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466B1 - 빙과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빙과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466B1
KR920009466B1 KR1019850002717A KR850002717A KR920009466B1 KR 920009466 B1 KR920009466 B1 KR 920009466B1 KR 1019850002717 A KR1019850002717 A KR 1019850002717A KR 850002717 A KR850002717 A KR 850002717A KR 920009466 B1 KR920009466 B1 KR 920009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old bar
upper section
chai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2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194A (ko
Inventor
노리스 앤더슨 데비드
Original Assignee
에이 피 브이 크레파코 인코포레이티드
토마스 닐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 피 브이 크레파코 인코포레이티드, 토마스 닐즈 filed Critical 에이 피 브이 크레파코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50007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2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A23G9/2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producing frozen sweets on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14Continuous pro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2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A23G9/221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fectionery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빙과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작동 모오드 및 구조를 갖는 빙과 기계의 개략도.
제2도는 주형 바아가 순환 통로의 상부 구간으로 이동을 개시할때 체인이 접하도록 작동하는 인덱싱 드라이브(indexing drive) 및 이송기구의 확대 측면도.
제3도는 주형 바아 지지체인의 인덱싱을 도시한 제2도와 유사한 측면도.
제4도는 추출대에서의 빙과 제거 실패를 표시하는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주형 바아를 뒤집는 롤오버 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
제5도는 순환 궤도의 상부 구간에 따른 통로의 이동시에 주형 바아의 근접 결합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제6도는 제2도의 선 (6-6)에 의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빙과 제조 장치 12 : 체인
14 : 상부구간 16 : 하부구간
18, 22, 122, 140, 144, 146, 148 : 스프로켓 28 : 주형 바아
30 : 공동 32 : 충진기 수단
34 : 막대 삽입 장치 36 : 추출 장치
38 : 제설 수단 42 : 홈통
48, 78 : 저장소 56 : 감지 장치
58, 96 : 반전 수단 64 : 블럭
68 : 블록 88 : 헹굼대
104 : 선형 작동기 116 : 포올(pawl)
154 : 러그 수단 156 : 지지 레일
158 : 캠 레일 170 : 판
본 발명은 빙과류, 특히 돌출된 막대가 삽입되는 여러가지 형태의 빙과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은 엠.비.라스무선(M.B.Rasmusson)의 미합중국 특허 제2,850,051호, 제2,850,990호, 제2,884,875호, 제3,031,978호, 제3,407,755호, 제이.에프.프렌치(J.F.French) 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3,252,165호, 피.더블유.람프만(P.W.Lampman)의 미합중국 특허 제3,280,791호, 알.제이.빌레트(R.J.Billett)의 미합중국 특허 제4,324,108호, 제433,245호, 제4,352,830호, 제4,335,583호, 비.엠.하퍼(B.M.Harper)의 미합중국 특허 제4,323,336호, 에스.디.크로스(S.D.Cross)의 미합중국 특허 제4,392,803호, 제이.에스.브라운(J.S.Brown)의 미합중국 특허 제3,695,895호 등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의 모든 특허 명세서는 본 출원의 출원인에게 양도되어 있으며, 이에 기술된 것은 본 발명과 상호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빙과 제조 장치는 필요한 제조율을 얻는데 요구되는 주형 바아의 수를 감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계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형 바아의 공동안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빙과가 유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모니터 장치에 반응하는 선택적인 방법으로 세척이 이루어지므로써, 주형 바아의 공동을 세척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의 양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형 바아의 공동의 선택적인 세척에 따라 공동안에 빙과의 추출에 따른 나머지를 회수하므로써 적절한 빙과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빙과 재료의 양을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 따르면, 식염수를 충분히 절약할 수 있고 부분적으로 순환 궤도안에서 주형 바아가 이동되는 동안에 공동 또는 그 주둥이가 항상 상방으로 위치하도록 주형 바아를 위치시킨다. 주형이 추출대를 지나 스프로켓에 의해 형성된 원호를 통과할때, 그리고 주형 바아가 콘베이어 체인의 귀환 구간을 따라 이동될때, 공동 외부상의 식염수는 홈통안에 수집된다. 수집된 식염수는 그 온도가 증가되어 있으므로, 이 식염수는 추출 장치에 의해 빙과의 추출을 손쉽게 하기 위하여 빙과의 표면을 녹일 수 있도록 공동의 외부에 더운 식염수를 분사시키는 매니폴드로 펌프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제1도에는 본 발명의 장치를 서로 결합한 빙과 제조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빙과 제조 장치의 주부품은 상부 구간(14)과 하부 구간(16)을 포함하는 순환 궤도를 형성하는 길게 연장된 체인(12)을 포함한다. 체인(12)은 한쌍의 아이들 스프로켓(18,하나만 도시되어 있음)과 맞물려 있고, 스프로켓은 기계의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 지지된 축(20)에 키이로 고정되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한쌍의 구동 스프로켓(22)이 축(24)에 키이로 고정되어 있다. 주형 바아(28, 하나만 도시되어 있음)는 한쌍의 대향한 체인(12,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음)에 의해 이송되고, 주형 바아는 교대로 선택된 체인 링크가 선회되도록 상호 연결하는 신장핀에 의해 연결된다. 각 주형 바아는 다수의 가로로 연장된 공동(30)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에 제조될 과자 재료를 넣고 막대를 끼우고 고체로 냉각시켜 손으로 잡을수 있는 과자를 제조한다.
상부 구간(14)을 지나가는 동안에, 주형 바아(28)에 의해 이송되는 각 공동(30)에는 종래의 충진기 수단(filler means,32)으로 과자 재료가 채워지고, 공동(30)의 외부에 냉각 식염수를 분사시키므로써 과자 재료를 부분적으로 고형화시킨 연후에 종래의 막대 삽입 장치(34)로 각 공동안에 채워진 과자안에 막대를 끼운다. 각 주형 공동이 스프로켓(18)속으로 전진함에 따라 냉각 식염수를 분사시키므로써 완성된 과자는 추출장치(36)에 의해 공동으로부터 제거되기 전에 완전히 고체화되도록 냉동된다. 공동안에서 과자 재료가 냉동되므로써 발생되는 결합력을 해체하기 위하여 제설 수단(38)을 마련하고 있으며, 이는 더운 식염수를 공동의 외부면에 연속적으로 적시므로써 과자 재료의 공동 사이의 결합력을 약하게 한다. 주형 바아의 공동으로부터 과자를 추출한 연후에 스프로켓(18)은 원호통로안의 체인(12)을 하부 구간(16)으로 유도시킨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형 바아(28)는 선택적인 체인(12)의 링크에 자유롭게 선회되도록 연결되어 공동의 개구부 또는 주둥이가 항상 상방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속적인 주형 바아가 제설 수단(38)에서 빠져나오고 과자를 추출한 연후에 더운 식염수를 분사기에 노출된 공동 및 주형 바아의 표면은 식염수로 덮혀지고, 이것은 아래로 흘러내려서 공동(30)의 바닥단에 떨어지게 된다. 주형 바아가 스프로켓(18)을 따라 이동되므로 상부 구간으로부터 빠져나와 하부 구간(16)으로 들어가는 주형 바아는 점진적으로 스프로켓(18)쪽으로 향하고 그 주위를 지나 스프로켓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된다. 상부 주형 바아로부터 흘러내리는 식염수는 하부 구간쪽으로 이동되는 주형 바아의 공동으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오염되게 되는 주형 바아와 그 공동은 충진기 수단(32)으로 과자 재료를 채우기 전에 각 독립된 공동을 세척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형 바아(28)와 그 공동(30)의 오염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하여, 스프로켓(18)사이에 평면의 경사팬(40) 또는 장벽을 장착하여 주형 바아(28)나 공동(30)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흘러내린 식염수를 저지하여 저지된 식염수를 경사벽(44,46)을 갖는 홈통(42)으로 보내서 저장소(48)로 보낸다. 저장소(48)안의 식염수 온도는 제설 효과가 이루어지도록 충분히 높다. 따라서, 저장소(48)로부터의 식염수는 각각 펌프(52)에 의해 다수의 노즐이 제공되어 있는 다수의 매니폴드인 분사 수단(50)에 공급되며, 펌프는 식염수를 매니폴드인 분사수단에 공급하도록 연결된 배출구(54)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떤 주형 바아안의 하나 이상의 공동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품을 제거하는데 실패한 것을 감지하고 이 정보를 저장하여 체인(12)의 하부 구간(16)을 지나가는 동안에 특정 지점에서 이러한 주형 바아를 뒤집도록 하는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공동(30)의 주둥이가 아래로 향하도록 주형 바아를 뒤집는 것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형 바아를 코딩(coding)하는 장치나, 후술되는 바와 같은 인덱싱 유니트(indexing unit)에 의해 간헐적으로 체인(12)이 전진하기 때문에 체인의 각 인덱스(index)를 계수하는 계수 장치(counting mechanism)는 주형 바아가 하부 구간(16)을 따라 이동하여 어떤 지점에 도달할때 롤오버 장치(rollover mechanism)를 여기시키고 작동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롤오버하는 수단은 추출 장치(36)에 의해 공동(30)으로부터 제거된 가로열 과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과자의 존재유무를 감지하도록 작동하는 가로열의 감지기 또는 감지 장치(56)로 구성된다. 감지기는 그 출력이 전자 정보 처리 유니트에 연결되며, 이어서 추출 장치(36)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과자를 갖고 있는 하나이상의 바아를 기억하게 된다.
감지 장치(56)로부터 송신된 저장 입력 신호의 출력에 반응하여 귀환 구간 또는 하부 구간(16)의 선택된 지점에 주형 비아를 뒤집기 위한 반전 수단(58)이 제공되어 있다. 반전 수단(58)은 제4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장치는 미합중국, 오하이오, 올빌리 소재의 플로-터크, 인코포레이티드(Flo-Tork,Inc.)에서 제조된 모델 A-100이다. 반전수단(58)은 출력측(62)을 180°회전시키도록 작동하는 압력 유체 작동 선형 작동 장치를 갖는 하우징(60)으로 구성된다. 축(62)에는 블럭(64)이 부착되고, 블록에는 각 체인(12)의 다른 링크를 선회하도록 상호 연결한(제5도의) 핀 고정 블럭(68)을 통과하는 슬롯(66)이 형성되어 있다. 블럭(64)에는 횡단 핑거(72) 또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하우징(60)안의 작동 장치에 의하여 연장부가 두 감지기(74,76)중 하나에 인접한 위치에 놓이도록 180°의 각도에 대응하는 원호로 회전된다. 핑거(72)로부터 변위되어 도시된 감지기(74,76)는 감지기에서 볼때 핑거(72)의 표면으로부터 약 1.6mm(1/16in)정도 떨어져 위치한다. 감지기는 핑거(72)의 표면이 미리 설정된 1.6mm의 거리 이상으로 떨어질 때마다 신호를 제공하도록 충분한 감도를 갖는다. 이때에는 통상적인 기계 작동이 중단되고 축이 언급된 180°로 요동되지 않는 사실을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적절한 비상 장치 또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체인(12)이 연속적인 주형 바아를 가지고 있으며, 각 단부상에 블럭(68)이 제공되고, 이 블록이 슬롯(66)에 끼워져서 감지 장치(56)에 의해 주형 바아를 뒤집을 것을 명령받을 때마다 하우징(60)안의 작동 장치는 주형 바아를 뒤집도록 여기되어 하나 이상의 공동(30)안에 보유된 빙과 재료를 중력에 의해 또는 고압분사 장치와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배출시킨다. 반전 수단(58)은 핑거(72)가 감지기(76)나 잠지기(74)의 어느것에 인접하든지에 블록(68)이 슬롯을 자유롭게 통과하도록 슬롯(66)을 위치시키는 동시에 뒤집는 작업이 감지기(74)로부터 감지기(76)로 또는 감지기(76)로 부터 잠지기(74)로 시작되도록 주형 바아를 뒤집는 작업을 수행한다.
홈통(42)에는 분사 비아(80)에 적절히 연결된 배출구(84)를 갖는 펌프(82)에 의해 분사 바아(80)에 공급되는 비누 또는 세정액과 혼합된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소를 형성하는 하향 오목부(78)가 형성되어 있다. 뒤집혀진 주형은 분사 바아(80)안의 오리피스 또는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로 연속적으로 세척된다. 주형이 하부 구간(16)을 따라 전진하므로써 대기 온도 상태에 의하여 서서히 표면이 녹게된다. 뒤집혀질 주형 바아가 반전 수단(58)에 도착했을때 주형 바아가 뒤집혀지고, 보유된 과자 재료는 중력에 의해 공동으로부터 빠져나와서 체인(12)의 운동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주행하는 콘베이어(86)상에 떨어져서, 과자 재료는 적절한 방법으로 처리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뒤집힌 주형 바아는 분사 바아(80)와 일치하는 위치에 위치될때 세척된다. 세척수는 저장소(78)로 귀환된다. 뒤집힌 주형 바아를 인덱스(index)한 연후에 분사 바아(80)를 지나 한끝단에 헹금대(rinsing station,88)를 설치하고, 이 헹굼대는 별도의 물 공급원에 연결된 다른 분사 바아(90)를 포함하고 뒤집힌 주형 바아의 공동안에 물을 분사시키는 노즐을 형성하여 분사 바아(80)에 의해 분사된 비누 또는 세정액의 찌꺼기를 제거한다. 헹군 물은 저장소(78)로 모여진다. 주형 바아가 타단으로 진행되었을때, 주형 바아는 소독대(92)에 도달하여 일시 정지하며, 상기 소독대는 분사 바아(94)를 형성하고 있으며 분사 바아는 분할 매니폴드의 형태로써 압력 공기원에 연결된 한 통로와 염소 또는 옥소와 혼합된 물 공급원에 연결된 다른 통로를 갖는다. 이러한 바아 매니폴드는 종래의 것이지만 이의 필수적인 작동 모오드는 한 통로가 압력 공기원에, 다른 통로가 염소나 옥소와 같은 소독 유체원에 연결하는 것을 포함한다. 압력 공기를 매니폴드의 한 부분에 유입시키고 노즐을 통해 압력 공기를 내보내는 공기밸브의 개구부는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흐름안으로 소독 유체를 혼합시킨다.
소독대(92)로부터 연속적인 주형 바아를 전진시키는 중에, 하부 구간의 통로에 다른 반전 수단(96)이 형성되고, 각 주형 바아는 반전 수단에서 순간적으로 정지하게 된다. 이때에 특정한 주형 바아가 제1반전 수단에 의해 뒤집혀질 경우에는 제2반전 수단(96)이 주형 바아를 제위치로 전환시켜 공동(30)의 주둥이가 상방으로 위치되도록 한다. 주형 바아를 뒤집는 반전 수단(96)에 신호를 보내는 것은 선택적인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작동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제어장치에서 이루어진다.
체인(12)은 스프로켓(22)을 통과하여 하부 구간(16)으로부터 상부 구간(14)으로 이동한다. 주형 바아와 공동이 스프로켓(22)을 통과할때, 홈통(42)으로 액체를 보내는 경사진 팬(98)에 의하여 주형 바아와 공동의 외부에 도포된 어떠한 액체도 주형 바아의 공동안으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팬(98)에는 상향 장벽(100)이 제공되고, 주형 바아(28)에 의한 통로의 측면 지점에는 홈통(40)으로 모여진 액체를 귀환시키는 유체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주형 바아가 상부 구간(14)에 도달하여 이를 따라 이동될 때, 연속적인 주형 바아 사이의 거리 또는 피치를 변화시키는 수단이 제공되어 상부 구간(14)으로 전위되는 구간에서는 주형 바아가 거의 단단한 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실제로 주형 바아를 상부 구간을 따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시간보다 6배 정도크다. 이는 연속적인 주형 바아가 상부 구간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에 주형 바아 사이의 피치보다 약 6배 정도 큰 피치를 갖기 때문이다. 여러가지 필요에 따라 연속적인 주형의 피치 변화를 만들 수 있다. 주어진 기계의 출력, 즉 단위 시간당 빙과의 제조를 위해서, 필요한 주형 바아의 수가 감소된다면 냉동에 필요한 시간이 감소되고, 현재 사용되는 기계는 기계 길이의 1피트당 12개의 주형 바아인데 반하여 본 발명의 기계는 기계 길이의 1피트당 단지 6개의 주형 바아를 필요로 하고, 공동의 주둥이가 항상 상방으로 위치하므로 각 회로동안에 모든 주형바아에 공동의 세척을 필요로 하지 않고, 사용된 식염수를 모두 회수하므로 식염수의 양을 충분히 절약할 수 있으며, 기계의 순환 시간을 감소시켜 현재 사용되는 기계보다 25 내지 40% 정도로 제조율을 증가시키고, 주형 공동의 외부 표면상에 식염수를 분사시키는 동시에 빙과 재료의 최대 두께부를 갖는 주형 공동의 영역에 분사시키므로써 보다 빠른 냉동이 이루어진다.
제2도에는 연속적인 주형 바아 사이의 거리 또는 피치를 변환시키는 피치 변속 수단(102)이 도시되어 있다. 화살표(26) 방향으로 스텝 형태의 체인의 전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체인(12)의 인덱싱(indexing)은 헤드 단부를 갖는 선형 작동기(104)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 단부는 도면번호 106에서 기계의 프레임에 지지된 고정 브래켓(108)에 선회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작동기(104)의 출력 로드는 스프로켓(22)이 부착된 축(24)에 키이 고정된 크랭크 아암(112)에 자유롭게 선회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포올(116)은 도면번호 118호에서 크랭크 아암(112)에 도면번호 110에서 선회되도록 연결되고, 그 자유단부에는 스프로켓(22)의 하나로부터 돌출되고 지지된 원호형 오목부 또는 포켓(120)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스프로켓(22)은 스프로켓(22)의 반경보다 적은 방사상 거리에 원주 방향으로 동일하게 간격을 형성한 4개의 핀을 설치하고 있다.
작동기(104)의 연장부상에는 포올(116)에 인접한 스프로켓(122)이 포켓(120)안에 안착되고, 작동기(104)가 연속해서 연장될때 스프로켓(122)은 90°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변위된다.
스프로켓이 90°증가로 전진하도록 하기 위하여 스프로켓(122)의 통로안에 핑거를 갖는 멈춤기구(124)를 마련한다. 멈춤기구(도시되지 않은)는 기계의 프레임 부재에 고정된 블럭(130)안의 도면번호 128에서 선회되도록 장착된 핑거(126)를 포함한다. 작동기(104)가 연장되기 전의 스프로켓(122)과 크랭크 아암(112)의 상대 위치는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스프로켓(122)의 하나는 핑거(126)의 선단에 위치한다. 또한 크랭크 아암(112)에는 연장부(132)가 형성되어 있고 연장부는 핑거(126)와 맞물려서 작동기(104)의 최대 연장범위를 설정한다. 이러한 제한 범위에 도달했을때 핑거(126)의 선단에 대하여 스프로켓(122)이 안착되는 동시에 인덱싱 운동이 개시되었을 때 핑거(126)의 선단에 인접한 스프로켓(122)은 멈춤버튼(134)에 의해 제한된 핑거의 선회 운동을 일으킨다. 인덱싱 운동이 마련되도록 작동기(104)가 다시 수축될 때 포올(116)은 도면번호 118주위를 선회하므로써 포올(116)과 맞물릴 위치에 있는 스프로켓(122)을 자유롭게 통과한다.
체인이 스프로켓(22)으로부터 상부 구간(14)쪽으로 이동하면, 고정 캠면을 마련한 피치 변속 수단(102)은 제2도 및 제3도 그리고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혀진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체인을 선택된 길이로 변화시킨다. 또한 각 연속적인 주형 바아가 상부 구간(14)으로 유입되어 위치하게 되면 상부 구간을 따른 체인의 전달은 선형 작동기(104)에 의해 중간 구동되는 한쌍의 부가적인 체인(136)에 의해 이루어진다. 기계의 프레임에 지지된 적절한 베어링안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가로축(138)상의 스프로켓(140)은 키이로 고정되고, 축(24)에 키이로 고정된 스프로켓(144)과 맞물려 있는 체인(142)에 의해 구동되어 작동기(104)에 의해 중간 구동된다. 공회전 아암 스프로켓(146)에 의해 체인(142)은 적절한 인장력이 유지되고 있다. 또한 한쌍의 스프로켓(148)은 축(142)에 키이로 고정되고, 상부 구간(14)을 따라 체인(12)을 중간 구동시킨다. 스프로켓(148)은 체인(136)을 구동시키고, 체인에는 각각 돌출 러그 수단(154)을 형성한 핀으로 상호 연결된 판)(150,152)이 형성되어 있다. 제2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70)의 외측단에 장착된 블럭(68)은 체인(12)의 구동력이 스프로켓(22)으로부터 스프로켓(148)에 전달될때 인접한 연속 러그 수단(154) 사이에 전개되고 잡혀지게 된다.
체인(12)이 스프로켓(22)으로부터 스프로켓(148)으로 나아가 진행하면 블럭(68)을 이송하는 선회 연결부 사이의 체인 링크의 선회 연결부는 아래로 내려가는 반면에, 외측 블럭(68)을 이송하는 선회 연결부는 지지레일(156)에 의해 선회 또는 접혀지는 것이 방지된다. 보다 상세히 기술하면, 양선회 연결부(157)는 경사면(162,164)의 중간부를 형성하는(제3도의) 돌출부(160)를 형성하도록 고정 캠 레일을 형성하므로써 축(138)쪽으로(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캠 레일(158)을 구비하는 전환 수단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되도록 유도된다. 선회 연결부(157)의 통로 외측인 블럭(68)을 이송하는 체인(12)의 다음 선회 연결부는 블럭(68)에 의해 미끄러지게 맞물려지는 지지 레일(156)로 구성된 지지 수단에 의해 접혀지는 것이 방지된다. 제2도의 선(6-6)에 따른 부분 단면도인 제6도에는 블럭(68)과 지지 레일(156) 그리고 캠 레일(158)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체인(12)의 선회 연결부가 아래로 유도될때 인접한 랭크가 완전히 접혀지는 바와 같이 도시된 통로는 부분적으로 스프로켓(22)의 표면의 덮개를 구성하는 판(170)의 표면(168)에 의해 나타나진다. 표면(168)은 과도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선회 연결부의 부싱 표면으로부터 적은 간격 또는 공간을 유지하도록 작용되므로, 선회 연결부(157)의 부싱과 롤링 또는 미끄럼 이동이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상황하에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어떤 예기치 못한 문제점이 일어나는 경우에, 판(70)의 표면(168)은 선회 연결부(157)에서 체인(12)이 접하도록 할 것이며 스프로켓(22)의 구동면과 다시 맞물리는 것을 방지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주형 바아(28)에는 립(171)이 형성되어 주형 바아가 체인(136,제5도에 도시됨)과 맞물릴때 주형 바아 사이의 갭은 밀폐되어 견고한 벽을 만든다.
상부 구간(14)을 따라 주형 바아가 주행하는 동안에 노즐(172)에 의해 상부 구간(14)의 전길이에 걸쳐 냉각 식염수를 분사시킨다. 노즐(172)은 종래의 고압 식염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매니폴드(174)에 연결된다. 공동(30)으로부터 떨어지는 식염수는 식염수 탱크(176)안에 모여진다. 모여진 식염수는 매니폴드(174)에 공급되기 전에 냉동 유니트에서 재순환된다. 식염수를 분사시킨 것에 관한 것은 알.제이.빌레트(R.J.Billett)의 미합중국 특허 제4,335,583호, 제4,324,108호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은 수행하는데 필요한 최선의 방법이 기술되고 설명되었지만, 이것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변형 및 수정이 가해질 수 있다.

Claims (13)

  1. 다수의 공동이 제공되었고 상부 구간(14)과 상부 구간 밑에 위치된 하부 구간(16)을 포함하는 순환궤도에서 이동가능한 주형 바아와, 상부 구간에서 빙과 재료를 각 주형 바아(28)에 채우는 충진기 수단(32)과, 빙과 재료를 냉동시키는 노즐(172)로 구성된 냉동 수단과, 냉동 빙과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제설액을 주형 바아에 입히는 제설 수단(38)과, 연속적인 주형 바아가 상부 구간(14)을 따라 이동할때 주형 바아를 서로 매우 밀접하게 하고, 하부 구간을 따라 이동할때 주형 바아를 이격된 관계에 놓이도록 피치 변속 수단(102)을 구비하는 빙과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순환 궤도는 측면으로 이격된 무단 체인(12)을 구비하고, 상기 주형 바아는 측면으로 이격된 무단 체인 사이로 연장되어 일정하게 이격된 간격으로 연결되며 교번성 핀과 부싱 연결부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측면으로 이격된 무단 체인은 순환 궤도를 따라 체인(12)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종방향으로 이격된 스프로켓(22)에 의해 구동식으로 맞물리는 부싱과 핀으로 상호 연결된 링크를 가지고, 상기 피치 변속 수단(102)은 체인(12)의 교번성 핀과 부싱 연결부를 상부 구간(14)을 포함하는 면에서 전환시키는 캠 레일(158)을 갖춘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주형 바아를 상부 구간을 따라 이동중에 서로 매우 밀접하게 유지시키는 구동 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의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 구간을 따라 이동중에 주형 바아를 서로 매우 밀접하게 유지시키는 구동 수단은 부가의 구동 무단 체인(136)에 의해 운반되고 동일하게 이격된 러그 수단(154)을 구비하고, 상기 러그 수단은 주형 바아가 장착된 이격 무단 체인(12)의 각 비전환핀과 부싱 연결부에 의해 운반되는 블럭(68)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의 제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부 구간을 따라 이동중에 주형 바아를 서로 매우 밀접하게 유지시키는 구동 수단은 주형 바아를 서로에 접촉하게 하여 벽을 형성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의 제조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 레일(158)을 갖춘 전환 수단은 체인(12)의 연속 부싱과 맞물리고 상부 구간 평면으로부터 부싱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164)인 캠 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의 제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체인이 상부 구간에 들어갈 때 교번성 핀의 전환을 방지하도록 블럭(68)과 미끄럼으로 맞물리는 지지 레일(156)을 갖춘 지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의 제조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을 따라 구동하기 이전과 주행중에 체인(12)은 인장력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의 제조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 바아에는 상부 구간을 따라 이동중에 견고한 벽을 형성하도록 인접한 주형의 에지밑에 놓은 립(171)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의 제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부 구간을 따라 체인(12)을 구동 및 접는 교번성 핀에 장착된 블럭(68)과 맞물리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의 제조 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 바아(28)는 공동(30)의 주둥이가 순환 궤도에서 이동하는 동안 상방을 향하도록 가요성 부재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의 제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하부 구간(16)의 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주형 바아를 뒤집는 반전 수단(58)과, 뒤집힌 주형 바아의 공동을 세척하기 위해 소독대(92)와 분사 바아(94)를 갖춘 분사 수단과, 그것의 주둥이가 상방을 향하고 있는 뒤집힌 주형 바아를 원위치로 귀환시키는 다른 반전 수단(9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의 제조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빙과가 공동내에 잔류될 때 신호를 발생하는 감지 장치(56)와, 주형 바아가 하부 구간의 일부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신호에 반응하여 결합된 주형 바아를 뒤집는 반전 수단(58)과, 보유된 빙과를 수용하는 콘테이너(86)를 갖춘 수용 수단과, 뒤집힌 주형 바아 내의 공동을 세척하는 분사 수단과, 주형 바아를 상방으로 향하는 최초의 위치로 귀환시키는 다른 반전 수단(9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의 제조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 바아(28)는 공동의 주둥이가 순환 궤도의 상부 구간에서 이동하는 동안 상방을 향하도록 가요성 부재인 체인(12)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제설액을 공동에 입히는 제설 수단인 공동밑에 더운 식염수를 분사하는 제설 분사 수단(50)과, 주형 바아가 상부 궤도에서 하부 궤도로 이동하거나 적어도 하부 궤도의 일부를 따라 이동할 때 공동으로부터 떨어지는 더운 식염수를 저장하는 저장소(48)와, 상기 저장소에서 제설 분사 수단(50)까지 더운 식염수를 펌핑 및 분배하는 펌프(52)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의 제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주형 바아가 하부 궤도를 향하거나 또는 이로부터 이동할때 상부 주형 바아로부터 하부 주형 비아로 식염수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팬(40,9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의 제조 장치.
KR1019850002717A 1984-04-27 1985-04-23 빙과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KR9200094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4776 1984-04-27
US06/604,776 US4576562A (en) 1984-04-27 1984-04-27 Apparatus for producing frozen confections
US604,776 1984-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194A KR850007194A (ko) 1985-12-02
KR920009466B1 true KR920009466B1 (ko) 1992-10-17

Family

ID=24420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2717A KR920009466B1 (ko) 1984-04-27 1985-04-23 빙과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576562A (ko)
EP (1) EP0159632B1 (ko)
JP (1) JPS60234550A (ko)
KR (1) KR920009466B1 (ko)
CA (1) CA1232792A (ko)
DE (1) DE3583815D1 (ko)
DK (1) DK1700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4419A (en) * 1984-03-30 1987-12-22 Nielsen A Lamont Candy dispensing apparatus
CA1262056A (en) * 1984-08-03 1989-10-03 David Norris Anderson Brine spray for frozen confection machine
GB8421291D0 (en) * 1984-08-22 1984-09-26 Archibald D W Conveyor apparatus
IT1183206B (it) * 1985-02-06 1987-10-15 Sauer Spa Impianto per produrre gelati e ghiaccioli in particolare del tipo dotato di stecco
IT1190002B (it) * 1986-06-09 1988-02-10 Sidam Srl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gelati,in particolare gelati con stecco
GB2228911A (en) * 1989-03-08 1990-09-12 Nat Res Dev Increasing the spacing between receptacles of an endless conveyor
IT1236693B (it) * 1989-11-10 1993-03-26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gelati con stecco, ghiaccioli e simili.
US5094142A (en) * 1990-10-02 1992-03-10 General Electric Company Handling system for merging ammunition rounds from multiple ammunition bays to feed a rapid-fire gun
US5108279A (en) * 1991-03-11 1992-04-28 Apv Rosista, Inc. Stick confection extraction apparatus
DE9200354U1 (ko) * 1992-01-14 1992-04-16 Schoeller Lebensmittel Gmbh & Co Kg, 8500 Nuernberg, De
GB9214427D0 (en) * 1992-07-07 1992-08-19 Air Prod & Chem Method and apparatus for freezing
DE69309036T2 (de) * 1993-03-27 1997-06-26 Frisco Findu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kleiner Eis-Süßwaren mit einem konvexen Teil
FR2799343B1 (fr) * 1999-10-08 2001-12-07 Bongrain Sa Procede de fabrication, par moulage, d'un produit laitier ou fromager
DK1610622T3 (da) * 2003-04-07 2011-10-10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Fremgangsmåde og apparat til fremstilling af iskonfekture
DE102004020193A1 (de) * 2004-04-22 2005-11-17 Linde Ag Vorrichtung zum Kühlen und/oder Gefrieren von Produkten
DE102005026639B4 (de) * 2005-06-09 2009-01-08 Khs Ag Vorrichtung zum Aufteilen, Eintakten und Gruppieren von Stückgütern
KR100769425B1 (ko) 2006-09-21 2007-10-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807699B1 (ko) * 2006-10-26 2008-02-28 이익재 아이스크림 제조장치
US7827818B2 (en) * 2008-12-30 2010-11-09 Linde Ag Conveyor belt having rotating drive shaft
CN106937694A (zh) * 2017-03-15 2017-07-11 段树军 双层冷冻区雪糕生产设备及其模具组件的生产循环方法
CN107080037A (zh) * 2017-03-15 2017-08-22 段树军 自动清洗型雪糕生产设备及其模具组件的生产循环方法
KR101967258B1 (ko) * 2018-09-07 2019-04-09 주식회사조흥기계 아이스바 제조장치
CN114992500B (zh) * 2022-07-21 2022-11-29 无锡市丹霄机械有限公司 一种冷饮速冻隧道用具有快速响应机制的光电保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519344A (en) * 1955-12-13 B. Rasmusson Marlin Confection making apparatus
CA510318A (en) * 1955-02-22 F. Eddy Robert Automatic frozen confection making apparatus
US985601A (en) * 1910-03-19 1911-02-28 William F Johnson Ice-forming apparatus.
US2166380A (en) * 1935-12-13 1939-07-18 Lamson Co Machine for making frozen confections
US2252913A (en) * 1937-06-10 1941-08-19 Alvin H Baer Congelation machine and method
US2534054A (en) * 1946-06-06 1950-12-12 Ralph C Parkes Conveyer
GB653434A (en) * 1947-06-16 1951-05-16 Ernest Raymond Carvell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veyor or transmission systems
US3031066A (en) * 1959-01-29 1962-04-24 John M Leach Swinging tray conveyors
US3031978A (en) * 1959-03-12 1962-05-01 Marlin B Rasmusson Frozen confection machine
FR1282369A (fr) * 1961-02-17 1962-01-19 Machine à fabriquer des friandises congelées
US3162297A (en) * 1961-07-07 1964-12-22 John M Leach Swinging tray conveyors
DE1174194B (de) * 1962-10-02 1964-07-16 Seitz Werke Gmbh Gefaessbehandlungsmaschine, insbesondere Flaschenreinigungsmaschine
AT273649B (de) * 1966-06-25 1969-08-25 O T E M Automatische Maschine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Speiseeisformlingen mit Stiel
US3488976A (en) * 1968-05-06 1970-01-13 Fmc Corp Frozen product machine
US3695895A (en) * 1970-10-29 1972-10-03 Fmc Corp Molding machine with spray defrost
US3763661A (en) * 1971-12-23 1973-10-09 Fmc Corp Independent mold frozen confection machine
US4171739A (en) * 1975-08-07 1979-10-23 Hiroyuki Yamato Conveyor for conveying materials through various processes
US4227606A (en) * 1979-02-27 1980-10-14 Bogatzki Hans Ulrich Apparatus for spacing articles moving in a line
US4330245A (en) * 1980-05-05 1982-05-18 Fmc Corporation Apparatus for producing frozen confections
US4425089A (en) * 1980-05-05 1984-01-10 Fmc Corporation Apparatus for extracting frozen confections
US4392803A (en) * 1980-05-05 1983-07-12 Fmc Corporation Stick confection extrac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52171B2 (ko) 1993-08-04
DK187585A (da) 1985-10-28
US4576562A (en) 1986-03-18
DE3583815D1 (de) 1991-09-26
CA1232792A (en) 1988-02-16
EP0159632A2 (en) 1985-10-30
DK170014B1 (da) 1995-05-01
JPS60234550A (ja) 1985-11-21
EP0159632A3 (en) 1987-01-07
EP0159632B1 (en) 1991-08-21
DK187585D0 (da) 1985-04-26
KR850007194A (ko) 198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9466B1 (ko) 빙과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US4330245A (en) Apparatus for producing frozen confections
US3031978A (en) Frozen confection machine
US485259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shing vehicles
US4530214A (en) Manufacture of molded frozen confections
GB2141116A (en) Apparatus for cleaning containers
US1411288A (en) Can-washing machine
JP6718187B1 (ja) 氷菓モールド冷却装置
KR910006942B1 (ko) 무한 트랙형 연속주조기계용 주형장치
US2124423A (en) Bottle washing machine
EP1029603A2 (en) Device for cleaning containers, such as bottles in particular
US2024373A (en) Bottle washing machine
JPH08308504A (ja) ステイックアイス製造のための方法と装置
JP3345116B2 (ja) 液体充填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854564B2 (ja) 氷菓製造機における氷管洗浄方法及び装置
US2051090A (en) Bottle washing machine
US1906974A (en) Bottle washing machine
US803850A (en) Bottle-washing machine.
JP3915244B2 (ja) 角型洗びん機
DK169884B1 (da) Apparat og fremgangsmåde til frysning af et væskeformigt produkt i en støbeform
JP2945251B2 (ja) チョコレート充填装置
JP4329198B2 (ja) 容器洗浄装置
JPS6144616Y2 (ko)
JPH09165114A (ja) 清掃装置を備えたバケットコンベア
JP3366629B1 (ja) 食材の払い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3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