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157B1 - 광학기판의 5층 반사방지막 - Google Patents

광학기판의 5층 반사방지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157B1
KR920009157B1 KR1019870015728A KR870015728A KR920009157B1 KR 920009157 B1 KR920009157 B1 KR 920009157B1 KR 1019870015728 A KR1019870015728 A KR 1019870015728A KR 870015728 A KR870015728 A KR 870015728A KR 920009157 B1 KR920009157 B1 KR 920009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fractive index
thickness
film
lay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5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595A (ko
Inventor
장요셉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70015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9157B1/ko
Publication of KR890010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02B1/115Multi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ther inorganic material
    • C03C17/23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411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with at least two coatings of inorganic materials
    • C03C17/3429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with at least two coatings of inorganic materials at least one of the coatings being a non-oxide coating
    • C03C17/3447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with at least two coatings of inorganic materials at least one of the coatings being a non-oxide coating comprising a halide
    • C03C17/345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with at least two coatings of inorganic materials at least one of the coatings being a non-oxide coating comprising a halide comprising a fluor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학기판의 5층 반사방지막
제1도는 종래 광학기판의 3층 반사방지막을 보인 측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 광학기판의 5층 반사방지막을 보인 측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 광학기판의 5층반사방지막과 종래 광학기판의 3층 반사방지막과의 분광반사율을 비교한 파형도로서,
제3a도는 광학기판의 굴절율이 1.52인 경우를 나타낸 파형도.
제3b도는 광학기판의 굴절율이 1.59인 경우를 나타낸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리기판 2 : 제1층막
3 : 제2층막 4 : 제3층막
5 : 제4층막 6 : 제5층막
λο : 파장
본 발명은 카메라렌즈, 안경렌즈, 쌍안경렌즈의 공학부품에 사용되는 광학기판의 5층 반사방지막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굴절율이 1.5-1.6 정도 사이의 광학기판에 5층의 반사방지막을 진공중착함으로써 가시광선영역의 표면반사를 감소시킬수 있도록 한 광학기판의 5층 방지막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학기판의 반사방지막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광학기판(1)상에 중간굴절율 물질인 불화세륨(CeF3), 산화알루미늄(Al2O3)등으로한
Figure kpo00001
파장의 막두께인 제1층막과 고굴절율 물질인 산화지르콘늄(ZrO2), 산화티탄(TiO2)등으로한
Figure kpo00002
파장의 막두께인 제2층막, 저굴절율 물질인 불화마그네슘(MgF2), 산화실리콘(SiO2)등으로한
Figure kpo00003
파장의 막두께인 제2층막, 저굴절율 물질인 불화마그네슘(MgF2), 산화실리콘(SiO2) 등으로한
Figure kpo00004
파장의 막두께인 제3층막을 차례로 진공중착하여서된 것으로 이와같이 제조된 반사방지막은 박막의 막강도가 약산 결점이 있어 제1층막의 불화세륨(CeF3)대신 산화알루미늄(Al2O3)을 사용하여 이를 개선하였지만 제2층박막의 산화지르콘늄(ZrO2)중착에 있어 막의 두께가 증가됨에 따라 박막의 굴절율이 변하여 파장(λο)에서 피크반사율이 증가되는 결점이 남게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제2층막 물질인 산화지르콘늄(ZrO2) 대신에 산화지르콘늄(ZrO2)과 산화티탄(TiO2)의 혼합물을 사용하거나 불화마그네슘(MgF2)과 산화세륨(CrO2)을 포함하는 등가막방법이 사용되었으나 이 또한 막두께조절이 어렵고 막두께의 변화에 따라 반사율이 크게 변화하는 단점이 있으며 혼합물을 사용할 경우 설계 파장(λο)에서 피크반사율이 높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굴절율 1.5-1.6정도의 광학기판상에 5층의 반사방지막을 진공중착하여 형성한 것으로 1층막은 굴절율 1.60-1.70인 산화알루미늄(Al2O3)을 0.25λο의 두께로, 2층막은 굴절율 1.90-2.20인 산화지르콘늄(ZrO2)을 0.125-0.25λο의 두께로, 3층막은 굴절율 2.20-2.50인 산화티탄(TiO2)을 0-0.125λο의 두께로, 제4층막은 굴절율 1.90-2.20인 산화지르콘늄(ZrO2)을 0.25λο의 두께로, 제5층막은 굴절율 1.30-1.45인 불화마그네슘(MgF2)을 0.25λο의 두께로 차례로 형성하되 상기 2층막 내지 4층막까지의 두께는 0.5λο로 하여 박막의 불균질성에 의한 굴절율 변화를 방지할수 있고 설계파장에서 피크반사율을 감소시켜 가시광선 영역의 표면반사를 감소시킬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표1에 도시한 바와같이 광학기판(1)상에 중착되는 반사방지막인 제1층막(2)은 굴절율 1.64인 산화알루미늄(Al2O3)을 0.25λο 두께로 하고 제2층막(3)은 굴절율 2.05인 산화지르콘늄(ZrO2)을 0.125-0.25λο 두께로 하며 제3층막(4)은 굴절율 2.40인 산화티탄(TiO2)을 0-0.125λο 두께로 하고 제4층막(5)은 굴절율 2.05인 산화지르콘늄(ZrO2)을 0.25λο두께로 하며 제5층막(6)은 굴절율 1.39인 불화마그네슘(MgF2)을 0.25λο 두께로 하여 상기 광학기판(1)상에 제2도에 도시한 차례로 진공중착하여서 된 것으로,
[표 1]
Figure kpo00005
상기와 같이 중착하여서된 본 발명과 종래의 방법과의 수직 입사하는 광선의 분광반사율 특성을 비교하여 본 결과 광학기판(1)의 굴절율 ng=1.52인 경우에 반사율(%)을 살펴보면 종래의 발명인 (A)(B)의 조성은 파장 400-700에 걸쳐 거의 0.3-1.0의 범위내에서 계속 반사됨을 보인 반면 본 발명인 (C)의 조성은 그보다 낮은 반사율을 나타냈으며 특히 파장 600에서는 거의 반사되지 않음을 보였다.
또한 광학기판(1)의 굴절을 ng=1.59인 경우에 반사율(%)을 살펴보면 이것 역시 종래의 발명인 (A)(B)의 경우 파장 400-700에 걸쳐 거의 0.3%-1.0%의 범위 내에서 계속 반사됨을 보인 반면 본 발명인 (C)의 조성은 파장 430(㎚) 정도에서 거의 반사되지 않았고 파장 600(㎚)정도에서 역시 반사되지 않았으며 대체적으로 반사율이 종래의 발명에 비하여 낮게 나타나 보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광학기판상에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지르콘늄(ZrO2), 산화티탄(TiO2), 산화지르콘늄(ZrO2), 불화마그네슘(MgF2)을 차례로 중착하되 산화지르콘늄(ZrO2), 산화티탄(TiO2), 산화지르콘늄(ZrO2)의 두께를 종래의 2층막인 산화지르콘늄(ZrO2)의 두께와 같게 형성하므로서 종래의 산화지르콘늄(ZrO2)에서 발생되는 박막의 불균질성이 발생하여 파장(λο)에서 피크반사율을 감소시키고 저 반사영역의 파장범위가 넓어지므로 우수한 성능의 반사방지막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산화지르콘늄(ZrO2)층에 불화마그네슘(MgF2)막을 삽입시킨 종래의 다층막보다 제조공정이 간편해지며 막두께제어에 있어 다소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반사방지막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아울러 전체층에서 광학적 특성이 양호하고 내습성이 우수한 물질을 사용하여 공기에 접하는 제5층막에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불화마그네슘(MgF2)을 사용하였고 광학기판과의 접하는 제1층에는 내마모성과 밀착성이 좋은 산화알루미늄(Al2O3)을 사용하므로서 반사방지막 전체에 있어서 내마모성, 밀착성, 내습성이 뛰어나고 기계적, 화학적 내구성이 우수하고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반사방지막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광학기판(1)상에 굴절율 1.60-1.70인 산화알루미늄(Al2O3)을 0.25λο두께로 제1층막(2)을 형성하고, 이에 굴절율 1.90-2.20인 산화지르콘늄(ZrO2)을 0.125-0.25λο두께로 제2층막(3)을 형성하며, 제3층막(4)은 굴절율 2.20-2.50인 산화티탄(TiO2)을 0-0.125λο두께로, 제4층막(5)은 굴절율 1.90-2.20인 산화지르콘늄(ZrO2)을 0.25λο두께로, 제5층막(6)을 굴절율 1.30-1.45인 불화마그네슘(MgF2)을 0.25λο두께로 각각 차례로 진공중착하여서된 광학기판의 5층반사방지막.
  2. 제1항에 있어서, 제2층막 내지 제4층막까지의 두께가 0.50λ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판의 5층반사 방지막.
KR1019870015728A 1987-12-31 1987-12-31 광학기판의 5층 반사방지막 KR920009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5728A KR920009157B1 (ko) 1987-12-31 1987-12-31 광학기판의 5층 반사방지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5728A KR920009157B1 (ko) 1987-12-31 1987-12-31 광학기판의 5층 반사방지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595A KR890010595A (ko) 1989-08-09
KR920009157B1 true KR920009157B1 (ko) 1992-10-14

Family

ID=19267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5728A KR920009157B1 (ko) 1987-12-31 1987-12-31 광학기판의 5층 반사방지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91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064B1 (ko) * 2019-12-19 2020-04-08 주식회사 헤펙 방폭등용 조명 유리 커버 적층체 및 그에 따른 적층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805B1 (ko) * 1995-06-30 2003-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변조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064B1 (ko) * 2019-12-19 2020-04-08 주식회사 헤펙 방폭등용 조명 유리 커버 적층체 및 그에 따른 적층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595A (ko) 1989-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4467A (en) Multi-layered anti-reflection coating
US6589657B2 (en) Anti-reflection coatings and associated methods
US4461532A (en) Heat rays reflecting film
KR100483679B1 (ko) 반사방지막을 갖는 광학부재
US4189205A (en) Coated copper reflector
US5460888A (en) Multi-layered optical film
US4313647A (en) Nonreflective coating
JPS56138701A (en) Antireflection film
JPH05503372A (ja) D.c.反応性スパッタリングされた反射防止被覆
JPH03109503A (ja) プラスチック製光学部品の反射防止膜とその形成方法
CN107422402A (zh) 一种耐划伤透明膜及其制备方法
KR920009157B1 (ko) 광학기판의 5층 반사방지막
JPS6135521B2 (ko)
JPH0679092B2 (ja) 着色鏡
JPS5498257A (en) Aspherical antireflection film
JPS6177002A (ja) 光反射防止膜
JP2566634B2 (ja) 多層反射防止膜
JPS61159602A (ja) 多層反射防止膜
JPS61219004A (ja) 多層膜反射鏡
JP3550894B2 (ja) 反射防止膜
KR20200026818A (ko) 내구성 개선을 위한 나노-라미네이트를 가진 광학 코팅
JPH02291502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用多層反射防止膜
JPH03116101A (ja) 合成樹脂製光学物品の反射防止膜
RU2124223C1 (ru) Интерференционное покрытие
JPS6381404A (ja) 合成樹脂製光学部品の反射防止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