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966B1 - 기모직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모직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966B1
KR920008966B1 KR1019900009388A KR900009388A KR920008966B1 KR 920008966 B1 KR920008966 B1 KR 920008966B1 KR 1019900009388 A KR1019900009388 A KR 1019900009388A KR 900009388 A KR900009388 A KR 900009388A KR 920008966 B1 KR920008966 B1 KR 920008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enzyl alcohol
parts
ethylene glycol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9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0988A (ko
Inventor
조구현
최영근
박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경인더스트리
이승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경인더스트리, 이승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경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19900009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966B1/ko
Publication of KR920000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9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12Stretch-spinning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모직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계와 폴리아마이드계로 형성된 분활형극세사에 의한 기모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리아마이드계의 팽윤제와 유화제와 섬유안정제를 사용하여 기모직물을 제조함으로써 이렇게 제조된 기모직물은 분할율 향상은 물론 물성 안정화를 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 기모직물을 제조할 때 분할형 극세사의 일반적인 방법은 화학조제의 첨가 없이 물리적인 충격을 주거나 용매를 첨가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이 방법으로는 공정시간이 길어지고 분할율이 낮으며 기모직물의 기모효과 및 기본적인 물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533호, 공고번호89-746호의 고밀도 편지(編地)의 제조방법중에서 분할형 이 수축혼섬사를 팽윤에 의해 분리가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팽윤제와 유화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때의 문제점으로는 적절한 효과를 갖는 팽윤제 및 유화제를 선정하기 어렵고, 팽윤제로 사용되는 벤질알콜의 양이 적절하게 조절되지 못하여 분할율 저하 및 불균일로 인한 기모공정시 낙모발생이 심하며, 기모직물의 강도가 저하되어 직물표면에 극세섬유가 섬세하게 일어나 있는 우수한 기모직물을 제조할 수 없으며, 많은 공정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결점으로 인해 분할형 극세사를 이용하여 단면 및 양면 기모직물을 제조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으로 되어왔다.
본 발명은 상기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므로서 기모효과 및 물리적 성질이 우수한 기모직물을 제조할 수 있게 된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할형 극세사를 사용하여 기모직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폴리아마이드계 섬유의 팽윤제로서 분할조건에 매우 적합한 양의 벤질알콜을 사용하고 이를 수용화하기 위해서 유화제로서 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였고, 여기에 섬유안정화, 분할촉진 및 공정단축의 효과를 내는 알칼리 금속염을 첨가한다.
벤질알콜의 역할은 방사형으로 복합된 폴리에스터계와 폴리아마이드계의 섬유중 폴리아마이드계의 섬유에 대해 섬유축방향으로 수축작용을 일으키며, 섬유축의 직가방향으로 팽윤작용을 일으켜 2종의 섬유계면이 분리, 이탈되어 단섬유섬도가 0.1데니어의 극세사로 분할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작용을 하는 벤질알콜은 비수용성이므로 물과 섞이지 않기 때문에 분할처리액 제조시 수용성 유화제인 에틸렌글리콜을 첨가하여야 한다.
이 경우 벤질알콜은 처리액 기준으로 1~5중량부, 에틸렌글리콜의 양은 벤질알콜량의 40~100중량부가 적당한 데, 벤질알콜의 경우 1중량부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았고, 5중량부를 초과하여서는 표면침해가 발생하여 제품의 질이 나빠지는 단점이 나타났고, 에틸렌글리콜의 경우 벤질알콜량의 40중량부 미만에서는 분할처리액내에서 유화제로서의 효과가 저하되어 벤질알콜이 입자상태로 존재하게 되어 처리직물이 균일한 팽윤효과를 상실하고 분할율에 있어 심한 편차가 발생해서 염색시 균일한 농도로 염색이 되지 않아 염반이 발생하게 되었고, 100중량부를 초과하여서는 표면침해가 발생하여 제품의 질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나타났다.
또한 본 분할공정에서는 알칼리 금속염을 처리액 기준으로 0.1~5중량부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는데 처리액 제조시 알칼리금속염을 첨가하지 않았을 경우에 비해 직물폭의 과수축을 방지하고 공정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분할율의 향상을 가져왔고, 벤질알콜로 인한 폴리아마이드계 섬유의 표면 취하를 감소시켜 기모직물 제조시 기모공정에서 낙모현상을 방지하고 경사방향의 인열강도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었는데, 이때 처리액 기준으로 0.1중량부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았고, 5중량부를 초과해서는 지나친 수축 및 감량이 일어나 부적합하게 되는 것으로, 이렇게 제조된 기모직물은 직물의 단섬유 섬도가 0.1 데니어로서 표면에 섬세한 기모효과가 있고 촉감 및 외관이 우수하여 고급 아웃웨어용 의류와 천연피혁과 유사한 인조스웨드 및 낙모가 생기지 않는 정밀 크리너로 이용시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을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에 사용한 원사는 폴리에스터계 섬유와 폴리아미드계 섬유가 60 : 40의 비율로 17개의 세그먼트로 복합된 형태로서 160데니어 72필라멘트인 위사와 경사로 75데니어 36필라멘트인 폴리에스터계 섬유를 사용하여 5매 사틴조직으로 제직한 직물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할실험을 진행한 후 기모하였다.
분할공정은 액류염색기를 사용하여 욕비 35 : 1, 포속 70m/min, 온도승온은 20℃/min로 일정하게 한 후 냉수로 세척하였다.
분할 후 분할율은 다음식으로 계산하였다.
Figure kpo00001
인열강도는 KSK 0535 시험법인 펜들럼법으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때 분할처리액내에 정수제 및 정련제를 소량 첨가할 수도 있었는데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처리액 기준으로 벤질알콜 2중량부, 에틸렌글리콜 1중량부, 소듐카보네이트 0.3중량부를 첨가하고 90℃에서 20분간 처리하였다.
[실시예 2]
처리액 기준으로 벤질알콜 2중량부, 에틸렌글리콜 1중량부, 소듐설페이트 0.3중량부를 첨가하고 90℃에서 20분간 처리하였다.
[실시예 3]
처리액 기준으로 벤질알콜 2중량부, 에틸렌글리콜 1중량부, 가성소다 0.3중량부를 첨가하고 90℃에서 20분간 처리하였다.
[비교예 1]
처리액 기준으로 벤질알콜 4중량부, 에틸렌글리콜 2중량부를 첨가하고 100℃에서 40분간 처리하였다.
[비교예 2]
처리액 기준으로 벤질알콜 4중량부, 에틸렌글리콜 2중량부를 첨가하고 100℃에서 60분간 처리하였다.
[비교예 3]
처리액 기준으로 벤질알콜 2중량부, 에틸렌글리콜 1중량부를 첨가하고 90℃에서 80분간 처리하였다.
[비교예 4]
처리액 기준으로 벤질알콜 2중량부, 에틸렌글리콜 1중량부를 첨가하고 100℃에서 60분간 처리하였다.
Figure kpo00002

Claims (1)

  1. 폴리에스터계와 폴리아마이드계 섬유의 방사형 복합분할 극세사를 분할하는데 있어서, 팽윤제로 벤질알콜을 처리액 기준으로 1~5중량부, 유화제로 에틸렌글리콜을 벤질알콜의 40~100중량부, 안정제로 알칼리금속염을 처리액 기준으로 0.1~5중량부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직물의 제조방법.
KR1019900009388A 1990-06-25 1990-06-25 기모직물의 제조방법 KR920008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9388A KR920008966B1 (ko) 1990-06-25 1990-06-25 기모직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9388A KR920008966B1 (ko) 1990-06-25 1990-06-25 기모직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988A KR920000988A (ko) 1992-01-29
KR920008966B1 true KR920008966B1 (ko) 1992-10-12

Family

ID=19300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9388A KR920008966B1 (ko) 1990-06-25 1990-06-25 기모직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9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988A (ko) 1992-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7070A (en) Process for treating fibrous structure
JP2000513412A (ja) セルロース繊維を処理する方法およびそれらの繊維から製造される集成品
KR920008966B1 (ko) 기모직물의 제조방법
KR100530573B1 (ko) 극세섬유 경편지의 제조방법.
JP3235991B2 (ja) ポリトリメ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繊維の染色方法
KR100513900B1 (ko) 폴리에스터 인조 스웨드의 제조방법
KR100467652B1 (ko) 흡습성이 우수한 신축성 직물의 제조방법
JP2525035B2 (ja) 合成繊維布帛の処理方法
KR100483811B1 (ko) 제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개질 아세테이트 복합직편물의 제조방법
KR100225608B1 (ko) 섬유형성성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로 구성된 분할형 복합섬유의 분할방법
KR920005899B1 (ko) 복합 섬유 구조물의 염색가공법
KR920009255B1 (ko) 복합섬유 구조물의 전처리 방법
JP2613240B2 (ja) 合成繊維布帛の処理方法
JPS6247981B2 (ko)
KR20020093172A (ko) 레이온/ 극세사 복합 직물의 제조 방법
JP2680133B2 (ja) エンブロイダリー・レース及びその製法
JPH0711566A (ja) 絹様布帛の製造方法
JPS6219526B2 (ko)
JPS63282307A (ja) 染色性の優れたレ−ヨンの製造方法
JPH05295658A (ja) 高伸縮性織編物の処理方法
KR100339501B1 (ko) 영구적인대전방지성을갖는폴리에스테르섬유,이의제조방법및이를이용한기모제품
US3219513A (en) Crock-resistant fabric
JPS62257459A (ja) 分割型複合繊維構造物の製造方法
EP0056907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uède-like raised fabrics
JPH0797740A (ja) 染色極細繊維シート状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Free format text: OPPOSITION NUMBER: 001992001167; OPPOSITION DATE: 19921210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