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683B1 - 복수영상 스크린 투사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영상 스크린 투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683B1
KR920009683B1 KR1019870005803A KR870005803A KR920009683B1 KR 920009683 B1 KR920009683 B1 KR 920009683B1 KR 1019870005803 A KR1019870005803 A KR 1019870005803A KR 870005803 A KR870005803 A KR 870005803A KR 920009683 B1 KR920009683 B1 KR 920009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image
mesh
projection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5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0902A (ko
Inventor
이인순
Original Assignee
이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순 filed Critical 이인순
Priority to KR1019870005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9683B1/ko
Publication of KR890000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2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spects of the displayed game scene
    • A63F13/525Changing parameters of virtual cameras
    • A63F13/5252Changing parameters of virtual cameras using two or more virtual cameras concurrently or sequentially, e.g. automatically switching between fixed virtual cameras when a character changes room or displaying a rear-mirror view in a car-driving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수영상 스크린 투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기본 논리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응용실시된 실시의 예에 대한 설명도
제3도는 좌.우 영상 설명 보조도
제4도는 스크린의 작용기능 설명도
제5도는 스크린의 반사작용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크린 2 : 우측 투사렌즈
20 : 좌측 투사렌즈 3 : 우측 영상판
30 : 좌측 영상판 4 : 우측 게임장치
40 : 좌측 게임장치 5 : 우측 게임자
50 : 좌측 게임자 C : 스크린 중심축
R : 좌측 관측면 L : 우측 관측면
L1.L2=우측관측범위 R1.R2=좌측관측범위 ∠A=입사각 ∠B=반사각
본 발명은 비데오, 컴퓨터, 전자게임영상을 대형 스크린에 확대 투사하는 스크린 전자영상기로서 특히 한 개의 스크린에 2개의 복수영상을 각기 상이한 각도로 투사하여 한 개의 스크린에서 좌,우 시청각도에 따라 상이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복수영상 스크린 투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스크린 중심을 기준하여 좌,우 대각으로 2인이 비데오 영상관측 및 비데오 게임시 좌측 관측자와 우측 관측자가 상호 반대각으로 입사된 상이한 영상을 한 스크린에서 각기 다른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끔 발명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도면 제1도와 같이 매우 높은 반사기능을 갖는 스크린(1)의 중심을 기축으로 좌,우 경사각 기축선상에 좌,우측 관측자(5.50) 전단으로 좌,우측 게임장치(4.40) 및 좌우측영상판(3.30)을 각 설치하고, 그 전단에 좌우 투사렌즈(2.20)를 입설하되, 설치위치는 스크린(1) 중심인 C를 기준으로 좌우 동일한 각도에 의한 빗변 광축선(L,R)에 위치 구성한다.
이때 우측게임자(5) 전단에 위치한 우측게임장치(4) 전면에는 브라운관이나 또는 액정 영상판(L.C.D 영상판)으로 형성된 좌측영상판(3)을, 좌측 관측자(50)전단에 위치한 좌측게임장치(40) 전면에 상기와는 반대로 우측영상판(30)을 위치케하여 조,우를 상호교차 구성한다. 또한 좌,우측 게임장치(4.40)는 비데오 재생기, 컴퓨터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러한 발명은 도면 제1도의 “가”도와 같이 좌측관측자(50)에 의해 좌측게임장치(40)에 의한 현출된 게임 영상은 건너편 우측게임장치(4) 전면에 위치한 좌측영상판(3)에 현출되고 동 현출된 영상은 우측투사렌즈(2)의 입사각 (∠A)으로 입사된 후 동일한 각도의 반사각(∠B)으로 반사되어 좌측관측자(50)에게 관측케 되며 동일한 논리로 우측관측자(5)에 의해 현출된 우측게임장치(4)에 의한 게임영상은 건너편 좌측게임장치(4) 전면에 위치한 우측영상판(30)에 현출되고, 동 현출된 영사은 좌측 투사렌즈(20)에 의해 스크린(1)에 입사각(∠B)으로 입사된 후, 반사각(∠A)으로 반사되어 우측관측자에게 관측케 되는 것이다.
즉, 도면 제2도와 같이 좌측 게임자는 예컨데 A에서 B로 공격되는 영상을, 우측게임자는 B에서 A로 공격되는 상이한 영상을 동일한 스크린에서 각기 다른 시청각도로 시청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좀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 제2도에의해 그 응용실시의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의 구조가 구성되 케스(10) 하단부위에 각기 좌,우측 영상판(3.30)을 각 입설하고 그전단 상향으로 각 좌우측 투사렌즈(2.20)를 입설한 후 동케스(10)상단부에 반사기능을 갖는 스크린(1)을 설치한 후 동스크린(1)과 좌우측 투사렌즈(2.20)의 투사간격 후단 부위에 반사경(11)을 사각 설치하고, 동 본체케스(10) 전단부위로는 각 좌우측 게임장치 (4.40)를 입설하므로서 좌우측 게임장치(4.40)에 의해 상호 교차 현출된 좌우측 영상판(3.30)의 영상은 좌우측 투사렌즈(2.20)에 의해 누사되여 스크린(1)에 의해 각기 다른 투사각도로 입사되어 반사된 후 반사경(11)에 의해 좌우측 관측자에게 다른 각도로 투사된 복수영상을 각기 관측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한 스크린에 각기 다른 영상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그 효율의 반사기능을 갖는 스크린과 각기 투사각도를 달리하는 투사 영상광학계의 기능이 필요한데 이를 도면 제1도 및 도면 제5도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4도와 같이 일반적으로 스크린이 갖는 곡률(S)의 1/2의 수치가 되는 위치가 바로 동 스크린이 갖는 초점위치(F)가 된다. 이와같은 초점위치(F)에서 투사죄어 스크린(1)으로 입사된 광선은 “D”와 같이 직진 반사케 되며, 동 초점위치(F) 이외의 투사렌즈(2)에서 스크린(1)으로 입사된 광선은 입사각(<A)의 역방향인 <B의 각도로 반사되여 원거리의 접속 굴절위치가 갖는 범위(E)로 집광케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정상 본 게임은 동시에 다중 인원의 시청이 필요치 않으므로 동 초점위치 이내에 투사위치를 결정하고 게임자위치(L.R)에서 스크린 크기의 1/2 정도로 집속케 하는 곡률(S)을 갖게 하는 것이 오히려 밝기의 이득상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스크린의 곡률(S)은 500R-3000R 이내로 하는 것이 좋다(R는 스크린의 곡률 반경의 길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1R는 1m/m이다.).
즉 500R 미만일 경우는 곡률의 한계상 화면 크기의 제한이 오며 3000R 이상으로 할시는 초점거리 작용상 게임자 위치로의 집광이 분산되므로 집광능률이 저하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광학적이 확산 또는 굴절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그 표면의 반사능력이 있어야 하는데 공지된 바와 같이 이러한 스크린의 이득은 산란과 반사능률에 따라 밝기와 관시각도가 반비례로 작용하므로 어느정도의 산란과 반사율의 이득 비례가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며에 있어서는 그 스크린(1)의 표면 입자도를 100매쉬(MESH)에서 1500매쉬(MESH)사이로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그반사면과 산란면을 반비례로 형성하므로서 효율적으로 2중 영상과 밝기를 제고할 수 있다.
좀더 설명하면 스크린 표면 입자를 100매쉬 이하로 할 경우 산란율이 과다하여 반사성격이 저하되고 1500매쉬 이상으로 할시는 그 반사능율이 지나쳐 해상도가 저하된다.
그러므로 도면 제1도 및 도면 제5도와 “(a)”도와 같이 스크린(1)의 중심에서 사각으로 입사된 입사광선(L,L1,L2)은 입사각(<A)과 동일한 반사각(<B)으로 반사되며 반대쪽인 좌측에 좌측 시청범위(R1,R,R2)를 이룬다. 또한 반대로 도면 제5도의 “(b)”도 역시 마찬가지 논리로 우측에 우측 시청범위(L1,L,L2)를 이루므로서 좌측 시청자 및 우측 시청자는 도면 제2도와 같이 상이한 하면 즉 “(a)”도와 “(b)”도의 영상이 각기 투사각도에 따라 반사되는 반대각에 의해 상이한 영상의 시청이 가능할 뿐아니라 매우 밝고 선명한 영상의 시청도 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본 발명은 각기 복수개의 브라운관 영상을 필료한 사각(斜角)으로 스크린에 투사할 수 있으므로 도면 제1도와 같이 한 스크린에서 각기 다른 영상을 재현하여 2인 이상이 동시에 게임을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좌,우영상을 합치, 입체 스크린 게임장치로도 가능하며 하나의 영상을 좌우로 분리 투사하여 스크린에서 합성, 스크린의 가로 세로 대비가 매우 넓은 와이드 시네마 영상을 재현할 수도 있다. 또한 각 광학 부문의 필요 위치마다 반사경을 설치 투사방향을 다각화 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같은 논리에 입각하여 스크린(1)에 투사되는 좌,우 영상판(3.30)의 수를 필요에 따라 2개이상 증가할 경우 상기와 같은 복수영상 현출 효과는 그만큼 배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은 전자게임기 뿐만 아니라 비데오 영상, 컴퓨터 영상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

  1. 컴퓨터, 비데오 게임과 같은 비데오 영상을 스크린에 확대 투사하는 대형 스크린 확대장치에 있어서, 그 구성을 스크린(1)과 투사광학계로 결합구성하되 스크린(1)의 곡률구면은 500R에서 3000R 이내로 구성하고 동 스크린(1)의 표면입자도는 100매쉬(MESH)에서 1500매쉬(MESH) 이내로 형성하여 고이득 반사스크린화하고, 투사광학계는 좌,우 복수개의 영상판(3.30)과 좌,우 복수개의 투사렌즈(2.20)로 구성하여 위 스크린(1)의 중심을 기축으로 좌,우 사각(斜角) 구성하므로서 한 개의 스크린에서 좌,우 관시각도(觀視角度)에 따라 복수영상현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영상 스크린 투사장치.
KR1019870005803A 1987-06-09 1987-06-09 복수영상 스크린 투사장치 KR920009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5803A KR920009683B1 (ko) 1987-06-09 1987-06-09 복수영상 스크린 투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5803A KR920009683B1 (ko) 1987-06-09 1987-06-09 복수영상 스크린 투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902A KR890000902A (ko) 1989-03-17
KR920009683B1 true KR920009683B1 (ko) 1992-10-22

Family

ID=19261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5803A KR920009683B1 (ko) 1987-06-09 1987-06-09 복수영상 스크린 투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96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902A (ko) 1989-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1262B1 (ko) 디지털 미세 미러소자를 이용한 전반사 프리즘계
US4078854A (en) Stereo imaging system
US7931377B2 (en) Screen and projection system
US5250967A (en) Liquid crystal projector
US7605978B2 (en) Transparent screen and projection display unit
JPH01140187A (ja) 背面投影型ディスプレイ
US5675435A (en) Rear projection image display device
JPH03213840A (ja) 背面投射型スクリーン及びこれを用いた背面投射型画像表示装置
JPS62226778A (ja) リアプロジユクシヨン装置
US20090046254A1 (en) Projector system
JPH08313865A (ja) 背面投写型映像表示装置
KR920009683B1 (ko) 복수영상 스크린 투사장치
US5839808A (en) Projection optical system
JPH0473133B2 (ko)
KR100343963B1 (ko) 프로젝션 표시장치용 투사 스크린
US20230114660A1 (en) Projection system
KR100625540B1 (ko) 프로젝션 시스템
JP2601083B2 (ja) 投影型ディスプレイ
JP2002090888A (ja) 背面投写型ディスプレイ装置
JPH04296718A (ja) 光シャッター式ディスプレイ
JPH03132738A (ja) 背面投写型表示装置
JPH07199357A (ja) 背面投射型表示装置
JP2001188108A (ja) ディスプレイ画面の覗き見を防止するための方法及びディスプレイ画面用スクリーン
JPS6378139A (ja) 透過型スクリ−ン
KR20020096396A (ko) 단판식 액정패널의 광학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4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