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557Y1 - 광디스크 드라이브헤드의 일체형 2차원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광디스크 드라이브헤드의 일체형 2차원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557Y1
KR920008557Y1 KR2019880002110U KR880002110U KR920008557Y1 KR 920008557 Y1 KR920008557 Y1 KR 920008557Y1 KR 2019880002110 U KR2019880002110 U KR 2019880002110U KR 880002110 U KR880002110 U KR 880002110U KR 920008557 Y1 KR920008557 Y1 KR 9200085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radial
drive head
housing
mov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21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8122U (ko
Inventor
김진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21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557Y1/ko
Publication of KR8900181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81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5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557Y1/ko

Link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디스크 드라이브헤드의 일체형 2차원 구동장치
제1도 (a) (b)는 본 고안에 의한 광헤드의 분해사시도 및 조립단면도.
제2도 (a)는 본 고안 이동부 하우징에 포커스용 코일과 레이디얼용코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설명도, (b)는 이동부 하우징이 포커스방향으로 작동하는 설명도, (c)는 이동부 하우징이 레이디얼 방향으로 작동하는 설명도.
제3도 (a)는 본 고안 자석부의 평면도, (b)는 자석부가 결합된 정면도, (c)는 자석부의 분해사시도.
제4도 (a) (b)는 본 고안 이동부 하우징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
제5도 (a) (b)는 본 고안의 타실시예.
제6도는 종래 광헤드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동부하우징 2 : 대물렌즈
3 : 포커스용코일 4, 5 : 레이디얼용코일
6 : 자석부 7, 8 : 코아
9 : 자속 갭 14 : 덮개
16 : 판스프링
본 고안은 콤팩트디스크, 비디오디스크, 콤퓨터 보조기억장치용 광디스크등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복잡한 레이디얼용 추가자석과 부수자기회로부 및 인슐레이션 기구부를 생략한 신규한 광디스크드라이브헤드의 일체형 2차원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크면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기록한 신호를 재생하는 광디스크드라이브헤드는 디스크면에 촛점을 맞춘레이저 비임을 사용하여 원하는 기록트랙상을 추종해 가게하기 위해 2차원적으로 대물렌즈를 상하 또는 좌우로 미세하게 구동해 주는 장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2차원 구동장치는 제6도에서와 같이 포커스(Focus)방향은 보이스코일(Voice coil)(31)을 광디스크 헤드몸체(32)의 자속갭(gap)에 위치하도록 이동부하우징(33)의 복통식보빈(34) 원주에 권취된 상기 보이스코일(31)을 헤드몸체(32) 내부에 삽입시켜 판스프링(35)에 의해 지지되는 대물렌즈(36)를 구동시키되 이동부 하우징(33) 상하에 결합된 와류형 포커스 스프링(37)을 이용하여 상하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솔레노이드(38)에 의해 레이디얼(Radial) 방향으로 대물렌즈(3)가 구동함과 동시에 링형 포커스용자석(39)외에 또다른 자석(40)과 쇠막대(41)로 이루어진 자기회로(42)를 알루미늄재 헤드몸체(32)의 인슐레이션(insuolation)기구부(43)에 설치하여 자기회로(42)의 전류방향에 따라 대물렌즈(36)를 좌우방향 즉 레이디얼 방향으로 미세하게 조정하여 레이저광선의 촛점을 맞추는 복잡한 방법으로 되어 있었으며, 한편 따로 레이디얼용 자석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은 원형자석을 사용하지 않고 원주의 40-60%정도만을 사용하여 보이스코일 전체가 자속갭에 위치하지 못하게 되어 비효율적이 되므로 강력한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 콤팩트디스크용 이외에는 실용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보이스코일 형태로 감긴 포커스용 코일 위에 레이디얼용 코일을 감아 부착시켜 이 코일들이 원주형의 자속갭에 위치되게 하여 간소화된 구조에 의해 2차원 구동을 수행하도록 한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1도에서와 같이 대물렌즈(2)가 부설된 이동부 하우징(1) 하단의 복통식 보빈(1b)원주를 따라 권취된 포커스용 코일(3) 표면에 접착재로 중심점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제2도 (a)와 같이 레이디얼용 코일(4) (5)을 중첩되게 부착하되 상기 포커스용 코일(3)과 레이디얼용 코일(4) (5)의 권선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하며 상술한 이동부 하우징(1)의 코일을 제3도에서와 같이 원형자석(6)을 사이에 두고 상측에는 플랜지형 코아(7)와 하측에는 원통형코아(8)가 결합된 그 내부에 이동부하우징(1)의 보빈(1b)이 위치하도록 삽입함으로써 이동부하우징(1)에 부착된 포커스용코일(3) 및 레이디얼용코일(4) (5)이 제1도 (b)와 같이 상하측코아(7) (8) 결합에 의해 형성된 자속갭(9)에 끼워지게 된다.
또한 제1도에서와 같이 이동부하우징(1) 저면의 나팔관 형상에는 포커스용 와류형 판스프링(10)을 밀착시킨 다음 그 아래측에서 이동 중심점을 잡기위해 광헤드의 하측을 고정링(11)으로 나사(12)로 체결하고 이동부하우징(1) 상부에도 마찬가지로 포커스용 와류형 판스프링(13) 중앙의 통공에 대물렌즈(2)가 조립된 이동부 하우징(1)의 상부를 조립하게 되면 상기 판스프링(13)의 원주가 하우징(1)의 표면의 스프링지지대(1a)에 거치된 상태가 된다.
아울러 상기 코아(7)에 부착되게 덮개(4)를 씌우므로서 덮개(14)에 천설된 통공(15)으로 대물렌즈(2)가 노출되고 한편 덮개(14) 저면으로 돌출된 레이디얼용 판스프링(16)이 이동하우징(1) 표면에 밀착되어 상술한 레이디얼용코일(4) (5)에 흐르는 전류방향에 따라 제2도(c)와 같이 대물렌즈(2)가 미세하게 움직이도록 한 것이다.
한편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레이디얼용코일(21) (22)을 포커스용 코일(23)의 내측에 부착시킨것이며, (b)는 코아(24) 4부분을 커팅하여 레이디얼용코일을 끼워넣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우징(1)에 감긴 포커스용코일(3)과 그 외면에 접착된 레이디얼용 코일(4) (5)를 제3도에서와 같이 원형자석(6a)가 그 사이에 두고 상하에서 코아(7) (8)를 결합한 자석부(6) 저면에서 코아(7) (8) 사이에 형성된 자속갭(9)에 끼우면 제1도의 (b)와 같은 상태가 되어 포커스용코일(3)은 이동부하우징(1)의 보빈(1b) 원주를 따라 권취된 보이스코일로서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제2도의 (b)에서와 같이 힘을 받아 이동부하우징(1)이 제4도의 Z방향 즉 종래와 같이 포커스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또한 상기 포커스용코일(3)에 제2도의 (b)에서와 같이 중심점에 대칭이 되도록 레이디얼용 코일(4) (5)을 접착하되 이때 레이디얼용 코일(4) (5)은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권취하여 전류의 방향에 따라 이동부하우징(1)이 좌우 방향(레이디얼방향)으로 움직여 디스크 트랙의 탐색시 에러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다시말하면 레이디얼용코일(4) (5)을 제2도의 (a)에서와 같이 레이디얼용코일(4) (5)의 윗부분만이 자장에 들어가도록 위치시키고 제2도(b)에서 Ft로 표시된 벡터량같이 양쪽 코일에 인가되는 힘이 반대가 되어 하우징(1)은 제4도의 X방향 즉 레이디얼방향으로 이동이 된다.
이때 이동부 높이를 h, x방향 이동량을 △, 기울어지는 각도를 θ라 한다.(제2도 참조)
콤팩트디스크나 5.25"형 광디스크의 경우 x방향으로 구동부가 커버해 주어야 하는 최대 진폭은 70㎛, 즉 최대 △ 값은 70㎛이다.
그리고 h=20mm이라 하면 θ=0.2˚가 되고, h=10mm라 하면 θ=0.4˚가 된다.
θ값이 1˚미만일경우 공지의 헤테로다인(heterodyne) 검출법이나 다른 방법 등으로 트랙킹 에러를 콘트롤하는데 문제가 없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종래 2차원 구동장치의 경우 h는 대략 20mm정도로 이와같은 높이인 20mm로 제작할 경우 θ의 최대값은 0.2˚로 미세한 값이 되며 본 고안에서는 레이디얼용 자석부가 필요없으므로 h를 10mm로 줄일 수 있게 되는데 이와같이 높이를 줄였을 경우 θ의 최대값은 0.4˚로 역시 콘트롤가능범위가 된다.
레이디얼 방향으로 공진주파수를 조정하기 위한 스프링은 덮개(4) 저면에 2개의 레이디얼용 판스프링(6)을 고정하여 이동부 하우징(1) 표면에 일착시키는 방법이나 기타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덮개부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제5도의 (a)에서와 같이 레이디얼용 코일(21) (22)을 포커스용 코일(23) 내측에 고정시키고 또한 (b)에서와 같이 자석부의 코아(24)를 4부분 커팅하여 레이디얼용 코일을 끼워 넣는 방법으로도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이탈함이 없이 구조의 변경도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레이디얼용 코일을 포커스용 코일에 부착시켜 자속갭에 위치시킴으로서 레이디얼용 자석및 부수 자기회로부 등이 삭제되어 하우징의 높이를 축소하여 전체적 구동장치의 무게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원가절감 효과는 물론 생산수율을 극대화시키고 포커스용 자속유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대물렌즈(2)가 부착된 이동부하우징(1)의 복통식보빈(1b)에 포커스용코일(3)을 권취한것에 있어서 중심점에서 대칭되게 포커스용코일(3) 외부에 레이디얼용 코일(4) (5)을 접착하고 상기 포커스용코일(3)과 레이디얼용코일(4) (5)을 자석부(6)의 코아(7) (8) 사이에 형성된 자속갭(9) 내에 삽입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헤드의 일체형 2차원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이동부하우징(1) 상단에 레이디얼 방향으로 탄성을 주기위해 덮개(14) 저면에 레이디얼용 판스프링(16)을 고정하여 판스프링(16)이 이동부하우징(1)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헤드의 일체형 2차원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이동부하우징(1) 내측으로 레이디얼용 코일(4) (5)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헤드의 일체형 2차원 구동장치.
KR2019880002110U 1988-02-15 1988-02-15 광디스크 드라이브헤드의 일체형 2차원 구동장치 KR9200085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2110U KR920008557Y1 (ko) 1988-02-15 1988-02-15 광디스크 드라이브헤드의 일체형 2차원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2110U KR920008557Y1 (ko) 1988-02-15 1988-02-15 광디스크 드라이브헤드의 일체형 2차원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8122U KR890018122U (ko) 1989-09-08
KR920008557Y1 true KR920008557Y1 (ko) 1992-11-30

Family

ID=19272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2110U KR920008557Y1 (ko) 1988-02-15 1988-02-15 광디스크 드라이브헤드의 일체형 2차원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5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8122U (ko) 1989-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98008B1 (en) Memory storage apparatus having vibration-dampened base plate arrangement
US4679904A (en) Lens driving device for an optical pickup unit with simplified construction
JPS61208641A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S58161152A (ja) 光デイスクの記録と再生用の光学的読み出し書き込みヘツドとその光ヘツドをもつ光学装置
US4367543A (en) Optical disc player signal reading device with improved drive structure for moving optical pickup in orthogonal directions
EP0097402B1 (en) Optical device
KR920008557Y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헤드의 일체형 2차원 구동장치
US5901133A (en) Objective lens actuator
WO2003088220A1 (en) Read/write head for optical disk drive and optical disk drive comprising such a read/write head
JPS58111134A (ja) 光ピツクアツプ装置の対物レンズ上下左右移動装置
JPH0522297B2 (ko)
JPS635807B2 (ko)
JPH0370293B2 (ko)
JPH05258548A (ja)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JP2595712B2 (ja) 光学的記録再生装置
US5416640A (en) Objective actuator
JPH03104026A (ja) 光学ヘッド用アクチュエータ
JPH0253230A (ja) 光学系駆動装置
JPS6356611B2 (ko)
JPH11242821A (ja) Cd−dvd兼用の光ピックアップアクチュエータ
JPH0132175Y2 (ko)
JPH0519854Y2 (ko)
SU1644216A1 (ru) Головка дл оптическог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 информации
JPH09106557A (ja) 光記録/再生装置の対物レンズ駆動機構
JPS6214336A (ja) 光学系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