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130Y1 - 축받이 구조 - Google Patents

축받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130Y1
KR930000130Y1 KR9216817U KR920016817U KR930000130Y1 KR 930000130 Y1 KR930000130 Y1 KR 930000130Y1 KR 9216817 U KR9216817 U KR 9216817U KR 920016817 U KR920016817 U KR 920016817U KR 930000130 Y1 KR930000130 Y1 KR 9300001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hole
rotating shaft
circumferential surface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16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끼 사또오
Original Assignee
요꼬야마 유우이찌
가부시끼가이샤 세이꼬오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8136904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2986Y2/ja
Application filed by 요꼬야마 유우이찌, 가부시끼가이샤 세이꼬오샤 filed Critical 요꼬야마 유우이찌
Priority to KR92168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1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1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1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2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9/00Character- or line-spac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5/00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adjustable for wear or play
    • F16C25/02Sliding-contact bearings
    • F16C25/04Sliding-contact bearings self-adju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축받이 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일부 절결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회전축 3 : 축받이
3b : 외주면(테이퍼면) 4 : 지지부재
5 : 관통구멍 5a : 내주면(테이퍼면)
8 : 가압부재 9 : 규제수단
본 고안은 축받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의 축받이 구조는 예컨대 회전축을 회전자유로이 축받이하는 데는 우선 회전축을 부쉬에 회전 자유로이 끼워맞추고, 이 부쉬를 지지부재에 설치한 관통구멍(透孔)에 끼워맞추고 있다
지지부재의 관통구멍의 내주면과 부쉬의 외주면과는 모두 원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양자가 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원주면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부쉬를 밀착 끼워맞춤하여 축받이하는 구성에서는 관통구멍과 부쉬와의 제조에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고, 만일 양자의 끼워맞춤에 흔들림이 있으면 회전축을 소정위치에 정확하게 축받이하여 유지할 수가 없게 된다.
이 사실은 예컨대 프린터에 있어서의 플래튼의 회전축과 인자(印字)헤드의 가이드 축을 축받이할 경우에는 양축의 평행도가 나오지 않거나, 혹은 불안정하게 되어 고품질의 인자가 얻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높은 정밀도를 요구받지 않고 관통구멍과 축받이가 꼭 끼워맞춤하는 축받이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축받이 구조는 회전축이 끼워 맞춤하는 축받이와, 이 축받이가 끼워 맞춤하는 관통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지지부재를 가지고 축받이의 외주면은 축방향으로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관통구멍의 내주면은 축받이의 외주면에 대접(待接)가능한 테이퍼면에 형성하고 있으며, 회전축에는 축받이의 외주면과 관통구멍의 내주면이 대접하는 방향으로 축받이를 가압하는 가압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축받이와 지지부재에는 서로 걸어맞춤하여 축받이의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래튼(1)의 회전축(2)은 축받이(3)를 통하여 지지부재(4)에 의해 축받이되어 있다.
회전축(2)은 축받이(3)의 축받이 구멍(3a)에 회전자재로 끼워맞춤되고 있다.
축받이(3)의 외주면(3b)은 원추형의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고, 이 예에서는 플래튼 측이 소경이 되도록 형성되고 있다. 지지부재(4)는 축받이(3)가 끼워 맞춤하는 관통구멍(5)이 설치되어 있고, 관통구멍(5)의 내주면(5a)은 축받이(3)의 외주면(3b)의 테이퍼면에 대접가능한 테이퍼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예에서는 지지부재(4)의 외측면쪽이 대경이고 내측면쪽이 소경으로 되어 있다.
회전축(2)의 지지부재(4)로 부터의 돌출부에는 고정부재로서 기어(6)가 상대적으로 회전불가능하게 끼워맞춤되어 있고, E링(7)에 의해 그 축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져 있다. 기어(6)의 보스부(6a)와 축받이(3)와의 사이에는 가압부재인 코일스프링(8)이 압축상태로 끼워설치되어 있다.
이 코일스프링(8)에 의해 축받이(3)의 테이퍼면인 외주면(3b)과, 관통구멍 (5)의 테이퍼면인 내주면(5a)이 대접하는 방향으로 축받이(3)를 가압하고 있다.
제2도는 축받이 부분의 외측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지지부재(4)에는 그 상단면(4a)에서 관통구멍(5)에 인도하는 경사진 절결부(4b)가 설치되어 있고, 회전축(2)은 이 절결부(4b)를 통과하여 관통구멍(5)에 도달가능하다.
축받이(3)에는 절결부(4b)에 걸어맞춤가능한 돌기부(3c)가 설치되어 있으며 축받이(3)가 회전축(2)과 관통구멍(5)과의 간극에 가압부재(8)의 가압력에 의해 밀착된 상태일 때에는 돌기부(3c)와 절결부(4b)가 걸어맞춤 하여 축받이(3)의 회전멈춤이 되기 때문에 돌기부(3c)와 절결부(4b)에 의해 축받이(3)의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수단(9)을 구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축(2)을 지지부재(4)로 축받이 할 때는 가압부재(8)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축받이(3)를 제1도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두고, 이 상태를 유지하여 회전축(2)을 절결부(4b)에 통과시켜 관통구멍(5)내에 위치시킨다.
그 후에 축받이(3)를 해방하면 축받이(3)는 가압부재(8)의 가압력에 의해 관통구멍(5)에 끼워맞춤하고, 그 테이퍼면(3b)과 테이퍼면(5a)이 밀착하여 회전축(2)의 축받이가 완료된다. 이와 동시에 돌기부(3c)와 절결부(4b)가 서로 걸어맞춤하고, 축받이(3)의 회전이 규제된다.
또 기어(6)는 가압부재(8)에 의해 반회전 방향의 부하가 주어져 있으므로 기어(6)의 백래쉬가 방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축받이 기구는 축받이의 외주면에 테이퍼면과 관통구멍의 내주면의 테이퍼면을 밀착시키기 때문에 높은 가공 정밀도를 요구하는 일없이 충분한 밀착상태가 얻어지고, 흔들림이 없이 안정되게 회전축을 축받이 할 수 있다.

Claims (3)

  1. 회전축이 끼워맞춤하는 축받이와, 이 축받이가 끼워맞춤하는 관통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지지부재를 가지고, 상기 축받이의 외주면은 원추상의 테이퍼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구멍의 내주면은 상기 축받이의 외주면에 대접가능한 테이퍼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받이는 그 외주면이 상기 관통구멍의 상기 내주면에 맞닿는 방향으로 가압부재를 통하여 탄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와 상기 지지부재에는 서로 걸어맞춤하여 상기 축받이의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고착되어 있는 고정부재와, 상기축받이와의사이에 압축상태로 삽입되어 있는 가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 구조.
KR9216817U 1988-10-20 1992-09-04 축받이 구조 KR9300001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16817U KR930000130Y1 (ko) 1988-10-20 1992-09-04 축받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136904(U) 1988-10-20
JP1988136904U JPH0732986Y2 (ja) 1988-10-20 1988-10-20 印字装置におけるプラテンの軸受構造
KR1019890014518 1989-10-10
KR9216817U KR930000130Y1 (ko) 1988-10-20 1992-09-04 축받이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4518 Division 1988-10-20 1989-10-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130Y1 true KR930000130Y1 (ko) 1993-01-09

Family

ID=27317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16817U KR930000130Y1 (ko) 1988-10-20 1992-09-04 축받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1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607A (ko) * 2000-08-10 2002-02-21 김문수 신발끈 조절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607A (ko) * 2000-08-10 2002-02-21 김문수 신발끈 조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8448A (en) Rack and pinion steering device
US5015104A (en) Shaft bearing structure
US4252059A (en) Bearing assembly for a cylinder in a printing press
KR930000130Y1 (ko) 축받이 구조
JP3610158B2 (ja) テープリール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テープカートリッジ
DE2902544C2 (de) Aufnahmevorrichtung für Typenscheiben in Schreib oder ähnlichen Büromaschinen
KR910005708Y1 (ko) 낚시용 릴
US4623139A (en) Paper transporting mechanism of a printer
US4732500A (en) Drive mechanism including floating pressure ring for ink ribbon cassette
KR200152797Y1 (ko) 낚시용 릴의 제동장치
US3186656A (en) Preloaded ball bearing casting reel
KR930002455B1 (ko) 프린터의 용지이송기구
JP2003236278A (ja) 糸調子装置
KR920006492B1 (ko) 축의 지지구조
JPS61103053A (ja) 送りねじ装置
JPH0120130Y2 (ko)
JPH045627B2 (ko)
JPH01195073A (ja) 紙送り装置
JPH0582555U (ja) ロール紙ホルダ
JPH049473Y2 (ko)
JPS5852128Y2 (ja) 間隙調整装置
JPH0545843Y2 (ko)
JPS6297761U (ko)
JPS6131768Y2 (ko)
JPS613711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4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