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343B1 - 붕사로 직조한 천과 자수를 놓은 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붕사로 직조한 천과 자수를 놓은 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343B1
KR930000343B1 KR1019850006527A KR850006527A KR930000343B1 KR 930000343 B1 KR930000343 B1 KR 930000343B1 KR 1019850006527 A KR1019850006527 A KR 1019850006527A KR 850006527 A KR850006527 A KR 850006527A KR 930000343 B1 KR930000343 B1 KR 930000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loth
embroidery
pattern
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6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311A (ko
Inventor
요시도시 이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기누따야
요시도시 이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기누따야, 요시도시 이또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기누따야
Publication of KR870002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7/00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Base fabrics specially adapted for embroidered work; Inserts for producing surface irregularities in embroidered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colou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tomatic Embroidering For 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붕사로 직조한 천과 자수를 놓은 천의 제조방법
도면은 본원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도는 피륙(천)의 사시도.
제2도는 천의 일면에 있어서의 무늬 모양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천의 다른면에 있어서의 무늬 모양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제2의 무늬 모양의 일부에 양면자수를 놓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5도는 제4도의 상태에 있어서의 다른면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6도 내지 제8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6도는 자투리천과 자수를 놓은 작업을 완료한 상태의 천과의 비교를 나타낸 도면.
제7도는 자수를 놓는 작업을 완료한 상태의 천의 확대도.
제8도는 의복의 전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9도는 내지 제11도는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9도는 천에 있어서 흠이 있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
제10도는 보충용의 천을 나타낸 도면.
제11도는 자수를 놓는 작업을 완료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12도는 무늬모양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붕사를 사용하여 직조한 천 2 : 무늬 모양
3 : 자수 모양
본 발명은 붕사(가스리무늬실)를 사용하여 직조된 천과 이와 같은 천에 자수를 놓은 천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길이방향에 따라서 무늬용의 농담(濃淡)을 갖는 붕사를 사용하여 직조한 천은 그의 일면과 다른면에 같은 무늬모양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이들의 어느면으로도 이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직조된 천으로부터 얻어지는 감각은 평면적이므로 입체감이 느껴지는 천의 출현이 요망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 요망에 부응코저 한 것으로서, 상기의 천으로부터 얻어지는 감각이 흔히 평면적인 감각으로 흐르기 쉬운 문제점을 해결하여 입체감이 넘치는 감각이 얻어지도록 한 천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와 같은 수단으로 강구한 것으로서, 그 작용은 다음과 같다.
길이방향에 따라서 무늬 모양용의 농담을 갖는 붕사를 사용하여 직조된 천은 그 양면에 같은 무늬모양이 현출한다. 또한, 이 천에 놓은 양면 자수도 양면에 같은 자수모양을 현출한다. 상기 천에 자수를 놓을 때 먼저 상기 천에 있어서 임의의 장소를 선택한다. 다음, 그 장소에 자수를 놓는다.
다음에 본원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의 실시예를 나타낸 제1도 내지 제5도에 있어서, (1)은 천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무늬용의 농담을 갖는 붕사로 직조되어 있다. 따라서 그의 일면과 다른면에는 제2도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칭으로서 동형의 무늬모양(2)(2')이 현출되어 있다. (3)(3')은 모양이 없는 부분을 나타내며, 이 부분도 같이 대칭으로 동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천으로서는 예를들면 오오시마쯔무기(大島紬)나 유기쯔무기(結城紬)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붕모양들이 직물원 단의 직조방법(예를들면 ″일본국의 오오시마의 원단″으로서 공지의 직조방법)은 공지하는 바와 같이 다음의 수법에 의하여 실시된다.
먼저 직물에 사용하기 위한 ″종사″, ″횡사″의 각각의 실을 미리 붕모양으로 염색한다(착색부와 비착색부가 교대로 되도록 염색한다). 다음에 상기의 각 붕모양으로 염색된 ″종사″와 ″횡사″를 사용하여 직조하면, 붕모양들의 직물원단(예를들면 제2도에 나타낸 원단)이 된다.
다음에 상기 천(1)을 사용하여 자수가 놓인 천을 제조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와 같은 천(1)을 준비한다. 이 천(1)으로서는 흠이 없는 천은 물론이거니와, 흠(4)(5)이 있는 천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흠(4)은 직조시의 실의 이완에 의하여 생긴 흠, 흠(5)은 직조후의 더럽힘에 의한 흠을 각각 나타낸다. 이와 같은 흠이 있는 천에 대해서는, 이들 흠(4)(5)이 존재하는 장소를 선택하여 이들 흠(4)(5)이 감춰지도록 그 흠이 있는 장소에 대하여 자수를 놓아서 제4도에 부호(6)로써 나타낸 바와 같이 자수모양을 형성한다. 이 자수모양(6)은 천(1)의 전체의 무늬 모양과의 조화가 양호하게되는 모양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자수로서는 공지의 양면자수나 선두(汕頭)자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의 자수의 경우, 흠(4)과 같은 작은 홈에 대하여는, 부호(7) (8)로 나타낸 바와 같은 가는 자수가 좋으며, 또한 흠(5)과 같이 큰 흠에 대하여는 부호(9)로 나타낸 바와 같이 넓은 면의 자수가 바람직하다. 물론 작은 흠에 대하여 넓은 면의 자수를 놓아도 무방함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상기 자수에 사용하는 실은 천이 얇을 경우, 천과의 조화를 고려하여 가급적으로 가는 실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양면 자수를 놓음으로써, 천(1)의 이면에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자수 모양(6)과 대칭으로서 동형의 자수모양(6')이 현출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형성된 자수 모양들의 천을 사용하여 의복을 만들때는 상기의 자수부분이 의복에 있어서 가장 적당한 곳에 오도록 공지와 같이 재단, 재봉하여 만든다.
이와 같이 만든 의복은 평면적인 무늬 모양(2)이외에 이 무늬 모양으로부터 융기하여 입체적으로 보이는 자수모양(6)이 현출해 있으므로 극히 호화로운 외관이 된다.
다음에 본원의 제2의 실시예를 도면 제6도 내지 제8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 예는 붕사를 사용하여 직조된 천중 흠이 있는 천으로서, 제품으로서는 길이가 부족한 천(자투리천)을 이용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6도에 있어서, (10)은 자투리천으로서, 그 길이 L1은 정길이 L0[예를들면 3장 3척(3丈 3尺)]보다 짧다. 이와 같은 천(10)을 사용하여 자수모양들의 천(11)을 형성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작업을 실시한다. 먼저 천(10)을 여러곳에서 절단하여 여기에 자수용 천(12)과 함께 천(10)과 천(12)을 일련으로 봉제한다. 그리고 상기 천(12)이 위치하여야 할 장소의 선정은 완성한 자수모양들의 천(11)을 재단, 봉재하여 제8도와 같은 의복(29)을 만들때를 고려하여 선정하면 된다. 즉, 의복(29)의 각 요소를 만들기 위하여 천(11)을 어떻게 재단할 것인가를 먼저 검토한다. 다음에 그 요소에 있어서 어디에 자수모양이 올 것인가를 검토한다. 그리하여 이 검토에 의하여 결정된 장소를 절단하여 여기에 천(12)을 곁들인다. 한편 천(12)의 색은 백색이외에 천(10)과 잘 조화되는 색이어도 무방하며, 천(10)의 무늬와 조화된 무늬를 갖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제7도와 제8도에 있어서, (15)는 완성된 천(11)을 재단할때의 재단위치, (16)은 어깨, (17)은 좌앞소매, (18)은 좌뒷소매, (19)는 우앞소매, (20)은 우뒷소매, (21)은 좌앞몸, (22)는 좌뒷몸, (23)은 우뒷몸, (24)은 우앞몸, (25)는 깃, (26)은 겉깃, (27)은 좌앞몸긴천, (28)은 우앞몸긴천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천(12)을 곁들이고 나서, 다음에 이 천(12)에 대하여 자수를 놓아 자수모양(13)을 형성한다. 이 자수의 경우 천(12)에 자수를 놓음은 물론, 천(10)과 천(12)의 연결부분에도 이것이 자수모양(13)에 의하여 감추어지도록 자수를 놓는다. (14)는 자수를 놓지않고 천(10)의 무늬모양만이 현출해 있는 부분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작업을 함으로써, 정길이의 자수모양들의 천(11)이 완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의 경우, 천(10)과 천(12)의 연결은 자수의 외곽에서 실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순서로서는 미리 자수를 놓은 천(12)을 천(10)의 절단위치에 곁들여서 이들을 연결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원의 제3의 실시예를 제9도 내지 제11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 예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무늬 용의 농담을 갖는 붕사로 직조된 천(30)에 있어서 큰 파손흠(31)이나 더럽힘에 의한 흠(32)이 있을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천(30)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흠(31)(32)이 있는 장소를 부호(33)으로 나타낸 범위로 절취한다. 그 형상은 형성하고자 하는 자수모양에 맞는 형상이 좋다. 한편 제1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절취부분(33)의 형상과 대응한 형상의 자수용의 천(34)을 준비한다. 다음에 이 천(34)을 천(30)의 절취부분(33)에 대고 거기에 일체로 봉합한다. 다음에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천(34)에 자수를 놓아 자수모양(35)을 형성한다. 이때 천(34)에 대한 천(30)의 봉합부분에도 자수를 놓아 봉합의 자수가 안보이도록 함이 좋다. 이로써 자수모양들의 천이 완성된다. 그리고 천(30)에 대한 천(34)의 봉합은 자수사에 의하여 천(34)에 자수모양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자수사에 의하여 봉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의 실시예와 같이 천(34)에 미리 자수하여 이 자수된 천을 천(30)에 봉합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와 같은 자수모양들의 천의 제조는 다음과 같이 할 수도 있다. 먼저 붕사를 사용하여 천을 직조할 때, 자수용의 장소(무색지나 자수용의 바탕지 모양이 나타나 있어도 무방하다)를 갖는 천을 직조한다. 그리고 이 장소의 색은 천의 무늬모양이나 놓고자하는 자수모양에 적합한 색으로 함이 좋다. 이어서 그자수용의 장소에 양면자수를 놓는다. 이로써 자수모양들의 천이 완성된다. 그리고 상기 자수를 놓는 장소는 붕사를 사용하여 직조된 천에 현출해 있는 무늬모양의 일부의 장소로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제12도와 같이 천(36)에 현출해 있는 풍경 무늬모양(37)에 있어서, ″집″모양의 장소(38)로 선택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여기에 놓는 자수(39)는 예를들면 상기 무늬모양(37)의 색채(일반적으로 차분한 색채)에 가까운 색채의 실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붕사를 사용하여 직조된 천이 일반적으로 갖는 차분한 미를 유지한 채로, 상기 자수장소로부터 느껴지는 입체감에 의하여 그 천의 시각적 느낌을 현저하게 호화롭게 할수 있다. 또한, 상기 자수의 색은 상기 무늬모양(37)의 색채와는 다른 화려한 색채로 하여도 무방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천의 차분한 미 가운데 한층더 뚜렷한 밝은 미를 느끼게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천은 보는이로 하여금 한층더 깊은 인상을 줄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무늬용의 농담을 갖는 붕사로 천이 직조되어 있다. 따라서 이 천의 일면과 다르면에는 각각 무늬가 현출함과 동시에 이 무늬는 천의 일면과 다른면 모두 동형이 된다. 그러므로 천을 그 일방, 타방 어느면에 있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예를들면 이 천을 사용하여 만든 의복의 겉쪽으로 되어 잇는 면이 햇빛에 바랬을 때에는, 그 의복을 다시 만들때 천을 뒤집어서 다시 만든다. 그렇게 하면 같은 무늬모양이 있는 반대측의 면이 겉으로 나온다. 이 면은 아빅 빛에 바래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그와 같이 다시 만든 의복은 새것과 같이 무늬가 선명하게 나타난 상태로 된다.
그밖에 상기 천은 직조된 것이므로 그 표면으로부터 얻어지는 시각적인 감각은 평면적인 것이다. 그러나 그 천의 일부에는 자수가 놓여 있으므로, 그 자수의 부분은 융기하여 입체감이 현출된다. 그와 같은 천은 외관이 극히 호화스럽게 보이는 특징이 있다.
다시 한 번 설명하면, 상기 붕사를 사용하여 적조된 천에 현출하는 무늬모양은 그와 같이 하여서 직조된 천이 아니면 표현할 수 없는 독특한 풍취를 갖는다. 이와 같이 천의 일부에 놓은 양면자수가 구현하는 입체감은 상기 무늬모양의 풍취와 융합하여 보는이에 대하여 상기 풍취를 주면서 동시에 그 보는이에게 입체적인 시각감도 준다. 그 결과, 보는이에게는 붕사를 사용하여 직조된 천의 무늬모양의 미나 단순한 자수모양의 미를 훨씬 능가하는 상기 풍취와 상기 입체감이 일체로 된 미감을 느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호화스럽게 하기 위하여 자수를 놓은 것이라도, 그 자수는 양면자수이므로 천의 일면은 물론 다른면에도 같은 자수모양이 현출한다. 따라서 상기 양면의 이용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는 붕사를 사용하여 직조된 천에 대하여 자수를 놓은 경우 그 천의 임의의 장소를 선택하여 자수를 놓는다. 따라서 그 천에 흠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흠이 존재하는 장소를 선택하여 자수를 놓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 결과, 상기 흠이 있는 천을 그와 같은 흠이 당초부터 없었던 것 같은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흠이 없는 천보다도 한층 호화스런 천으로 만들 수가 있다. 이는 흠이 생기 천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용자에게는 보다 좋은 제품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길이방향에 따라서 무늬용의 농담을 갖는 붕사를 사용하여 천이 직조되어 있고, 이 천의 일부의 장소에 있어서는 양면자수가 놓여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붕사로 직조된 천.
  2. 길이방향에 따라서 무늬용의 농담을 갖는 붕사를 사용하여 천을 직조하고, 이 천에 있어서 임의의 장소를 선택하고 그 장소에서 상기의 천에 양면자수를 놓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가 놓여진 천의 제조방법.
KR1019850006527A 1985-08-16 1985-09-06 붕사로 직조한 천과 자수를 놓은 천의 제조방법 KR9300003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0882/85 1985-08-16
JP60180882A JPS6241364A (ja) 1985-08-16 1985-08-16 絣糸で織成された布
JP180882 1985-08-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311A KR870002311A (ko) 1987-03-30
KR930000343B1 true KR930000343B1 (ko) 1993-01-16

Family

ID=16090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6527A KR930000343B1 (ko) 1985-08-16 1985-09-06 붕사로 직조한 천과 자수를 놓은 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S6241364A (ko)
KR (1) KR930000343B1 (ko)
CN (1) CN100578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835U (ko) 2017-03-24 2018-10-04 김영순 일회용 흡인카테터 포장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9763A (ja) * 1987-03-31 1988-10-17 伊藤 嘉敏 刺繍模様入りの、絣糸で織成された布の製造方法
JPH085825Y2 (ja) * 1993-04-30 1996-02-21 株式会社盛美堂 電報用ホルダ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8622U (ko) * 1971-08-09 1973-04-07
JPS4828621U (ko) * 1971-08-09 1973-04-0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835U (ko) 2017-03-24 2018-10-04 김영순 일회용 흡인카테터 포장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85107508A (zh) 1987-03-04
JPS6241364A (ja) 1987-02-23
KR870002311A (ko) 1987-03-30
JPH0447065B2 (ko) 1992-07-31
CN1005781B (zh) 198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1760A (en) Double-embroidered lace
US5974997A (en) Clothing article having a trimmed appliqu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4038840A (en) Method of collar fabrication
JPH02229259A (ja) 刺しゅう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930000343B1 (ko) 붕사로 직조한 천과 자수를 놓은 천의 제조방법
US6101962A (en) Machine shadow embroidery and method
CN100494549C (zh) 一种蜡染绣及其制作工艺
US3226732A (en) Applique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4516609A (en) Cross stitch ribbon
RU2164569C1 (ru) Способ вышивания изделий
KR101595947B1 (ko) 아플리케 타입 포의 제조방법 및 그 포
JPS63249763A (ja) 刺繍模様入りの、絣糸で織成された布の製造方法
JPH0726313B2 (ja) 絣糸で織成された布の修正方法
O'neale Peruvian" Needleknitting."
CN107916510B (zh) 缝份添加欧根纱的缝制方法以及缝份和衣物
Dahrén From narrow four-strand plaits to openwork bobbin-made braids and edgings
KR200235990Y1 (ko) 자수 모피옷
JP3003417U (ja) 刺繍布帛
JP3047033U (ja) 刺繍構造
Root Hawaiian Quilting: Instructions and Full-Size Patterns for 20 Blocks
JPS59137013A (ja) 装飾体付き敷物の製造方法
JP3084103U (ja) カーテン
JPH06235106A (ja) パッチワークによる薄物生地の製法
JP3067946U (ja) マフラ―
JPH023266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1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