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355B1 - 간이 음향 재생기 - Google Patents

간이 음향 재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355B1
KR920009355B1 KR1019890005324A KR890005324A KR920009355B1 KR 920009355 B1 KR920009355 B1 KR 920009355B1 KR 1019890005324 A KR1019890005324 A KR 1019890005324A KR 890005324 A KR890005324 A KR 890005324A KR 920009355 B1 KR920009355 B1 KR 920009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gear
arm
record plate
pickup
re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5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238A (ko
Inventor
에이시 고이께
세이지 오오하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오오젠
에이시 고이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오오젠, 에이시 고이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오오젠
Publication of KR900002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00Recording by mechanical cutting, deforming or pressing, e.g. of grooves or pits; Reproducing by mechanical sensing;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3/02Arrangements of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00Recording by mechanical cutting, deforming or pressing, e.g. of grooves or pits; Reproducing by mechanical sensing;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3/001Recording by mechanical cutting, deforming or pressing, e.g. of grooves or pits; Reproducing by mechanical sensing; Record carriers therefor with vibrating mechanical coupling means between pick-up element and sound producing el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4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 G11B25/043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using rotating disc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간이 음향 재생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에 따른 평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회로 배선도.
제5a, b도는 본 발명에서의 캠기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에 2의 평단면도.
제7a, b도는 본 발명에서 프리기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 1b : 샤시
1a : 하우징 1c : 간막이판
2 : 레코오드판 3 : 턴 테이블
3a : 회전축 4 : 센터기어
4a : 돌출된 이빨 5 : 토윤 아암
5a : 지지점 6 : 복귀스프링
7 : 스피이커 7a : 꼭대기 끝단면
8 : 픽업 8a : 재생침
9 : 침압 스프링 10 : 캠기구
10a : 제1의 캠부재 10b : 제2의 캠부재
11 : 센터 기어 고정부재 12 : 구동장치
13 : 탄력성 아암 21 : 모우터
22 : 구동 밸브 23 : 폴리
24 : 스프링 25 : 픽업용 창
26 : 전지 복스 27 : 스피드 콘트로울러
40 : 센터 기어 40b : 이빨
50 : 토운 아암 110 : 프리기아(Free gear)
110a : 간헐부 110b : 이빨
SW1,SW2: 전환 스위치
본 발명은, 간단하고 용이한 구조를 갖고 레코오드를 재생하는 간이 음향 재생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 침압 해제 기구를 갖는 간이 음향 재생기로써는, 일본국 특개소 61-198403호에 개시된 발명에서와 같이, 센터기어와 턴테이블 사이에 캠기구를 형성하고, 또한 토운 아암의 동작을 요동아암에 착설된 프리기어(free gear)를 개재하여, 이 캠기구를 작동시키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간이음향 재생기에 있어서는, 프리기어를 일정범위 내에서 이동시키는 요동아암을 필요로 하고, 가동부재가 다수개가 구성됨으로써 장치가 복잡하여지며, 따라서 기구도 고장나기 쉽고, 또한 조립상에도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본 장치가 연속재생을 목적으로한 장치이기 때문에, 그의 작동 빈도는 자체적으로 높고, 센터기어와 브리기어 및 프리기어와 토운 아암으로 이루어지는 2개소의 접합개소를 갖기 때문에 고장날 확률도 높아진다.
본 발명은, 종래의 간이음향 재생기의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침압 해제 기구를 간단하고 용이한 기구로함으로써 장치를 콤팩트하게 하고, 또한 내구성이 있는 간이 음향 재생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이 간편하고 용이한 간이 음향재생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피버트 착설한 레코오드판, 턴테이블 및 센터기어와, 이들 레코오드판, 텐테이블 및 센터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레코오드판의 녹음홈을 주사하는 픽업을 앞쪽 끝단에 형성하고, 이 픽업이 상기 녹음홈의 재생시착점으로 복귀하도록 힘을 가하게 되어 있는 토운 아암과, 이 토운 아암이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하게 맞닿는 스피이커와, 상기 레코오드판을 픽업으로 맞닿도록 밀어 누르는 침압 스프링과, 상기 회전축에 상기 센터 기어를 일체로 가지는 제1의 캠부재 및 제1의 캠부재에 대응하여 조합된 제2의 캠부재로 구성되는 레코오드판 후퇴용의 캠기구와를 갖는 것이 음향 재생기에 있어서, 상기 픽업이, 상기 레코오드판의 재생 종료점에 도달하면, 상기 센터기어에 맞물려서 그 회전을 정지시키는 센터기어 고정부재를 토운 아암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음향 재생기를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고 있다.
또한, 상기 센터기어 고정부재는 상기 토운 아암에 형성된 걸림부재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토운 아암에 탄력성체를 갖고서 지지하도록 하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력성체는 로드체 형상의 탄력성 아암으로서, 이 탄력성 아암과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토운 아암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코오드판은 복수개의 녹음홈을 갖고, 또한 상기 센터기어 고정부재는 상기 토운 아암에 형성된 프리기어로서, 이 프리기어는 부분적으로 이빨 앞부분이 회전방향으로 긴 간헐부를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픽업이 레코오드판의 녹음홈을 주사하여 레코오드판의 재생 종료점에 도달하면 토운 아암의 센터기어 고정부재가 센터기어의 측면에 맞닿아서, 센터기어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센터기어의 회전이 정지되면, 제1의 캠부재와 제2의 캠부재가 회전방향으로 벗어나서 전체가 신장하여 턴테이블이 밀어 내려지고, 이로써 픽업이 침압이 해제되므로, 픽업은 토운 아암에 착설된 복귀 스프링의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레코오드판의 재생 시작점으로 되돌아 간다.
또한, 상기 센터기어 고정부재를 걸림부재로 한 장치에 있어서는, 이 걸림부재가 센터기어의 이빨을 걸어서 이 회전을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를 탄력성체를 갖고서 지지하고 있는 장치에서는, 센터기어의 이빨과 이 걸림부재의 맞물림의 타이밍이 맞추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이와 같은 충격을 이 탄력성체가 흡수하여 토운 아암에 진동을 가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탄력성체를 로드체위의 탄력성 아암으로 하고, 상기 걸림부재와 함께 상기 토운 아암과 일체로 형성하면, 본 장치의 제조공정을 간단하게 할 수가 있고, 또한 이 걸림부재 및 탄력성 아암이 토운 아암에서 이탈하기 어려운 내구성이 있는 장치를 구성할 수가 있다.
또한, 센터기어 고정장치로서 프리기어를 사용한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센터기어와 이 프리기어가 맞물림한 초기에는, 양쪽은 연동회전을 하지만, 이 프리기어의 이빨의 간헐부가 이 맞물림부에 도달하면 센터기어의 이빨은 맞물림하는 상대를 잃어버려서 센터기어는 그 회전을 정지한다.
또한, 본 방치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녹음홈을 가진 레코오드판의 정지위치를 높은 우연성을 갖고 결정할 수가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1)은 샤시(1b), 하우징(1a), 중간층 간막이판(1c)으로 구성된다.
샤시(1b)는 속이 비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레코오드판(2) 및 턴테이블(3)을 포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샤시(1b)의 중공부를 막도록 중간층 간막이판(1c)이 접합된다.
턴테이블(3)은 이들 샤시(1b)와 중간층 간막이판(1c)에 의하여 이 회전축의 연장방향으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피버트 지지되어 있다.
턴테이블(3)의 윗면에는, 중심을 동일축으로 하도록 복수개의 녹음홈을 갖는 레코오드판(2)이 고정부착되어 있다.
이 레코오드판(2)에는, 그의 둘레부를 재생 시작점으로 하고, 그의 중심부를 재생종료점으로 하는 복수개의 녹음홈이 되어 있고, 복수음의 재생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턴테이블(3)의 회전축(3a)에는, 링형상을 갖고, 또한 바깥둘레에 복수개의 돌출된 이빨(4a)을 형성하고 있는 센터기어(4)를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끼워져 있다.
턴테이블(3)과 센터기어(4)와의 사이에는 캠기구(10)를 형성하고 있다.
캠기구(10)는, 센터기어(4)의 하부에 이것과 일체로 형성된 제1의 캠부재(10a)와 턴테이블(2)의 중심부의 상부에 형성된 제2의 캠부재(10b)로 구성된다.
또한, 턴테이블(3)의 아래면에는 이 턴테이블(3)을 윗쪽으로 힘을 가하는 침압 스프링(9)이 설치되고, 또한 센터기어(4)의 상부에는 이것을 아래쪽을 밀어 내려서 제1의 캠부재(10a)와 제2의 캠부재(10b)와의 축방향의 조합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캠 안전용 스프링(24)를 설치하고 있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중간층 간막이판(1c)위에는, 앞쪽끝단에 픽업(8)을 한쪽 끝단에 형성하고 있는 토운 아암(5)이 다른쪽 끝단을 피버트 착설하여서 선회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토운 아암(5)의 턴테이블(3)의 회전축(3a) 방향측면에는, 토운 아암(5)이 회전축(3a)에 근접하였을 때에 상기 센터기어(4)의 돌출된 이빨(4a)과 맞물림하는 위치에, 센터기어 고정부재(11)인 걸림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부재(11)는 탄력성체인 토운 아암(5)과 일체로 형성되고, 그 측면에서 분기하고 있는 로드체인 탄력성 아암(13)의 자유로운 앞쪽 끝단에 형성되어 있다.
센터기어(4)의 돌출된 이빨(4a)과 토운 아암(5)에 형성된 걸림부재(11)의 형상은 제2도에 나타낸 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적당한 것을 선택할 수가 있다.
또한, 이 토운 아암(5)과 중간층 간막이판(1c) 사이에는, 상기 토운 아암(5)의 피버트 지지점(5a)에 감은 상태에서 복귀 스프링(6)이 가설(架設)되어서, 토운 아암(5)은 항상 레코오드판(2) 및 턴테이블(3)의 재생시작점의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 있다.
또한, 토운 아암(5)의 앞쪽 끝단부에 맞닿는 위치에 구동장치(12)의 스위치(SW2)가 설치되어 있고, 픽업(8)이 재생시작점에 있을 때에는, 이것이 스위치 사이를 밀어 벌려서 이 스위치(SW2)를 오프상태로 하고 있다.
중간층 간막이판(1c)에는, 상기 픽업(8)이 토운 아암(5)에 의하여 선회이동하는 궤적을 따라 픽업용창(25)이 개구되어 있다.
픽업(8)의 앞쪽 끝단에 고정되어 있는 재생침(8a)은 이 픽업용 창(25)를 통하여 레코오드판(2)의 윗면에 맞닿는다.
즉, 턴테이블(3)의 상기의 침압스프링(9)에 의하여 평상시에는 재생침(8a)을 밀어 누르고 있는 것이어서, 픽업(8)에는 항상 침압이 걸린 상태로 되어 있다.
하우징(1a)도,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층 간막이판(1c)의 하부의 돌출물을 내부에서 포위하도록 샤시(1a)에 접합되어 있다.
하우징(1a)에는, 원추대 형상의 스피이커(7)가 고정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피이커(7)의 원추 꼭대기 끝단부는, 수평으로 평활한 꼭대기 끝단면(7a)을 구성하고 있고, 하우징(1a)을 샤시(1b)에 가설한 상태에서는, 토운 아암(5)이 그의 꼭대기 끝단면(7a)에 슬라이드 접촉되고 있다.
구동장치(12)는, 모우터(21), 구동밸브(22) 및 폴리(23)로 구성된다. 샤시(1b)의 한쪽끝단에, 모우터(21)가 설치되어 있고, 이 모우터(21)의 회전축과 턴테이블(5)의 측면과의 사이에는 폴리(23)을 개재하여 구동밸트(22)가 감겨져 있다.
또한, 샤시(1b)의 모우터(21) 측면부에는, 전지복스(26)가 형성되어 있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장치의 외부면에는 가변저항을 사용한, 구동장치(12)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스피드 콘트로울러(27)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1)의 회로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즉, 전지복스(26)와 모우터(21)와의 사이의 회로는, 외부에 형성된 스위치(SW1)와 상기한 토운 아암(5)의 동작에 연동하여 전환되는 스위치(SW2)와의 병렬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작동을 설명한다.
외부에 설치한 스위치(SW1)를 수동에 의하여 온 상태로 함으로써, 구동장치(12)를 시동시키고, 이로써 턴테이블(3), 레코오드판(2)을 회전시켜서 레코오드판의 재생을 개시한다.
픽업(8)이 레코오드판(2) 표면의 녹음홈을 주사하여 재생이 진행됨에 따라 토운 아암(5)이 레코오드판(2) 위의 재생 종료점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면, 픽업(8)이 스위치(SW2)로 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이 스위치가 접속되므로, 스위치(SW1)에서 손을 떼어도 모우터(21)에로의 통전은 유지된다.
즉, 스위치(SW1)를 짧은 시간 동안 온 상태로 하는 것만으로 스위치(SW2)도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어서, 그후에 스위치(SW1)를 전환하여도 장치는 재생의 작동을 계속하게 된다.
제5도의 (a), (b)는 캠기구(1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레코오드판의 재생이 종료된 무렵이면, 토운 아암(5)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재(11)가 센터기어(4)에 맞닿아서 센터기어(4)의 돌출된 이빨(4a)에 맞물린다.
그 시점까지는, 턴테이블(3)과 동조하여 회전하고 있던 센터기어(4)는 걸림부재(11)에 의하여 회전을 정지시키고 있으나, 한편, 턴테이블(3)은 여전히 회전을 계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양쪽의 각각에 형성된 제1의 캠부재(10a)와 제2의 캠부재(10b)와의 사이에 비틀림을 발생하고, 제1의 캠부재(10a)가 제2의 캠부재(10b)위에 올라타기 때문에, 이 캠기구(10)는 신장하여 턴테이블(3)을 침압 스프링(8)의 가하는 힘에 저항하여 밀어 내린다.
이것에 의하여, 픽업(8)에 걸려 있는 침압은 해제되고, 레코오드판(2)의 윗면과의 맞물림이 해제되어서, 복귀 스프링(6)의 가하는 힘에 의하여 토운 아암(5)은 레코오드판의 재생 시작점으로 복귀한다.
이때에,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운 아암(5) 앞쪽 끝단의 픽업(8)은, 다시 스위치(SW2)의 접점을 밀어 벌려서 스위치를 전환하여, 구동장치(12)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픽업(8)이 재생종료점을 떠나면, 센터기어(4)의 회전의 구속이 해제된다.
이로써, 캠 안전용 스프링(24)의 가하는 힘을 받고 있는 제1의 캠부재(10a)는, 제2의 캠부재(10b)의 캠면에서 비틀림을 되돌려서 캠기구(10)의 길이를 단축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턴테이블(3)은 침압 스프링(8)의 가하는 힘에 의하여 상승하고, 다시 픽업(8)에 침압이 가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일련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몇번이라도 연속하여 레코오드판의 재생이 가능하다.
또한, 센터기어(4)의 돌출된 이빨(4a)과 걸림부재(11)가 맞물림하는 시점에서, 센터기어(4)의 회전과 걸림부재(11)와의 진행타이밍이 맞지않아 양쪽이 간섭을 일으키더라도, 그의 충격은 탄력성 아암(13)이 흡수함으로써 걸림부재(11) 더우기는 재생침(8a)에 의한 레코오드판의 녹음홈의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장치의 토운 아암(50)은, 센터기어 고정부재(110)로서, 걸림부재에 대신하여 프리기어를 갖고 있다.
이 프리기어(110)는, 그의 바깥둘레에 일정간격 만큼 이빨(110b)의 절결이 없는 간헐부(110a)를 갖는 기어로서, 토운 아암(5)의 앞쪽 끝단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2의 센터기어(40)의 바깥둘레에는, 상기 프리기어(110)의 이빨(110b)에 합치하는 이빨(40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이 센터기어(40)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 제2캠부재(10a), (10b)으로 되는 캠기구(10)를 가지고 있다.
그밖의 구조의 설명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제7도의 (a), (b)는 프리기어(11)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레코오드판의 재생이 종료되어 토운아암(50)이 턴테이블(3)의 회전축(3b)에 접근하면 프리기어(110)가 센터기어(40)의 이빨(40b)에 맞물린다.
초기에는, 프리기어(110)와 센터기어(40)의 각각의 이빨(110b), (40b)이 맞물려서 프리기어(110)가 회전한다.
그러나, 프리기어(110)의 절결부(110a)가 양쪽의 이맞물림부에 도달하면 센터기어(40)의 이빨(40b)은 맞물림하는 상태를 잃어 버려 정지함으로써 센터기어와 일체로 제1캠부재(10a)는 회전을 정지하여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작동에 의하여 캠기어(10)가 신장한다.
여기에서, 프리기어(110)의 간헐부(110a)의 위치는 우연성에 좌우되는 것이어서, 레코오드판(2)의 정지위치도 랜덤(random)하게 되어서, 픽업(8)과 복수개의 녹음홈의 재생 시작점과의 위치관계도 다양하게 된다.
이로써, 실시예 2의 장치에 의하면, 극히 우연성이 높은 레코오드판 재생의 선택을 행할 수가 있다.
그 밖의 작동에 대하여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에 의하면, 센터기어와 토운 아암에 형성한 센터기어 고정부재에 의하여 캠기구를 작동시키는 침압해제 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어서, 구성부재를 최소한도로 줄임으로써, 콤펙트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또한 조립이 용이한 간이 음향 재생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의하면, 센터기어의 회전의 정지를 단순한 방법을 갖고서 행할 수가 있으므로 기구상, 작동을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의하면, 센터기어 고정부재인 걸림부재와 센터기어와의 이 맞물림시의 충격을 토운 아암에 전달하지 않은 것이어서, 레코오드판의 녹음홈 및 픽업의 재생침을 손상하지 않는 구조의 장치로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토운 아암, 탄성체, 및 걸림부재를 동시에 형성할 수가 있는 것이어서, 이들의 제조과정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할 수가 있고, 또한 이들의 접합 강도를 높게 하여, 보다 더 내구성이 우수한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의하면, 레코오드판의 정지위치를 보다 더 우연성을 갖고 결정할 수가 있는 것이어서, 레코오드판에 복수개의 녹음홈이 파여 있는 것만으로도, 랜덤한 레코오드판 재생을 즐길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회전축(3a)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피버트 지지한 레코오드판(2), 턴테이블(3) 및 센터기어(4)와, 이들 레코오드판(2), 턴테이블(3) 및 센터기어(4)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12)와, 상기 레코오드판(2)의 녹음홈을 주사하는 픽업(8)을 앞쪽 끝단에 형성하고, 이 픽업(8)이 상기 녹음홈의 재생 종료점에서 부터 재생시작점으로 복귀하도록 힘을 가하고 있는 토운 아암(5)과, 이 토운 아암(5)이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하게 맞닿는 스피이커(7)와, 상기 레코오드판(2)을 픽업(8)에 맞닿도록 밀어누르는 침압 스프링(9)과, 상기 회전축(3a)에 상기 센터기어(4)를 일체로 가지는 제1의 캠부재(10a), 및 이 제1의 캠부재(10a)에 대응하여 조합된 제2의 캠부재(10b)로 구성되는 레코오드판 후퇴용의 캠기구(10)와를 갖는 간이 음향 재생기에 있어서, 상기 토운 아암(5)의 픽업(8)이, 상기 레코오드판(2)의 재생종료점에 도달하면, 상기 센터기어(4)에 맞물려서 그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센터기어 고정부재(11)를 토운 아암(5)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음향 재생기.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부재(11)는 상기 토운 아암(5)에 탄력성체를 갖고 지지되어 있는 간이 음향 재생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코오드판(2)은 복수개의 녹음홈을 갖고, 또한 상기 센터기어 고정부재(11)는 상기 토운 아암(5)에 형성된 프리기어(110)로서, 이 프리기어(110)는 부분적으로 이빨 앞부분이 회전방향으로 긴 간헐부(110a)를 갖는 것인 간이 음향 재생기.
KR1019890005324A 1988-07-30 1989-04-22 간이 음향 재생기 KR9200093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539 1980-07-18
JP1988101539U JPH0713041Y2 (ja) 1988-07-30 1988-07-30 簡易音響再生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238A KR900002238A (ko) 1990-02-28
KR920009355B1 true KR920009355B1 (ko) 1992-10-15

Family

ID=14303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5324A KR920009355B1 (ko) 1988-07-30 1989-04-22 간이 음향 재생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03442A (ko)
JP (1) JPH0713041Y2 (ko)
KR (1) KR920009355B1 (ko)
CN (1) CN1021159C (ko)
GB (1) GB22213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7511A (en) * 1990-04-20 1993-09-21 Ozen Corporation Compact sound record playing apparatus
JPH0756682B2 (ja) * 1990-04-20 1995-06-14 株式会社オーゼン 薄型レコード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4211A (en) * 1972-05-30 1974-01-08 Mattel Inc Phonograph for playing stationary record
JPS59139102A (ja) * 1983-01-27 1984-08-09 Ozen Corp 簡易録音再生機
US4510590A (en) * 1983-06-06 1985-04-09 Mattel, Inc. Pull string inertial voice unit
JPS6047201A (ja) * 1983-08-26 1985-03-14 Ozen Corp 簡易連続音響再生機
JPS61198403A (ja) * 1985-02-28 1986-09-02 Ozen Corp ランダム選択再生方式簡易音響再生機
US4680747A (en) * 1985-11-07 1987-07-14 Blake Joseph W Iii Multi-message phonograph system
JPS63168801A (ja) * 1986-12-29 1988-07-12 Ozen Corp 再生針・レコ−ド盤衝突防止装置を備えた簡易音響再生機
JPH0441441Y2 (ko) * 1987-04-30 1992-09-29
JPS6414701A (en) * 1987-07-08 1989-01-18 Ozen Corp Acoustic reproducing machine for record disk having plural sound recording groo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103442A (en) 1992-04-07
CN1021159C (zh) 1993-06-09
CN1042261A (zh) 1990-05-16
JPH0226101U (ko) 1990-02-21
GB8914594D0 (en) 1989-08-16
KR900002238A (ko) 1990-02-28
GB2221339A (en) 1990-01-31
JPH0713041Y2 (ja) 1995-03-29
GB2221339B (en) 1992-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205383A (ja) コンパクトディスクプレーヤ
KR920009355B1 (ko) 간이 음향 재생기
KR870001575A (ko) 복수의 녹음을 재생할수 있는 간이음향재생기
US5563857A (en) Disc changer having a single driving motor for both a tray and a roulette
KR890004236B1 (ko) 램덤선택재생방식 간이음향재생기
KR890004235B1 (ko) 녹음내용에 따른 복수의 외부출력축을 가진 간이음향 재생기
KR900003690B1 (ko) 복수의 레코오드판을 사용할 수 있는 간이음향 재생기
EP0822549B1 (en) Disk player
JPH0316681B2 (ko)
JPH0364921B2 (ko)
KR920008474B1 (ko) 레코오드 재생장치
US5138602A (en) Sound record playing apparatus having shock responsive weight member to actuate the same
JPS582428B2 (ja) キロクサイセイソウチノソウサタイクドウソウチ
JPH0474761B2 (ko)
WO1999023654A1 (en) Cd changer with a driving mechanism operated by a single driving source
JP3403369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S61198401A (ja) 録音内容に応じた複数の外部出力軸を有する簡易音響再生機
JPH0222850Y2 (ko)
JPH0621063Y2 (ja) テ−プ走行装置におけるピンチロ−ラ駆動装置
KR100312675B1 (ko)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의 헤드 슬라이더 간격 유지장치
JP3026983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KR19990062380A (ko) 디스크재생기의디스크반송장치
KR0141276B1 (ko) 콤팩트디스크체인저의 디스크척킹장치
JPS59135659A (ja) 光学式デイスクレコ−ド再生装置
WO2001045100A1 (fr) Dispositif de disque compati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0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