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978B1 - 휴대용 단말기의 고정국 접속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고정국 접속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978B1
KR970003978B1 KR1019940032286A KR19940032286A KR970003978B1 KR 970003978 B1 KR970003978 B1 KR 970003978B1 KR 1019940032286 A KR1019940032286 A KR 1019940032286A KR 19940032286 A KR19940032286 A KR 19940032286A KR 970003978 B1 KR970003978 B1 KR 970003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tation
station
portable terminal
fix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2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0113A (ko
Inventor
곽재봉
Original Assignee
대우통신 주식회사
박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통신 주식회사, 박성규 filed Critical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32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978B1/ko
Publication of KR960020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0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9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고정국 접속방법
제1도는 덱트(DECT)방식을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개략도이고,
제2도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국 접속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무선 전화망시스템에 있어서 덱트(DECT; Digital European Codeless communicaTion, 이하 덱트라 함)방식을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고정국이 동일한 신호레벨로 수신될 때 휴대용 단말기와 고정국간의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고정국 접속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화망시스템은 고정국(또는 기지국, 이하 고정국이라 함)과 휴대용 단말기(또는 휴대폰이라 함)간의 네트워크를 무선으로 형성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다. 디지탈 형태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덱트(DECT)방식을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는 이러한 무선 전화망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휴대폰의 일종의 유럽의 개인휴대통신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텍트방식의 휴대용 단말기는 전원이 온된 후, 가장 인접한 곳에 위치한 고정국과의 접속을 시도한다. 접속시도는 수개의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레벨을 체크하고, 체크결과 가장 강한 수신레벨을 갖는 고정국이 가장 인접한 곳에 위치하는 고정국으로 판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동일한 수신레벨을 갖는 고정국이 다수개 존재하면서 고정국과의 접속알고리즘이 동일한 단말기가 동일한 영역내에 존재하게 될때, 하나의 고정국으로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10개의 고정국중 3개의 고정국이 동일한 수신레벨을 갖는 경우, 3개중 어느 한 고정국과 접속을 시도하게 되는데, 이때 동일한 접속알고리즘을 갖는 2개의 단말기가 동일한 영역에서 동시에 접속을 시도하고자 한다면 서로 동일한 고정국과 접속시도를 하게 된다. 즉, 접속이 가능한 3개의 고정국의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상술한 2개의 단말기가 1개의 동일한 고정국과 접속을 시도함으로써, 채널을 균등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전화망시스템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수신레벨을 가는 고정국이 다수 존재시 접속을 시도하는 다수의 단말기들이 사용하는 무선채널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휴대용 단말기와 고정국간의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고정국 접속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고정국과 휴대용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전화망시스템의 휴대용 단말기의 고정국 접속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가 대기모드상태에서 가장 인접한 고정국을 검색하는 검색과정; 검색과정에서 수신강도가 동일한 고정국이 적어도 2개이상인 경우, 검색된 고정국의 수와 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이용한 난수를 발생하는 난수발생과정; 난수발생과정에서 발생된 난수에 해당되는 고정국을 선택하는 고정국 선택과정; 선택된 고정국에 등록하는 등록과정; 등록이 완료되면, 페이징 신호와 운용자의 접속요구신호중 어느 한 신호에 의해 통화로 접속 및 해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무선 전화망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덱트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의 개략도로서, 단말기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01), 운용자의 제어명령을 인가하기 위한 키데이타입력부(102), 단말기의 전기능을 제어하고 특히 고정국과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부(103), 운용자의 음성신호를 전기적인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마이크로폰(106), 중앙처리부(103)에 의해 제어되어 마이크로폰(106)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덱트규격에서 사용하는 ADPCM(ADaptive Pulse Code Modulation)데이터로 변경하도록 부호화 신호처리를 하는 부호화신호 처리부(105), 중앙처리부(103)에 의해 제어되어 수시된 부호화된 음성신호를 PCM 데이터로 변환하고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도록 복호화 신호처리를 하는 복호화 신호 처리부(108), 복호화 신호 처리부(108)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단말기 운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음성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07), EEPROM(Electrically Erasable ROM)과 롬 및 램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단말기의 각종 동작을 위한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04), 1.8GHz의 고주파신호 발생과 발생된 고주파신호와 ADPCM으로 부호화된 음성신호 합성 및 합성된 신호의 증폭등 송신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송신처리부(109), 수신된 신호에 대한 저잡음 증폭과 중간주파수 변환처리 및 중간주파수로부터 송신된 원래의 신호를 뽑아내는 등 수신처리를 수행하는 수신처리부(110), 송신처리부(109)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대기중에 전파하고 대기중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수신처리부(110)로 출력하기 위한 안테나(111)로 구성된다.
제2도는 제1도와 같이 구성된 덱트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본 발명에 따라 고정국과 접속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그러면 제1도 및 제2도를 결부시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201단계에서 단말기 운용자에 의해 단말기의 전원이 온상태가 되면, 전원공급부(101)는 중앙처리부(103)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에따라 중앙처리부(103)는 주변 처리회로에 전원공급을 제어하면서 제202단계로 진행되어 메모리(104)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기내의 각 하드웨어들에 대한 초기값을 읽고, 읽혀진 초기값을 이용하여 단말기내의 각각의 하드웨어를 초기화한다.
그 다음 제203단계로 진행되어 현대 단말기가 위치한 곳에서 접속이 가능한 고정국을 검색한다. 검색결과, 검색된 고정국이 1개인 경우에는 제204단계에서 제205단계로 진행되어 검색된 1개의 고정국에 접속가능한 고정국으로 설정한 뒤, 제206단계로 진행되어 설정된 고정국에 등록을 수행한다. 등록과정은 종래와 동일하게 수행된다. 등록수행이 완료되면, 고정국으로 부터의 페이징(PAGING)신호가 존재하는지 운용자로 부터의 접속요구신호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제207단계로 진행되어 페이징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페이징신호가 존재하면, 타 단말기로부터 접속이 요구되는 것으로, 제208단계로 진행되어 통화를 위한 통화로를 접속 및 해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화로 접속과정과 해제과정은 종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MAC, DLC(Data Link Control), NETWORK 계층순으로 통화로 접속처리를 하고 쌍방의 단말기중 어느 한 단말기의 접속단절에 의하여 NETWORK, DLC, MAC 계층순으로 통화로 해제처리를 한다.
이와 같은 통화처리가 종료되면, 제209단계로 진행되어 단말기 내부의 상태를 검사한다. 여기서 단말기 내부 검사는 주로 전원공급원으로 사용되는 배터리에 대한 이상유무를 체크하여 이상발생시에는 운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경고처리하거나 제203단계에서 수행되었던 것과 수신강도를 기준으로 인접한 고정국을 선택하는 등과 같이 단말기의 내부상태를 검사한다. 단말기의 내부상태에 대한 검사가 완료되면, 제210단계로 진행되어 단말기의 전원이 온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지를 체크한다. 이때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모든 동작을 종료한다. 그러나 전원이 온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203단계로 귀환되어 반복처리를 한다.
그러나 제207단계에서 페이징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211단계로 진행되어 단말기 운용자에 의한 접속요구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접속요구 신호가 발생한 경우에는 제208단계로 귀환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통화를 위한 통화로 접속 및 해제과정을 진행한다. 반면에 제211단계에서 운용자에 의한 접속요구 제어명령이 인가되지 않았으면, 제209단계로 진행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내부의 상태를 검사한다.
한편, 제203단계에서 검색된 고정국이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제204단계에서 제212단계로 진행되어 검색된 고정국이 동일한 수신강도를 갖는 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동일한 수신강도를 갖지 않을 경우에는 제213단계로 진행되어 가장 수신강도가 강한 고정국을 선택한 뒤 제206단계로 진행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그러나 제212단계에서 검색된 고정국으로부터 수신된 강도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214단계로 진행되어 검색된 고정국의 수를 MOD(MOdular number)값으로 설정한 뒤 제215단계로 진행된다. 여기서 검색된 고정국으로부터 수신된 강도는 가장 강한 수신강도를 갖는 것으로 동일한 수신강도를 갖는 것이다. 제215단계에서는 단말기의 고유번호(PMID;Portable port Mac IDentity)를 메모리(104)로부터 읽어 초기값으로 설정한 다음 제216단계로 진행되어 제214,215단계에서 설정된 값을 초기값과 MOD값을 이용하여 난수를 발생한다. 즉, {초기값, MOD값}에 의한 난수를 기존의 난수발생 알고리즘 처리를 통해 발생한다. 그리고 제217단계로 진행되어 발생된 난수와 동일 수신 강도를 갖는 고정국을 1:1로 대칭시켜 고정국 및 난수의 값을 낮은 것부터 서로 일치시킴) 그 난수에 해당되는 고정국을 선택한다. 즉, 고정국의 선택은 동일한 수신강도를 갖는 고정국이 3개인 경우 MOD값이 3으로 설정되어 3번째 고정국을 선택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고정국이 선택되면, 제206단계로 진행되어 상술한 바와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전화망시스템에 있어서 동일한 알고리즘을 갖는 다수의 휴대용 단말기가 동일한 영역에서 고정국과의 접속시도시 동일한 수신강도를 갖는 고정국이 다수 존재하는 경우, 동일한 수신강도를 갖는 고정국의 수와 휴대용 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이용한 난수에 의하여 해당 고정국을 선택함으로써, 하나의 고정국으로 집중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고정국과 휴대용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전화망시스템의 휴대용 단말기의 고정국 접속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대기모드상태에서 가장 인접한 고정국을 검색하는 검색과정; 상기 검색과정에서 수신강도가 동일한 고정국이 적어도 2개 이상인 경우, 검색된 고정국의 수와 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이용한 난수를 발생하는 난수발생과정; 상기 난수발생과정에서 발생된 난수에 해당되는 고정국을 선택하는 제1고정국 선택과정; 선택된 고정국에 등록하는 등록과정; 등록이 완료되면, 페이징신호와 운용자의 접속요구신호 중 어느 한 신호에 의해 통화로 접속 및 해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고정국 접속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수신강도를 갖는 것으로 검출된 고정국의 수신강도는 상기 검색과정에서 검색된 고정국중 가장 강한 수신강도를 갖는 고정국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고정국 접속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국 접속방법은 상기 검색과정에서 동일한 수신강도를 갖는 고정국이 존재하지 않으면, 가장 강한 수신강도를 갖는 고정국을 선택하는 제2고정국 선택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고정국 접속방법.
KR1019940032286A 1994-11-30 1994-11-30 휴대용 단말기의 고정국 접속방법 KR970003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2286A KR970003978B1 (ko) 1994-11-30 1994-11-30 휴대용 단말기의 고정국 접속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2286A KR970003978B1 (ko) 1994-11-30 1994-11-30 휴대용 단말기의 고정국 접속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113A KR960020113A (ko) 1996-06-17
KR970003978B1 true KR970003978B1 (ko) 1997-03-24

Family

ID=19399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2286A KR970003978B1 (ko) 1994-11-30 1994-11-30 휴대용 단말기의 고정국 접속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9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7564B2 (en) 2005-11-28 2008-09-23 Hynix Semiconductor Inc. Method for forming storage node contact plug in semiconductor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7564B2 (en) 2005-11-28 2008-09-23 Hynix Semiconductor Inc. Method for forming storage node contact plug in semicondu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113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5613B1 (ko) 이동 무선전화기의 다이알링방법
CN1027611C (zh) 建立一条通信链路的方法和设备
EP0188322A2 (en) A total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apparatus for use in such a system
AU596775B2 (en) Method of connecting a cordless telephone by radio
EP0379332A2 (en) Cordless telephones
CN101505157A (zh) 用于双待机便携式终端中的阻抗匹配的设备及其方法
US6519476B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wherein insertion of an attachable external storage medium causes the mobile to interact with the system
KR20020046772A (ko) 통신망 정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 장치
KR97000186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데이터 제공방법
KR97000397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고정국 접속방법
US6603985B1 (en) Ringing tone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US6163703A (en) Method for registering portable unit in cordless telephone system by using both wire and wireless links
US5293419A (en) Simultaneous voice-call system for cordless telephone
KR01231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타임슬롯 접속방법
KR012196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타임슬롯 접속방법
KR015445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타임슬롯 접속방법
KR97000186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선택적 등록방법
KR100393603B1 (ko) 무선 헤드셋의 재다이얼 번호 안내 방법
KR100263173B1 (ko) 무선호출기를가지는디지탈무선전화기에서호출음제어방법
KR970001868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비상호출 자동발생방법 및 장치
JP2732365B2 (ja) 送信出力制御方式
US5870678A (en) Cordless telephone apparatus
KR100249673B1 (ko) 링소리를 이용한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
KR100291474B1 (ko) 차세대디지탈무선전화기에서등록모드에따른자동링크설정방법
KR100216238B1 (ko) 휴대용 통신기기의 서비스 모드 진입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