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942Y1 - 단자 장치 - Google Patents

단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942Y1
KR920008942Y1 KR9220641U KR920020641U KR920008942Y1 KR 920008942 Y1 KR920008942 Y1 KR 920008942Y1 KR 9220641 U KR9220641 U KR 9220641U KR 920020641 U KR920020641 U KR 920020641U KR 920008942 Y1 KR920008942 Y1 KR 9200089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 plate
plate
terminal devic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206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가도 히로다
구니유끼 고가와
시게아끼 오오다께
Original Assignee
나까오 다께시
후지덴끼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04065A external-priority patent/JP2522042B2/ja
Application filed by 나까오 다께시, 후지덴끼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오 다께시
Priority to KR92206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9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9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9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01H50/443Connections to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01H2050/446Details of the insulating support of the coil, e.g. spool, bobbin, form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단자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제1도의 단자장치를 포함한 보빈본체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
제4도는 보빈 본체에 대하여 제1도의 단자대의 크기 및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
제5도, 제6도 및 제7도는 제1도의 단자판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제8도는 종래의 단자장치를 포함한 보빈 본체의 사시도.
제9도는 제8도 단자장치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1 : 보빈 2, 22 : 단자판
7, 8, 17 : 굽힌면 7a, 8a, 17a : 돌기
9 : 돌편 11, 31 : 단자대
11a, 11b, 11d : 홈 11c : 측벽
본 고안은 전자접촉기등의 접점을 작동시키는 여자코일의 보빈에 형성시킨 단자대와 이 단자대에 고정시킨 단자판으로 구성된 단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8도 및 제9도에는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단자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단자판(22)은 보면(21)에 형성시킨의 도전판으로 되어 있다. 굽힌면(17)의 선단또는 끝머리에는 상향돌기(17a)가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는 굽힌면(17)선단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여 여자코일 전선이 감긴 돌편(9)이 형성되어 있다.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판(22)이 고정되는 단자대(31)는 단자판(22)이 그 면방향으로 삽입되는 L자형의 홈(31d)과, 단자판(22)이 자형 홈(31d)속으로 삽입되는 경우에 돌기(17a)와 결합하는 구멍 (31a)을 구비하고 있다. 단자판(22)은 홈(31d)에 삽입되면 단자대(31)에 의해 상하, 좌우, 전후 어느 방향으로도 움직일수없게 유지된다. 단자판(22이 단자대(31)의 L자형 홈(31d)속에 완전히 삽입되면 단자대(31)의 측벽 (31c)이 단자판(22)의 측면과 접촉하여 단자판(22)의 위치가 결정된다. 또 이 측벽(31c)는 구멍(31a)속에 돌기(17a)가 친밀하게 결합하도록 도움을 준다.
상술한 구성으로된 단자장치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전자접촉기등의 여자코일권선으로 서는 주지하다시피 직경이 대단히 작은 전선이 사용되는데, 여기에서 여자코일 권선은 돌편(9)에 감은 여자코일권선의 일단부의 권선에 의해 단자판(22)에 연결된다. 또, 외부도체는 단자판(22)의 나사구멍(22a)속에 단자나사(3)를 끼워넣어 단자판(22)에 연결된다. 그러나 이 나사를 조이는 작업중에 큰힘이 단자판(22)에 가해지는데 단자판(22)의 굽힌면(17)과 나사구멍(22a)사이의 거리가 길면 굽힌면(17)에 힌큰 굽힘 모멘트가 작용하여 그 결과 여자코일 권선의 단부가 감긴 돌편(9)이 움직여 여자코일권선의 단부가 단선될 염려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도체를 단자판에 연결하는 경우에 단자판에 외력이 작용하여도 이 외력이 여자코일권선에 전달되지 않는, 단자대와 단자판을 구비한 단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기타목적 및 장점은 이하의 설명에서 일부 설명하고, 일부는 그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나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해 체득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은 청구범위에 기술된 요소 및 결합에 의해 실현되고 달성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 광범위하게 설명되고 실시된 바처럼 본고안에 따라 전자접촉기등의 접점을 작동시키기 위해 여자코일의 보빈에 형성시킨 단자대와 단자대에 고정된 단자판으로 구성된 단자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단자장치에서 단자판은 직사각형의 도전판으로 하여, 이 도전판의 중앙부를 베어 도전판의 길이방향의 측면부에 가늘고 긴 연장부를 형성시키고, 이 도전판의 일단부를 구부려 가늘고 긴 연장부가 L자 형상의 1면을 갖게 굽힌면을 형성시키며, 굽힙면에는 돌기를 형성시키고, 가늘고 긴 연장부의 상면에 대해 평행하게 굽힌면의 방향으로 굽힌면을 연장하여 돌편을 형성시키며, 도전판의 타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긴 연장부의 측면으로부터 슬릿을 형성시키고, 가늘고 긴 연장부로부터 연장되지 않는 부분을 구부려 도전판 일단부의 굽힌면과 같은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하여 넓은 L자형상부를 형성시키고 여기에 돌기를 형성시킨다. 단자판이 고정되는 단자대는 각각 돌기를 구비하는 단자판의 두개의 굽힌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두개의 홈과, 넓은 L자형 부분의 곧은면이 곧은면의 평면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하는 하나의 홈을 구비하고 있다.
단자장치를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단자판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형성시킨 굽힌면들을 각각 단자대의 홈들에 밀어넣으면, 단자판의 넓은 L자형 부분의 곧은 면은 그 평면방향으로 단자대의 다른 부분에 형성된 홈속으로 삽입되어, 결과적으로 단자판은 그 양단부가 단자대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단자판에 외부도체를 접속시키기 위하여 단자판의 넓은 굽힌면 부근에 나사구멍을 배치하므로 단자나사를 단자판에 끼울때 밭생되는 외력에 기인한 굽힌 모멘트가 넓은 굽힌면에 의해 수용되어 다른 굽힌면에는 무시해도 좋을만큼난 전달된다. 또, 두 굽힘면사이에 가늘고 긴 연장부률 구비하므로 넓은 굽힌면을 변형시키기에 충분히 큰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가늘고 긴 연장부는 넓은 굽힌면이 변형되는 것처럼 용이하게 변형되어 큰 외력이 다른 굽힌면에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코일 권선이 감긴 다른 굽힌면의 돌편의 움직임이 대단히 작아져 코일권선의 단선을 방지해주므로 외부도체의 연결시에 비교적 안전하게 그리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해준다.
전술한 일반설명과 후술한 상세반 설명은 모범적이고 설명적인 것에 불과하며 청구항에서 처럼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하여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그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첨부도면은 본 고안의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도시하고, 본 고안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제 첨부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틀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가능한한 동일한 참고번호는 전도면을 통하여 동일부분이나 유사부분을 인용하는데 사용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자판(2)은 그면에 수직으로 구부려 굽힌면(7)을 형성시킨 선단부와, 단자판(2)의 길이방향의 중앙측면부에 본래대로 둔 가늘고 긴 연장부(2a)를 가지는 직사각형의 도전판으로 되어있다. 굽힌편(7)의 외면에는 돌기(7a)를 형성시키고, 수평방향으로는 굽힌면(7)을 연장하여 돌편(9)을 형성시킨다. 단자판(2)의 몸중심부 인접단 부분에 가늘고 긴 연장부(2a)의 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슬릿을 형성시켜 그 인접단부분을 위쪽으로 구부려 굽힌면(8)을 형성시킨다. 이와같이 하여 단자판(2)의 인접단 부분은 넓은 L자형 부분이 형성된다. 굽힌면(8)의 외면에는 돌기(8a)를 형성시킨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자판(2)이 고정된 단자대(11)는 돌기(7a)를 구비한 굽힌면(7)과 돌기(8a)를 구비한 굽힌면(8)이 위치하는 홈(11a)및 (11b)를 각각 구비한다.
단자대(11)의 측벽(11c)은 단자판(2)이 홈(11a)및 (11b)속에 위치하면 스토퍼로써의 역할을 하며, 단자판(2)의 넓은 L자형 부분의 곧은면(2b)이 그 평면방향으로 삽입되는 홈(11d)를 구비한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단자판(2)의 굽힌면(8)과 돌기(8a)의 치수(H)는 단자대(11)의 홈(11a)및 (11b)의 폭보다 약간 크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다판(2)을 단자대(11)의 홈(11a)및 (11b)에 밀어넣어 고정시켜 단자장치를 형성시킨다. 또 단자대(11)에 단자판(2)을 고정시킨후 여자코일권선의 단부(4)를 돌편(9)에 감아 단자판(2)에 접속시킨다.
이와같이 단자판(2)의 굽힌면(7)및 (8)을 단자대(11)의 홈(11a) 및 (11b)에 밀어넣으면 단자판(2)의 곧은면(2b)은 단자대(11)의 홈(11d)속에 삽입된다. 따라서 단자판(2)이 단자대(11)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도체를 단자나사(3)로 단자판(2)에 고정시키는 경우에 비록 큰힘이 단자판(2)에 가해진다고 해도 이 힘은 굽힌면(8)에 의해 수용되므로, 굽힌면(7)에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만 전달된다.
또 굽힌면(8)을 변형시키기에 충분히 큰 힘이 단자판(2)에 가해지더라도 굽힌면(8)과 굽힌면(7)사이의 가늘고 긴 연장부(2a)의 돌기때문에, 가늘고 긴 연장부(2a)는 굽힌면(8)의 변형과 동시에 용이하게 변형되어 큰힘이 굽힌면(7)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여자코일권선의 단부를 감은 돌편(9)의 움직임이 대단히 작아 건이 단선될 가능성를 제거하여 준다.
당해분야의 전문가는 본 고안의 사상 및 개요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의 단자판과 단자대 및 단자장치의 구성에서 각종 수정 및 변경을 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Claims (9)

  1. 보빈(1)에 형성시킨 여자코일의 1단부를 외부도체에 연결시키기 위한 단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자장치는 상기보빈(1)에 부착하는 단자대(11)와; 단자판(2)을 상기 여자코일에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을 갖는 제1단부와, 상기 단자판(2)을 상기 외부도체에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을 갖는 제2단부와, 상기 제1단부를 연결하는 중앙부분(2a)을 구비한 도전성의 단자판(2)과; 상기 단자판(2)의 상기 제2단부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단자판(2)의 제1단부에 의해서가 아니라 상기 제2단부와 상기 중앙부분(2a)중 적어도 한 곳에서 흡수시키기 위하여 단자판(2)을 단자대(11)에 부착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2)의 제1단부는 상기 단자판(2)의 중앙부분에 수직인 면(7)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판(2)의 제2단부는 상기 단자판(2)의 중앙부분에 수직인면(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2)을 상기 여자코일에 연결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단자판(2)의 제1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한 돌편(9)울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단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2)을 상기 외부도체에 연결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은 나사구멍에 고정되는 단자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단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구멍은 상기 단자판(2)의 중앙부분에 수직이 아닌 상기 단자판(2)의 제2단부의 부분(2b)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2)을 상기 단자대(11)에 설치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제1돌기(7a)와, 상기 제1돌기(7a)와 상기 제1단부률 수용하기 위해 상기 단자대(11)에 형성시킨 제1홈(11a)과, 제2돌기(8a)와, 상기 제2돌기(8a)를 수용하고 상기 제2단부를 적어도 일부분 수용하기위해 상기 단자대(11)에 형성시킨 제2홈(11b)과, 상기 단자판(2)의 중앙부분으로 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지 않은 상기 제2단부의 부분을 적어도 수용하기 위해 상기 단자대(11)에 형성시킨 제3홈(11d)및 상기 단자판(2)의 중앙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상기 단자대(11)에 형성시킨 재4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7a)는 상기 중앙부분에 수직인 상기 제1단부의 상기 부분으로부터 외부로 수직으로 돌출해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단자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기(8a)는 상기 중앙부분에 수직인 상기 제2단부의 상기 부분으로부터 외부로 수직으로 돌출해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단자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2)을 상기 단자대(11)에 설치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단자판(2)을 축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단자대에 형성시킨 측벽(11c)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11c)은 상기 단자대(11)로 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장치.
KR9220641U 1989-04-24 1992-10-26 단자 장치 KR9200089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20641U KR920008942Y1 (ko) 1989-04-24 1992-10-26 단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4065 1989-04-24
JP1104065A JP2522042B2 (ja) 1989-04-24 1989-04-24 端子装置
KR1019900005621A KR900017062A (ko) 1989-04-24 1990-04-21 단자장치
KR9220641U KR920008942Y1 (ko) 1989-04-24 1992-10-26 단자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5621A Division KR900017062A (ko) 1989-04-24 1990-04-21 단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942Y1 true KR920008942Y1 (ko) 1992-12-24

Family

ID=27310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20641U KR920008942Y1 (ko) 1989-04-24 1992-10-26 단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9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7734A (ko) * 2005-05-13 2006-11-17 동서산업주식회사 좌변기 좌대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7734A (ko) * 2005-05-13 2006-11-17 동서산업주식회사 좌변기 좌대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1390A (en) Socket terminals for a wedge base electric lamp
EP1511052B1 (en) Electromagnetic relay
US5803242A (en) Switch connecting structure
US6676451B2 (en) Connective jack
US20170288339A1 (en) Power source connector device
US8228143B2 (en) Assembly of electromagnetic relay and circuit board
US6638105B1 (en) Self-retaining board lock for electrical connector
US4423399A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US5647761A (en) Lamp bulb holder and a method of assembling a lamp bulb holder
US5882231A (en) Switch connecting structure
EP0394833B1 (en) Terminal Device
KR920008942Y1 (ko) 단자 장치
JPH06260221A (ja) 電気端子組立体及びそれを用いる電気コネクタ
US6056600A (en) Shielded connector
KR970051610A (ko) 전자계전기의 구조
JPH0555456U (ja) バスバーのタブ接続端子
EP1073162A1 (en) Switch device with AC inlet
US4912448A (en) Coil device with coil and lead terminals
US3125629A (en) Wiring device and securing means therefor
JP2987128B2 (ja) トランスのリード線引出し構造
JPH0629897Y2 (ja) 端子装置
KR960032524A (ko) 플라이백 변성기
JP3089767B2 (ja) 端子構造
JP2541710B2 (ja) 電磁機器
JPS634804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