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727B1 - 무선전화기의 채널 검색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의 채널 검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727B1
KR930000727B1 KR1019900002140A KR900002140A KR930000727B1 KR 930000727 B1 KR930000727 B1 KR 930000727B1 KR 1019900002140 A KR1019900002140 A KR 1019900002140A KR 900002140 A KR900002140 A KR 900002140A KR 930000727 B1 KR930000727 B1 KR 930000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buffer
channels
call
emp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2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6157A (ko
Inventor
김순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02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727B1/ko
Publication of KR910016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6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04B1/46Transmit/receive switching by voice-frequency signals; by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전화기의 채널 검색방법
제1a도 및 제1b도는 무선전화기의 블럭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2 : 제어부 12, 22 : 주파수합성부
13, 23 : 변조부 14, 24 : 송신부
15, 25 : 수신부 16, 26 : 복조부
27 : 국선 인터페이스부
본 발명의 무선전화기의 통화재널 검색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채널 검색시 기준채널에서 일정수의 빈채널만 검색하여 채널형성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방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전화기(cordless phone)는 휴대장치와 고정장치로 이루어지는데, 제1a도는 휴대장치(hand unit)의 구성이고, 제1b도는 고정장치(BASE UNIT)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휴대장치에서 통화채널을 형성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제1제어부(11)는 제 1 주파수합성부(12)로 채널을 지정히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 1 주파수합성부(12)는 PLL(Phase Lock Look)와 VCO(Voltage Contr olled Oscillator)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지정되는 수신재널의 주파수를 발생하여 제 1 수신부(15)공급한다. 이후 제 1 제어부(11)는 제 1 복조부(16)를 통해 수신주파수와 기준주파수의 세기를 비교하여 해당 채널의 사용 유무를 판단하여, 사용중이 아닌 경우에는 송출채널 신호 및 데이타를 출력한다. 그러면 제 1 주파수합성부(12)는 송신채널 지정을 위한 주파수룰 발생하며, 제 1 변조부(13)에서는 상기 송출데이타를 변조하므로, 제 2 송신부(14)에서는 상기 송신채널에 송출데이타를 RF신호를 변환하여 공중에 방사한다.
이때 고정장치에서는 휴대장치의 통화요구를 감지하기 위하여 수신채널을 지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변환하여 수신채널의 사용 유무를 점검한다. 그러므로 휴대장치에서 송출데이타가 발생되면, 상기 제 2수신부(25)는 상기 휴대장치의 신호와 상기 제2주파수합성부(22)의 수신채널 주파수를 믹싱(mixing)하여 중간 주파수(inter mediate Frequency)를 발생하여, 제 2 복조부(26)는 상기 제2수신부(25)의 출력을 복조하여 제2제어부(21)로 공급한다. 따라서 제2제어부(21)는 휴대장치의 통화요구를 인지하고 응답 데이타를 송출하여, 이 응답 데이타는 제2변조부(23)를 통해 제2송신부 (24)로 공급되며, 제2송신부(24)는 상기 제2변조부(23)의 출력을 제2주파수합성부 (22)의 주파수 신호에 의해 RF신호로 변환하여 공중으로 방사된다.
그러면 상기 응답데이타는 휴대장치에서 제1수신부(15) 및 제1복조부(16)를 통해 제1제어부(11)로 공급되며, 이에 따라 제1제어부(11)는 송출데이타의 출력을 중단하여, 제2제어부(21)는 국선인터페이스부(27)를 통해 국선을 연결한다. 이후 휴대장치에서 발생되는 디지트 신호의 상기와 같은 방식을 통해 고정장치로 인가되며, 고정장치는 이를 국선인터페이스(27)를 통해 교환기측으로 공급하므로 통화로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전화기에서 통화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통화채널을 형성하여야 하는데, 무선전화기의 채널수는 다수개가 존재한다. 따라서 통화채널 형성시 모든 채널을 검색하는 경우 통화채널 형성 시간이 길어지게 되며, 불필요한 채널을 검색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통화 수행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전화기에서 통화채널을 검색할 시 미리 설정된 일정수의 빈 채널을 검색함으로서 통화채널의 검색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통화채널 검색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행하기 위한 무선전화기의 구성은 제1도와 동일하며, 참조부호도 동일하다.
제2도는 본 발명의 통화채널 검색 흐름도로서, 대기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채널 번호를 증가시켜가며 수신채널을 지정하며, 현재 지정된 수신채널로 수신되는 신호를 검사하여 채널 사용 유무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과정에서 현재 지정된 수신채널로 반송파가 수신될시 현재 지정된 수신채널 정보를 상기 제1버퍼에 사용중인 채널번호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과정에서 현재 지정된 수신채널로 반송파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빈 채널의 갯수를 증가하기 위하여 상기 제2버퍼의 값을 하나 증가시키는 과정과, 상기 제2버퍼의 값을 증가시킨 후 상기 제2버퍼에 저장중인 빈 채널 갯수와 미리 설정되어 저장하고 있는 빈 채널 갯수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상기 제2버퍼의 빈 채널 갯수가 설정된 빈 채널 갯수와 동일한 경우 상기 채널 검색과정을 종료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채널 검색과정을 반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장치(HAND UNIT)는 고정장치(BASE UNIT)와 RF링크를 형성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휴대장치는 통화 대기 상태에서 상기 고정장치로 부터 수신되는 데이타를 분석하며, 수신되는 데이타가 자기데이타인 경우에는 통화채널을 형성하여 착신 통화를 수행한다. 그리고 통화 스위치가 온시켜 발신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장치와 빈 채널을 검색한 후 검색된 빈 채널을 통하여 통화채널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장치는 대기상태에서 상기 채널들의 상태를 검사하여 사용하지 않는 빈 채널을 탐색하며, 발신 통화 시도시에는 해당하는 빈 채널을 신속하게 억세스하여 통화채널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통화채널을 검색하는 경우 일정수의 빈 채널 까지만 채널들의 사용 유무 상태를 검색하여 사용중인 채널들의 정보를 저장하며, 일정수의 빈 채널검색과정에서 탐색된 정보를 이용하여 고정장치와 신속하게 통화채널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과정을 제2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전원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면 상기 제1제어부(11)은 102단계에서 내부의 램 중에서 사용중인 채널을 저장하는 버퍼(이하 “제1버퍼”라 칭함)와 빈 채널의 갯수를 저장하는 버퍼(이하 “제2버퍼”라 칭함)을 초기화하고 기준채널을 지정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채널은 이전에 사용한 채널을 의미하거나 지정된 특정한 채널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상기 기준채널은 초기화시에는 지정된 특정 채널(일반적으로 “채널0”을 의미한다)이 되며, 통화가 종료된 경우에는 바로 전에,통화가 수행된 채널이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버퍼는 사용중인 채널을 기록하는 메모리 맵으로서, 상기 사용중인 채널이란 의미는 현재 임의의 무선전화기들이 해당 채널을 고정시켜 무선 통화기능을 수행하는 채널을 의미하며, 빈 채널(비사용중인 채널)은 해당하는 채널은 어떤 무선전화기에서도 사용하지 않고 있는 채널(idle channel)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전 상태에서의 통화채널이 “채널5”이고 “채널6”은 사용하지 않는 빈 채널이며 “채널7”은 사용중인 채널이면, 상기 제1버퍼에서는 “채널5” 및 “채널6”이 저장되고 채널 카운트 버퍼인 제2버퍼에는 “1”이 저장된다.
상기 제2버퍼는 사용하지 않는 채널의 갯수를 저장하는 채널 카운트버퍼이다. 사용중인 채널은 이전 상태에서 사용한 기준채널에서부터 탐색하고 사용중인 채널로 확인된 채널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버퍼에 저장하고, 사용하지 않는 채널의 갯수는 상기 채널카운트버퍼인 제2버퍼에 저장한다. 따라서 이전의 통화채널이 "채널5"이고, 이후의 “채널8” 및 “채널9”가 사용중인 채널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베1버퍼에는 “채널5”, “채널8” 및 “채널9”가 차례대로 저장되고 제2버퍼에는 “2”가 저장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채널6” 및 “채널7”이 빈 채널이 됨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무선전화기의 전 채널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버퍼에는“0”가 저장되고 사기 제2버퍼에는 무선전화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 채널의 수가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제어부(11)은 내부의 램에 할당된 제1버퍼, 제2버퍼를 초기화하고 기준채널을 지정한 후, 104단계에서 현재의 모드를 검사한다. 상기 동작모드는 통화스위치의 상태를 검사하여 판단하는데, 상기 통화스위치가 오프 상태이면 대기상태로 판단하고 온 상태이면 통화모드로 판단한다. 이때 상기 104단계에서 통화모드로 판단한 경우에는 (106)단계로 진행하여 고정장치와의 통화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104단계에서 대기상태(통화스위치가 오프되어 있는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108단계에서 제1주파수합성부(12)로 채널 번호를 지정하기 위한 제어테이타를 출력한다. 이때 채널 스캔 과정을 개시한 후 최초로 채널을 지정하는 경우이면 상기 기준채널을 지정하기 위한 제어데이타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1주파수합성부 (12)는 제어데이타에 대응되는 수신 채널 주파수를 발진하여 상기 수신부(15)로 출력하며, 이로인해 상기 수신부(15)는 상기 안테나로 부터 수신되는 지정된 채널의 신호를 동조하여 복조부(16)으로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제1제어부(11)는 110단계에서 상기 복조부(15)를 통해 수신되는 RSSI나 스켈치(squelch)신호를 점검하여 현재 지정된 수신채널의 사용 유무를 검사 및 판족한다. 즉, 상기 110단계에서 상기 제1제어부(11)은 상기 복조부(16)을 통해 수신되는 수신채널의 신호에 반송파가 있는가를 검사하여 동조된 채널의 사용 유무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수신채널로 수신되는 신호에 반송파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채널을 사용중인 채널로 판단한다.
상기 110단계에서 헌 수신채널이 사용중인 채널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112단계로 진행하여 수신채널로 부터 수신되는 데이타를 분석하여 자기데이타인가를 검사한다. 즉, 헌 수신채널로 수신되는 데이타를 검사하여 자기 비밀번호를 갖는 데이타인가를 검사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장치는 통화중 상태에서 송신부(24)를 통해 비밀번호를 송출하며, 휴대장치는 112단계에서 수신된 데이타가 자신의 비밀번호로 판독되면, 114단계로 진행하여 헌 수신채널을 고정하고 상기 고정장치로 응답데이타를 작성하여 송출하고 통화로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 112단계에서 헌 수신채널로 수신되는 데이타가 자기 데이타가 아닌 경우에는 이러한 채널은 다른 무선전화기가 점유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러므로 상기 제1제어부(11)는 116단계로 진행하여 헌 수신 채널을 사용중인 채널로 상기 제1버퍼에 저장하고, 헌 수신채널의 다음 채널을 억세스하여(헌 수신채널 + 1)다음 상태에 스캔하기 위한 다음 수신채널로 지정한다. 118단계에서 다음에 스캔하기 위한 수신채널의 번호를 저장하고, 다음 수신채널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하여 상기 104단계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헌 수신채널이 사용중인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채널을 사용중인 채널로 상기 제1버퍼에 저장하며, 이후의 채널들이 연속적으로 사용중인 경우에는 상기 제1버퍼의 다음 영역에 순차적으로 저장된다.
그러나 상기 110단계에서 헌 수신채널이 사용중이 아닌 빈 채널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120단계에서 상기 제2버퍼로 부터 빈 채널의 갯수를 저장하고 있는 제2버퍼의 값을 리드하여 빈 채널의 갯수를 하나 증가시켜 상기 제2버퍼에 다시 기록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제어부(11)은 112단계에서 현재까지 검색한 빈 채널의 수가 지정된 빈 채널의 갯수를 초과했는가 검사한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캔을 시작하는 시점에서의 기준채널로 부터 일정 수의 채널까지 검색하기 위한 것으로, 통화 대기 상태에서 채널을 스캔하는 경우 무선전화기의 전체 채널을 검색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채널에서 일정 갯수의 사용하지 않는 채널만 검색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122)단계에서는 현재까지 총 검색되어 상기 제2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빈 채널의 갯수가 지정된 빈 채널의 갯수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음 빈 채널을 수신할 수 있도록 수신채널을 증가시킨후(수신채널 +1)(118)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122단계에서 총검색된 상기 제2버퍼의 빈 채널 갯수가 지정된 빈 채널의 갯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중이 아닌 수신채널 및 채널수를 기록하고 있는 내부의 램을 초기화시키고 (118)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 과정을 종합하면, 대기 상태에서 무선전화기는 기준채널로 부터 순차적으로 채널번호를 증가시켜 가며 지정된 채널의 상태를 검사한다. 상기 채널 검사 과정에서 현재의 채널이 사용중인 채널로 판단되면 내부의 램에 해당 채널이 사용중인 채널로 기록한다. 그리고 현재의 채널이 빈 채널이면 빈 채널 갯수를 저장하고 있는 버퍼의 값을 증가시켜 다시 저장한다. 이때 상기 빈 채널의 갯수를 저장하는 버퍼 갯수를 저장하고 있는 버퍼의 값을 증가시켜 다시 저장한다. 이때 상기 빈 채널의 갯수를 저장하는 버퍼 영역에는 사용하지 않는 채널을 일정수까지만 검색할 수 있도록 채널 갯수를 지정한다. 따라서 현재의 수신채널이 빈 채널로 판단되는 경우, 일정한 빈 채널의 갯수(지정된 빈 채널의 갯수 〉 검색된 빈 채널의 갯수)까지는 현재 사용중인 채널 정보를 제1버퍼에 기록하고, 상기 일정갯수를 초과수(지정된 빈 채널의 갯수 ≤ 검색된 빈 채널의 갯수)하면 상기 제1버퍼에 사용중인 채널 정보를 저장하는 스캔 동작을 중지한다. 이때 상기 무선전화기의 모든 채널이 사용중이면 기준채널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대기상태에서 채널 스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무선전화기의 전채널을 스캔하는 것이 아니라 설정된 수의 빈 채널만 탐색하면 되므로, 대기 상태에서는 일정한 갯수의 사용하지 않는 빈 채널을 검색하면 되며, 통화시도시에는 상기와 같이 검색된 빈 채널들의 상태를 신속하게 탐색하여 발신 통화를 수행할 수 있고, 대기 상태에서 전채널을 검색하지 않고 기준채널에서 일정수의 빈채널까지만 검색하여 채널의 상태를 기록하고 통화시도시에는 이러한 채널 정보를 토대로 통화채널을 지정함으로써 통화채널의 형성시간을 짧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사용중인 채널 정보를 저장하는 제1버퍼와 빈 채널의 갯수를 저장하는 제2버퍼을 구비하는 무선전화기의 통화채널 검색 방법에 있어서, 대기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채널 번호를 증가시켜가며 수신채널을 지정하며, 현재 지정된 수신채널로 수신되는 신호를 검사하여 채널 유무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과정에서 현재 지정된 수신채널로 반송파가 수신될시 현재 지정된 수신채널 정보를 상기 제1버퍼에 사용중인 채널번호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과정에서 현재 지정된 수신채널로 반송파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빈채널의 갯수를 증가하기 위하여 상기 제2버퍼의 값을 하나 증가시키는 과정과, 상기 제2버퍼의 값을 증가시킨 후 상기 제2버퍼에 저장중인 빈 채널 갯수와 미리 설정되어 저장하고 있는 빈 채널 갯수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상기 제2버퍼의 빈 채널 갯수가 설정된 빈 채널 갯수와 동일한 경우 상기 채널 검색과정을 종료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채널 검색과정을 반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통화채널 검색방법.
KR1019900002140A 1990-02-21 1990-02-21 무선전화기의 채널 검색방법 KR930000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2140A KR930000727B1 (ko) 1990-02-21 1990-02-21 무선전화기의 채널 검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2140A KR930000727B1 (ko) 1990-02-21 1990-02-21 무선전화기의 채널 검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157A KR910016157A (ko) 1991-09-30
KR930000727B1 true KR930000727B1 (ko) 1993-01-30

Family

ID=19296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2140A KR930000727B1 (ko) 1990-02-21 1990-02-21 무선전화기의 채널 검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72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157A (ko) 199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4083B2 (en) Location information erase on SIM cards
US6138005A (en) Method for verifying personalization in mobile radio terminal
US6374106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searching method
JPH0695656B2 (ja) 無線チヤネルサ−チ方式
EP0586170B1 (e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s unit
US6519476B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wherein insertion of an attachable external storage medium causes the mobile to interact with the system
KR930000727B1 (ko) 무선전화기의 채널 검색방법
US6205331B1 (en) Memory sharing method for integrated digital cordless telephone and radio paging receiver
US6931260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KR0174664B1 (ko) 무선전화기의 채널 스캔방법
KR0145864B1 (ko) 무선 채널 환경에 적응적인 채널 스캔 방법
JPH09322226A (ja) 空きチャネル検索の簡易学習機能付きphs基地 局
KR100216238B1 (ko) 휴대용 통신기기의 서비스 모드 진입방법
KR97000397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고정국 접속방법
JPH0314329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3032055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とそのチャンネル・スキャン方法
JP2567755B2 (ja) 無線電話機の通話チャンネル設定方法
JP3246531B2 (ja) 受信回路
KR012196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타임슬롯 접속방법
KR1001888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호 처리 방법
US7043251B1 (en) Method and controlling the selection of base stations in a cellular radio telecommunications system
JPH1094047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910004402B1 (ko) 무선 전화기 접속 방법
KR19990062532A (ko) 이동무선단말기의 호 재접속 장치 및 방법
GB2335574A (en) Mobile station with one touch scan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