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0662B1 - 칼라 수상관 장치 - Google Patents

칼라 수상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0662B1
KR920010662B1 KR1019920013384A KR920013384A KR920010662B1 KR 920010662 B1 KR920010662 B1 KR 920010662B1 KR 1019920013384 A KR1019920013384 A KR 1019920013384A KR 920013384 A KR920013384 A KR 920013384A KR 920010662 B1 KR920010662 B1 KR 920010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vertical
horizontal
auxiliary
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3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까쯔에이 모리하시
시게오 다께나까
다께또시 시모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00007729A external-priority patent/KR920010661B1/ko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to KR1019920013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106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0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6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라 수상관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칼라 수상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2도는 그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3도는 편향중심의 관축방향이동과 전자비임의 형광체층의 입사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편향중심의 관축방향 이동 방법의 설명도.
제5도는 보조편향부의 상하 한상의 수직편향코일에 흐르는 전류와 형성되는 수직편향 자계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6a도 및 제6b도는 각각 상하 비대칭의 수직 편향자계와 그 수직 편향자계가 전자비임에 미치는 힘의 방향을 나타낸 도면.
제7도는 한쌍의 사이드비임의 크로스패턴으로된 컨버젼스 오차의 도면.
제8도는 한쌍의 사이드비임의 패턴의 크기가 상하로 다른 컨버젼스 오차의 도면.
제9도는 제8도의 컨버젼스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보조 편향부의 상하 한쌍의 수직편향코일 및 보조 코일에 흐르는 전류와 형성되는 자계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0도는 한쌍의 사이드비임의 패턴이 수직축에 관해서 비대칭인 컨버젼스 오차의 도면.
제11도는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12도는 종래의 칼라 수상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13a도 및 제13b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회로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형광면 6 : 전자총
20G : 센터비임 20B,20R : 한쌍의 사이드비임
21 : 편향장치 22 : 주편향부
23 : 보조편향부 24V : 주편향부의 수직편향코일
26H : 보조편향부의 수평편향코일 26V : 보조편향부의 수직편향코일
32 : 보조코일
본 발명은 칼라 수상관과 그 외곽용기 외측에 장착된 편향장치로된 칼라 수상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칼라수상관은 제12도에 나타낸 것처럼 패널(1) 및 그 패널(1)에 일체적으로 접합된 퍼넬(2)로된 외곽용기를 가지며, 그 패널(1) 내측에 장착된 새도우마스크(3)에 대향하며 패널(1) 내면에 청, 녹, 적으로 발광하는 3색 형광체층으로된 형광면(4)이 형성되어 있다.
또 퍼넬(2)의 넥(neck)(5) 안에 3전자비임을 방출하는 전자총(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전자총(6)에서 방출되는 3전자비임의 조사에 의해 형광면(4)위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퍼넬(2)의 콘(corn)부(7)와 넥(5)과의 경계외측에 상기 3전자비임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편향장치(8)가 장착되며, 또한 넥(5) 외측에는 스태틱컨버젼스 마그네트(9) 및 퓨리티마그네트(10)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같은 칼라 수상관 장치에 있어서는 형광면(4) 위에 색의 어긋남이 없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3전자비임을 각각 대응하는 3색형광체층에 정확히 투사하지 않으면 안되며, 이 때문에 칼라수상관에 대하여 편향장치(8)를 정확한 위치에 부착하는 조정이 필요하며 또한 3전자비임이 형광면 중앙부위의 한점에 집중하도록 스태틱컨버젼스 및 퓨리티마그네트(9),(10)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상기 일반적인 칼라수상관 장치에 대하여 최근에 특히 형광면을 수직방향으로 긴스트라이프모양의 3색 형광체층으로 구성하고 전자총이 동일한 수평면위를 통과하는 센터비임 및 한쌍의 사이드 비임으로된 전자비임을 방출하는 인라인형으로 한 소위 인라인형 칼라 수상관이 보금되고 있다.
이러한 인라인형 칼라 수상관은 전자비임을 수평방향으로 편향한 수평편향자계를 핀쿳션형, 수직방향으로 편향한 수직편향자계를 배럴형으로 하는 불균일한 자계를 형성하는 편향장치와 조합시키므로서 외부회로에 의한 다이나믹컨버젼스 보정을 할 필요가 없는 특징을 가지지만, 이러한 칼라 수상관 장치에 있어서도, 편향장치 부착위치의 조정과 스택틱컨버젼스 및 퓨리티 마그네트의 조정을 필요로 하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종래 상기 편향장치의 부착위치 및 스태틱컨버젼스와 퓨리티 마그네트의 조정은 화면을 보면서 실시하며, 편향장치에 대해서는 칼라수상관에 대한 편향장치의 회전조정, 3색 형광체층에 3전자비임이 정확하게 투사되도록 관축방향의 전후로 움직이는 조정, 편향장치의 전자총축을 고정해서 화면 주변부에 3전자비임이 집중하도록 형광면측을 상하 좌우로 움직이는 진동 조정등이 있다.
또, 스태틱컨버젼스 및 퓨리티 마그네트에 대해서는 통상 2매 1조 합계 6매의 둥근모양의 마그네트를 회전시키므로서 조정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정이 전부 손작업과 화면에 의한 목시판정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적적한 조정이 이루어질때까지는, 그것들을 반복해서 조정해야만하며, 조정에 숙련을 요할뿐만 아니라 시간이 걸리는 문제도 있다.
또한 최근 생산 비율이 늘어나고 있는 대형칼라 수상관에 대해서는, 전면에 영출되는 화면을 보면서 배후의 편향장치 및 스태틱컨버젼스와 퓨리티 마그네트를 조정하는 것은 곤란하며 한 사람이 화면을 주시하고 또 한사람이 조정하는 연대작업을 하든지, 혹은 한사람으로서 조정을 할수 있는 어떠한 조정장치가 필요하며, 조정시간이 걸릴뿐만아니라 가장 적절한 조정을 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칼라수상관은 화면위에 색의 어긋남이 없는 양호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하여 편향장치의 부착 위치를 조정하는 동시에 스태틱컨버젼스 및 퓨리티 마그네트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조정중에 특히 편향장치 부착 위치의 조정은 칼라수상관에 대한 편향장치의 회전, 관축방향으로의 이동, 상하 좌우방향으로의 진동등 조정항목이 많으며, 이러한 것들을 화면을 보면서 손작업으로서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조정에 숙련을 요하며 또한 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대형수상관에서는 혼자서 화면을 보면서 조정할 수 없으며 2인 1조로 연대작업으로서 조정하든지 혹은 특별한 조정장치가 필요하며 조정하는데 시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가장 적절하게 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칼라수상관에 대한 편향장치의 조정을 쉽게 할수 있으며 또한 색의 어긋남이 없는 양호한 화상을 표시하는 칼라 수상관 장치를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칼라 수상관 장치에 있어서 칼라 수상관의 외곽용기 외측에 장착된 편향 장치를 칼라 수상관의 최적 편향 중심보다도 편향중심이 형광면측에 위치하는 주편향부와 상기 최적편향중심 보다도 편향중심이 전자총측에 위치하는 보조 편향부로서 구성되며, 그 주편향부에 전자총에서 방출된 복수 비임을 수평방향으로 편향하는 수평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수평편향 코일과 상기 복수 비임을 수직방향으로 편향하는 수직편향 자계를 형성하는 수직편향 코일을 설치하는 한편, 보조편향부에 상기 복수 비임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평평향자계를 형성하는 수평편향코일과 상기 복수 비임을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직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수직편향코일를 설치하고, 이러한 보조 편향부의 수평편향자계를 수직축에 관해서 좌우 비대칭 또는 수직편향자계를 수평축에 관해서 상하 비대칭으로 할 수 있는 구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편향장치를 주편향부와 보조편향부로 나누면 그 주편향부와 보조편향부로 흐르는 편향전류를 조정하므로서 편향중심을 관축방향의 전후로 이동할 수 있으며 종래의 수작업에 의한 관축방향의 이동조정을 전기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보조편향부에 수평편향자계를 구성하는 수평편향코일 및 수직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수직편향코일외에 보조코일을 설치하므로서, 그 보조편향부의 수평편향자계를 수직축에 관해 좌우 비대칭, 또는 수직편향자계를 수평축에 관해서 상하 비대칭으로 할수 있으며 종래의 수작업에 의한 편향자치의 진동조정을 전기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해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그 한 실시예인 칼라수상관 장치를 나타낸다.
그예로서 칼라 수상관은 인라인형태로 패널(1) 및 그 패널(1)에 일체적으로 접합된 깔때기 형태의 퍼넬(2)로된 외곽용기를 가지며 그 패널(1) 내면에 청, 녹, 적으로 발광하는 3색 형광체층으로된 형광면(4)이 형성되어 있다.
각 형광체층은 수직방향으로 늘어나는 스트라이프로되며, 그 스트라이프 형태의 형광체층이 수평방향으로 복수열배열되어 있다.
이 형광면(4)에 대향하고 근접해서 그 내측에 다수의 전자비임 통과구멍이 형성된 새도우마스크(3)가 장착되어 있다.
또 퍼넬(2)의 넥(5)안에 관축을 포함한 동일 수평면위를 통과하는 센타비임(20G) 및 한쌍의 사이드비임(20B),(20R)으로된 3전자비임을 방출하는 전자총(6)이 설치되어 있다.
또 퍼넬(2)의 넥(5) 외측에는 스태틱컨버젼스 마그네트(9) 및 퓨리티 마그네트(10)가 장착되며 또한 퍼넬(2)의 콘부(7)와 넥(5)과의 경계부 외측에 편향장치(21)가 장착되어 있다.
이 편향장치(21)는 제2도에 나타낸 것처럼 주편향부(22)와 그 주편향부(22)보다도 전자총(6)측에 위치하는 보조편향부(23)로 이루어진다.
그 주편향부(22)에는 상하 한쌍의 새들 형태의 수평편향코일(24H)과, 코어(25a)에 감긴 상하 한쌍의 톨로이들 형태의 수직편향코일(24V)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보조편향부(23)에는 상기 주편향부(22)와 동일한 상하 한쌍의 새들(saddle)형태의 수평편향코일(26H) 및 코어(25b)에 감긴 상하 한쌍의 톨로이들 형태의 수직편향코일(26V)외에 보조코일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편향장치(21)의 주편향부(22) 및 보조편향부(23)의 각 수평편향 코일(24H),(26H) 및 수직편향코일(24V),(26V)는 각각 전류값이 다르게 동기한 전류를 배분해서 흐르게 할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보조편향부(23)의 보조코일에도 동기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저항 혹은 LC등을 회로소자로 하는 수동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수동회로는 제13도에 한예로서 나타낸 것처럼 단순하며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능동소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제13a도에서는 보조편향장치(23)와 직렬로 가변저항(40)을 삽입하고, 이러한 가변저항(40)의 저항값을 조정하므로서 보조편향장치(23)와 주편향장치(22)의 전류를 조정한다.
편향전원(43)은 수평편향전원이라도 좋고, 수직편향전원이라도 동일한 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제13b도의 예는 제13a도의 회로에 가변용량기(41) 및 가변유도기(42)를 부착한 것으로서 각각의 편향장치(22),(23)의 전류를 변화시킨 경우의 파형변화를 보정해야만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회로는 한 실시예이며, 가변저항기(40), 가변용량기(41), 가변유도기(42)는 주편향장치(22)측에 삽입되어도 좋으며 각각의 가변소자(40),(41),(42)는 직렬, 병렬등 여러 가지 조합이 생각되며 또 각각의 가변소자(40),(41),(42)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이 편향장치(21)의 칼라 수상관의 고정은 칼라 수상관의 조립정밀도, 편향장치(21)의 불균일등에서, 주편향부(22)에 대해서는 그 편향중심이 칼라 수상관의 최적편향중심보다도 형광면(4)측이 되도록하며 또한 주편향부(22) 및 보조편향부(23)에 흐르는 편향전류를 동일하게 했을때 편향장치(21)전체의 편향중심이 상기 칼라수상관의 최적편향중심보다도 전자총(7)측에 부착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편향장치(21)를 구성해서 배치하면 주편향부(22)의 편향전류(수평 및 수직편향전류)를 Ia, 보조편향부(23)의 편향전류(수평 및 수직편향전류)를 Ib로 했을 때
0≤Ib≤Ia
의 범위로 보조편향부(23)로 흐르는 편향전류(Ib)를 조정하므로서 종래 편향장치의 축방향 이동과 같은 작용을 전기적으로 행할 수 있다.
즉,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편향중심이 P1의 위치에 있어도 전자비임(20a)이 형광면(4) 위의 Q1으로 입사하고 소정의 형광체층(27)이 정확하게 발광하지 않을 경우 편향중심을 전자총측(형광면(4)에서 멀어지는 방향)의 P2의 위치로 이동하면 전자비임(20b)이 형광면(4) 위의 Q2에 입사해서 소정의 형광체층(27)을 정확하게 발광시키게 된다.
종래는 그 편향중심의 관축(Z축) 방향이동은 편향장치 자체의 이동으로서 행했지만, 그예의 편향장치(21)로서는 제4도에 나타낸 것처럼 주편향부(22)의 편향전류, 보조편향부(23)의 편향전류 Ib=0 경우의 관축상의 자계강도분포를 곡선(28a)으로 하면,로 하므로서 이것을 곡선(28b)처럼 그 강도분포 및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종래의 편향중심의 P1에서 P2로의 이동과 동일한 작용을 야기하고 있다.
또 보조편향부(23)의 수평 및 수직편향코일(26H),(26V)를 형성하는 수평 및 수직편향자계를 수직축 및 수평축에 관해서 비대칭으로 하므로서 종래의 편향장치의 진동과 동일한 작용을 전기적으로 행할 수 있다.
즉 제5도에 표시한 것처럼 보조편향부의 코어(25b)에 감긴 상하 한쌍의 톨로이들형태의 수직편향코일(26V)로 흐르는 전류값 I1,I2를로 한다면, 제6a도 또는 제6b도에 나타낸 것처럼 수평축에 관해서 상하 비대칭의 수직편향자계(29a),(9b)가 형성되고, 3전자비임(20B),(20G),(20R)에 대하여 화살표(30a)로 나타낸 것처럼 한쌍의 사이드비임(20B),(20R)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의 힘, 또는 화살표(30b)로 나타낸 것처럼 서로 가까워지게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컨버젼스오차를 보정하는 요소의 자계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7도에 나타낸 것처럼 한쌍의 사이드비임의 패턴(31B),(31R)이 수평축(X축)에 관해서 상하 비대칭(센터비임의 패턴(31G)은 대칭)의 크로스 패턴으로된 컨버젼스 오차에 대해서는 제5도에 표시한 상하 한쌍의 톨로이들 형태의 수직편향코일(26V)로 흐르는 전류를 I1<I2로 하므로서 한쌍의 사이드비임(20B),(20R)에 그것들을 서로 멀어지게하는 방향의 힘을 미치게하는 수평축에 관해서 상하 비대칭의 수직편향 자계(29a)가 발생하며(제6a도 참조), 상기 컨버젼스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또 제8도에 나타낸 것처럼 한쌍의 사이드비임의 패턴(31B),(31R) 중 한쪽방향의 패턴(31B)이 다른 방향의 패턴(31R)보다 상하로 작은 컨버젼스 오차에 대해서는 제9도에 나타낸 것처럼 상하 한쌍의 톨로이들 형태의 수직편향코일(26V)과 함께 코어(25b)에 잠긴 보조코일(32)에서 수직편향코일(26V)로 흐르는 전류와 동기해서 임의 전류를 흐르게 하므로서 보정할 수 있다.
즉, 상하 한쌍의 톨로이들 형태의 수직편향코일(26V)에 흐르는 전류를 I1=I2로 하고 보조코일(32)에 흐르는 전류를 I3=0로 하면, 수직축(Y축)에 관해서 좌우대칭의 수직편향자계가 형성되지만로 하므로서 좌우비대칭의 수직편향자계(29C)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하로 크기가 다른 컨버젼스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또 제10도에 나타낸 것처럼 한쌍의 사이드비임패턴(31B),(31R)이 수직축(Y축)에 관해서 상하 비대칭의 크로스패턴으로된 컨버젼스오차에 대해서는 전술의 제7도에 나타낸 경우와 같이 쉽게 유추되는 것처럼 보조편향부의 상하 한쌍의 새들형 수평편향코일에 수직편향코일로 흐르는 전류와 동기해서 상하 비대칭의 전류가 흐르며 수평편향자계를 수직편향자계에 동기해서 다이나믹하게 변화시키므로서 보정할 수 있다.
이상 컨버젼스 오차보정의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결국 컨버젼스 및 화상 왜곡에 대해서는 좌우의 핀쿳션형 왜곡이외에 편향자계를 적절하게 변화 시키므로서 보정할 수 있다.
또 주편향부(22)의 수직편향자계를 핀쿳션형, 보조편향부(23)의 수직편향자계를 배럴형으로 하므로서 더욱더 양호한 컨버젼스 오차 및 화상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계속해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편향부 및 보조편향부의 수평편향코일을 모두 새들형, 수직편향코일을 톨로이들형으로 했지만, 그 주편향부 및 보조편향부의 수평, 수직편향코일의 조합은 상기 해들톨로이들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로 조합해도 좋다.
또 제11도에 나타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나타냈지만 주편향부(22) 및 보조편향부(23)외에 또한 보조편향부(23)에 근접해서 전자총(6)측에 수평 및 수직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제2의 보조편향부(34)를 설치한 것이다.
이와같이 제2의 보조편향부(34)를 설치하면 전자총(6)에서 방출된 전자비임을 보조편향부(23) 및 주편향부(22)의 자계에 입사하기 이전에 관축(Z축)에 대해 편위시켜서 컨버젼스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7도에 나타낸 컨버젼스 오차에 대해서는 3전자비임을 조금 윗쪽으로 편향시키면 좋고, 또 제8도에 나타낸 컨버젼스 오차에 대해서는 3전자비임을 조금 한쪽 방향의 사이드 비임(20B)(제1도 참조)측으로 편향시키면 좋다.
칼라수상관의 외곽용기외측에 장착되는 편향장치를 칼라수상관의 최적편향중심보다도 편향중심이 형광면측에 위치하는 주편향부와 상기 최적편향 중심보다도 편향중심이 전자총측에 위치하는 보조편향부로 구성하고, 그 주편향부에 수평 및 수직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수평편향 코일 및 수직편향코일을 설치하는 한편, 보조편향부에 수평 및 수직편향자게를 형성하는 수평편향코일, 수직편향코일, 보조코일을 설치하고, 그 보조편향부의 수평편향자계를 수직축에 관해서 좌우 비대칭 또는 수직편향자계를 수평축에 관해서 상하 비대칭으로 할수 있는 구조로 하면 주편향부와 보조편향부로 흐르는 편향전류를 조정하므로서 편향 중심을 전기적으로 관축방향의 전후로 이동할 수 있으며 또 보조편향부의 수평편향자계를 수직축에 관해 좌우 비대칭으로, 또 수직편향자계를 수평축에 관해 상하 비대칭으로 하므로서 각종 컨버젼스 오차와 화상왜곡을 전기적으로 보정할 수 있으며 칼라수상관 장치의 편향장치의 조정을 정확,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어서 화면 품위가 양호한 칼라 수상관 장치로 할수 있다.

Claims (1)

  1. 칼라수상관의 외곽용기 외측에 전자총(6)에서 방출된 복수비임을 편향시켜 형광면(4)을 주사시키는 편향장치(21)가 장착된 칼라수상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편향장치(21)는 상기 칼라 수상관의 최적편향 중심보다도 편향중심이 상기 형광면측에 위치하는 주편향부(22)와 상기 최적편향중심보다 편향중심이 상기 전자총(6)측에 위치하는 보조편향부(23)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편향부(22)는 상기 복수비임을 수평방향으로 편향하는 수평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수평편향코일(24H)과 상기 복수비임을 수직방향으로 편향하는 수직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수직편향코일(24V)을 갖추고, 상기 보조편향부(23)는 상기 복수비임을 수평방향으로 편향하는 수평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수평편향코일(26H)과 상기 복수비임을 수직방향으로 편향하는 수직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수직편향코일(26V)을 갖추고, 그 보조편향부의 수평편향자계를 수직축에 관해 좌우 비대칭 또는 수직편향자계를 수평축에 관해서 상하 비대칭으로 할수 있는 구조로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수상관 장치.
KR1019920013384A 1989-05-26 1992-07-23 칼라 수상관 장치 KR920010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3384A KR920010662B1 (ko) 1989-05-26 1992-07-23 칼라 수상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9-133778 1989-05-26
JP13377889 1989-05-26
JP89-138245 1989-05-31
JP13824589 1989-05-31
KR1019900007729A KR920010661B1 (ko) 1989-05-26 1990-05-25 칼라 수상관 장치
KR1019920013384A KR920010662B1 (ko) 1989-05-26 1992-07-23 칼라 수상관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7729A Division KR920010661B1 (ko) 1989-05-26 1990-05-25 칼라 수상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662B1 true KR920010662B1 (ko) 1992-12-12

Family

ID=27316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3384A KR920010662B1 (ko) 1989-05-26 1992-07-23 칼라 수상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1066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7707A (en) Deflection yoke apparatus
FI60086C (fi) Sjaelvkonvergerande faergtelevisionsaotergivningssystem
KR920010662B1 (ko) 칼라 수상관 장치
PL171352B1 (en) Deflection system for use in colour image tubes
US5177412A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KR910009662B1 (ko) 개선된 편향장치를 가지는 칼라수상관 장치
KR920010661B1 (ko) 칼라 수상관 장치
KR0139475B1 (ko)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 편향 요크
JP2597596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CS252451B2 (en) Convergence system for colour picture tube
US4218667A (en) Convergence adjustment arrangement using magnetic tabs with differential motion
KR20010039960A (ko) 컨버전스 보정 장치를 가진 컬러 음극선관
KR960015318B1 (ko) 칼라수상관용 편향장치 및 칼라수상관장치
FI58232C (fi) Sjaelvkonvergerande system foer faergtelevisionsaotergivning
JP2001211460A (ja) 偏向ヨークおよびこれを用いたカラー陰極線管受像機
JP2685797B2 (ja) カラー映像管装置
KR840001000B1 (ko) 셀프 콘버징 칼라 이메지 디스플레이 시스템
DK158434B (da) Indretning til konvergering af elektronstraaler i et farvebilledroer
KR100294487B1 (ko) 칼라음극선관의컨버젼스보정장치
FI70097C (fi) Sjaelvkonvergerande faergtelevisionsaotergivningsanordning
JPH0433238A (ja) カラー受像管装置
JPH1196938A (ja) カラー受像管装置およびそのコンバーゼンス補正方法
JPH0423690A (ja) カラ−受像管用偏向装置
KR20040007844A (ko) 칼라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40057588A (ko) 편향요크의 빔 로테이션 조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