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1015B1 - 타구용 운동구 - Google Patents

타구용 운동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1015B1
KR920011015B1 KR1019880001531A KR880001531A KR920011015B1 KR 920011015 B1 KR920011015 B1 KR 920011015B1 KR 1019880001531 A KR1019880001531 A KR 1019880001531A KR 880001531 A KR880001531 A KR 880001531A KR 920011015 B1 KR920011015 B1 KR 920011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
ball
hitting
shee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1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797A (ko
Inventor
모또야스 나까니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큐우빅 엔지니아링구
모또야스 나까니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7030114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8592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04704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1886Y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큐우빅 엔지니아링구, 모또야스 나까니시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큐우빅 엔지니아링구
Publication of KR880010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1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08Handl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63B49/08Frames with special construction of th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4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50Substantially rod-shaped bat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54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with means for dampin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0Handles with means for indicating correct holding 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3/00Amusement devices: games
    • Y10S273/29Silic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타구용 운동구
제1도는 본 발명 타구용 운동구로서의 골프채의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 운동구의 다른 실시예로 하여 나타낸 테니스 라케트의 정면도로서의 손잡이부의 외피층을 일부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제2도에 나타낸 외피층에 사용하는 겔 충전 시이트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 타구용 운동구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나타낸 테니스 라케트의 일부를 절결한 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 타구용 운동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의 일부를 절결한 정면도.
제6도는 본 발명 타구용 운동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의 종단면도이다.0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골프채 (Golf club) 11 : 골프채의 헤드(Head)
12 : 축 13 : 손잡이 (Grip)
20,40,60 : 완충부 21,61 : 완충층
30,50 : 테니스 라케트 31,53 : 손잡이부
32,52 : 자루부 33 : 타구부
41 : 겔(Gel)충전시이트 42 : 외피시이트(Seat)
50′ : 속이 빈 골재 50″ : 속이 찬 골재
51 : 프레임 331 : 네트
410 : 겔형상의 물질 411 : 겔충전셀(Cell)부
412 : 시이트 형성의 기본체 413 : 구획진 홈면
501 : 비어 있는 부분 502 : 골재의 심(芯)
511 : 네트 531 : 외피층
611 : 겔형상의 물질 612 : 속이 빈 구형체
613 : 피복층
본 발명은, 골프채나 테니스 라케트 또는 야구용 배트등과 같이, 공을 때리는 경기에 사용자는 타구용 운동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운동구는, 타구부와 손잡이부가 일체적으로 연결접속되어 있어서, 타구부로 날라오는 공이나 정지한 공을 강하게 때리기 때문에, 손잡이 부를 쥐고있는 손바닥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커서 때때로 손이나 팔뚝에 충격을 주어 손상을 입힌다.
특히, 공을 때릴 때에 있어서, 공의 중심을 정확하게 때리지 않으면, 충격파가 공진하고 이것이 커져서 손바닥에 전해지므로, 손이나 팔뚝을 손상시키는 위험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운동구중, 테니스 라케트나 골프채등에는, 중량을 가볍게 하기 위하여 손잡이부의 속이 비어 있는 상태로 제작되고 있는 것이 있지만, 이러한 형식의 것은, 타구부에 발생한 충격파가 진동하므로서 장시간 지속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손잡이부나 타구부의 속을 차게 하면 운동구가 무거워져서 경쾌한 스윙(Swing)을 할 수가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타구부에 발생하는 타구시의 충격력을 타구부로부터 손잡이부에 도달되는 사이에 감쇠시킬 수 있는 타구용 운동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운동구는, 타구부와, 이 타구부에 연결된 자루부 및 손잡이부와, 상기 자루부 및 손잡이부 중 적어도 한쪽 부분에 완충부를 형성하여 이루는 타구용 운동구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에 형성된 침입도가 50 내지 200정도의 실리콘 겔 형상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1개의 완충층을 가지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부의 바깥면에 형성한 미끄럼 방지용의 외피층이 완충작용을 하는 타구용 운동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망형상의 네트를 유지하기 위한 타구부와, 이 타구부에 연결된 자루부 및 손잡이부와, 상기 자루부 및 손잡이부중 적어도 한쪽 부분에 완충부를 형성하여 이루는 타구용 운동구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되는 외피층인 완충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감아 붙인, 침입도가 50 내지 200정도의 실리콘 겔 형상의 물질을 봉입한 여러 개의 겔 충전 셀로 되는 실리콘 겔 충전 시이트와, 이 실리콘 겔 충전시이트위에 감아붙인, 보다 더 유연한 외피 시이트로 구성된다.
본 발명 운동구에 있어서는 타구부에 발생하는 충격파는 사용자의 손에 전달되기 전에 완충부에서 흡수되어 감쇠된다.
이 완충부는 침입도가 50 내지 200정도의 겔형상의 물질을 완충재로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충격파의 에너지는 겔형상의 물질을 변형시켜 일그러지게 하므로서 없어진다.
겔형상의 물질은 외부에서 충격력을 받으면 이 충격력을 비탄성적으로 변형하여 흡수하는 특성과 충격력을 전파하는 상태가 액체와 유사한 특성이 있으므로, 충격파 흡수시에 반발하는 탄력성은 실질적으로 무시할 수 있는 정도로 작음과 동시에 충격파가 즉시 겔형상의 물질 전체에 전달되어 넓은 영역에서 흡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운동구에 있어서는, 타구시의 충격파가 진동이 억제되면서 흡수됨과 동시에, 겔 형상의 물질의 완충층 전체에 의하여 급속히 흡수되므로 사용자의 손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유효하게 감소시키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 타구용 운동구의 1실시예로서의 골프채(10)를 나타내고 있다.
이 골프채(10)는 타구부인 골프채의 헤드(11)와, 자루부인 축(12) 및 손잡이부인 손잡이(Grip) (1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골프채의 헤드(11)로서 골프공을 타구하였을 때의 충격과는 축(12)을 통하여 손잡이(13)에 전달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완충부(20)가 골프채의 헤드(11)에 접촉하는 축(12)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완충부(20)는 침입도가 50 내지 200정도의 겔형상의 물질, 예를들면 실리콘 겔로서 이루어진 완충층(21)을 축(12)내에 고정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완충층(21)은, 축(12)내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이것에 실리콘 겔을 충전한 구성이어도 종고, 또한 실리콘 겔을 탄력성 있는 시이트(Seat)내에 충전하여 블록을 만들고, 이 블록을 축내에 고정한 구성이어도 좋다.
그리고, 여기에서 나타낸 침입도는 JIS K 2530-1976-(50g 하중)에 의하여 측정된 값이며, 겔형상의 물질의 충격파 흡수특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겔형상의 물질은 침입도가 50미만에서 경화하여 전파성이 떨어지며, 또한 침입도가 200을 초과하면 액상성(液狀性)이 높아져서 형상의 일그러짐에 의한 충격력의 흡수성이 나빠지므로 상기 값을 채택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 나타낸 골프채 (10)는 타구시에 발생한 충격파가 완충부(20)의 겔형상의 물질의 완충층(21)을 변형시켜 일그러지게 하고 여기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손잡이 (13)로부터 손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대폭적으로 감쇠시킬 수가 있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로서, 손잡이부(31)에 완충부(40)를 형성한 테니스 라케트(30)에 본 발명의 완충구조를 적용한 것이다.
이 테니스 라케트(30)는 손잡이부(31)에 연결되어 2쪽으로 나누어진 형상의 자루부(32)와, 이 자루부(32)에서 테형상으로 뻗어있는 타구부(33)를 가지고 있으며, 타구부(33)에는 망형상의 네트(331)가 팽팽하게 펼쳐진 타구면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손잡이부(31)에는, 완충부(40)가 외피층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 완충부(40)는 손잡이부(31)에 감겨진 겔 충전 시이트(41)의 바깥면에 감겨진 가죽 또는 표제등의 유연한 외피 시이트(42)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31)에는, 경우에 따라, 경질의 발포수지등이 접착되어 손잡이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에, 겔 충전 시이트(41)를 테이프 형상으로 가공하여 감아붙이도록 하였다.
겔 충전 시이트(41)에는, 시이트 면에서 돌출한 여러개의 겔 충전 셀부(41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셀내에 겔 형상의 물질 (410)이 충전되어 있다.
이 겔 형상의 물질로서는, 실리콘 겔이 소재로서의 안정성에서 매우 적합하고, 특히, JIS K 2530- 1976- (50g 하중)에 의하여 측정된 침입도가 50 내지 200정도의 실리콘 겔이나 이 실리콘 겔 중에 미소한 속이 빈 구형체를 혼입하여서 된 복합형 실리콘 겔이 충격, 방진(防振) 능력면에서도 특히 우수하다.
그리고, 이와같이 복합형 실리콘 겔은 1987년 8월 17일자 출원의 미국특허 출원 제 87,970호(일본국 특개소 61-268,756호 참조)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3도에서와 같은 구조의 라케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겔 충전 시이트(41)의 실시예로서 그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로서, 유연한 재료로 만들어진 시이크 형상의 기본체(412)와 이 기본체(412)와 이 기본체 (412)에 여러개를 나란하게 형성한 겔 충전셀부(411)로 구성되어 있다.
겔 충전(411)은 서로 독립하도록 선형상의 구획진 홈면(413)에서 구분됨과 동시에, 내부에는 겔 형상의 물질(410)을, 이 물질이 상기 겔 충전 셀부의 면을 불룩히 나오도록 충전되어 이루어진다. 겔 충전 셀부(411)은 대략 규칙적으로 빽빽하게 서 있는 상태로 밀집하여 형성되어 있고, 각 겔 충전셀부(411)내에는, 각각 미소량의 겔 형상의 물질이 안으로 집어넣어지는 상태로 충전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같은 겔 충전 시이트(41)는 1987년 7월 13일자 출원의 미국특허 출원 제 73,067호(일본국 특개소 62-161,513호, 일본국 특원소 62-21,254호 참조) 및 1987년 10월 8일자 출원의 미국 특허출원 제 105,562호(일본국 특개소 62-161-524호, 일본국 특원소 62-21,254호, 일본국 실원소 62-34,010호, 일본국 특원소 62-132,848호, 일본국 특개소 62-159-601호 참조)에 개시되어 있다. 앞에서 설명한 겔 충전 시이트(41)는 겔 충전셀부(411)의 높이가 시이트의 두께로 되므로, 단일의 두꺼운 판 형상의 겔 형상의 물질층으로도 비슷한 완충, 방진성능을 발휘한다. 이로 인하여, 겔 충전 시이트(41)를 손잡이부(31)에 감아붙인 타구용 운동구, 예를들면 실시예의 테니스 라케트를 사용하면, 겔 충전 시이트(41)가 손잡이부(31)와 손바닥과의 사이에서, 완충 또는 방진성능을 발휘하여 타구시의 충격을 분산하여 흡수하고, 팔꿈치 등에로의 부담을 완화한다.
또한, 충격의 공진도, 이것을 감쇠하여, 손바닥에로의 전달을 억제한다.
또한, 겔 충전셀부(411)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셀부 자체의 굴곡이나 눌림에 의한 변형을 어느정도 허여 하는 것이어서, 겔 충전 시이트(41)를 쥘 때에, 손바닥의 오목 볼록한 부분에 잘 길들여져서, 손으로 쥐기가 쉽고, 또한 적절한 변형의 자유도가 있기 때문에, 공을 때릴 때에 손목의 비틀림도 완화된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 겔 충전시이트(41)위에 외피시이트(42)가 감아 붙여진 것으로서, 이들 셀부(411)의 변형의 정도나 자유도가 정도에 지나치지 않는 가장 적합한 상태에서 조정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이 실시예의 타구용 운동구는, 손잡이부(31)에 겔 충전 시이트(41)를 감아붙이고, 이 겔 충전 시이트(41)는, 여러 개가 나란하게 형성된 겔 충전 셀부(411)를 가지고, 이 겔 충전 셀부(411)는 서로 독립하도록 선형상의 구획진 홈면(413)에서 구분됨과 동시에, 내부에는 겔 형상의 물질(410)을 충전하고 있다. 나아가 이 물질이 상기 겔 충전셀부(411)의 유연한 면을 불록하게 나오도록 충전하여 된 것이기 때문에, 이 겔 충전셀부(411)를 완충층으로서 타구시의 충격을 분산하여 흡수한다.
또한 겔 형상의 물질은 각각 겔 충전 셀부(411)내의 일정한 장소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손잡이부(31)로서의 적절한 지지력으로 변형의 자유도를 얻을 수가 있고, 이것에 의하여 쥐는 기분이나 공을 때릴 때의 기분이 좋게 된다. 이어서, 제4도에는, 속이 빈 골재(50′)를 사용한 테니스 라케트(50)이 실시예로서 나타내어져 있다.
이와같은 종류의 속이 빈 골재(50′)를 사용한 테니스 라케트(50)는 가벼워서 사용하기 쉽지만, 반면에 타구시의 충격파가 진동으로서 장시간 남아있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테니스 라케트(50)의 타구부를 구성하는 테형상의 프레임 (51)과, 이 프레임 (51)과 연결된 자루부(52) 및 이 자루부(52)와 연속하여 접속되는 손잡이부(53)의 적어도 일부분에 완충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 (51)에는 타구면인 네트(511)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손잡이부(53)에는 외피층(5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외피층(531)으로서는 앞에서 설명한 제2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구성을 사용할 수가 있다. 상기 완충부(60)에는 완충층(6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완충층(61)은 침입도가 50 내지 200정도의 겔 형상의 물질(611)로 이루어져 있다. 겔 형상의 물질로서는 앞에서 설명한 실리콘 겔이 적합하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실리콘 겔을 속이 빈 프레임 (51)내에 주입한다거나, 또는 속이 빈 손잡이부(53)내에 여러 층으로 하여 완충층(61)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겔로서는 상기 복합형 실리콘 겔이 적합하고, 실시예에 있어서 겔 형상의 물질(611)내에는 여러 개의 미소한 속이 빈 구형체(612)가 혼입되어 있다. 상기 완충부(60)의 완충층(61)은, 프레임(51)의 꼭대기 부분이나 아래부분, 또는 자루부(52)나 손잡이부(53)에 겔 형상의 물질을 부분적으로 충전하여 형성하여도 좋고, 또는 프레임 (51)이나 자루부(52) 및 손잡이부(53)의 전체에 겔 형상의 물질을 충전하여 형성하여도 좋지만, 이와같이 하면 겔 형상의 물질은 중량이 중대됨과 동시에 겔 형상의 물질은 고가이므로, 완충충(61)을 크게할 때에는, 제4도의 손잡이부(53)에 나타낸 바와같이 골재(50′)의 안쪽벽에 겔 형상의 물질을 여러층으로 하여 완충층(6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층(61)은 반드시 속이 빈 골재내에 형성할 필요는 없고, 제4도와 같이 2쪽으로 나누어진 형상의 자루부(52)의 분기부분에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완충부(60)는, 제6도와 같이 속이 차 있는 골재(50″)내에 부분적으로 비어 있는 부분(501)을 형성하여, 이 비어 있는 부분에 완충층(61)을 배치하여 구성하여도 좋고, 이 경우에는 골재의 심(502)으로서 발포성 합성수지가 사용되고 있는 형식의 것도 양호하다.
상기 속이 빈 골재 또는 속이 찬 골재를 사용한 타구부, 자루부 및 손잡이부의 완충부(60)는, 제5도와 같이, 골재내부의 공간을 축의 횡단방향으로 전개되어 연장되도록 형성한 완충충(61)을 적어도 한개를 가지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상의 경우에 있어서 완충층(61)는 제5도와 같이, 겔 형상의 물질(611)을 피복층(613)에서 피복한 것을 사용하여 구성하여도 좋고, 이와같이하면 접착성 (테그(tag)성)이 강한 실리콘겔의 취급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겔 형상의 물질의 비탄성력의 변형에 의한 충격력의 흡수는, 겔 형상의 물질이 완전히 탄력성적으로 변형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는 아니고, 고무나 스프링과 같이 큰 탄력성적 변형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며, 따라서, 겔 형상의 물질에 반발하는 탄력성이 없다는 의미도 아니고, 고무나 스프링등의 탄력성체에 비교하여 반발하는 탄력성이 극히 작다는 것을 의미하며, 반발하는 탄력성이 0이라고 하는 것은 아니라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는 테니스 라케트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밖의 타구용 운동구, 예를들면 야구의 배트나 골프채등 각종의 운동구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만 아니고, 청구범위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변형 (Modify, Change)이 가능하다.

Claims (1)

  1. 망형상의 네트를 유지하기 위한 타구부와, 이 타구부에 연결된 자루부 및 손잡이부와, 상기 자루부 및 손잡이부 중 적어도 한 쪽 부분에 완충부를 형성하여 이루는 타구용 운동구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31)에 형성되는 외피층인 완충부(40)와, 상기 손잡이부(31)에 감아 붙인, 침입도가 50 내지 200정도의 실리콘 겔 형상의 물질(410)을 봉입한 여러 개의 겔 충전 셀(411)로 되는 실리콘 겔 충전 시이트(41)와, 이 실리콘 겔 충전시이트(41)위에 감아붙인, 보다 더 유연한 외피 시이트(42)로 구성되는 타구용 운동구.
KR1019880001531A 1987-03-02 1988-02-15 타구용 운동구 KR920011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30114 1987-03-02
JP87-30114 1987-03-02
JP1987030114U JPH0418592Y2 (ko) 1987-03-02 1987-03-02
JP?62-47049 1987-03-30
JP1987047049U JPH0511886Y2 (ko) 1987-03-30 1987-03-30
JP87-47049 1987-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797A KR880010797A (ko) 1988-10-24
KR920011015B1 true KR920011015B1 (ko) 1992-12-26

Family

ID=26368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1531A KR920011015B1 (ko) 1987-03-02 1988-02-15 타구용 운동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953861A (ko)
KR (1) KR9200110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4180A (en) * 1989-08-28 1994-05-24 Toray Industries, Inc. Sports instrument and impact-absorbing element to be attached to sports equipment
US5564202A (en) * 1990-05-24 1996-10-15 Hoppenstein; Reuben Hydropneumatic support system for footwear
US5178387A (en) * 1990-07-27 1993-01-12 Siegfried Kuebler Racket for ball games, in particular a tennis racket
US5165681A (en) * 1991-04-10 1992-11-24 Enger Terry W Pool hand bridge
IT1248079B (it) * 1991-06-19 1995-01-05 Maxima Spa Impugnatura antivibrazioni e antishock per racchetta da tennis o sports similari e relativo metodo di produzione.
TW286290B (ko) * 1992-07-16 1996-09-21 Minnesota Mining & Mfg
IT236825Y1 (it) * 1995-04-18 2000-08-17 Nuova Duegi Srl Nastro per il rivestimento di impugnature di articoli sportiviutensili e simili
US5634859A (en) * 1995-09-12 1997-06-03 Lisco, Inc. Grip with increased soft feel and tackiness with decreased torque
US6558270B2 (en) 1997-10-16 2003-05-06 Benjamin J. Kwitek Grip
US6447190B1 (en) 1998-10-16 2002-09-10 Benjamin J. Kwitek Viscoelastic grip for a writing implement
TW535622U (en) * 2001-07-31 2003-06-01 Velo Entpr Co Ltd Handle belt
DE10200745A1 (de) * 2002-01-10 2003-11-13 Ignatius Georg Racket zur Beaufschlagung von Tennisbällen und ähnlichen Spielkörpern
US20030213115A1 (en) * 2002-03-13 2003-11-20 Roland Knapton Dual layer handle
CN2592220Y (zh) * 2003-01-03 2003-12-17 维乐工业有限公司 握把带
US6968599B2 (en) * 2003-04-17 2005-11-29 Shedrain Corporation Pliable handle
US7234205B2 (en) * 2003-04-17 2007-06-26 Shedrain Corporation Pliable handle
US7377859B2 (en) * 2003-05-05 2008-05-27 Underscore Golf Llc Decorative grip and method for making
US7041000B1 (en) * 2004-02-12 2006-05-09 Accel Golf, Inc. Training golf club
US8302213B2 (en) * 2004-10-08 2012-11-06 Ig Holdings Llc Helmets and vests
US20080250729A1 (en) * 2007-04-12 2008-10-16 Matthew Kriesel Acoustical and energy absorbent flooring underlayment
US20090042676A1 (en) * 2007-08-06 2009-02-12 Matthew Kriesel Vibration Attenuating Ball Racquet
US20120329620A1 (en) * 2011-06-27 2012-12-27 Adam White Exercise apparatus
US20170056206A1 (en) * 2015-08-27 2017-03-02 Paul A. Glazer Systems and devices with force attenuating polymer gel
US20170136325A1 (en) * 2015-11-12 2017-05-18 Down Under Tennis, Inc. Sound absorbing game paddl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41851A (en) * 1944-12-23 1951-02-13 Gen Electric Process for making puttylike elastic plastic, siloxane derivative composition containing zinc hydroxide
US3028283A (en) * 1956-03-14 1962-04-03 Macgregor Sport Products Inc Method of making golf club grip
FR1398833A (fr) * 1964-03-31 1965-05-14 Amortisseur de vibrations pour raquettes de tennis ou jeux analogues
US3616158A (en) * 1968-09-09 1971-10-26 Louis C Rubens Cushion-packaging material
US3575764A (en) * 1969-03-03 1971-04-20 Hercules Inc Bonding fabrics
DE2106800A1 (de) * 1970-02-16 1971-09-02 Schnell, Erhard, Dr , Wächter, HeI mut, Dr , Innsbruck (Osterreich) Ballschlager, insbesondere Tennis schläger
US3762707A (en) * 1971-05-17 1973-10-02 S Santorelli Golf club with means within the shaft to rigidity the same upon impact
US3770033A (en) * 1971-12-10 1973-11-06 C Gavillet Molded handle for impact tools
US3941380A (en) * 1972-07-31 1976-03-02 Patentex S.A. Tennis rackets and similar implements with vibration damper
US3897058A (en) * 1974-03-22 1975-07-29 Alvin F Koch Athletic testing device
SE397175B (sv) * 1974-06-10 1977-10-24 Lunding Thorkild Stot-, ljud- och vibrationsabsorberande emballage- och isoleringsmaterial
US3993314A (en) * 1975-03-17 1976-11-23 Thomas Lisa Golf club
US3995856A (en) * 1975-06-03 1976-12-07 Eaton Corporation Tennis racket grip
US4105205A (en) * 1975-08-13 1978-08-08 Sudbury Engineering Corporation Racket
DE2554267A1 (de) * 1975-12-03 1977-06-16 Kuebler & Co Schlaeger fuer tennis o.dgl. spiele
US4044625A (en) * 1976-07-01 1977-08-30 Chicago Pneumatic Tool Company Vibration isolating hand grip for shank of a percussive chisel
JPS5412930A (en) * 1977-06-30 1979-01-31 Hitachi Chem Co Ltd Racket frame
US4399996A (en) * 1978-10-10 1983-08-23 Boyce Gary C Practice bat
CA1204533A (en) * 1980-11-20 1986-05-13 Akitaro Nakahira Rubber material
US4347280A (en) * 1981-07-08 1982-08-31 Geos Corporation Shock absorbing sheet material
DE3332643A1 (de) * 1983-09-09 1985-03-28 Puma-Sportschuhfabriken Rudolf Dassler Kg, 8522 Herzogenaurach Ballschlaeger, insbesondere tennisschlaeger
IT1181005B (it) * 1984-08-09 1987-09-23 Caber Italia Dispositivo smorzatore di vibrazioni particolarmente per racchette da tennis
US4660832A (en) * 1985-03-25 1987-04-28 Shomo Robert D Shock and vibration absorbent handle
US4617697A (en) * 1985-08-01 1986-10-21 David Constant V Moldable handle adapter
WO1987005524A1 (en) * 1986-03-21 1987-09-24 Whiteford Carlton L Racquet handle
US4696842A (en) * 1986-03-26 1987-09-29 Doubt Ruxton C Custom moldable hand gr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797A (ko) 1988-10-24
US4953861A (en) 1990-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1015B1 (ko) 타구용 운동구
US20060063618A1 (en) Grip end bottom weight and grip end bottom weighting structure
US5042804A (en) Hand grip for sporting equipment or tools
KR960004898B1 (ko) 라켓 손잡이 성형체 및, 그를 구비한 테니스 라켓
US5766720A (en) Impact vibration absorbers and devices that incorporated them
US5613916A (en) Sports equipment for ball game having an improved attenuation of oscillations and kick-back pulses and an increased striking forc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it
US20020107095A1 (en) Weighting system for sports balls and hitting implements
GB2344768A (en) Shock absorbing device
EP0304324B1 (en) Sports implement for hitting balls or the like
CN219440610U (zh) 具有管状体的球拍的减震结构
CN217939073U (zh) 一种可有效减震的新型羽毛球拍
CN201283198Y (zh) 减震球拍
JP2521514B2 (ja) 打球用運動具
JP2539638B2 (ja) テニスラケット
KR102604608B1 (ko) 테니스 라켓용 댐퍼
CN210302276U (zh) 运动用品的吸震型握把结构
JPH11333029A (ja) ラケット
JPH0418592Y2 (ko)
JPH01135374A (ja) テニスラケット用の衝撃吸収具
CN2513616Y (zh) 铝球拍防震改良结构
KR20220109344A (ko) 라켓을 위한 진동완충장치
JPH01249077A (ja) 打球用運動具
KR20220002423U (ko) 라켓을 위한 진동완충장치
JP2024032006A (ja) 衝撃吸収部材
Easterling et al. Tennis and squash rack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