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406Y1 - 합성섬유용 연신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섬유용 연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406Y1
KR920008406Y1 KR2019900010602U KR900010602U KR920008406Y1 KR 920008406 Y1 KR920008406 Y1 KR 920008406Y1 KR 2019900010602 U KR2019900010602 U KR 2019900010602U KR 900010602 U KR900010602 U KR 900010602U KR 920008406 Y1 KR920008406 Y1 KR 9200084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red surface
stretching
roller
yarn
fil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06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2638U (ko
Inventor
김덕환
신통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코오롱
하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코오롱, 하기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코오롱
Priority to KR20199000106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406Y1/ko
Publication of KR9200026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6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4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4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22Stretching or tensioning, shrinking or relaxing, e.g. by use of overfeed and underfeed apparatus, or preventing stretch
    • D02J1/225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stretching apparatus
    • D02J1/226Surface characteristics of guiding or stretching org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합성섬유용 연신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작동상태 예시도.
제2도는 공지 연신장치의 작동상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1단롤러 11 : 테이퍼면
12 : 연신롤러 14 : 테이퍼면
본 고안은 합성섬유용 연신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롤러상에서 필라멘트의 안정화, 연신점의 균일화로 인한 미연신 발생을 방지하고, 권취장력의 다운 등으로 우수한 필라멘트를 생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섬유를 연신하는 방법으로 나이론과 같이 냉연신하는 방법과 폴리에스테르와 같이 열연신하는 방법으로 대별할 수 있다.
그동안 수년에 걸쳐서 합성섬유를 생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연구 개발되어 왔으나, 그 대부분이 방사부분에 관한 연구이며 연신에 대해서는 그다지 연구 개발되어 오지 못한 것은 사실이다.
폴리에스테르와 같이 열연신을 하는 경우에는 연신장치자체가 상당히 복잡하게 설계되어 있다. 최근에는 합성섬유의 발전과 더불어 고속방사를 행하는 공정도 개발되어 있으나 이는 특수한 필라멘트를 제조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어 공정상에 많은 제약을 갖고 있다.
연신공정이라는 방사공정에서 부분적으로 배향된 미연신사(UNDRAWN YARN)를 일정배율로 원하는 물성에 맞게 연신하여 필라멘트 내부에 어떤 구조적인 배향과 결정을 형성하여 최종제품인 연신된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공정이다.
특히 폴리에스테르와 같이 열연신이 요구될 경우에는 그 필라멘트의 2차 전이점 범위의 온도에서 열을 가하면서 연신을 하게된다. 이때 온도 설정은 필라멘트의 물성이나 조업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므로 적정한 온도설정이 필요하다. 대개 폴리에스테르의 경우 78-90℃ 정도이다.
균일한 연신은 필라멘트 물성뿐만 아니라 최종 제품에 있어서의 품질을 좌우하므로 철저한 조건 설정 뿐만아니라 관리도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연신공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사도불량. 균재도(U%)불량, 부분적인 미연신사 발생등은 후가공상에서의 치명적인 결점을 유발시키므로 이를 연신공정에서 제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에는 제2도와 같이 공급 롤러(1)로 공급되어진 미연신사(Y)는 1차 회전분리롤러(2)와 1단 롤러(3) 및 다시 2차 회전분리롤러(4) 및 연신롤러(5)에서 일정한 배율로 연신되어지는데 이때 균일한 연신을 위해 1단롤러(3)과 연신롤러(5)에 일정한 횟수로 감아주게되는 것으로 대개 3∼8회로 감겨있다.
그런데 롤러상에서 필라멘트간에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서 회전분리롤러를 사용하는데 이는 롤러 회전에 의해 슬립되면서 회전되는데 연신기의 진동이나 회전성의 불량에 의해 필라멘트에 흔들림을 유발시켜 연신시 필라멘트의 연신점의 이동을 유발시키는등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특히 중요한 것은 미연신 필라멘트를 연신후 보빈(6)에 권취하여 후공정상에서 발생되는 미연신(부분적인 미연신)은 여러가지 실험을 통해서 볼때 회전분리롤러의 회전 불량의 원인으로 규명되어졌다.
이를 통해서 볼때 연신기의 회전분리롤러의 사용은 완전한 연신을 위해서 필요 불가결한 장치이나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 세심한 관리가 필요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첨부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급롤러(1)과 1차 회전 분리롤러(2)를 미연신사(Y)가 통과되게 한 것에 있어서, 1차 회전분리롤러(2)의 직하방에는 주벽이 우측으로 점차 경사진 테이퍼면(11)을 가진 1단롤러(10)을 형성하고, 그 하부에는 내향중심부를 향한 상반된 테이퍼면(13)은 낮은 경사도를 갖고 테이퍼면(14)는 높은 경사도를 갖되 테이퍼면(13)의 표면은 평활하게 하고 테이펴면(14)의 표면은 미세요철이 형성되게 한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급롤러(1)을 거쳐 공급되는 미연신사(Y)는 1차 회전분리롤러(2)와 1단롤러(10)에 권취된다. 1차회전분리롤러(2)에서 1단롤러(10)의 테이퍼면(11)을 감고 이동되는 미연신사(Y)는 테이퍼면(11)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되고, 권취된 미연신사(Y)는 서로 붙지않고 원활하게 이동되며 일정한 장력이 유지된다,
테이퍼면(11)에서 습동되는 미연신사(Y)는 종래 전체 외경이 일정한 1단롤러에 의하여 동일한 장력조건이라면 이동속도가 진보되고 슬립이 방지되며 마찰계수를 낮춰 사의 표면손상이 방지된다.
일정한 장력으로 아래 연신롤로(12)의 테이퍼면(13)과 테이퍼면(14)에 권취되는 연신사는 표면이 평활한 테이퍼면(13)에서 낮은 경사로를 따라 연신롤러(12)의 우측으로 이동되며, 테이퍼면(13)은 이동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 있어 연신사의 권취둘레가 점차 좁아짐에 따라 슬립이 방지되면서 일정한 장력으로 연신사를 당겨서 연신시키게 되며 연신사는 테이퍼면(13)에서 슬립이 없고, 사간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됨으로 사의 흔들림이 방지되어 연신점에 이동이 없이 균일한 연신 효과를 얻게 된다.
테이퍼면(13)을 통과한 연신사는 테이퍼면(14)에서 일정횟수 권취된 상태로 보빈에 감기게 되는 것인바, 테이퍼면(14)는 경사도가 테이퍼면(13)보다 높게 형성되 있어 연신사가 테이퍼면(14)에서 우측으로 이동될 때 속도증가를 막아주게 되며, 표면이 미세한 요철로 형성되 있어 연신된 사의 권취 장력을 낮출수가 있게 되는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연신롤러(12)는 평활한 테이퍼면(13)과 요철 테이퍼면(14)을 갖게 하고 그 경사도돌 상이하게 함으로 마찰계수의 차이에 의하여 테이퍼면(13)에서는 연신시 필요한 장력으로 슬립이 방지되며 테이퍼면(14)에서는 권취 장력을 낮춰 우수한 필라멘트를 생산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예]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고유점도 0.650토출량 33.2g/ min, 방사속도 1250m/min, 구름홀수가 36, 구금 다이어가 0.20으로 제조된 미연신 필라멘트를 본 고안장치에서 연신속도 800m/min, 연신배율 3000으로 연신한 결과 아래표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Claims (1)

  1. 공급롤러(1)과 1차 회전분리롤러(2)를 미연신사(Y)가 통과되게 한 것에 있어서, 1차 회전분리롤러(2)의 직하방에는 주벽이 우측으로 점차 경사진 테이퍼면(11)을 가진 1단롤러(10)을 형성하고, 그 하부에는 내향중심부를 향한 상반된 테이퍼면(13)은 낮은 경사도를 갖고, 테이퍼면(14)는 높은 경사도를 갖되 테이퍼면(13)의 표면은 평활하게 하고 테이퍼면(14)의 표면은 미세요철이 형성되게 한 합성섬유용 연신장치.
KR2019900010602U 1990-07-19 1990-07-19 합성섬유용 연신장치 KR9200084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0602U KR920008406Y1 (ko) 1990-07-19 1990-07-19 합성섬유용 연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0602U KR920008406Y1 (ko) 1990-07-19 1990-07-19 합성섬유용 연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638U KR920002638U (ko) 1992-02-25
KR920008406Y1 true KR920008406Y1 (ko) 1992-11-21

Family

ID=19301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0602U KR920008406Y1 (ko) 1990-07-19 1990-07-19 합성섬유용 연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4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638U (ko) 199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429287A (zh) 调节熔纺材料的方法与装置
FR2459302A1 (fr) Procede pour la fabrication de filaments cristallins, files a partir de masses en fusion, et a molecules orientees par etirage
KR920008406Y1 (ko) 합성섬유용 연신장치
JPS60126316A (ja) 異収縮ポリエステルマルチフイラメント糸の製造方法
JPS6042301B2 (ja) 太繊度合成繊維フイラメントの延伸方法
WO1993025734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uniform yarns via reduced tension-induced slippage
JP3643456B2 (ja) 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方法
US3343207A (en) Novelty yarn apparatus
US4019312A (en) Method of combining synthetic yarns
JPS607732B2 (ja) 異収縮混繊糸の製造法
US5277859A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polypropylene yarn
HU9402610D0 (en) Textile support
US3425209A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cord
JPS60209013A (ja) 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方法
US3678676A (en) Heat setting trapped pre-inserted twist
JP3130640B2 (ja) 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方法
KR100339998B1 (ko) 폴리에스터 극세사의 제조방법
KR930005093B1 (ko)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고속 방사 방법
JPH0735606B2 (ja) ポリエステル熱収縮差混繊糸の製造方法
JP2895530B2 (ja) 太繊度フィラメント糸の製造方法
TW470791B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continuous blow spun fibers
JPH01174610A (ja) ポリエステル糸条の直接紡糸延伸方法
JPS60231814A (ja) 分繊用マルチフイラメントの製造方法
JPS61146836A (ja) ポリエステルシツクアンドシン糸の製造法
JPH09316725A (ja) ポリエステル繊維の紡糸直接延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