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065B1 - 시간순차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시간순차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065B1
KR920009065B1 KR1019840005513A KR840005513A KR920009065B1 KR 920009065 B1 KR920009065 B1 KR 920009065B1 KR 1019840005513 A KR1019840005513 A KR 1019840005513A KR 840005513 A KR840005513 A KR 840005513A KR 920009065 B1 KR920009065 B1 KR 920009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ime
mark
signals
pul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5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2368A (ko
Inventor
가이거 에리히
하르트 오토 베른
카아덴 율겐
Original Assignee
도이체톰손 브란트 게엠베하
롤프-디터 베르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이체톰손 브란트 게엠베하, 롤프-디터 베르거 filed Critical 도이체톰손 브란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850002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3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character cod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1/00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11/06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 H04N11/08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using sequential signal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equentially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Reduction Or Emphasis Of Bandwidth Of Signal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시간순차 전송방법
제1도는 기록 및 재생에 대한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회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3도는 기록측을 확대한 블록회로도.
제4도는 재생측을 확대한 블록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6 : 가산기 3, 7 : 시간 압축기
4, 14 : 전환스위치 11, 23 : 펄스단
12, 13 : 마크펄스 8, 15 : 타임플렉스 시간제어회로
16, 17 : 메모리 21, 22:블랭킹단
25 : 동기분리단 26, 30, 35 : 계수기
27 : 게이트펄스 28, 29 : 게이트
20, 31 : 비교기 34 : 저역필터
본 발명은 송신측에서 제1신호와 제2신호를 시간적으로 압축하여 시간순차적으로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다시 시간적으로 신장하는 시간순차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기 테이프장치를 가지고 컬러 TV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 휘도신호는 영상반송파의 주파수변조에 의하여 기록되고 색신호는 영상반송파가 점유하고 있는 주파수 스펙트럼의 하부에 있는 색부 반송파에 의해서 기록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radio mentor elektronik 1973년, 343-345페이지).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4.43MHz의 직각 변조된 색부반송파의 주파수는 0.63MHz의 값으로 저역변환되고 재생시에는 다시 상응하게 4.43MHz의 값으로 역변환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록방식은 기록반송파의 비선형성으로 인하여 휘도신호와 색부반송파 사이에 크로스토크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색부반송파로 인한 휘도신호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색부반송파의 진폭이 영상반송파의 진폭에 비해 현저하게 저함됨으로써 색 재생시 SN 비가 감소되어야 한다.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시간적으로 압축시켜, 주사선 지속시간동안 시간적으로 순차 기록하고 재생시 시간적으로 신장시켜 다시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역시 공지되어 있다(독일특허 제20 56 684호). 이경우에 색신호는 예를 들면 수평 주사기간의 약 20%를 그리고 휘도신호는 80%를 차지한다. 상기의 해결방법에서 휘도신호와 색신호는 결코 동시에가 아니고 시간적으로 순차 기록되어지기 때문에 이들 신호들 사이의 크로스토크가 확실히 방지된다. 또한 2개의 신호에 대한 기록반송파의 출력제어범위(다이내믹 레인지)가 완전히 이용되어질 수 있다.
"타임플렉스"로 공지된 상기 형식의 기록방법(Fernseh-und Kino-Technik 1983, No.5, 187-196페이지)에서는 교대로 하나의 주사선에서 수평동기펄스뒤에 먼저 시간압축된 색차신호(B-Y)가 그리고 이어서 시간압축된 휘도신호 Y가 전송되며, 다음 주사선에서는 먼저 시간압축된 색차신호(R-Y)가 그리고 시간압축된 휘도신호 Y가 전송된다. 이 경우 기록시의 시간압축과 재생시의 시간 신장은, 신호가 제1클록에 의해 독입되고, 시간압축 또는 시간 신장에 상응하게 다른 또하나의 클록에 의해 다시 독출되는, 타이밍 제어된 메모리에 의해 행해진다.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재생시 각각 하나의 주사성에서 색차신호와 휘도신호가 다시 수평주사기간의 길이로 신장되어 동시에 화상재생에 대해 이용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 재생시 휘도신호와 색차신호사이에 시간에 어긋남이 생기고 이것에 의해 색 재생의 질적저하가 야기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2개의 신호사이의1μs 만큼의 어긋남은 65cm의 대각선 화면을 가진 스크린에서는 이미10mm 어긋남을 의미하며 이로인하여 특히 수직에지에서 심한 색의 어긋남이 일어날 수가 있다.
또한, 시간적으로 압축된 신호들의 시간순차 전송에 있어서, 재생시 2개의 신호사이에 위상차, 진폭차 또는 그룹지연시간차와 같은 또다른 오차가 나타날 수가 있다.
재생에 필요한 2개의 신호, 예컨대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가 서로 올바른 관계를 가지도록 특히, 시간적으로 일치하며 적당한 진폭비를 가지도록 재생회로를 조정설정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다른 재생장치로 재생하는 경우 또는 기록장치에서 재기록한 후에는 상기의 일치가 더 이상 보장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생시 2개의 신호사이의 상기 편차, 특히 시간위치, 진폭 및 위상에 대한 편차가 피하여지도록 전술한 시간순차 전송방법을 개선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송신측에서, 서로 일정관계에 있는 마크신호들을 발생시켜 일정시점에서 제1신호 및 제2신호에 각각 가산하는 단계, 및 수신측에서 상기 마크신호의 비교에 의해 제1신호 또는 제2신호의 시간적 위치를 보정하기위한 보정신호를 얻는 단계로 이루어진 시간순차 전송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인식을 기초로 하고 있다. 송신측에서, 2개의 신호통로에 부가되는 2개의 마크신호는 특히, 시간위치 및 진폭에 있어 서로 일정관계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사용되는 2개의 마크신호는 동일하며, 이로인해 예컨대, 일정시점에서 제1신호가 그 고유의 신호통로에 부가해서 제2신호의 신호통로를 통과하게 할 수 있다. 시간압축, 전송 및 신간 신장시 나타나는 모든 오차는 마크신호에도 작용하므로 마크신호들은 예컨대, 재생시 서로 시간적 어긋남을 갖는다. 즉, 수신측에서 마크신호를 비교함으로써, 전송시에 발생되는 오차를 나타내는 보정신호가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보정신호로 수신측의 제1신호 또는 제2신호에 영향을 줌으로써 발생된 오차가 제거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소위타임플렉스-기록방식에 의한 컬러 TV 신호의 전송 또는 기록에 특히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다음의 구상과 인식으로부터 시작된다:
재생시 시간신장에 있어서 모든 펄스는 수평동기펄스의 상승에지(leading edge)에 의존한다. 휘도신호와 동기신호에 대한 압축계수가 동일하므로, 재생시 비디오 레코더에서 허용오차와 시간의 어긋남은 자동으로 보상된다. 이에 반해 색신호는 이것과 다른 신호통로를 통과한다. 높은 압축 및 신장계수로 인해 시간적 편차가 휘도신호의 통로에서 보다 휠씬 더 크다. 기록과 재생사이에 시간오차가 나타나면, 이 오차는 색신호와 신장계수에 대하여 확대되어 발생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 주사선의 일정시점에서 하나의 마크신호를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통로에 할당한다. 재생시 휘도신호와 색신호 사이의 시간의 어긋남은 상기 2개의 마크펄스의 시간위치에도 나타난다. 따라서 2개의 마크펄스의 시간위치, 즉 기록시 미리주어진 목표치로부터의 상기 시간위치의 편차를 평가함으로써, 휘도신호와 색신호사이의 시간의 어긋남의 척도인 보정값이 얻어질 수 있다. 이 보정값으로, 마크펄스들의 시간적위치가 일치되고 따라서 하나의 주사선에서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식간적위치가 일치되도록 2개의 신호중 하나가 시간적으로 이동될수 있다.
마크펄스는 한 주사선의 일정 시점만을 표시하기만하면 되기 때문에 여러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출력제어 범위를 이용하기위해, 마크펄스는 흑/백레벨의 전압치를 갖을 수 있다. 또한, 마크펄스는 다수의 연속되는 개별 펄스로 구성될수 있다. 재생시 휘도신호 통로에서의 n 번째 펄스와 색신호통로에서의 n 번째 펄스의 시간위치가 비교된다. 또한, 예를 들면 수평동기펄스와 같은 이미 신호에 존재하는 펄스가 마크펄스로 이용되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수평동기펄스는 색신호에도 부가적으로 인가되어야 한다. 또한, 색신호의 통로에 있는, 무채색 레벨의 펄스가 마크로펄스로 사용되어질 수 있으며, 이 펄스는 마찬가지로 주사선 주기에 대한 일정위치를 가지며 그 진폭은 무채색 값, 즉(R-Y)=0 및 (B-Y)=0를 나타내며 그 지속시간은 각각의 색차신호, 즉(B-Y)혹은 (R-Y)를 식별한다.
또한, 제1신호통로의 신호, 예를 들면 휘도신호 Y를 색신호 C의 신호통로에 부가한 다음 수신측에서 양 채널의 신호차로부터 보정신호를 도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크 펄스의 전송은 바람직하게는 수직 귀선 소거 기간동안에 블랭크주사선(blank line) 또는 시험주사선(test line)의 영역, 예컨대 17 및 18번째 주사선 및 330 및 331번째 주사선에서 이루어진다. 마크펄스는 양신호통로에서 단 하나의 주사선에만 전송되어지는 것으로 충분하다. 유리하게는, 마크펄스는 타임플렉스 시스템의 특성으로 인하여 재생시 휘도신호은 주사선 n-1로부터, 색차신호는 주사선n으로부터 동시에 나타나므로, 2개의 연속되는 주사선에서 양 신호통로에 전송된다.
신호의 어긋남은 비교적 완만한 오차이기 때문에 마크펄스는 주기적으로 큰 간격으로 전송되어도 충분하다. 재생시 보정을 위하여 얻어진 보정값은 실제로 비교적 천천히 변화한다. 바람직하게는 마크펄스의 전송이 필드의 개시 시점에서 이루어지며 그 결과 재생시 필드마다 휘도신호와 색신호사이의 시간적인 편차의 측정, 경우에 따라 보정값의 변경 그리고 시간편차의 감소가 이루어진다.
보정값에 의해 재생시 2개의 신호중 하나가 시간적으로 이동된다. 보정값은 예를들면, 신호의 통로에 놓여있는 전자적으로 제어가능한 지연시간선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정값은 시간신장에 사용되는 메모리의 판독타이밍을 시프트하는데 사용됨으로써, 시간 신장된 신호의 시간위치를 이동시킨다. 시간 신장을 위하여 필요한 메모리는 부가의 제어에 의하여 양 신호중 하나의 시간적인 위치를 변화시키는데 사용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을 타임플렉스 신호의 기록의 예로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는 휘도신호 Y가 단자(1)로부터 가산기(2)를 통해 시간압축기(3)로 공급되고, 이 압축기는 휘도신호[BAS-신호]를 계수 0.8만큼, 즉 원래 지속시간의 80%로 압축한다. 이와 같이 시간압축된 휘도신호는 전환스위치(4)로 공급된다. 주사선마다 교대로 색차신호(B-Y) 및 (R-Y)를 포함하고 있는 색신호 C는 단자(5)로부터 가산기(6)를 통해 시간압축기(7)로 공급되며, 이 시간압축기는 색신호를 계수 0.2만큼, 즉 원래 지속시간의 20%로 압축한다. 상기의 압축된 색신호 C는 전환스위치(4)의 다른 입력에 공급된다.
휘도신호 Y로부터의 동기펄스 S에 의해 타임플렉스 시간제어회로(8)가 동기된다. 이 회로는 타임플렉스 방식의 의미에서, 하나의 주사선에서 시간압축된 신호 Y 및 C가 비데오 레코더(10)에 시간순차로 기록되어지도록 라인(9)을 통해 전환스위치(4)를 제어한다.
동기펄스 S는 계수기 및 펄스발생기를 포함하는 펄스단(11)을 제어한다. 상기 펄스단(11)은 17 및 18번째 그리고 330 및 331번째 주사선에서 각각 마크펄스(12,13)를 발생시키며, 이 마크펄스는 가산기(2,6)에서 신호 Y 및 C에 부가된다. 마크펄스(12,13)는 주사선 주기에 대한 일정 위치를 갖는다.
재생시 동기펄스 S가 공급되는 타임플렉스 시간제어회로(15)에 의해 전환스위치(4)에 상응하게 제어되는 전환스위치(14)에 의하여 신호 Y는 시간 신장기로 사용되는 메모리(16)에 그리고 신호 C는 시간신장기로 사용되는 메모리(17)에 공급된다. 메모리(16)는 계수 1.25만큼의 시간신장작용을 하고 메모리(17)는 계수 5만큼의 시간신장작용을 한다. 단자(18)에서의 신호 Y 및 단자(19)에서의 신호 C는 다시 원래의 지속 시간을 갖는다.
신호 Y와 C는 비교기(20)에도 공급된다. 이 비교기(20)에서는 시간 선택적 평가에 의하여 마크펄스(12,13)의 시간적인 위치가 서로 비교되어진다. 이로인해 신호 Y와 C 사이의 시간의 어긋남을 나타내는 보정값 Us가 얻어진다. 이 보정값 Us는 타임플렉스 시간제어회로(15)에 영향을 주고 그에 따라 메모리(16),(17)의 판독 타이밍에 영향을 줌으로써, 신호 Y와 C사이의 시간의 어긋남이 보상되어 단자(18), (19)에서는 시간적으로 일치된 상기 신호 Y 및 C가 나타난다.
제2a도는 전환스위치(4)의 출력 또는 전환스위치(14)의 입력에서 시간압축된 타임플렉스신호의 구성을 나타낸다. 신호는 주사선 n에서 수평동기펄스 z 후에 먼저 시간압축된 색차신호(B-Y)를, 이어서 시간 압축된 휘도신호 Y를 포함하며 주사선 n+1에서는 시간압축된 색차신호(R-Y) 및 이어서 시간압축된 휘도신호 Y를 포함한다.
제2b도는 17 및 18번째 주사선 기간에 있어서 휘도신호 Y중의 마크펄스(12)를 나타내며, 제2c도는 동일한 주사선에서의 색신호 C중의 마크펄스(13)를 나타낸다. 이들 펄스(12,13)는 시간위치, 지속시간, 진폭 및 펄스형태가 동일하며 각각 흑레벨로부터 백레벨까지의 전압치를 갖는다.
제2d, e도는 비교기(20)의 입력에서의 마크펄스(12,13)를 나타낸다. 타임플렉스 재생회로의 동작방식에 의하여 주사선 n-1로의 마크펄스(12)와 주사선 n의 마크펄스(13)는 일치한다. 보정값 Us는 t1에서 마크펄스(12,13)의 2개의 상승에지의 시간위치의 비교에 의하여 얻어진다. 전술한 화상노이즈를 야기할지도 모르는 신호 Y 및 C의 어긋남이 있는 경우 상승에지는 시간적으로 △t 만큼 서로 어긋나게 되며 그 결과로 이러한 어긋남 △t에 상응하는 보정값 Us가 나타난다. 보정값의 크기는 시간적 어긋남의 크기에 의존하고 보정값의 극성은 어긋남의 방향에 의존하다. 보정값은 Y가 C보다 앞서 있으면 정이고 Y가 C보다 뒤에 있으면 부로되어 정확한 크기로 그리고 정확한 방향으로 보정이 이루어진다.
제3도에서 계수기(35)는 수직주사주파수펄스 V에 의하여 그리고 수평주사주파수펄스 H에 의하여 제어 된다., 계수기(35)는 17,18번째 주사선 및 330,331번째 주사선에서 수평주사기간의 지속시간을 가지는 블랭 킹펄스(36)를 발생한다. 이 펄스(36)는 블랭킹단(21) 및 (22)을 통해 신호 Y 및 C를 소거시킨다. 즉, 마크펄스의 키잉(Keying)을 위하여 상기 주사선에 존재하는 신호를 제거한다. 블랭킹펄스(36)는 제1도에서의 펄스단(11)에 상응하게 마크펄스(12,13)를 발생하는 펄스단(23)을 제어한다. 마크펄스는 제1도에서와 같인 가산기(2,6)에서 신호 Y 및 C에 부가된다.
제4도에서 단자(24)에는 시간순차의, 시간압축된, 비디오 레코더(10)로부터 도래되는 신호 C, Y가 나타나며, 이 신호는 제3도의 전환스위치(4)의 출력에 있는 신호에 상응한다. 동기분리단(25)에 의하여 Y 신호로부터 다시 펄스 V 및 H가 얻어져서 계수기(26)에 공급된다. 이 계수기는 계수에 의해 17,18번째 및 330,331번째 주사선에서 게이트펄스(27)를 발생하며, 이 펄스는 상기 주사선의 신호를 게이트(28,29)를 통해 계수기(30)에 공급한다. 계수기(30)는 2개의 입력에서 상기의 마크펄스(12,13)를 얻는다. 계수기(30)의 좌측입력은 스타트/스톱 입력으로 그리고 계수기(30)의 우측입력은 스톱/스타트 입력으로 형성되어 있다. 계수기(30)의 출력에는 전압이 나타나는데 그 크기는 계수기(30)의 2개의 입력에 인가되는 마크펄스(12,13)의 시간편차에 의존하고 그 극성은 상기의 편차의 방향에 의존한다. 상기의 전압은 비교기(31)에서 목표치 발생기 (32)로부터의 목표치와 비교된다. 이에 따라 라인(33)에는 다시 보정값 Us가 얻어진다. 이 보정값 Us이 저역필터(34)를 통해 제1도에서와 같이 타임플렉스 시간제어회로(15)에 작용함으로써 마크필터(12,13)의 시간 편차가 보상되고 따라서 회로의 출력에서의 신호 Y 및 C가 시간적으로 일치하게 된다. 저역필터(34)는 원하는대로 조정이 상기 타임플렉스 제어회로(15)에서 천천히 이루어지게 하며 예를 들면 시정수 100ms를 갖는다. 시간적인 편차는 완만히 변하는 오차이기 때문에 상기의 시정수는 비교적 크게 선정되어야 한다. 이로 인하여 보정회로는 특히 장애없이 동작할 수 있다.
마크펄스(12,13)는 기록시 반드시 시간을 일치시킬 필요는 없으며 기록시 이미 시간적 어긋남을 가지고 있어도 관계없다. 재생시 보정값 Us에 의한 조절은 계수기(30)의 입력에서의 마크펄스(12,13)의 시간편차가 0이 아니고 소정의 유한 편차로 조절되어지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도 내지 4도를 참고로 양 신호사이의 시간오차에 대한 본 발명의 동작이 설명되었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마크신호의 비교에 의하여 얻어진 보정값이 신호중 하나의 진폭 혹은 위상에 영향을 줌으로써 마크신호 혹은 마크펄스에 의하여 또 다른 오차의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TV신호에 국한되지 않으며 스테레오신호, 라디오 신호들에도 적용되어질 수 있다.

Claims (17)

  1. 송신측에서 제1신호 및 제2신호를 시간적으로 압축하여 시간순차적으로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다시 시간적으로 신장하는 시간순차 전송방법에 있어서, 송신측에서 동일관계에 있는 마크신호(12,13)를 발생시켜 일정시점에서 제1신호 및 제2신호에 각각 가산하는 단계, 및 수신측에서, 상기 마크신호(12,13)를 비교함으로써, 제1신호 또는 제2신호의 시간적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신호를 얻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순차 전송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송신측에서, 제1신호를 일정시점에서 그 본래의 신호통로에 부가하여 제2신호의 신호통로를 통과시키고, 수신측에서, 양 신호통로로부터 얻어진 원래 동일한 신호를 시간적으로 비교하여 위상차, 진폭차 또는 그룹 지연시간차로부터, 제2신호통로에 작용하는 보정신호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순차 전송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칼러 TV 신호에 대한 전송방법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순차 전송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휘도신호(Y)와 색신호(C)의 위상보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순차 전송방법.
  5. 제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제1신호는 휘도신호(Y)이며 제2신호는 색신호(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순차 전송방법.
  6. 제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제1신호는 색신호(C)이고 제2신호는 휘도신호(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순차 전송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송신측에서, 주사선 주기의 일정 시점에서 대응하는 마크펄스(12,13)를 휘도신호(Y) 및 색신호(C)에 각각 삽입하고, 수신측에서 2개의 마크펄스(12,13) 사이의 시간간격(△t)으로부터 휘도신호(Y)와 색신호(C) 사이의 정확한 시간위치의 설정을 보정값(Us)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순차 전송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신호중, 원래 신호중에 존재하는 동기 펄스 또는 무채색 레벨펄스를 마크펄스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순차 전송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마크펄스(12,13)는 흑레벨 및 백레벨에 대한 전압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순차 전송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2개의 마크펄스(12,13)는 동일한 시간위치, 지속시간, 형태 또는 진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순차 전송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마크펄스(12,13)는 다수의 개별 펄스로 구성되며 특정 서수번째의 개별 펄스를 사용하여 보정값(Us)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순차 전송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마크펄스(12,13)를 수직귀선 소거 기간중의 공백주사선 또는 시험주사선 동안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순차 전송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마크펄스(12,13)를 시간적으로 연속되는 2개의 주사선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순차 전송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마크펄스(12,13)의 상승에지 또는 하강에지를 평가함으로써 보정값(Us)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순차 전송방법.
  15. 제7항 또는 12항에 있어서, 정확한 시간위치로부터 편차를 필드마다 작은 단계로 감소시키는 시정수를 갖는 필터소자(34)가 보정값(Us)의 경로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순차 전송방법.
  16. 제7항에 있어서, 보정값(Us)은 신호(B-Y,Y)중 하나의 경로에 설치된 지연소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순차 전송방법.
  17. 제7항에 있어서, 보정값(Us)은 시간 신장에 사용되는 메모리(16,17)의 판독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순차 전송방법.
KR1019840005513A 1983-09-10 1984-09-08 시간순차 전송방법 KR920009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332661.4 1983-09-10
DE3332661A DE3332661C1 (de) 1983-09-10 1983-09-10 Zeitsequentielles UEbertragungssystem,insbesondere fuer einen Videorecor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368A KR850002368A (ko) 1985-05-10
KR920009065B1 true KR920009065B1 (ko) 1992-10-13

Family

ID=6208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5513A KR920009065B1 (ko) 1983-09-10 1984-09-08 시간순차 전송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141130B1 (ko)
JP (1) JPS60100893A (ko)
KR (1) KR920009065B1 (ko)
AT (1) ATE27084T1 (ko)
DE (2) DE3332661C1 (ko)
DK (1) DK163399C (ko)
FI (1) FI74856C (ko)
HK (1) HK91489A (ko)
SG (1) SG12589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500787A (nl) * 1985-03-19 1986-10-16 Philips Nv Kleurentelevisie-ontvanger voorzien van een televisieschakeling voor het omzetten van een tijdmultiplexsignaal in simultane signalen en daarvoor geschikte, geintegreerde schakeling.
DE3733472A1 (de) * 1987-09-30 1989-04-20 Thomson Brandt Gmbh D2mac-fernsehuebertragungssystem
DE68928449T2 (de) * 1988-08-05 1998-03-26 Canon Kk Informationsübertragungssystem mit Aufzeichnungs/Wiedergabeeinrichtung
DE4118515A1 (de) * 1991-06-06 1992-12-10 Thomson Brandt Gmbh Schaltung zum zeitfehlerausgleich im einem videorecorder
GB2257868B (en) * 1991-07-16 1995-04-12 Asahi Optical Co Ltd Still video device
TW221507B (ko) * 1992-06-16 1994-03-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GB2295070B (en) * 1994-11-09 1999-11-17 Alps Electric Co Ltd Multiplex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017427A (ko) * 1970-11-28 1972-05-30 Philips Nv
DE2348291C2 (de) * 1973-09-26 1982-12-30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System zur Übertragung eines ein Leuchtdichtesignal und zwei Farbsignale enthaltenden Farbfernsehsignals
JPS5914948B2 (ja) * 1976-01-21 1984-04-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カラ−テレビジヨン信号処理方式
JPS5934785A (ja) * 1982-08-20 1984-02-25 Sony Corp 記録装置
EP0114694B1 (de) * 1983-01-25 1988-05-18 Robert Bosch Gmbh System zur Übertragung eines breitbandigen Farbvideosig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41130A1 (de) 1985-05-15
FI843302A0 (fi) 1984-08-22
FI74856C (fi) 1988-03-10
HK91489A (en) 1989-11-24
ATE27084T1 (de) 1987-05-15
DK163399C (da) 1992-07-13
EP0141130B1 (de) 1987-05-06
DK415484A (da) 1985-03-11
KR850002368A (ko) 1985-05-10
DK415484D0 (da) 1984-08-30
JPS60100893A (ja) 1985-06-04
FI74856B (fi) 1987-11-30
DE3332661C1 (de) 1985-02-07
JPH0431237B2 (ko) 1992-05-25
DE3463601D1 (en) 1987-06-11
SG12589G (en) 1989-07-07
FI843302A (fi) 1985-03-11
DK163399B (da) 199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217B1 (ko) 자기 기록 재생장치
US4245235A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or recording color T.V. signals
DE2945378C2 (ko)
EP0190919B2 (en) Recording system
US5105315A (en) Error compensation using an inserted reference waveform
US4090215A (en) Electronic time base error correc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US42220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of wide band signals, particularly video signals
EP0112055B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a multichannel video signal incorporating differential gain and differential phase compensating circuits
KR920009065B1 (ko) 시간순차 전송방법
US4689676A (en) Television video signal synchronizing apparatus
US4774594A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component color video signals time-axis compressed on a recording medium using write clock signals centered between read clock signals
US4689680A (en) Circuit arrangement for generating clamping pulses
US4745493A (en) Circuit arrangement for a color image recording and reproduction instrument or a color television receiver
US5200833A (en) Signal level clamping apparatus for a CTDM video signal
RU207256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иси-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опорного сигнала корректора временных искажений в видеомагнитофоне
KR910004286B1 (ko) 칼라텔레비젼신호의 전송, 기록 및 재생방법
US4255758A (en) Self-adjusting bell filter circuit for use in SECAM coders
KR910004297B1 (ko) 컬러 tv 신호의 아날로그/디지탈 변환회로
JPS6128269B2 (ko)
JPH0528947B2 (ko)
JPH0666964B2 (ja) 記録装置
JPH05316468A (ja) ノイズリデューサ
SU1398109A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ррекции амплитудно-частотной характеристики видеомагнитофона
KR940001615Y1 (ko) Vcr의 그룹지연 보정회로
GB1468465A (en) Timing correction for electrical pulse sig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