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290Y1 - 승강기 와이어로프의 과도신장시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 와이어로프의 과도신장시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290Y1
KR930000290Y1 KR2019880019036U KR880019036U KR930000290Y1 KR 930000290 Y1 KR930000290 Y1 KR 930000290Y1 KR 2019880019036 U KR2019880019036 U KR 2019880019036U KR 880019036 U KR880019036 U KR 880019036U KR 930000290 Y1 KR930000290 Y1 KR 9300002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wire rope
cage
guide
limi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90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환
Original Assignee
금성기전 주식회사
홍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기전 주식회사, 홍종선 filed Critical 금성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90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2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2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290Y1/ko

Link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승강기 와이어로프의 과도신장시 안전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승강기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장치중 리미트스위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균형추 및 완충기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B부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안전장치 회로도.
제6도는 안전회로부의 동작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지 2 : 균형추
2a : 가이드슈 3 : 권상기
4 : 와이어포프 5 : 가이드레일
6 : 브래키트 6a : 절곡부
7 : 리미트스위치 7a : 레버
8 : 고정클립 11 : 안전회로부
CP1 : 비교기 Q1 : 트랜지스터
RY1 : 릴레이
본 고안은 승강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강기의 와이어로프가 과도하게 신장되었을때 이를 감지 할수 있도록 하여 안정성을 더욱 높이기 위한 승강기 와이어로프의 과도신장시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승강기는 이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인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서로 상대적인 승강동작을 하는 케이지(1) 및 균형추(2)가 와이어로프(4)로 연결되어 권상기(3)에 의해 구동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권상기(3)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하게 되면 케이지(1)는 상승 및 하강하고, 균형추(2)는 상기 케이지(1)와 반대로 하강 및 상승하며, 이와같이 승강기가 동작할때 승강기에 설치되어 있는 여러 안전장치가 동작하여 승강기의 안정성을 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승강기에 있어서 와이어 로프가 과도하게 신장되어 절단될 위험성이 있어도 점검시까지 방치되어 운행될 뿐아니라 점검시도 와이어로프의 신장정도를 눈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승강기의 안정성에 완전을 기하기가 어려웠다.
이러한 결점을 없애기 위해 본 고안은 와이어로프의 과도신장시 이를 검출하여 승강기의 운행을 중지시킴으로써 승강기의 안정성이 높아지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미트스위치의 설치상태를 보이 균형추 및 완충기의 정면도인 제2도, 이의 A-A선 단면도인 제3도 및 제2도의 B부 측면도인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균형추(2)의 양측에 고정된 가이드슈(2a)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양측 가이드레일(5)에 삽입되어 케이지의 승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균형추(2)가 상기 가이드레일(5)을 따라 승강되게한 상기 균형추(2)가 상기 가이드레일(5)을 따라 승강되게한 일반적인 승강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5)의 하부 일정부위에 절곡부(6a)를 갖춘 브래키트(6)를 고정클립(8)으로 고정하고, 이 브래키트(6)의 절곡부(6a) 내측면에, 와이어로프(4)의 과도신장시 레버(7a)가 상기 가이드슈(2a)의 저면과 접촉되게, 리미트스위치(7)를 설치함과 아울러 제5도의 회로도에 도시한 것처럼 전원단자(B+)를 상기 리미트스위치(7)를 통해 반저입력단자에 기준전압(Verf)이 인가되는 비교기(CP1)의 비반전입력단자측에 접속하고, 이의 출력 단자를 저항(R3)를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측에 접속하며, 이의 콜렉터를 릴레이 (RY1)를 통해 안전회로부(11)의 전원단자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9는 충돌핀이고, 10은 완충기이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승강기가 정상적으로 운행되고 와이어로프(4)가 과도하게 신장되지 않았을때는 케이지가 최상층으로 상승하여 균형추(2)가 가이드레일(5)을 따라 하강하여도 이의 가이드슈(2a)가 리미트스위치(7)의 레버(7a)와 접촉되지 않으므로 리미트스위치(7)의 단락상태가 유지되어 전원단자(B+)의 전압이 리미트스위치(7)를 통해 비교기(C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이때 비교기(CP1)의 출력단자로부터 고전위신호가 출력되고, 이 고전위신호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이가 온되며, 이의 콜렉터로부터 저전위신호가 출력되어 릴레이(RY1)가 구동되지 않으므로 안전회로부(11)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승강기가 정상적으로 운행되고, 와이어로프(4)가 과도하게 신장되지 않았을때는 본 고안의 안전장치는 작동하지 않는다.
이후에 와이어로프(4)가 과도하게 신장되거나 종점스위치가 고장나서 케이지가 최상층을 통과할 경우, 균형추(2)가 적정높이 이하로 하강되기 때문에 가이드슈(2a)가 리미트스위치(7)의 레버(7a)와 접촉하여 리미트스 위치(7)가 개방된다. 그러므로 비교기(C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던 전원단자(B+)의 전압이 차단되며, 비요기(CP1)의 출력단자로부터 저전위신호가 출력되고, 이 저전위신호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이가 오프된다.
이때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로부터 고전위신호가 출력되어 릴레이(RY1)가 구동됨에 따라 안전회로부(11)에 전원이 공급된다.
이와같이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안전회로부(11)가 동작하여 승강기의 운행이 중단된다. 즉, 안전회로부(11)의 동작흐름도인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케이지가 강구에 도착하였을때는 곧바로 권상기의 구동이 정지되고, 케이지의 문이 열리며 승강기의 운행이 중단됨과 아울러 조작반의 '운행불가'표시램프가 점등된다. 또, 케이지가 승강구에 도착하지 않았을때는 케이지가 하강되어 아래층 승강구에 도착되며, 케이지의 문이 열리고, 승강기의 운행이 중지되는 동시에 조작반의 '운행불가'표시램프가 점등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과 같이 본 고안은 와이어로프의 과도신장을 검출하여 승강기의 운행을 중지시킬 뿐아니라, 종점스위치가 고장났을때 케이지가 최상층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승강기의 안전성을 더욱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균형추(2)의 양측에 고정된 가이드슈(2a)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양측 가이드레일(5)에 삽입되어 케이지의 승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균형추(2)가 상기 가이드레일(5)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기에 있어서, 상기가이드레일(5)의 하부 일정부위에 절곡부(6a)를 갖춘 브래키트(6)를 고정클립(8)으로 고정하고, 이 브래키트(6)의 절곡부(6a) 내측면에 와이어로프(4)의 과도신장 및 종점스위치 고장시 레버(7a)가 상기 가이드슈(2a)의 저면에 접촉되는, 리미트스위치(7)를 설치하여 상기 가이드슈(2a)의 저면이 상기 리미트스위치(7)의 레버(7a)와 접촉될때 케이지가 승강구에 도착되면 이 케이지의 문이 열리며, 승강기 운행이 중지됨과 아울러, 조작반의 '운행불가' 표시램프가 점등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와이어로프의 과도신장시 안전장치.
KR2019880019036U 1988-11-24 1988-11-24 승강기 와이어로프의 과도신장시 안전장치 KR9300002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9036U KR930000290Y1 (ko) 1988-11-24 1988-11-24 승강기 와이어로프의 과도신장시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9036U KR930000290Y1 (ko) 1988-11-24 1988-11-24 승강기 와이어로프의 과도신장시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290Y1 true KR930000290Y1 (ko) 1993-01-25

Family

ID=19281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9036U KR930000290Y1 (ko) 1988-11-24 1988-11-24 승강기 와이어로프의 과도신장시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2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5015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FI107249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hissin kuorman mittaamiseksi
KR860008930A (ko) 견인 엘리베이터 시스템
KR930000290Y1 (ko) 승강기 와이어로프의 과도신장시 안전장치
US6962089B2 (en) Device for monitoring cables of a lift
KR102514836B1 (ko) 무대설비 승강시스템
JPH10120327A (ja) エレベータのガバナロープの異常検出装置
JPS6016610Y2 (ja) エレベ−タの安全装置
CN111196535B (zh) 电梯装置及通过电梯控制系统监视电梯装置的方法
CN209740466U (zh) 一种吊笼笼顶停机机构及施工升降机
CN210480559U (zh) 一种扶梯扶手带防夹手装置
CN115028035A (zh) 配重监测装置
JP2001294380A (ja) エレベータ配線ケーブル異常検出装置
KR0117724Y1 (ko) 수직순환식 주차설비의 체인처짐 감지장치
KR900000683Y1 (ko) 에스컬레이터의 구동 안전 장치
JPS6443481A (en) Controller for elevator
US20240067495A1 (en) Safety device for an elevator
EP1663837A1 (en) Elevator safety gear arrangement
CN212882271U (zh) 一种自动提升料斗混合机
KR920007689Y1 (ko) 에스컬레이터의 콤 파손 방지장치
SU925833A1 (ru) Четырехканатна балансирна канатна подвеска лифта
JPH09194162A (ja) つり合おもり衝突防止装置
KR880004393Y1 (ko) 엘리베이터의 가버너 로우프 균형유지장치
KR940008471Y1 (ko) 아파트 곤돌라의 안정회로
CN114933222A (zh) 一种应对电梯滞留工况的补偿链导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2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