어신호를 생성한후 자동레벨제어부(70)로 입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자동레벨제어부(70)는 제4도와 같이 레벨이 조정된 소정의 오디오신호를 생성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신호대잡음(S/N)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출력신호에 포함된 수평동기신호성분을 제거하며 원하는 주파수 대역까지 고른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오디오 헤드(1), 오디오잭입력단자(51) 및 튜너신호입력단자(52)를 구비한 브티알 및 오디오시스템의 리니어 오디오 앰프의 주파수 특성개선회로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헤드(1)에서 추출한 소정의 재생신호를 소정증폭에 의해 역특성을 개선하는 재생등화 증폭수단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오디오 잭 입력단자(51)을 통한 상기 오디오 헤드(1)의 제1오디오신호를 선택하거나 상기 튜너신호입력단자(52)을 통한 소정의 제2오디오신호를 스위칭에 의해 선택하는 제1선택스위치(50)와, 상기 제1선택스위치(50)를 통한 소정 오디오신호를 소정의 레벨제어신호에 따라 레벨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자동레벨제어수단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재생등화증폭수단의 재생신호를 선택하거나 상기 자동레벨제어수단의 소정 오디오신호를 스위칭에 의해 선택하는 제2선택스위치(71)와, 상기 제2선택스위치(71)을 통한 소정의 출력신호를 비반전 증폭하여 선형성을 향상시키는 선형증폭수단과, 상기 선형증폭수단의 출력신호를 저역 필터링하여 수평동기신호 성분을 제거한 후 오디오잭 출력단자(3)로 출력하며 출력단자(2)를 통해 소정의 RF 컨버터로 출력하는 저역필터수단과, 상기 저역필터수단에서 필터링된 출력신호중 소정의 오디오신호를 입력하여 레벨을 검출한 후 그에 대응하는 레벨제어신호를 생성해 상기 자동레벨제어수단으로 입력하는 자동레벨제어검출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오디오 주파수 특성개선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자동레벨제어신호가 상기 저역필터수단의 출력신호를 받아 상기 자동레벨제어검출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오디오 주파수 특성개선회로.
KR2019880016157U 1988-09-30 1988-09-30 리니어 오디오주파수 특성 개선회로 KR9300007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6157U KR930000772Y1 (ko) 1988-09-30 1988-09-30 리니어 오디오주파수 특성 개선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6157U KR930000772Y1 (ko) 1988-09-30 1988-09-30 리니어 오디오주파수 특성 개선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336U KR900007336U (ko) 1990-04-04
KR930000772Y1 true KR930000772Y1 (ko) 1993-02-25

Family

ID=19279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6157U KR930000772Y1 (ko) 1988-09-30 1988-09-30 리니어 오디오주파수 특성 개선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7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336U (ko) 1990-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1295A (en) Noise reducing apparatus
CN1113531C (zh) 电视接收机
US5276517A (en) Video equalizing circuit
JP2773524B2 (ja) ディジタル移動無線受信機
KR930000772Y1 (ko) 리니어 오디오주파수 특성 개선회로
US4122502A (en) Playback system for a magnetic tape recorder
KR100213073B1 (ko) 재생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상 장치
JPS5862804A (ja) 記録レベル自動調整装置
US5745585A (en) Dynamic equalization method and device
KR940003669B1 (ko) 브이씨알의 테이프 녹화 시스템
US7397873B2 (en) Adaptive signal weighting system
JPH0744996A (ja) ノイズ低減回路
JPH1056601A (ja) 音声多重信号処理装置
JP3479369B2 (ja) ノイズ除去機能を持つ受信装置
KR100379449B1 (ko) 브이씨알(vcr)의하이파이오디오오검출방지장치및방법
JPH024542Y2 (ko)
KR100324747B1 (ko) 음성 잡음신호 제거회로
JP3278864B2 (ja) デジタルオートゲインコントローラ
KR890005007B1 (ko) 자기 기록 재생 장치
JP2674401B2 (ja) 画像再生装置
KR0159411B1 (ko) 녹화 재생기의 저역 통과 필터
KR970005043Y1 (ko) Vcr의 재생시 pal bg와 n-pal 방식의 자동 전환 회로
JPH0520065Y2 (ko)
JPS63176073A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JPH11144386A (ja) 信号処理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1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