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519B1 - 마크로라이드 항생물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크로라이드 항생물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519B1
KR920009519B1 KR1019850009715A KR850009715A KR920009519B1 KR 920009519 B1 KR920009519 B1 KR 920009519B1 KR 1019850009715 A KR1019850009715 A KR 1019850009715A KR 850009715 A KR850009715 A KR 850009715A KR 920009519 B1 KR920009519 B1 KR 920009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iotics
strain
micromonospora
culture
mediu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9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4913A (ko
Inventor
하루미쭈 이마이
겐-이찌 스즈끼
시게루 미야자끼
시게노부 가도따
Original Assignee
야마노우찌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모리오까 시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노우찌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모리오까 시게오 filed Critical 야마노우찌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4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4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519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7/00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7/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oxygen as ring hetero atoms
    • C07H17/08Hetero rings containing eight or more ring members, e.g. erythromyc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44Preparation of O-glycosides, e.g. glucosides
    • C12P19/60Preparation of O-glycosides, e.g. glucosides having an oxygen of the saccharide radical directly bound to a non-saccharide heterocyclic ring or a condensed ring system containing a non-saccharide heterocyclic ring, e.g. coumermycin, novobiocin
    • C12P19/62Preparation of O-glycosides, e.g. glucosides having an oxygen of the saccharide radical directly bound to a non-saccharide heterocyclic ring or a condensed ring system containing a non-saccharide heterocyclic ring, e.g. coumermycin, novobiocin the hetero ring having eight or more ring members and only oxygen as ring hetero atoms, e.g. erythromycin, spiramycin, nystat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9Micromonospor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10S435/867Micromonospor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크로라이드 항생물질의 제조방법
제1도는 YS-02930 K-D의 IR 스펙트럼이다.
제2도는 YS-02930 K-D의 NMR 스펙트럼이다.
제3도는 YS-02930 K-H의 IR 스펙트럼이다.
제4도는 YS-02930 K-H의 NMR 스펙트럼이다.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Ⅰ)의 마크로라이드형(Macrolide type) 항생물질의 신규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은 수소원자 또는 포밀 그룹이고, 점선은 이중결합 또는
Figure kpo00002
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YS-02930 K-D, -E 및 -H 물질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한가지 또는 두가지 또는 모든 항생물질을 생성할 수 있는 마이크로모노스포라(Micromonospora) 속에 속하는 신규한 미생물을 배양시키고 배양액으로부터 상기 항생물질을 수거함을 포함하는 항생물질의 신규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YS-02930 K-D 물질은 R이 포밀 그룹이며 점선이 이중결합인 화합물이고; YS-02930 K-E 물질은 R이 포밀그룹이며 점선이
Figure kpo00003
인 화합물이며; YS-02930 K-H 물질은 R이 수소원자이며 점선이 이중결합인 화합물이다(이하, D물질, E물질 및 H물질로 약칭한다).
D물질은 미합중국 특허 제4,438,109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E 및 H 물질은 미합중국 특허 제4,477,443호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들은 모두 공지화합물이다. 전자의 미합중국 특허에 의하면, D물질은 3,23-O-메톡시메틸-(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나닐) 마이카미노실 타일로놀라이드 디에틸아세탈에서 출발하여, 이의 4' 위치를 탈산소화하고, 3 및 23위치의 하이드록시 그룹의 보호그룹과 18위치의 알데히드 그룹의 보호그룹을 제거함을 포함하는 화학적 합성방법으로 제조한다. 후자의 미합중국 특허에 의하면, E물질은 4'-데옥시마이카미노실 타일로놀라이드 디에틸아세탈을 과산으로 처리한 다음 12 및 13 위치를 에폭시화하고, 알데히드의 보호그룹을 제거함을 포함하는 공정으로 화학적으로 합성하고; H 물질은 클로로트리스(트리페닐포스핀)로듐을 4'-데옥시마이카미노실 타이로놀라이드와 반응시켜 화학적으로 합성한다.
그러나, 화학적 방법이 아닌 발효방법으로 전술한 항생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은 이제까지 공지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항생물질을 생성할 수 있는 마이크로모노스포라속(屬)에 속하는 신규한 미생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의 항생물질을 생성할 수 있는 마이크로모노스포라속에 속하는 미생물을 배양한 다음, 배양액으로부터 D, E 및 H물질을 수거함을 포함하는 D, E 및 H 물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약제학적 물질을 생성할 수 있는 미생물을 연구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토양에서 단리시킨 미생물의 이의 분류학적 특성에 의해 마이크로모노스포라속에 속하며, 본 발명에 의해 수득된 신규한 악티노마이세테스(Actinomycetes) 임을 밝혀내었는데, 악티노마이세테스는 D, E 및 H 물질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한가지, 두가지 또는 모든 항생물질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D, E 및 H 물질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한가지, 두가지 또는 모든 항생물질을 생성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모노스포라속에 속하는 미생물 및 상기 항생물질을 생성할 수 있는 미생물을 배양한 다음, 배양액으로부터 D, E 또는 H 물질을 수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D, E 또는 H 물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생물>
D, E 및 H 물질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한가지, 두가지 또는 모든 항생물질을 생성할 수 있는 마이크로모노스포라속에 속하는 미생물의 특정 예에는 마이크로모노스포라종 YS-02930 K 균주가 포함된다.
균주 YS-02930 K의 세균학적 성질은 다음과 같다.
1. 형태학적 특성
진 호기성 균사체(true aerial mycelium)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여러가지 한천 배지에서는 형성되지 않는다.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단일(드물게 2) 포자가 기저 균사체로부터 뻗은 포자체(0.2 내지 0.8μm)의 끝에 형성되며, 완전한 균사체의 모든 주위에 형성된다.
류드만(Luedemann)등의 분류[참조: Antimicrob·Ag·Chemoth., 1964, 47-52(1965)]에 의하면, 포자체는 모노포디알 시스템(Monopodial system)에 의해 형성된다.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에 의하면, 포자는 표면에 매끄러운 구형(직경: 약 0.8내지 1.2μm)이다.
액체 배지에서 배양하는 경우, 균사는 길게 신장되나 가지가 없으며; 균사간의 구형 구조(직경: 8내지 10μm)가 관찰되었다.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이러한 구조는 균사의 융합에 의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2. 여러 배지에서의 배양 특성
여러 배지에서의 배양 특성은 다음과 같다.
특정한 언급이 없는 한, 각 성질은 28℃에서 21일 동안 배양한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측정한다. 색조표시는 색 조화 편람(Color Harmony Manual; Color Research Laboratoris, Japan)의 분류에 따라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3. 생리학적 특성 :
Figure kpo00006
에서 7 내지 21일 동안 관찰한 결과이다. 우유에 대한 작용은 37℃에서 3내지 21일 동안 관찰한 결과이다. 그밖의 것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28℃에서 2주일 후에 관찰한 결과이다.
4. 각 탄소원의 동화작용(Pridham-Gottlieb 한천 배지, 28℃에서 배양됨)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5. 세포벽 조성의 분석:
문헌 [참조: Lecheralier, M. P. et al., pp227-228 in Dietz, A. et al ed., Actimomycete Taxonomy, STM Special Publication No. 6., 1980]의 방법에 따라서, 균주의 세포벽 성분과 완전한 세포의 산가수분해물을 분석한다. 그 결과, 세포벽에는 메소-디아미노피멜산, 3-하이드록시디아미노피멜산, 특정 아미노산으로서의 글리신과 당성분으로서의 크실로즈 및 아라비노즈가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세균학적 특성으로부터, 균주 YS-02930 K는 여러가지 한천 배지상에서 어떠한 진 균사체도 형성하지 않으나 기저 균사체로부터 가지를 뻗은 포자체[모노포디알형(Monopodial type)]상에는 단일(드물게 2) 포자를 형성한다. 액체 배양액에서, 균사는 가지가 거의 없으나 길게 신장된다. 균사는 때때로 융합하여 구형 구조를 형성하기도 한다. 세포벽과 완전한 세포의 산가수분해물을 분석하여 메소-디아미노피멜산, 특징적 아미노산으로서의 글리신과 당으로서의 크실로즈 및 아라비노즈가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특성으로부터, 상기 균주는 마이크로모노스포라속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문헌[참조:Bergey's Manual of Determinative Bacteriology, 8th Edition(1974)] 및 여러가지 간행물을 참조하여 상기 균주와 유사한 공지의 악티노마이세테스 종을 조사한 결과, 상기 균주는 포자가 표면이 매끄러운 구형이며 한천 배지상의 색조가 오렌지 내지 황갈색이라는 점에 있어서 마이크로모노스포라 칼세아(Micromonospora chalcea) 및 마이크로모노스포라 할로피티카(Micromonospora Halophytica)와 유사하다. 그러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균주 YS-02930 K는 탄소원자의 활용에 있어서 엠. 칼세아(M. chalcea)와 다르다. 엠.칼세아는 α-멜리비오즈, 라피노즈, L-아라비노즈, D-글루코즈, D-프럭토즈, D-갈락토즈, 전분, 슈크로즈 및 D-크실로즈를 활용할 수 있는 반면, 균주 YS-02930 K는 L-아라비노즈, D-글루코즈, 슈크로즈 및 전분을 활용할 수 있지만 전술한 것 이외의 탄소원은 활용할 수 없다(α-멜리비오즈는 약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균주 YS-02930 K는 엠. 칼세아에서 지적한 셀룰로오즈 분해능이 없다.
또한 엠. 할로피티가(M. halphytica)는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L-아라비노즈, D-갈락토즈, D-글루코즈, D-프럭토즈, α-멜리비오즈, 라피노즈, 전분, 슈크로즈 및 D-크실로즈를 탄소원으로서 활용할수 있는데, 탄소원의 활용에 있어서 균주 YS-02930 K와는 매우 다르다. 또한, 엠. 할로피티카는 질화물의 환원(양성)과 셀룰로오즈 분해(양성)에 있어서 모두 균주 YS-02930 K와는 다르다.
부수적으로, 마이크로모노스포라 카보나세아(Micromonospora carbonacea)는 포자가 표면이 매끄러운 구형이고, 가지가 없는 긴 균사체가 액체 배양액에서 형성되며 한천 배지상에서의 색조가 오렌지색에서 황갈색 내지 흑색이라는 점에 있어서 균주 YS-02930 K와 유사하다. 그러나, 탄소원의 활용에 관해서, 엠. 카보나세아(M. carbonacea)는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D-크실로즈, D-프럭토즈 및 α-멜리비오즈를 활용하는 점에 있어서 YS-02930 K와 다르며, 또한 질화물의 환원도 다르다. 또한, 포자체 형성유형이 엠. 카보나세아의 경우 심포디알형(Sympodial type)임에 반하여 균주 YS-02930 K의 경우는 모노포디알형이다.
[표 1]
Figure kpo00009
+ : 활용 ± 약간 활용
Figure kpo00010
: 거의 활용하지 못함 - : 활용하지 못함
부가적으로, 마크로라이드 항생물질을 생성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 마이크로모노스포라속에 속하는 그밖의 종에는
(1) 마이크로모노스포라 로사리아(Micromonospora rosaria).
(2) 마이크로모노스포라 메갈로미시아에(Micromonospora megalomiciae),
(3) 마이크로모노스포라 이소시톨라(Micromonospora inositola) 및
(4) 마이크로모노스포라 칼세아(Micromonospora chalcea) 변종 이주멘시스(izumensis)가 포함되는데; (1)은 포도주색의 가용성 색소를 생성하며, 포자의 표면에서 특징적인 에키눌레이트(echinulate) 구조를 나타내고, (2)는 티로신 한천 배지에서 잘 성장하며 멜라노이드를 형성하고, (3)는 글루코즈 아스파라긴 한천배지상에서는 성장하지 않으며 단지 한가지 탄소원으로서는 이노시톨을 활용하고, (4)는 균주 YS-02930 K에 비해 탄소원을 더욱 잘 활용하며 특히 α-멜리비오즈와 라피노즈의 활용이 주목된다. 전술한 점으로부터 상기한 4가지 종은 균주 YS-02930 K와는 다른 것임이 명확해졌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균주 YS-02930 K는 마이크로모노스포라속에 속하는 전술한 종과는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균주 YS-02930 K는 마이크로모노스포라의 신규한 종임이 확실하며, 이것을 마이크로모노스포라종 YS-02930 K로 명명한다.
당해 균주는 일본국의 기탁기관[Fermentation Research Institute, Agency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Industrial Trade and Industry]에 기탁번호 FERM-P 제7961호로 1984년 11월 29일에 기탁되어있다[대한민국 기탁기관: 한국종균협회, 기탁일: 1986년 6월 18일, 기탁번호: KFCC-10219].
본 발명의 미생물은 전술한 계통학적 특성 이외에 D, E 및 H 물질에서 선택되는 한가지, 두가지 또는 모든 물질을 생성하는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균주는 다른 악티노마이세테스에서 측정된 바와 같이 인공적으로 또는 자발적으로 변이를 일으키기 쉽다. YS-02930 K에는 자연환경에서 단리된 균주, UV선 X선, 화학물질 등을 사용한 인공 변종 균주 및 자발성 변종 균주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신규한 종에 속하는 미생물은 천연 토양에서 단리하여 수득하나 전술한 기관[Fermentation Research Institute]에 기탁된 동결건조 박테리아를 복원하여 쉽게 수득할 수 있다.
<배양법>
본 발명의 미생물은 본 미생물이 활용할 수 있는 영양원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지는 합성, 반합성 또는 천연의 고체 또는 액체 배지중 어떤 것일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천연 영양원으로 구성되는 액체가 바람직하다. 배지에 가하는 영양원으로서는 동화작용이 가능한 탄소함유 화합물이면 어떠한 탄소원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의 예에는 아라비노즈, 슈크로즈, 전분, 글로코즈, 덱스트린, 야자유, 대두유, α-멜리비오즈 등으로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몇몇의 경우에 있어서, 알코올, 유기산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무기 질소원으로서, 염화암모늄, 질산나트륨, 황산암모늄, 질산암모늄, 요소 등: 유기 질소원으로서, 펩톤, 효모 추출물, 건조 효모, 육즙, 글루텐 가루, 옥수수액, 대두분, 어분, 땅콩분, 목화씨가루, 카사미노산 또는 여러가지 아미노산(예를 들면, 글루탐산, 알라닌, 리신 등)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필요할 경우, 배지에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아연, 철, 코발트 등의 황산염, 질산염, 염화물, 탄산염, 인산염 등을 가할 수도 있다.
배양은 호기 조건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양은 정제, 진탕 및 호기 배양중 어떠한 방법으로도 수행할 수 있으나, 진탕 또는 호기배양이 유리하다. 배양은 25내지 30℃,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27내지 29℃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지의 pH는 약 5.5내지 8.5의 중성 범위로 유지하여야 한다. 배양기간은 배지의 조성, 배양 조건(예를 들면, 온도)등에 좌우되나, 일반적으로 약 2내지 약 14일이다. 배양은 상기한 항생물질이 최대 역가에 도달하였을 때 완료한다.
항생물질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단리 및 정제한다. 마이크로모노스포라 종 YS-02930 K가 실시예에 기재된 조건하에서 배양되는 경우, 한가지, 두가지 또는 모든 항생물질이 배양액에 축적된다.
항세균작용을 갖는 물질의 단리 및 정제는 배양액을 원심분리 또는 여과하여 세포를 제거한 후, 적절한 용매중에서의 용해성 또는 용해도의 차이, 용액에서의 침전능 또는 침전율의 차이, 여러가지 흡착제에 대한 흡착 친화도의 차이, 두가지 유형의 액체상간의 분재차이 등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법들은 필요에 따라 임의의 순서로 또는 반복하여 조합하여 간단히 사용할 수 있다.
YS-02930 K 균주를 배양하여 수득한 생성물중에서 특히 항세균작용을 갖는 두가지 유형의 물질(D 및 E 물질)은 이 물질의 혼합물을 전개제로서 클로로포름: 메탄올: 28% 암모니아수(40;10:0.2)를 사용하여 머크사 제품인 실리카 겔 60F254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할 경우, Rf치 0.58 및 0.62에서 각각 나타나는데,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당해 물질을 쉽게 단리할 수 있다. 전자의 반점에서 단리한 정제 생성물은 D 물질이며, 후자의 반점에서 단리한 정제 생성물은 E 물질이다.
H 물질은 전개제로서 클로로포름: 메탄올: 28% 암모니아수(160:40:0.5)를 사용하여 머크사 제품인 실리카 겔 60F154박층 플레이트상에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하여 Rf치 0.62의 반점으로서 단리될 수 있다.
이로써 수득한 항생물질의 생리화학적 성질은 다음과 같다.
(A) D물질의 생리화학적 성질
(1)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 :
Figure kpo00011
283nm.
(2)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브롬화칼륨 타블렛법에 의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은 제1도에 나타낸다.
(3) 핵자기 공명(NMR) 스펙트럼 : 100MHZ에서 클로로포름(CDCl3)중에서의 NMR 스펙트럼은 제2도에 나타낸다.
(4) 질량 스펙트럼 :
EI-MS에 의한 주단편 피크 : 158, 407 및 581(M+)
EI-MS에 의한 이의 TMS유도체 피크 : 791(M+)
(5) 외관 : 무색 분말
(6) 염기성, 중성 또는 산성 : 염기성 물질
(7)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의 Rf치 실리카겔 60F254(머크사 제품)이 사용되었다.
검출 : 254nm에서 UV
Figure kpo00012
(B) E 물질의 생리화학적 성질
(1)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 :
Figure kpo00013
240nm.
(2) 질량 스펙트럼 :
EI-MS에 의한 주단편 피크 : 158, 423 및 597(M+)
EI-MS에 의한 이의 TMS 유도체 피크 : 813(M+)
(3) 외관 : 무색분말
(4) 염기성, 중성 또는 산성 : 염기성 물질
(5) 용해도 : 매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에 용해
(6)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의 Rf치 실리카 겔 60F254(머크사 제품)이 사용되었다.
검출: 254nm에서 UV
Figure kpo00014
(c) H 물질의 생리화학적 성질
(1)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 :
Figure kpo00015
283nm.
(2) 적외선 (IR) 흡수 스펙트럼 : 브롬화칼륨 타블렛법에 의한 IR 흡수스펙트럼은 제3도에 나타낸다.
(3) 핵자기 공명(NMR) 스펙트럼 : 100MHz에서 플로로포름(CDCl3) 중에서의 NMR 스펙트럼은 제4도에 나타낸다.
(4) 질량스펙트럼 :
EI-MS에 의한 주단편 피크 : 158, 174, 379 및 553(M+)
(5) 분자량 및 분자식 : 553, C30H51NO8
(6) 외관 : 무색 분말
(7) 염기성, 중성 또는 산성 : 염기성 물질
(8)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의 Rf치 실리카 겔 60F254(머크사 제품)이 사용되었다.
검출: 254nm에서 UV
Figure kpo00016
전술한 D, E 및 H 물질은 모두 그램 양성균, 그램 음성균, 마이코플라스마((Mycoplasma)등의 병원균에 대해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전술한 생리화학적 성질, 생물학적 활성 등으로부터, 발효에 의해 수득한 본 발명의 생성물이 하기 구조식의 D, E 및 H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Figure kpo00017
Figure kpo00018
Figure kpo00019
[본 발명의 효과]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생성된 각 항생물질(D, E 및 H)은 통상적인 마크로라이드 항생물질에 비하여, 그램 양성균, 그램 음성균, 마이코플라스마 등의 병원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작용을 제공하며, 당해 항생물질은 이들 세균에 감염된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유용하다(미합중국 특허 제 4,438,109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문헌으로 삽입됨).
본 발명은 이전까지는 단지 화학적인 방법에 의해서만 생설될 수 있었던 유용한 항생물질(D, E, 및 H)을 발효방법으로 직접 생성시킬 수 있다는 공업적인 관점에서 괄목할만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실시예 1]
베네트 한천 배지에서 성장한 마이크로모노스포라종 YS-02930 K균주의 균사를 잘라내고, 백색 덱스트린 2.0%, 글루코즈 0.5%, 콜리펩톤 0.5%, 효모 추출액 0.5%, 뇌 심장 침출액 0.52%, 옥수수 액 0.5%, 육즙 0.3% 및 탄산칼슘 0.2%를 함유하는 배지에 접종한 다음, 500ml 들이 플라스크에 각 60ml까지 채우고, 120℃에서 20분간 멸균시킨다. 27℃에서 72시간 동안 진탕배양하여 종자 배양액을 제조한다. 이어서 종자 배양액 3.0%를 감자 전분 3.0%, 대두분 1.5%, 옥수수액 0.5%, 효모 추출물 0.2%, 황산마그네슘 8수화물 0.05%, 염화나트륨 0.3%, 염화코발트 6수화물 0.002% 및 아데칸올(Asahi Denk Kogyo K.K 제품)0.03%를 보강시킨 배지 25ℓ에 접종하고, 30ℓ들이 스테인레스 발효조에 채운다. 28.0내지 28.5℃의 온도에서 90내지 150회/min으로 진탕시키면서 72시간 동안 25ℓ/min의 통기율로 계속 배양하면 바실루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ATCC6633균주에 대한 항균작용은 최대가 된다. 이로써 수득한 배양 용액 라디오라이트(Radiolite)#600(Showa Chemical Industry Co., Ltd.)을 가한다. 혼합물을 진탕한 다음, 여과하여 여액 20ℓ를 수득한다. 여액에 0.1N 수산화나트륨을 가하여 pH를 8.5로 조절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0ℓ를 가한 다음, 진탕한다.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분리하고, pH를 3으로 조절한 다음, 염산 수용액 5ℓ를 에틸 아세테이트 층에 가하고, 진탕한다. PH 3의 수성염산층을 분리한 다음, 중탄산나트륨을 가하여 pH를 8.5로 맞춘다. 이어서, 에틸 아세테이트 5ℓ를 상기 시스템에 가하고, 진탕한다.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분리하고, 여기에 무수 황산나트륨을 가하여 탈수한다. 여과하여 무수 황산나트륨을 분리한다. 이어서,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감압하에 농축시켜 담황색 물질을 200mg 수득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담황색 물질 200mg을 소량의 메탄올에 용해시킨 다음, 용액을 머크사 제품인 실리카 겔 60F254의 벨트모양의 박층 플레이트에 적용하고 전개용매로서 클로로포름: 메탄올: 28% 암모니아수(40:10:0.2)를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한다. 0.58의 Rf치를 나타내며 바실루스 서브틸리스 ATCC6633균주에 대한 항균작용을 갖는 분획을 분리한다. 분리된 실리카 겔 분말을 컬럼에 충진시켜 항균작용을 갖는 물질을 클로로포름: 메탄올: 28%암모니아수(40:10:0.2)로 용출시킨다. 그후 용출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켜 무색 분말 형태의 순수한 항생물질 YS-02930 K-D를 15mg 수득한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담황색 물질 200mg을 소량의 메탄올에 용해시킨 다음, 용액을 머크사 제품인 실리카 겔60F254의 벨트모양의 박층 플레이트에 적용하고 전개용매로서 클로로포름: 메탄올: 28% 암모니아수(40:10:0.2)를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한다. 0.62의 Rf치를 나타내며 바실루스 서브틸리스 ATCC6633균주에 대한 항균작용을 갖는 분획을 분리한다. 분리된 실리카 겔 분말을 컬럼에 충진시켜 항균작용을 작는 물질을 크로로포름: 메탄올: 28%암모니아수(40:10:0.2)로 용출시킨다. 그후 용출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켜 무색 분말 형태의 순수한 항생물질 YS-02930 K-E를 10mg 수득한다.
[실시예 4]
베네트 한천 배지에서 성장한 마이크로모노스포라종 YS-02930 K 균주의 균사를 잘라내고, 백색 덱스트린 0.2%, 글루코즈 0.5%, 폴리펩톤 0.5%, 효모 추출물 0.5%, 뇌심장 침출액 0.52%, 옥수수 액 0.5%, 육즙 0.3% 및 탄산칼슘 0.2%를 함유하는 배지에 접종한 다음, 500ml들이 플라스크에 각각 60ml까지 채우고, 120℃에서 20분간 멸균시킨다. 27℃에서 72시간 동안 진탕배양하여 종자 배양액을 제조한다. 이어서 종자 배양액 3.0%, 감자 전분 3.0%, 대두분 1.5%, 옥수수액 0.5%, 효모 추출물 0.2%, 황산마그네슘 8수화물 0.05%, 염화나트륨 0.3%, 염화코발트 6수화물 0.002% 및 아데칸올(Asahi Denk Kogyo K.K 제품)0.03%를 보강시킨 배지 (pH 7.1)100ℓ에 접종하고, 150ℓ들이 스테인레스 발효조에 채운다. 28.0내지 28.5℃의 온도에서 95내지 150회/min으로 진탕하면서 100ℓ/min의 통기율로 72시간 동안 계속 배양하면 바실루스 서브틸리스 ATCC6633균주에 대한 항균작용은 최대가 된다. 이로써 수득한 배양 용액에 라디오라이트#600(Showa Chemical Industry Co., Ltd.)을 가한다. 혼합물을 진탕한 다음, 여과하여 여액 85ℓ를 수득한다. 여액에 0.1N 수산화나트륨을 가하여 pH를 8.5로 조절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85ℓ를 가한 다음, 진탕한다.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분리하고, pH를 3으로 조절한 염산 수용액 10ℓ를 에틸 아세테이트층에 가한 다음, 진탕한다. pH3의 염산 수용액층을 분리하고, 중탄산나트륨을 가하여 pH를 8.5로 맞춘다. 이어서, 에틸 아세테이트 10ℓ를 상기 시스템에 가하고, 진탕한다.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분리하고, 여기에 무수 황산나트륨을 가하여 탈수한다. 여과하여 무수 황산나트륨을 분리한다. 이어서,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감압하에 농축시켜 담황색 물질을 800mg 수득한다.
[실시예 5]
실시예4에서 수득한 담황색 물질 800mg을 클로로포름:메탄올:28% 암모니아수(50:1:0.1)용액 1ml에 용해시킨다. 그다음, 용액 1ml를 클로로포름:메탄올:28% 암모니아수(60:1:0.1)와 함께 와코겔 C-200(Wako Junyaku K.K. 제품)16g이 충진된 컬럼에 적용하고, 전개용매로서 플로로포름:메탄올:28% 암모니아수(50:1:0.1)를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각각 5ml씩 분획화한다. 각 분획물을 머크사 제품인 실리카 겔 60F254와 전개용매로서 클로로포름:메탄올:28% 암모니아수(60:40:0.5)를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한다. 0.62의 Rf치(254nm의 UV로 검출)를 나타내며 바실루스 서브틸리스 ATCC6633균주에 대한 항균작용을 갖는 분획을 수거한다. 수거한 분획을 감압하에 농축시켜 무색 분말 형태의 순수한 항생물질 YS-02930 K-H를 20mg 수득한다.

Claims (2)

  1. YS-02930 K-D, -E 및 -H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한가지, 두가지 또는 모든 항생물질을 생성할 수 있는 마이크로모노스포라(Micromonospora)속에 속하는 미생물을 배양하고, 배양액으로부터 항생물질 YS-02930 K-D, -E 또는 -H를 수거함을 특징으로 하여 하기 구조식의 항생물질 YS-02930 K-D, -E, 또는 -H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20
    Figure kpo00021
    Figure kpo00022
  2. 제1항에 있어서, 언급된 미생물이 마이크로모노스포라종 YS-02930 K 균주[대한민국 기탁기관: 한국 종균협회, 기탁일: 1986년 6월 18일, 수탁번호: KFCC-10219인 방법.
KR1019850009715A 1984-12-24 1985-12-23 마크로라이드 항생물질의 제조방법 Expired KR9200095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2570 1984-12-24
JP27257084 1984-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913A KR860004913A (ko) 1986-07-16
KR920009519B1 true KR920009519B1 (ko) 1992-10-17

Family

ID=17515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9715A Expired KR920009519B1 (ko) 1984-12-24 1985-12-23 마크로라이드 항생물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843008A (ko)
EP (1) EP0187049B1 (ko)
KR (1) KR920009519B1 (ko)
AT (1) ATE48139T1 (ko)
AU (1) AU595174B2 (ko)
CA (1) CA1287589C (ko)
DE (1) DE3574382D1 (ko)
ES (1) ES8801703A1 (ko)
IE (1) IE58289B1 (ko)
ZA (1) ZA8597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180513T1 (de) * 1984-11-16 1999-06-15 American Cyanamid Co Antitumorale antibiotika (komplex ll-e-33288)
GB9318144D0 (en) * 1993-09-01 1993-10-20 Sandoz Ltd Organic compounds
US5698420A (en) 1995-12-05 1997-12-16 Pfizer Inc. Preparation of 4-deoxy-O-mycaminosyltylonolide
CN100519757C (zh) * 2002-07-29 2009-07-29 浩鼎生技公司 台勾霉素的制备
SG176219A1 (en) 2009-05-27 2011-12-29 Hoffmann La Roche Tri- or tetraspecific antibodi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25203A (en) * 1978-05-10 1982-06-08 Toyo Jozo Company, Ltd. Macrolide antibiotics from micromonospora
US4307085A (en) * 1979-11-09 1981-12-22 Schering Corporation Antibiotic AR-5 complex, antibiotics coproduced therewith and derivatives thereof
US4438109A (en) * 1980-07-25 1984-03-20 Zaidan Hojin Biseibutsu Kagaku Kenkyu Kai Tylosin derivatives
AU551142B2 (en) * 1981-07-09 1986-04-17 Zaidan Hojin Biseibutsu Kagaku Kenkyukai Tylosin deriva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913A (ko) 1986-07-16
AU5169385A (en) 1986-07-03
IE58289B1 (en) 1993-08-25
ES550373A0 (es) 1988-02-16
US4843008A (en) 1989-06-27
EP0187049B1 (en) 1989-11-23
IE853322L (en) 1986-06-24
ES8801703A1 (es) 1988-02-16
CA1287589C (en) 1991-08-13
ZA859764B (en) 1986-09-24
AU595174B2 (en) 1990-03-29
EP0187049A3 (en) 1986-11-05
ATE48139T1 (de) 1989-12-15
EP0187049A2 (en) 1986-07-09
DE3574382D1 (en) 1989-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39348C (en) Novel glycopeptide antibiotics
KR960016874B1 (ko) 미생물에 의한 트랜스-4-히드록시-l-프롤린의 제조방법
KR920009519B1 (ko) 마크로라이드 항생물질의 제조방법
US4992425A (en) Antibiotics BU-3608D and BU-3608E
US4973552A (en) Staurosporine fermentation process
US4764602A (en) Antibiotics, and their production
US4550021A (en) Antitumor antibiotic 81-484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4292309A (en) Antibiotics C-14482 B1, B2 and B3
US5096817A (en) Process for producing antibiotics BU-3608 D and BU-3608 E
CA1220746A (en) Luzopeptin e.sub.2
IE49144B1 (en) New antibiotically active compounds and their fermentative preparation
JPH0463677B2 (ko)
JPH0625095B2 (ja) 抗生物質sf−2415物質およびその製造法
CA1265758A (en) Antibiotics, and their production
KR830001245B1 (ko) 항생물질 마이코플라네신의 제조방법
JPH0771480B2 (ja) 新規微生物
JPH10114777A (ja) 抗生物質スピロキシマイシンとその製造法
JPH0515385A (ja) 新規な抗生物質アリサマイシンおよびその製法
JPS6348284A (ja) 新抗生物質yp−02908l−aおよびその製造法
JPS6230793A (ja) 301物質
JPH0767676A (ja) 4−クロロスレオニンの製造法及び該化合物を含有する農園芸用除草剤
JPS62175493A (ja) 新抗生物質yp−02908l−aおよびその製造法
JPH11193280A (ja) 新規抗生物質デカトロマイシンaおよびbとその製造法
JPH0733736A (ja) 新規抗生物質アジセマイシンb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205981A2 (en) A novel anti-tumor and antimicrobial compound, its microbiological preparation and its use as medica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8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610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61018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