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298B1 - 전자현악기의 자동반주장치 - Google Patents

전자현악기의 자동반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298B1
KR920008298B1 KR1019890005463A KR890005463A KR920008298B1 KR 920008298 B1 KR920008298 B1 KR 920008298B1 KR 1019890005463 A KR1019890005463 A KR 1019890005463A KR 890005463 A KR890005463 A KR 890005463A KR 920008298 B1 KR920008298 B1 KR 920008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ch
code
fingerboard
root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5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6505A (ko
Inventor
가즈요시 시라기
시로오 이시구로
아끼노미 마쯔바라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가시오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296277A external-priority patent/JP260086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가시오 가즈오 filed Critical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6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5/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means of electronic gener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현악기의 자동반주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코드판별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근음위치판별부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의 정렬기에서의 정렬하는 순서를 예시하는 도면.
제4도는 변형예로서의 코드판별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
제5도는 변형예에서의 코드판별장치의 기능적인 구성, 특히 타입판별부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
제6도는 피치추출형의 운지검출부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
제7도는 코드표면 데이터를 다른 표현방식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의 블록도.
제8도는 제1도, 제4도 및 제5도에 예시한 코드판별장치에 결합할 수가 있는 메뉴얼 반주부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
제9도는 변형예로서 매뉴얼 반주부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
제10도는 다시 다른 변형예로서의 매뉴얼 반주부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
제11도는 제1도, 제4도 및 제5도에서 예시하는 코드판별 장치에 결합시킬 수가 있는 자동반주부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
제12도는 제11도의 반주형성부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하는블록도.
제13도는 제11도의 반주형성부의 기능적인 구성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14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현악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15도는 핑거보드에 대한 피치 할당을 예시하는 도면.
제16도는 제14도에서 표시한 전자현악기의 전체적인 동작의 흐름도.
제17도는 핑거보드에 대한 간략화된 운지에 의해서 행해지는 코드지정법을 예시한 도면.
제18도는 코드판별의 간략화한 흐름도.
제19도는 제17도의 코드지정법에 따르는 코드의 근음결정의 흐름도.
제20도는 제17도의 코드지정법에 따르는 코드의 타입결정의 흐름도.
제21도는 다른 코드지정법을 예시하는 예시도.
제22도는 제21도의 코드지정법에 따르는 코드판별의 흐름도.
제23도는 단순히 다른 코드지정법을 예시하는 예시도.
제24도는 제23도의 코드지정법에 따르는 코드판별의 흐름도.
제25도는 다시 다른 코드지정법에 예시하는 예시도.
제26도는 제25도의 코드지정법에 따르는 코드판별의 흐름도.
제27도는 제25도의 코드지정법의 확장판인 코드지정법을 예시하는 예시도.
제28도는 다시 다른 코드지정법을 예시하는 예시도.
제29도는 제28도의 코드지정법에 따르는 코드타입과 핑거보드위의 조작위치와의 대응을 나타낸 예시도.
제30도는 제28도의 코드지정법에 따르는 코드판별의 흐름도.
제31도는 베이스부 코드 내지 분수 코드의 지정법을 예시하는 예시도.
제32도는 제31도의 코드지정법에 따르는 코드판별의 흐름도.
제33도는 다른 베이스부 내지 분수코드의 지정법을 예시하는 예시도.
제34도는 다시 다른 코드지정법을 예시하는 예시도.
제35도는 제34도의 코드지정법에 따르는 코드판별의 흐름도.
제36도는 판별된 코드를 이용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 운지 검출부 130 : 근음위치판별부
140 : 피치 할당부 150 : 타입 판별부
170 : 데이터 변환부 210 : 현/피치 할당부
220 : 진동 검출부 230 : 발음 제어부
310 : 반주코드 갱신부 340 : 반주패턴 발생부
350 : 해독/발음 제어부
이 발명은 내부 혹은 외부에 설치된 전자적으로 동작하는 음원에서 악음을 합성 가능한 전자악기에 관한 것인데, 특히 핑거보드와 복수의 현을 갖춘 전자현악기 및 이와 같은 종류의 전자현악기에 짜넣어지는 코드판별장치. 자동 혹은 매뉴얼의 반주장치등의 코드 이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이, 전자악기의 분야에서 공업적 혹은 상업적으로 가장 성공을 거두어온 대상은 키보드(건반)악기이다. 다행히도, 건반악기의 주되는 연주콘트롤러인 키보드, 및 이에 부수하는 입력기술은 전자타입 라이터, 퍼스널컴퓨터, 전탁이라는 일반의 디지탈화된 전자악기에의 입력기술에 크거나 작거나 신세진바기 있었다. 음악인터페이스속에서 현재 가장 포플러한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는 주로 디지탈의 건반악기를 위해 고안된 것 같이 보인다.
현재, 실로 여러가지의 전자건반악기가 시장에서 입수가 가능한데, 어떤 것은 주로 프로팻쇼날용으로, 어떤것은 아마츄어용의 것은 아이들의 완구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말할나위도 없이, 전통적인 악기이거나 전자악기이거나 하나의 악기를 충분히 습득(마스터)하는데는 수많은 연습을 걸친 오랜 세월이 일반적으로 필요하다. 그때까지 경험도 없는 악기에 처음으로 만지는 학습자에 있어서는 최초에 배워야 할 것은 그 악기의 기본적인 동작의 짜임일 것이다. 학습자는 충분히 음악적인 마음을 이미 가지고 있을지는 모르지만, 그 음악을 경험이 적은 악기를 통해서 표현하는데 곤란을 느끼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경험이 적은자를 위해 그 음악표현을 도와주고 혹은 학습자의 음악적인 마음을 키워주는 원조나 협력등을 제공하는 것은 대단히 유익하다고 생각한다.
이와 같은 둘의 하나의 측면은 이미 전자건반악기의 분야에서 간략화된 코드지정기술 혹은 자동반주기술로서 구체화 되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수많은 개시가 있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4,353,278호에는 좌측의 건반에 대해서 간략화된 운저(즉, 건 위으로의 포지쇼닝와이에 이어지는 이들의 건으로의 타격 내지 누름조작)에 의해서 규정되는 조직자의 정보에서 코드를 판별하는 코드판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 코드판별로 로직에 따르면, 2개의 조작건중에서 최저음 또는 최고음의 조작건이 코드의 루트를 지정하고, 한편코드의 타입 또는 종류는 남는 건의 타입(검은 것인가, 흰 건인가)에 따라서 결정된다. 전자건반악기의 또 하나의 코드판별장치는 미국특허 제4,499,807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하나의 조작건일때는 그 건의 음고가 근음의 음고를 지정하고 메쟈가 코드의 타입로서 지정되며, 2개의 조작건일때는 마이너가 코드의 타입로서 식별하여 어느것인가의 건의 음고가 루트의 음고를 정한다. 3개 혹은 그 이상의 조작건의 경우는 세분스 코드가 코드의 타입로서 식별되어 최고음의 건 또는 최저음의 건에 의해서 근음이 규정된다. 미국특허 제4,217,804호에는 건반으로부터의 조작건 정보와 알페디오 패턴에 따라서 알페디오를 자동적으로 연주하는 전자건반악기가 개시되어 있다. 복수의 조작건의 각 음고에 피치순위속성을 할당하는 수단과, 각 악음을 발생할 타이밍에서 피치순위속성을 발생하는 알페디오 패턴 발생 수단이 설치된다. 발생한 알페디오 패턴의 피치 순위속성 데이터는 조작건의 피치 순위속성과 피치와의 대응에 따라서 해독되어 특정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피치가 되어 이 해독된 피치를 가진 악음이 생성되며 울려퍼진다.
따라서, 이 구성은 조작건으로서 특정되는 피치 이외의 피치를 생성하는 일은 없다. 또 하나의 건반악기의 자동반주장치로 알려져 있는데 거기서는 각 악음의 발음 타이밍에 있어서 근음으로서의 피치 음정데이터(근음에 대한 상대적인 피치)를 발생하는 패턴발생 수단이 설치된다. 다시, 키보드의 조작건에서 코ㄷ의 근음과 타입을 식별하는 코드식별수단도 사용된다. 패턴 발생수단으로부터의 피치음정 데이터는 해독수단에 넘겨져서 여기서 식별되어 있는 코드타입에 따라서 수정되고 코드의 근음과 조합되어서 특정의 값을 가진 피치가 되어 음원에서 그 피치의 악음이 발음된다. 여기에서 유의할 것은, 상술의 기술은 어느것이나 키보드를 가지는 악기, 즉 기본적으로 1차원의 피치배열이며, 친다 또는 누른다라는 행위에 의해서 조작되는 건의 배열을 가지는 악기와의 관련에서 제안되고 개발된 것이 라는 것이며, 그 원리를 구조상뿐만 아니라 연주의 성질, 내지 타입상에서도 뚜렷이 다른 악기에 대해 실질적인 변경을 수반함이 없이 곧바로 적용한다는 것을 일반적으로 쉽지않다는 것이 인식된다. 여기서, 전자현악기의 성질, 역사, 현상(state of art)에 대해서 간단하게 기술하는 것은 뜻이 있을 것이다.
전자건반악기에 비해 전자현악기는, 일반적으로 현악기의 루트는 태고에 까지 소급되며 아날로그동작의 "전기"기타가 근래에 와서 상당한 성공을 거두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그 역사는 비교적 짧다. 건반악기와 현악기와의 사이에는 주법에 있어서 큰 거리감이 있다. 예를 들면, 기타에서는, 음은 1 내지 복수의 현을 튀긴다든가(plucking), 손끝으로 한다든가(strumming)하므로서 일반적으로 발생한다. 음의 높이는 핑거보드 위에서, 대응하는 현이 손가락으로 누르는 조작위치에 의해서 기본적으로 정해진다. 즉, 각 음은 좌수의 손가락에 의해 현의 위치 결정과 우수의 손가락에 의한 발현조작에 의해서 정해지며 발생한다. 이것은 건반악기와는 대조적으로 거기서는 하나의 혹은 복수의 건을 선택하고 그 건을 타건 혹은 입력하므로서 음이 발생한다. 다시, 현악기는 그 구조의 특징상 대체로 포티블이며 대표적으로는 연주자의 희해서 안고서 연주되며 거기에 건반악기로서는 경험할 수 없는 연주자와 악기와의 일체감이 생긴다.
역사는 비교적 짧음에도 불구하고 현악기를 디지탈화, 혹은 컴퓨터화 하기 위해 여러가지의 제안이 있었다. 특히 기타 타입의 현악기의 주되는 연주 콜트롤러인 현과 핑거보드에 관련되는 입력 내지 센서장치 혹은 이에 관련되는 신호처리장치에 대한 노력이 이루어져 왔다. 현이 핑거보드에 대해서 눌려진 위치 또는 진동하는 현의 동작길이, 혹은 그것과 등가인 피치, 발현의 식가, 때로는 발현의 강하기는 전자현악압기의 검출 혹은 평가해서 음원내지 신세이저를 위한 용이해야 할 대표적인 연주제어입력이다. 예컨대, 미국특허 제4,468,999호는 전자기타에서의 현/프렛 검출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복수의 금속현이 현 구동회로에 의해서 순차로 주기적으로 구동된다. 핑거보다 위의 도전성 프렛은 프렛 주사회로에 의해 순차로 주기적으로 주사된다. 프렛 주사회로는 현에 접촉한 프렛를 거쳐서 현 위의 전기신호를 받아서 차동방식에 의해 그 프렛을 판별한다. 현 구동회로는 현 카운터에 따라서 한번에 하나의 현만을 구동하므로 판별된 프렛이 접촉하고 있는 현이 그때의 현 카운터에 의해서 특정된다. 미국특허 제4,658,690호도 현 구동 타입의 현/프렛 위치검출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프렛 복수의 서로 절연된 도전성 세그맨트로서 되며, 인접하는 프렛 세그멘트가 핑거보드를 가로지르는 방향에 대해 부분적으로 겹치도록(절연은 유지하면서)배치되어 있다. 현/프렛 위치검출장치는 복수의 현/프렛 조작위치를 검출 가능하며, 핑거보드위에 연재하는 이들의 현을 현악기몸체에 배치되어 발현되는 현(트리거 현)과는 별개로 되어 있다. 미국특허출원 SER.NO.069617호, 1987년 7월 7일 출원의 기타식 전자현악기에서는 핑거보드에 압력응답형의 프렛 스위치의 매트릭스 어레이가 배설된다. 각 프렛 스위치는 핑거보드위를 연장하는 각 현에 대응해서, 또한 핑거보드의 인접하는 프렛사이에 설치된다. 어레이 주사회로 또는 프로그램에 의해 프렛 스위치어레이가 주사되고, 동작하고 있는 프렛스위치, 즉 핑거보드에 대해서 눌려진 각 현의 조작위치가 검출된다. 미국특허 제4,723,468호는 초음파를 이용한 현/프렛 위치 내지 현 동작길이 검출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펄스동작의 초음파 발진기가 현의 브릿지에 설치되어 초음파 펄스를 송출한다. 송출된 초음파 펄스는 현과 접촉하는 핑거보드의 프렛에 의해서 반사되고 이 초음파 에코가 반대방향으로 전반해서 브릿지에 되돌아와, 브릿지에 설치한 초음파수신기에 수신된다. 송신펄스에서 수신펄스까지의 시간 즉 초음파가 현의 동작 길이의 왕복에 요한 시간이 측정되어 대응하는 조작프렛이 특정된다. 미국출원 SER.NO.112,780호, 1987년 10월 22일 출원은 현의 전자픽업으로부터의 신호에서 피치를 추출하는 피치형의 현/프렛 검출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 피치 유출장치는 아날로그회로와 소프트웨어(피치추출알고리즘)에 의해서 제어되는 디지탈 신호프로세서로 되어 있으며, 아날로그 회로에서 현 픽업 신호에 제로크로스, 픽크등을 검출해서 디지탈신호프로세서의 넘겨준다. 디지탈신호 프로셋서는 피치 알고니즘에 따라서, 유효한 제로크로스점(그 간격이 현 진동의 픽크 내지 기본 주파수에 대응한다)를 발견해서 유효제로 크로스점 사이에 시간을 측정하여 피치를 얻는다.
프랑스 FR8606571 ; FR2598-A는 찰현 내지 바이올린 타입의 전자 현악기를 개시하고 있다. 실시예에 다르면 궁의프렉시블한 궁신(stick)위의 현에 대한 궁압을 검출하기 위해 스트렌 게이지가 첨부되어 있다. 궁의 모(hair)는 100Ω/cm 정도의 저항치를 가진 실리콘 카바이트선 50본의 다발로서 구성되며 그 양단에 약 5V의 직류전압이 인가된다.
각 현은 도전성이며, 궁모에 의해서 구성되는 포텐쇼 메터에 대한 카설로서 작용을 한다. 궁모가 현에 접촉하면, 그 접촉위치(궁의 순시위치)를 나타내는 전압이 현 위치에 형성된다.
핑거보드에는 각 현에 대응해서 탄소등의 저항성을 트렉에 매설되고 각 트렉의 양단에 5V 정도의 직류전압이 인가된다. 각 트렉에 대응하여 눌려짐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트렉과 접촉하는 도선이 배치된다. 트렉이 포텐쇼 메터로서 작용하며, 도선이 커서(cursor)로서 작용을 한다. 따라서, 현을 핑거보드에 대해서 눌러서 닿게 하면 도선위에 누름위치를 나타내는 신호가 형성된다. 이들의 신호, 즉 스트렌 게이지로부터의 현에 대한 궁압을 나타내는 신호, 현에 대한 궁모의 순시위치를 나타내는 현에서의 신호, 핑거보드위에 눌러서 닿은 현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선으로부터의 신호는 합성음원의 제어를 위해 이용된다.
확실히, 현악기에 관한 이런 시도와 제안은 전체로서 "전자"현악기에서의 연주제어입력의 평가에 걸려 있으며, 그 목적은 전자적으로 악음을 형성하는 음원의 잠재능력이 적정하게 평가된 악음 파라미터에 응답해서 현실로 실현화 되기 위해서는 필요 불가결한 것이다. 그렇다고는 하지만, 전자현악기에는 그외에도 개발해야 할 중요한 측면이 존재하는데, 그것이 이 발명의 대상으로 하는 바의 연주자, 특히 현악기에 대한 경험이 충분치 않은 연주자에 대한 원조, 지원의 영역이다. 유감이지만, 전자현악기의 분야에서는, 현재로서는 원조영역에 관한 약간의 문헌밖에 알려져 있자 않다(출원인이 아는 한에 있어서).
그 하나는 미국출원 SER.NO.88978호(1979년 10월 29일)에 개시되어 있다. 이 건은 전자기타에서의 에러를 포함한 코드지정에 대한 수정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코드지정을 위해 프렛부의 핑거보드에 대해서 행해지는(에러의) 핑거링에 의해서 정해지는 핑거보드위의 조작위치(현/프렛 조작위치의 집합)가 프렛 위치검출기에 의해서 검출되어 대응하는 피치의 집합(모든 피치를 1옥터브내로 수납하기 위해 12비트중의 "1"의 비트로서 표현된다)으로 변환되어 화음, 근음검출악기에 입력된다. 화음·근음 검출기는 코드의 타입별로 준비된 복수의 정합 내지 상관필터와 상관 카운터를 가지고 있으며 각 상관필터에는 프렛 위치검출기로부터의 피치의 집합을 나타내는 12비트 Si가 최초입력되며, 검사중에 이들의 12비트 Si는 기준비트위치, 즉 근음을 C에서 B까지 움직이기 때문에 순차로 순환된다. 다시 상관필터에는 필퍽계수로서 코드의 타입을 표현한 기준의 피치데이터(이것은 코드구성음의 비트위치가 "1"이 되는 12비트 Ri와 등가이다)가 입력된다. 상관필터의 출력은
Figure kpo00001
로서 주어진다. 이 출력의 값(상관치)은 상과 카운터로서 측정된다. 최대의 상관치를 준 상관필터에 의해서 코드의 타입에 특정되어 최대상관치의 시점에서 주어지고 있는 기준 비트위치에 의해서 코드의 근음이 특정된다. 이 구성은 신호대잡음비에 관련하는 신호이론에 기초를 두고 있다.
그러나, 이 건은 코드의 지정을 위해 행해지는 "간략화"된 핑거링에 의해서 형성되는 핑거보드의 조작위치에서 보드를 판별할 필요가 있는 용도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이 후자의 기술은 일본특개소 63-210893호에서 언급(suggest) 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각 코드의 타입이 각각의 현에 할당되고 각 코드의 근음(C에서 B)이 핑거보드위의 각 프렛에 할당된다. 코드는 핑거보드위의 하나의 점을 누르므로서 지정된다. 이로서, 운지검출수단이 조작된 하나의 현/프렛 위치를 검출하는 조작위치의 현 정보에서 코드 타입이 식별되어 조작위치의 프렛 정보에서 코드의 근음이 식별된다. 이 구성의 경우, 동일 프렛 위의 피치가 현과는 상관없이 동일하게 할당되므로 크든 작든 전통적인 현악기에 친밀감을 가지고 있는 태반의 연주자에서는 이상한 느낌을 금할 수가 없을 것이다. 또 하나의 보기가 본건과 동일의 양도인에 관한 일본 실원소 62-19902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전에서는, 프렛부의 핑거보드위에서, 따로의 영역이 각각 코드 타입지정 영역과 근음 지정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이 건의 1실시예에서는 제6현에 대응하는 핑거보드위의 영역 내지 트렉이 근음지정 영역을 규정하고 제1현에서 제5현에 대응하는 핑거보드위의 트렉이 타입지정영역을 규정하고 있다. 이 구성도 앞의 예와 비슷한 결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보다 학습하기 쉬운 간략화된 코드 지정이 가능한 전자현악기에 대한 큰 니즈가 있다. 보다 넓은 뜻에서, 연주자 특히 현악기에 대한 충분한 경험을 가지지 못한 사람들에게 보다 유익하며 도움이 되는 전자현악기용 연주원조정치, 들을 제공하는 것은 대단히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주목적은 충분한 경험을 가지고 있지 않는자라도 연주조작이 용이한 전자현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시 본 발명의 두번째의 목적은 연주자가 용이하게 소망하는 코드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한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시, 본 발명의 세번째의 목적은 연주자가 간략화된 운지에 의해서 코드를 지정하면서 반주를 붙일수가 있는 전자 현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시적인 측면에 따르면, 핑거보드와 복수의 현을 갖추며, 또한 상기 핑거보드에는 그 긴쪽방향을 따라서 연재하는 복수의 트렉이 규정되어 있어서 각각의 트렉이 각각의 현에 대응가능하게 되어 있는 전자현악기에서 사용되는 코드판별장치에 있어서, 코드를 지정하기 위해서 행해지는 상기 핑거보드에 대한 간략화된 운지에 따라서 정해지는 핑거보드의 조작위치를 검출하는 운지검출수단과, 상기 핑거보드의 각 위치에 대해서 피치를 할당하기 위해서 2차원인 상기 핑거보드의 각 위치의 성분중, 그 위치가 상기 복수의 트렉중의 어느트렉내에 위치하는가를 나타내는 제1성분과, 그 위치의 상기 핑거보드의 긴쪽방향에 관한 긴쪽 성분인 제2성분과의 양쪽에 각 피치가 의존하도록 피치를 할당하는 피치할당 수단과, 상기 운지검출 수단과 상기 피치 할당 수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위치중에서 하나의 조작위치를 근음지정위치로서 선택하고 이 선택된 근음지정위치에 대응하는 악음의 피치를 할당하는 피치할당 수단과, 상기 운지검출 수단과 상기 피치 할당 수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위치중에서 하나의 조작위치를 근음지정위치로서 선택하고 이 선택된 근음지정위치에 대응하는 악음의 피치를 생성하므로서 코드의 타입을 판별하는 근음판별수단과, 상기 운지검출수단에 결합하고 있으며 상기 조작위치에서 코드의 타입을 판별하는 타입판별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가 제공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핑거보드에 대한 2차원적인 피치할당이 코드의 근음지정을 위해 채용되며 또한 그와 같은 피치할당이 행해지는 핑거보드의 전역이 코드의 타입 지정을 위해 이용된다. 이것은 전체로서 전통적인 현악기의 성질에 따르는 것으로서 코드지정을위한 간략화된 핑거링 즉 포지쇼닝과 누름의 타입에 따라서 초심자로서는 상당히 곤란한 생략이 없는 완전한 핑거링으로의 도입, 악세스, 전개, 내지 확장으로의 실현가능성(feasiblity)을 준다.
용어"트랙"이란 여기서는 발현 혹은 찰현이 되는 복수의 현의 각각에 인지상 혹은 지각상, 대응 가능한 핑거보드위의 에리어(대표적으로는 고정적이기는 하나 운지검출수단 내지 현/프렛 검출수단의 타입에 따라서는 대응하는 현의 밴드에 따라서 그 위치가 동일수 있다)도 일반적으로 뜻한다. 따라서, 핑거보드위에 복수의현(반드시 발현 혹은 찰현일 필요는 없다)이 쳐있어도 좋고 쳐있지 않아도 좋다. 현이 핑거보드위에 쳐있지 않은 경우, 핑거보드위에 시각 가능한 트랙의 마크 내지 표시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트렉과 현과의 대응이 인지상, 혹은 운동생리상 성립되는 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용어"코드"는 대표적으로는 복수의 피치로서 표현할 수가 있으나, 하나의 피치라도 포함되면 된다. 용어"근음"은 넓은 뜻에서 사용되며, 사람에 따라서는 기음(fundamental)이라고도 불려진다. 하나의 코드는 서양의 클래식에서 코몬 프럭티스시대 내지 조성시대(tonal period, 거의 18세기에서 19세기)에서의 하나의 근음을 가진 코드뿐만 아니라 2개 내지 그 이상의 근음을 가지는 폴리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느 폴리코드는 하층구조의 코드(lower structured chord)의 1 내지 복수의 구성음과 그 위에 형성되는 상층 구조의 코드(upper structured chord)의 1 내지 복수의 구성음으로서 구성된다. 가끔, 이와 같은 폴리코드는 "X/Y" 또는 "Xony"의 형식, 예컨대, "C maj on D"의 형식으로서 표현되며 특히"y"의 부분의 코드가 하나의 구성음으로서 연주되는 경우, 그 구성음이 최저음. 즉 베이스가 되므로"코드 온 베이스","온 베이스 코드" 또는 "베이스부 코드" 또는 X/Y의 신볼에서"분수코드"(일본의 경우)라 불러진다.
운지검출수단은 배경의 섹숀에서 예시한 것처럼 임의의 기지의 현/프렛 위치검출장치, 현 피치추출장치,혹은 현 동작길이 검출장치에서 실현시킬 수 있다.
용어"결합한다"는 가장 넓은 뜻으로 해석되어야 하는데, 결합하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수단 내지 요소는 디스크리트한 회로 혹은 공통의 하드웨어(예컨대 프로그램 제어되는 마이크로 프로셋서, 마이크로컴퓨터)로서 실현시킬 수가 있다. 마이크로프로셋서등의 경우, "결합한다"는 프로그램 제어한에서는 논리적, 내지 기능적인 결합을 통상 뜻한다.
본 발명의 취지(teachings of Invention)의 범위내에서, 코드지정을 위한 핑거보드에 대한 여러가지의"간략화"된 운지가 가능하다. 하나의 타입에서는 모든 코드는 손가락이 쉽게 옮겨질 수 있는 비교적 좁은 범위내에 포함되는핑거보드위의 1 내지 복수의 조작위치에 의해서 지정된다. 또 하나의 타입에서는 거의 태반의 코드가 복수의 손가락을 핑거보드위의 거의 일직선상에 복수의 위치에 눌러서 대든가 혹은 유지시키므로서 지정된다. 다시 또 하나의 타입에서는 적어도 1부의 코드가 통상의 현악기를 사용해서 같은 코드를 지정할때에 형성되는 핑거보드의 조작위치의 부분집합에 의해서 지정된다. 이들의 코드 지정에는 핑거보드위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복수의현이 연재하는 구조에서도 같이 적용된다.
핑거보드 위의 근음을 지정하는 조작위치는 나머지의 조작위치와 쉽게 구별 할 수 있는 위치임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타입에서는, 핑거보드 현악기의 헤드의 몸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며 모든 조작의치중에서 일단(가장 헤드에 가깝거나, 가장 몸체에 가까운)에 있는 조작위치가 근음을 지정한다. 다른 타입에서는 근음조작위치는 조작위치에서 변형된 음고의 영역에서 규정된다. 예를 들면, 조작음고 즉 조작위치에 대응하는 음고속에서 최저음 또는 최고음이 근음의 피치를 특정한다.조작위치는 모드 1옥터브내에 포함되는 피치로 변환 될 수 있다.
핑거보드는 바이올리등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프렛가 없는 핑거보드라도 좋고, 혹은 기타등에서와 같이 프렛(핑거보드를 가로지르는 간격이 뚫어진 용기(riade) 혹은 마트)이 붙은 핑거보드라도 좋다.
용어"조작위치"는 운지검출수단의 타입에 따라, 손가락으로 접촉되어 있지 않는 현 혹은 트렉의 상태를 포함시킬 수 있다. 하기야 근음판별 수단은 핑거보드위의 눌러서 닿은 위치 또는 접촉한 위치, 혹은 손가락에 의해 핑거보드에 눌려서 닿은 위치 내지 이것과 등가의 것에 관한 정보만을 취급하는 것이 그 내용처리 속도의 면 혹은 구성의 면에서 유리하다. 따라서,"조작위치"는 때로는 후자의 뜻으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치 할당수단에 의해 할당되는 피치는 통상, 예컨대 멜로디의 연주를 하기 위해 상기 핑거보드에 대해서 운지가 행해질때에 할당되는 피치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측면은 반주의 목적을 위해 판별된 코드를 이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1구성예에서는, 상술한 것처럼 코드판별장치에 결합되는 매뉴얼 연주장치가 제공된다. 이 매뉴얼 연주장치는 판별된 근음과 타입에 따라서 특정되는 코드에 응답하여, 현악기의 복수의 현에 할당하는 현/피치 할당수단과, 각 현에서의 진동의 발생을 검출하는 현 진동검출수단과, 상기 진동검출수단과, 현/피치할당수단으로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검출수단으로부터 신호가 주어졌을 때에 현/피치 할당수단에 의해서 특정되는 1 내지 복수의 피치를 가지는 악음의 발생을 제어하는 발음제어수단을 가진다. 바람직하기는, 진동검출수단으로 부터의 신호에는 진동을 개시한 현을 특정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발음제어수단은 상기 특정된 현에 대해서 상기 현/피치 할당수단에 의해 할당되어 있는 피치를 선택해서 그 피치를 가진 악음의 발생을 제어한다. 그 대신에, 발음제어수단은 진동검출수단으로부터의 현진동의 개시를 나타내는 임의의 신호에 응답하여 현/피치 할당수단으로 부터의 모든 피치를 받아서 이들의 피치가 가지는 악음의 동시적인 발생을 제어해도 좋다. 다시, 다른 변형예에서는, 현/피치 할당수단은 주어진 코드에 따라 일부에 현에 대해서만 피치를 할당하여, 이로서 피치가 할당되지 않은 나머지의 현에 관한 상기 발음제어수단의 동작을 금지시켜 이들의 현에 대한 악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때로는, 발현이나 찰현의 필요없이 판별된 코드에 응답해서 반주라인을 형성하는 악음의 시켄스가 자동적으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목적을 위해 상술한 것처럼 코드판별장치에 결합되는 자동반주장치가 제공된다. 이 자동반주장치는 각 악음을 발음해야 할 각 타이밍에 있어서, 각 음악의 피치속성코드를 발생하는 반주 패턴 발생수단과, 이 반주패턴 발생수단과 코드(근음과 타입)판별 수단으로 결합되며, 주어진 피치속성코드를 판독된 코드에 따라서 해독해서 특정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피치로 변환하는 패턴해독수단과, 패턴 해독 수단과 결합하여 해독된 피치를 가진 악음의 발생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가진다. 여기서 말하는 피치속성이란, 악음의 세로의 성분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측 내지 시간측에 관해서 그 악음과 그 악음의 전, 후 또는 둘레에 있는 악음에 의해서 형성되는 피치의 파 또는 흐름에서 지각되는 그 악음의 성격, 특징을 일반적으로 뜻한다. 예컨대, 악음의 피치속성은 코드의 근음으로 부터의 음고의 거리 내지 피치터벌로서 표현된다. 또 하나의 보기에서는, 악음의 피치속성은 피치의 그룹중의 피치순위(몇번째로 높은 혹은 몇번째로 낮은 음이며, 옥터브 변호와 조합할 수 있는)로서 표현된다. 이 후자의 경우, 운지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조작순위를 나타내는 신호는 대응하는 피치(대표적인 것으로는 1옥터브내에 수용되는)로 변환되고, 이렇게 한후 이들의 피치에 피치순위가 할당된다. 이들의 피치/피치순위의 쌍이 패턴 해독수단에 입력되어 반주패턴에 포함되는 피치순위가 입력피치/순위쌍을 참조하므로서 특징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피치로 변환된다. 현악기에 거의 경험이 없는 연주자의 경우, 코드의 지정을 위한 운지조작에 불필요하게 긴 시간을 요할때가 있고, 반주의 리듬에 동기해서 코드체인지(다른 포지쇼닝, 누름조작의 행위)를 행하는것에 가끔 곤란을 느낀다. 코드지정을 위한 핑거링 행위에 비해 발현의 행위는 비교적 용이하게 리듬에 동기해서, 혹은 코드 체인지를 해야 할 시점에서 행할 수가 있다.
이 발명의 또 하나의 측면은 올바른 타이밍에서 반주라인에서의 코드체인지를 행할수가 있는 전자현악기의 자동반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자동반주장치는 운지검출수단에서 조작위치에 비해서 특정된 코드를 발현 혹은 찰현이 행해지는 시점까지 무효 내지 불작동으로 하고 그 후에 유효한 코드 즉 반주라인에서 사용되고 코드로서 받아들여진다. 1구성예에서, 자동반주장치는 복수의 현에서의 진동의 발생을 검출하는 진동 검출수단과 반주패턴을 자동적으로 발생하는 피턴수단과, 상기 패턴발생수단에 결합하고 있으며, 코드와 반주패턴에 따라서 반주음의 생성을 제어하는 발음제어수단과 상기 운지검출수단을 결합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현중에서 어느 현에서도 그 진동의 개시가 검출되기만 하면, 그 시점에서 상기 진동검출수단으로부터 주어지는 신호에 응답하고, 그 시점에서 상기 운지검출수단의 검출한 조작 위치에 의해서 특정되는 코드를 상기 발음제어수단에 공급하고, 그후 이 발음제어수단이 반주음의 생성을 위해 참조하게 되는 코드가 이 공급된 코드에 의해 갱신되도록 하는 반주코드 갱신수단을 가진다. 위에서 기술한 코드판별장치에서 상기 발음제어수단에서 판별한 코드를 공급해도 좋다.
여기서 용어 "반주"는 대표적으로는 주선율에 대한 부차적인 파트이나 주선율이나 그 외의 파트가 실제로는 연주되지 않도록 하는 경우에서 "솔로"가 될수 있다.
[실시예]
처음에, 본 발명의 어느 원칙에 따른 몇가지의 기본구성에 대해서 기술하고 그 후에 본 발명에 의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보겠다.
[기본구성]
제1도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100)의 기능적인 구성을 파선으로서 표시하는 다른 선택 가능한 구성과 함께 블록도로서 표시한다. 코드지정을 위해 간략화된 좌수핑거링(110)을 도시하지 않는 핑거보드에 대해서 행하므로서 핑거보드위에 대응하는 조작위치가 형성된다. 복수의 현, 예컨대, 6본의 현(도시않음)이 핑거보드이 길이 방향에 따라서 쳐있을 때, 핑거링(110)의 조작에 의해 1본 내지 그 이상의 현이 적당한 위치 즉 조작위치에서 핑거보드에 대해 압부된다. 발현 또는 찰현이 가능한 복수의 현은, 현악기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들이 핑거보드위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핑거보드에는 현의 수와 같은 수의 복수의 트랙이 핑거보드의 긴쪽방향에 따라서 규정된다. 따라서, 이들 트랙은 각 현과 대응 가능하다. 환언하면, 전자현악기의 내부 논리기능에서는 트랙은 현과 등가이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용어 "트랙"과 용어 "현"을 서로 말을 바꾸어도 좋다고 해서 사용된다.
운지검출부(120)는, 핑거링(110)에 의해 규정된 조작위치, 정확히는 조작위치의 셋트[PP(X,Y)]를 검출한다. 운지검출부(120)는 배경이 섹숀에 예시한 것처럼 임의의 기지의 운지검출장치에서 실현된다. 근음위치판별부(130)는 운지검출부(120)로부터의 조작위치의 셋트[PP(XMY)]를 받고서는, 그 중의 하나의 조작 위치를 근음지정위치 ROOT(X,Y)로서 선택한다. 선택된 근음지정위치ROOT(X,Y)는 피치할당부(140)에 입력된다. 여기서, 피치할당부(140)는 핑거보드의 각 위치에 대해서 피치를 할당하기 때문에 2차 원인 상기 핑거보드의 각 위치의 성분중, 그 위치가 상기 복수의 트랙 또는 현중의 어느트랙 내지 현에 속하는가를 나타내는 제1성분(제1도에서는 현 번호를 가르키는 숫자의 첨자가 붙은 x로서 표시되어 있다)과 그 위치의 상기 핑거보드 내지 문제로 삼고 있는 현의 길이방향에 대한 제2의 성분내지 긴쪽성분(제1도에서는 긴쪽 위치를 나타내는 숫자의 첨자부의 y로서 표시되어 있다)과의 양쪽의 성분에 각 피치(현 번호의 첨자와 긴쪽위치의 첨자가 붙은 p로서 표시되어 있다)가 의존하도록 피치를 할당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피치 할당부(140)에서 규정되는 2차원의 피치배열(Pi,j)은 인접하는 요소 P2,K와 K-1과의 사이에 반음의 피치 인터벌을 가진다. 또, 핑거보드를 가로지르는 방향의 축(y축)에 관한 피치요소, 예컨대 P1,1, P2,1, P3,1, P4,1, P5,1, P6,1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피치인터벌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피치 할당의 경우, 적은 피치 데이터 요소에서 핑거보드의 임의의 위에서의 피치를 계산할수가 있다. 예를 들면, 위치PP(1,1)의 피치 P1,1와, 위치P(2,1), P(3,1), P(5,1), P(6,1)에서의 피치 P1,1으로부터의 피치인터벌의 값 PI2,PI3,PI4,PI5와 Y축에 따라서 인접하는 위치 PP(x,y), PP(x-1,y) 사이에 형성되는 반음의 피치인터벌(수치 1로서 표현할수 있음)이 주어지며는 위치 P(5,8)에서의 피치 P5,8은,
P58=P1,1+PI5+7
로서 얻어진다. 피치할당부(140)는 근음위치 판별부(130)로부터 조작위치 ROOT(X,Y)를 받아들이면 그것을 2차원적 피치할당에 따라 피치 ROOT(RITCH)(단순히 ROOT로 인해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로 변환해서 출력한다. 근음 "ROOT"는 코드(제1도에는 "CHORD"로서 표시되어 있다)를 표현(represent)하기 위한 1요소이다. 남은 코드특정요소는 타입(제1도에서는 "TYPE"로서 나타내고 있다)이다. 이 코드의 타입 "TYPE"는 타입 판별부(130)에서 생성된다. 타입 판별부(150)는 운지검출부(120)에 결합되어 있으며 여기서 공급된 조작위치의 셋트[PP(x,y)]를 분석해서 코드의 타입 "TYPE"를 생성한다.
TPYE와 ROOT와의 조합에 의해 CHORD가 특정된다.
제1도에서는 블록 사이를 접속하는 파선도 표시되어 있다. 이들은 코드판별장치(100)의 취할 수 있는 다른 구성(altermative arrangements)을 예시한 것이다. 어떤 구성에서는 근음위치판독부(130)는 각 조작위치 PP(x,y)를 피치할당부(140)로 보내고 피치할당부(140)로 부터의 그 조작위치 P(x,y)에서의 피치 "피치(x,y)"를 받는다. 이 프로세스를 기타의 조작위치에 대해서 되풀이하므로서 근음위치판별부(130)은 집합 사이의 각 요소가 1대 1에 대응하는 피치의 집합[PITCH(x,y)]과 조작위치의 집합[PP(x,y)]을 가지게 된다. 그후, 근음위치 판별부(130)는 피치의 집합[PITCH(x,y)]에서 근음피치 선택의 로직에 따라, 근음의 피치 ROOT(PITCH)를 얻는다. 이 시점에서, 근음 위치 판별부(130)는 대응하는 근음조작위치 ROOT(x,y)도 알고 있다. 제1도에서는 근음조작위치를 표시하는 데이터 ROOT(x,y)를 근음위치판별부(130)에서 타입판별부(150)로 주는 파선도 표시되어 있다. 이점에 관해서는 뒤에 제5도를 참조해서 상술하겠다.
제2도는 근음위치판별부의 바람직한 1구성예(130M)를 표시한다. 운지검출부 내지 조사부(120)는 지정된 코드에 관련하는 조작위치의 집합[PP(x,y)]를 검출하는 것인데, 그와 같은 조작위치를 어떻게 해서 검출하는가는 운지검출부의 타입이나 주사의 알고리즘에 의존한다. 제2도에서는 운지검출부(120)의 주사결과가 조작위치의 집합[PP(x,y)]으로서 근음위치판별부(130M)에 주어지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조작위치의 집합[PP(x,y)]은 대표적으로는 메모리에 위치 데이터로서 각각의 위치 데이터의 요소가 하나의 조작위치를 나타내도록 기억된다. 환언하면, 조작위치의 1차 배열이라고 생각된다. 이 시점에서 이 1차 배열의 어딘가에 근음지정위치 ROOT(x,y)가 존재한다. 이 1차 배열을 소스 1차배열이라 부르기로 하고 금음지정위치 ROOT(x,y)를 나타내는 배열요소가 1차배열의 기지의 번호의 요소가 되는 1차 배열을 오브젝트 또는 데스티네이션 배열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 관점으로 하면, 근음위치판별부의 기능은 소스배열을 바꾸어서 나란히 시켜서 오브젝트배열을 얻는 것이다. 코드판별장치의 시스템에서 근음지정위치는 코드지정에 관한 조작위치의 임의의 인스턴스에서 언제나 정의 가능하므로 소스배열을 오브젝트 배열로 변환시키기 위한 소팅이 언제나 존재한다.
이점을 고려해서, 제2도에서(130M)로서 표시되는 근음위치 판별부는 조작위치의 소스배열[PP(x,y)]을 오브젝트배열[SORT(x,y)]는 그 최초의 요소 또는 최후의 요소가 근음지정위치 ROOT(x,y)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선두(또는 최후미) 취출부(132)가 이와 같은 근음지정위치 ROOT(x,y)을 나타내는 요소를 소트된 배열 [SORT(x,y)]에서 빼내어서 외부로 출력한다.
제3도에 소팅의 우선순위의 4개의 예를 제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우선순위의 맵(A)에서는 x=6, y=1의 위치(이하(6,1)과 같이 표시함)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로서 이하 최초의 y열에 따라서 (5,1),(4,1),(3,1)(2,1)(1,1)로 진행하면 다음의 Y열로 옮겨서 (6,2), (5,2),(4,2),(3,2),(2,2),(2,1)로 나아가서, 이하 같다.
제2도에는 소터(131)로 부터의 소트된 배열[SORT(x,y)]를 타입 판별부(150)에 결합하는 파선도 표시되어 있다. 다시, 선두취출부(132)으로 부터의 근음지정위치 ROOT(x,y)을 타입판별부(150)에 공급하는 파선도 표시되어 있다. 이들의 결합에 의한 정보전달은 타입 판별부(150)에 의해서 유익하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제5도를 참조해서 기술하기로 한다.
계통적인 관점에서, 소터(131)의 기능을 운지검출부(120)의 주사논리부에 짜넣을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주사논리부는 제3도에 예시하는 것 같은 타입으로서 핑거보드를 주사한다. 주사논리부는 조작위치를 발견하면 그 위치 데이터를 FIFO 혹은 LIFO로 해서 동작할 수 있는 버퍼에 격납한다. 이와 같은 버퍼는 상술한 것처럼 제1배열이라 볼수 있다. 이 구성의 경우, 결과의 1차 배열을 다시 바꾸어서 나란히 하는 수단은 불필요하게 된다.
코드의 타입을 식별하기 위해 제1도의 타입판별부(150)는 조작위치의 집합 [PP(x,y)]를 기준의 타입 패턴의 셋트에 대해서 메칭할 수가 있다. 각 타입 패턴은 어느 코드 단입을 나타내는 위치의 집합으로서 된다. 조작위치의 집합이 어느패턴과 일치하며는 그 타입 패턴에 할당된 코드타입가 연주자가 의도하고 지정된 코드의 타입이 된다. 이 어프로치의 경우, 메칭 내지 타입에 대한 서치는 총당 방식(Exhanustive type 또는 Birtish Meseum type)일수가 있으며, 지정 가능한 타입의 수에 의존해서 타입판별부(150)에 설치되는 기준의 타입패턴의 수가 상당한 수가 될지도 모른다. 그와 같은 경우, 타입 판별에 시간이 소요된다. 다시, 기주의 타입패턴을 데이터로 해서 기억하는 메모리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기억용량이 희생이 된다. 당연한 일이지만, 코드 타입에 대한 서치를 빨리 실행할 수 있는 타입판별부가 요망된다.
제5도는 바람직한 타입판별부(150N로서 표시함)을 가지는 코드판별장치(100N)을 가리킨 것이다. 이 보기에서는, 타입판별부(150N)는 정규화부(151)을 포함하고 있다. 정규화부(151)는 운지검출부(120)에서 조작위치의 집합[PP(x,y)]을 받고서는 근음위치검출부(130)로 부터 근음지정위치 ROOT(x,y)를 받는다. 정규화수단은 근음지정위치 ROOT(x,y)를 사용해서 조작위치의 집합의 정규화를 실행하여 각 조작위치가 근음위치 ROOT(x,y)에 대한 상대위치정보로서 표현되도록 한다. 근음위치자체의 상대위치는 (0,0)이므로 상대위치의 셋트(RPP)에서 근원요소는 제거할 수 있다. 이 상대취지의 집합(RPP)이 패턴 메칭부(153)에 공급되고 여기서, 기준의 타입패턴의 셋트(152)에 대해서 매칭 테스트가 행해진다. 기준의 각 타입패턴은 상대 위치의 집합으로서 표현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이해하는 것 같이, 제5도의 타입(150N)는 패턴 메칭부(153)에서의 검사시간이 단축되는 잇점이 있다. 왜냐하면, 각 코드의 타입에 대해 다만 하나의 타입패턴을 준비하면되기 때문이다. 타입패턴은 정규화 되어 있으며 근음을 나타내는 요소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코드의 타입의 식별에 요하는 시간을 다시 단축하기 위해서 제2도에 관련해서 기술한 소트된 조작위치[SORT(x,y)]를 타입판별로(150N)에, 소트되지 않은 소스배열[PP(x,y)]의 대신으로서 공급할 수가 있다. 기준의 각 타입 내지 상대위치의 1차 배열도 그 요소가 배열[SORT(x,y)]의 소팅 우선순위에 다르도록 순서가 지워져 있다. 이 아프로치에 의하면, 타입판별부(150N)내의 패턴메칭부(153) 또는 정규화부(151)에서 소트를 행할 필요는 없다.
때로는, 비교적 적은 타입을 포함하는 코드만으로서 연주자, 특히 초심자에 있어서는 충분할지 모른다. 이와 같은 경우, 코드판별장치, 특히 코드타입판별부를 대단히 간단한 것으로서 구성할수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제4도에서 표시한다. 제4도의 코드판별 시스템(100M)에서는 코드의 타입는 핑거보드 위의 조작위치의 수로서 정해진다. 도시한 운지검출부(120)는 주사의 동작중에서 검출한 조작위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도시않음)를 포함한다. 카운트의 결과는 제4도에서 NO(PP)로서 표시되어 있으며 타입판별부(150M)에 공급되어 있다. 타입판별부(150M)는 NO(PP)를 TYPE의 데이터 포멧으로 변환한다. 만약, TYPE가 NO(PP)와 같은 포멧이라면, 실제로는 도시한 타입 판별부(150M)는 불필요하다. 환언하면, 조작위치의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가 타입판별부로서 기능을 한다.
피치추출형(배경의 곳 참조)의 운지검출장치의 현 픽업으로 부터의 전기신호, 즉 발현(撥弦)이나 찰현(擦弦)의 결과, 현에 발생하고 있는 진동을 나타내는 전기신호를 모니터로 해서 그 신호의 기본주파수를 추출한다. 전자현악기의 통상의 동작중 이와 같은 기본주파수 성분은 음원에서 발생되는 악음의 주파수 내지 피치로서 이용할수가 있다. 이 타입의 운전검출장치도 본 발명의 코드판별장치에 짜넣어진다. 이 구성의 경우, 제1도에서 예시하는 것처럼 "전자적"인 피치할당부는 원한다면 불필요하게 할수도 있다. 핑거보드위에 이어져 있는 복수의 현이 가진 물리적 성질에 의해서 "기계적"인 혹은 "음향적"인 피치 할당구조(통상의 현악기에서 주어지고 있는 것 같은 것)가 주어지기 때문이다.
이 아프로치에 따르면 코드판별장치를 제6도에 표시한다. 핑거링(110)에 으해 핑거 보드(도시않음)위에 조작위치가 형성된다. 이런 상황하에서 적당한 현이 발현(160)되고 현에 진동이 발생한다. 이 현에 설치된 예컨대 전자식의 픽 업(도시않음)에 의해 현이 진동은 대응하는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운지검출부(120M)내의 대응하는 피치추출부(121)에 공급되고 여기서 그 신호의 기본주파수성순 PITCH(ST)가 추출된다. 여기서, 명백한 것은 이 주파수 내지 피치의 값 PITCH(ST)은 문제가 되고 있는 현의 조작위치와 현의 장력, 사이즈, 기타의 물리적 성질의 함유이며, 제6도에서는 피치추출부(121)는 하나의 박스로서 표시되어 있으나 내부적으로는 각각의 현에 대해서 준비된 복수의 피치추출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모드 피지추출모듈의 출력이 조작피치의 집합[PITCH(ST)]를 형성한다. 도시한 운지점출부(120M)는 피치추출부(121)에 결합하는 변환부(122)도 가지고 있으며, 여기서 받은 각 조작피치"PITCH(ST)"가 핑거보드위의 조작위치 PP(x,y)로 변환된다. 변환된 모든 조작위치, 즉 조작위치의 집합[PP(x,y)]는 제1도에서와 같은 타입판별부와 근음위치검출부에 공급된다. 제2도에는 피치추출부(121)에서 생성한 조작피치의 집합[PITCH(X)]이 운지검출부(120M)의 외부에서도 이용된 가능성을 나타내는 화살표부의 점선도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피치의 집합[PITCH(X)]는 근음위치판별부(130(제1도)에 공급된다.
코드를 표현하는데 몇가지의 표현방식이 있다. 하나의 예는 이미 제1도에 관한 기술이며, 하나의 코드 "CHORD"는 타입 "TYPE"와 "ROOT"로서 표현된다. 코드는 피치의 집합으로서 표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피치의 통상 코드의 구성음(member)이라고 불러진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TYPE, ROOT의 조합에 대해, 다수의 코드의 피치의 조합이 존재한다(피치를 주파수의 절대치의 뜻으로 해석할때). 이들의 절대적 피치가 서로 접근하도록 배치될때, 코드는 크로즈드 포지숀에 있다고 불러지며 역의 경우에는 코드는 편 포지숀에 있다고 불러진다. 최저음의 코드구성음이 근음될때, 코드는 근음위치에 있다고 불러지며, 다른 코드 구성음이 최저음일때, 코드는 전회위치에 있다고 불러진다. 하기야, 전자악기의 내부에서는 모든 코드구성음이(적어도 일시적으로는) 1옥타브내에 수용되도록코드의 피치의 집합을 정규화하는 것이 가끔 좋을때가 있다. 또, 어떤 종류의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TYPE와 ROOT와의 조합에 대해 항상 하나의 피치의 조합이 할당된다. 예를 들면, TYPE와 ROOT로서 특징되는 기억장소에 피치의 집합을 기억하는 메모리를 준비할 수가 있다.
이상의 의론은, 제7도에서 모식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도시의 데이터 변환부(170)는 TYPE와 ROOT를 피치의 집합(RITCH(CM#1)에서 PITCH(CM#n)로서 표시되어 있다)으로 변환한다. 데이터 변환부(170)는 전회수(도면에서는 점선에 의해 이것이 데이터 변환부170으로 공급되고 있음을 가르키고 있다. 전회수는 가변일 수도 있다)에 따라서 피치의 집합[RITCH(CM)]을 구성할수도 있다. 또, 이용장치를 위해 코드 구성음의 수 N0(CM)도 출력할 수 있다. 어떤 종류의 시스템에서는 피치의 집합[RITCH(CM)]을 TYPE와 ROOT와의 조합에 역변환하는 수단이 사용된다.
다음에, 코드 이용장치, 즉 제1도에서 제6도에 관련해서 설명해온 것처럼 코드판별장치에서 주어지는 코드를 이용하는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최초에, 제8도를 참조해 본다. 제8도에는 이 발명의 1측면에 다르는 전자현악기의 매뉴얼 반주장치(200M)가 제시되어 있다. 매뉴얼 반주장치(200M)는 현/피치 할당부(210)를 가지고 있으며, 여기서 코드 "CHORD"가 받아진다. 이 CHORD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코드판별장치에 의해서 판별된 것이다. CHORD는 적당한 표현형식, 예컨대 TYPE와 ROOT와의 조합(제1도 참조), 피치의 집합(제7도 참조) 또는 코드식별번호 등으로서 주어진다. 형식이야 어떻든, 현/피치 할당부(210)는 받아들인 코드와 내부의 현/피치 할당논리에 따라서, 각각의 현에 대한 피치 데이터 PITCH(ST)를 생성한다. 예컨대, 도면에서의 PITCH(ST1)는 현(1)에 대한 피치를 나타낸다. 메뉴얼 반주장치(200M)의 나머지의 부분은 현/피치 할당부(210)에서 정해진 피치의 악음이 대응하는 현의 발현 또는 찰현에 응답해서 생성되며, 울리도록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즉, 현이 튀기면(160), 현에 진동이 생긴다. 이것이 복수의 현진동 모니터모듈(복수의 독립인 현픽업과 이들에 관련되는 신호 처리전자부로서 된다)를 가지는 진동검출부(220)내의 대응하는 진동모니터 모듈에 의해서 검출되고 현의 진동개시를 나타내는 현 트리거 신호를 발생한다. 각 진동 모니터 모듈은 현의상태에 관한 기타의 신호도 생성하도록 수성할 수 있다. 이들의 부가적 신호의 하나는 발현의 속도 혹은 강하기를 나타낸다. 또 하나의 신호는 진동의 진폭 혹은 라벨을 나타낸다. 다시 또 하나의 신호는 현 진동이 정지했음을 나타낸다. 진동 검출부(200)의 출력 COND(ST1)으로부터 COND(ST6)은 각각의 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발음제어부(230)에 공급된다. 상태신호 내지 COND(SYx)가 제x현의 진동의 개시를 나타낼때, 이 신호는 발음제어부(230)에서, 그 현으로부터의 노트 온 요구신호로서 해석되며, 발음제어부(230)는 그 현에 대해 할당되어 있는 피치 데이터PITCH(STx)를 선택하고 그 피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발음 코맨드 내지 메세지를 음원으로 보낸다. 이 결과, 음원은 발음코맨드에 지시된 데이터에 따르는 악음을 발생하게 된다. 이 현의 발현속도 데이터도 발음제어부(230)에 공급되는 경우에는 발음제어부는 그 데이터를 이용해서 앤벨로프등의 악음 파라미터를 생성하며, 그것을 발음코맨드의 일부로서 음원에 전송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제1도의 코드판별장치(100)에 짜넣어져서 동작하는 제8도의 매뉴얼 반장치의 동작을 명백하다. 연주자는, 대표적으로 좌수로서 핑거보드에 대해서 간략화된 핑거 링을 행하므로서 코드를 지정하면서 적당한 현을 튀기므로서 소망의 반주를 행할 수가 있다. 반주의 각 악음은 관련하는 현에 대한 발현의 조작의 직후에 발생하고 그 피치는 간략화된 핑거 링으로서 지정되어 있는 코드와, 현/피치 할당부에 짜넣어져 있는 현/피치 할당논리에 의존한다. 악 음의 피치는 코드의 구성음에 속해도 좋고 속하지 않아도 좋다.
경우에 따라서는, 소정의 현에 대한 발현에 대해서 발음 제어부(230)가 응답을 하지 않고, 악음의 발생을 금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기능은 코드를 지정하기 위한 좌수의 손가락으로서 현을 핑거보드에 대해서 간단한 방법으로 누르면서 우수의 손가락이나 피크를 사용해서 적정한 타이밍이나 강하기로서 발현해서 알페디오나 오프리가드등의 소망의 반주파트를 튀기를 연습을 하는 연주자에게 있어서 유익하다. 이 목적은 현/피치 할당부(210)가 공급된 코드"CHORD"에 의존할 수 있는 일부의 현에 대해서만 피치를 할당하므로서 달성할 수가 있다. 이 경우, 남는 현에 대해서는 "금지"값이 주어진다(PITCH(STx)="INHIBIT"(STx).
따라서 발음제어부(230)는 금지치를 가진 현의 발현을 나타내는 현 트리거 신호에 대해서 동작하지 않게 된다.
제9도에는, 제9도의 것과 잘 닮은 매뉴얼 반주장치(200N)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9도의 경우, OR 논리부(240)가 진도검출부(22)와 발명제어부(230M)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OR논리부(240)는 진동검출부(220)으로부터의 각각의 현에서의 진동의 개시를 나타내는 신호 TRG(ST1)-TRG(ST6)를 받아서 어느 현이라도 진동을 개시하며는 노트 온 요구를 나타내는 NOTE-ON REQ신호를 생성해서 발음제어부(230M)에 주어진다. 여기에 응답해서 발음제어부(230M)는 현·피치할당부(210)로부터의 모든 피치데이터 PITCHS(T1)-PITCH(ST6)를 받아서(다만, "금지"치에 대해서는 존재하고 있으면 제외된다.), 이들의 피치데이터를 포함한 복수발음 코맨드를 음원에 보내고 음원에서 이들의 피치를 가진 복수의 악음이 동시에 생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선택 결합수단을 설치해서 제1의 코드에서는 진동검출부(220)로부터의 각 신호 TRG(ST1)-TRG(ST6)가 직접, 발음제어부(230M)에 결합되며, 제2의 코드에서는 OR논리부(240)에서 신호 TRG(ST1)-TRG(ST6)의 OR을 취하여 그 결과의 신호 NOTE-ON REQ가 발음제어부(230M)에서 결합되도록 해도 좋다.
대단히 간단한 반주장치를 제10도에서 부호(200P)로서 표시한다. 이 매뉴얼 반주장치(200P)는 단일의 수단, 즉 코드판별장치(예컨대, 제1도 참조)에서 판별된 "CHORD"를 받는 발음제어부(230N)로서 된다. 발음제어부(230N)는 새로운 코드가 도래하면 그 코드의 모든 구성음 데이터 [PITCH(CM)]를 생성하여 이들의 데이터를 사용해서 음원을 제어해서 데이터 PITCH(CM#1)-PITCH(CM#n)로서 표시되는 각 피치를 가진 악음, 즉 코드론이 생성되어 올려지도록 한다. 구성음 데이터 PITCH(CM#1)-PITCH(CM#n)는 제7도에서와 같은 데이터 변환부(170)에서 생성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 변환부(170)는 발음제어부(230N)의 외부 혹은 내부에 설치할 수가 있다.
제10도에의 반주장치(200P)는 대단히 간단하나, 연주자의 기량에 의존해서 다음과 같은 결점을 가지고 있다. 현악기에 익숙지 못한 연주자에게는 코드 체인지를 위해 손가락을 핑거보드에 대해서 포지숀을 다시 고쳐서 누르는 행위를 적정한 타이밍으로서 행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곤란하다. 유감스러운 일이지만, 제10도의 구성은 코드판별장치에 동기해서 동작하며 코드판별장치가 핑거보드의 조작위치에서 새로운 코드를 판별할 때마다 코드 톤이 올리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불편함은 코드판별장치에서 주어지는 코드에 따라서 되풀이 발생되는 자동반주패턴을 해독해서 반주를 연주하는 자동반주 시스템에서 가장 현저하게 느껴질 것이다(아마, 반주패턴의 리듬성분을 위해). 또, 코드지정을 위해 핑거보드에 대해 생략이 없는 완전한 핑거링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코드체인지에 요구되는 시간은 경험이 얕은 연주자에게는 보다 길어질 것이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극복하기 위해 자동 반주장치의 바람직한 구성예(300)으로서 표시)가 제11도에 예시되고 있다. 이 자동반주장치(300)는 CHORD를 받는 반주코드 갱신부(310)를 가지고 있다. CHORD는 핑거보드에 대한 간략화된 핑거링 혹은 생략이 없는 핑거링에 의해서 형성되는 핑거보드위의 조작위치의 조합에 의해서 특정되는 코드의 정보이다. 환언하면, 제1도에서 제6도에 관해서 설명해온 것처럼 코드판별장치를 포함하고 있어서 전자현악기의 임의 적당란 코드판별장치가 반주코드 갱신부(310)로서의 CHORD이소스가 될 수 있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코드는 임의의 적당한 표현양식, 예컨대, 근음과 타입과의 조합, 코드구성음의 패치의 집합, 코드 식별번호등의 형식을 취할 수 있다. 코드갱신부(310)의 목적은 전자형 악기의 현에 대한 발현이나, 찰현의 조작에 응답해서 반주형성부(330)의 사용하는 코드(여기서는 ACCOMP CHORD로서 표시되었다)를 갱신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코드갱신부(310)는 또 하나의 입력보드를 가지고 있으며 여기서 OR논리부(320)로부터의 신호, 즉 발현등(160)에 응답하는 진동검출부(220)로부터의 각 현의 진동의 개시를 나타내는 TRG(ST1)-TRG(ST6) 신호의 OR를 취하므로서 형성되는 신호를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다. OR논리부(320)로부터의 신호(어느 현에서도 진동 발생하고 있으면, 액티브가 되는 신호)에 응답해서 코드갱신부(310)는 재 입력포트에 존재하고 있는 CHORD를 반주형성부(330)로 넘겨주며 반주형성부(330)는 그것을 (ACCOMP CHORD)를 해독/발음제어부(350)에서 받는다.
이와 같이 해서 반주형성부(330)가 사용하는 코드는 어느 현이 발현 혹은 찰현되는 경우에도 그때마다, 갱신되게 된다. 반주형성부(330)는 반주패턴 발생부(340)를 가지고 있으며, 여기서 각 악음의 각 발음 타이밍(반주패턴의 리듬성분으로서 정해지는)에서 악음의 피치속성을 표현하는 패턴요소가 발생하여 해독/발음 제어부(350)에 공급된다. 각 패턴 요소가 도래하면, 제어부(350)의 해독부는 반주코드(ACCOMP CHORD)에 따라서 그 패턴 요소를 피치로 해독한다. 이어서 얻어진 피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발음코맨드가 생성되고 음원으로 보내지며, 여기서 그 피치를 가지는 악음이 발생한다.
이상에서 명백한 것처럼, 제11도의 구성은 현악기의 연주자, 특히 현악기에 익숙지 못한 연주자에게는 유익하다. 이와 같은 경험이 얕은 연주자라도 반주패턴의 리듬에 맞추어서 좋은 타임이으로서 현을 튀기는 것은 용이한 것이라 생각되어 코드지정을 위한 좌수의 핑거링(핑거보드에 대한 손가락의 포지쇼닝 내지 포지쇼닝을 다시 하는 것과 이에 계속되는 손가락으로서 이들의 위치에 현을 핑거보드 공정하는 조작)는 현을 튀기기 전에 여유를 가지고 준비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해서, 울려지며 연주되는 반주 라인에 표현되며, 거기서 느껴지는 하모니의 흐름은 여유가 있는 핑거링에 의해서 미리 준비되어 임의의 현에 대한 발현 혹은 찰현에 의해 액티브 혹은 유효한 코드에 의해서 적시에 제어된다.
연주자에 따라서는, 임의의 현이 아니고 좌수의 손가락으로서 준비한 코드에 의존하는 뜻에 적당한 1 혹은 복수의 현을 튀기는 연습을 바랄지도 모른다. 이와 같은 연주자들은 아마 잘못된 현에 대한 잘못된 발현이나 찰현의 조작에 의해서 반주코드가 갱신되지 않을 것을 바랄 것이다. 이것은 적당한 현응답 논리부에서 제11도의 OR논리부(320)를 치환하므로서 실현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논리부는 CHORD(코드 판별장치에서 판별된 코드)를 받아서 그 코드에 의존하는 1 혹은 복수의 현의 선택을 나타내는 신호를 형성하는 현 셀렉터와 현 셀렉터에 결합해서 진동검출부(220)로부터의 트리거신호 TRG(ST1)-TRG(ST6)중에서 현 셀렉터의 선택한(유효현) 현에 따르는 트리거 신호만을 코드갱신 코맨드로서 반주코드 갱신부로 넘겨주는 트리거 데코드로서 구성할 수가 있다. 보다 세련된 트리거 데코드는 현 셀렉터가 선택한 모든 현에 대한 거의 동시에 발현 내지 찰현 조작에만 응답하여 코드갱신 코맨드를 발행한다. 이와 같은 트리거 데코드는 모든 유효현의 트리거 신호가 진공검출부(220)에서 소정의 짧은 시간내에서 발생했는가를 체크하고 그것이 일어났을 때에만 코드갱신 코맨드를 발행하는 트리거 타이밍 모니터로서 구성할 수가 있다.
반주형성부(30)는 ACCOMP CHORD 데이터를 가해서 타의 연주 제어파라미터를 받아도 좋다. 이것은, 제11도에서 진동검출부(220)에서 해독/발음제어부(350)에 이르는 2개의 결합의 점선으로서 예시되어 있다. 한쪽의 결합선은 진동검출부(220)에 모든 현의 진동이 정지했을 때에 발생하는 정지 검출신호를 선택한다. 이 신호는 해독/발음제어부(350)내의 반주코드를 크리어하는 데 이용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발음 제어부(350)는 이 크리어신호의 수신시에 먼저 올 노트오프의 메세지를 음원에 전송하고 발음중의 악음을 틸리즈시키고 이어서 무동작(NO OPERATION)의 코드(여기서는 발음 제어부(350)는 음원에 대한 아무런 노트온의 메세지까지도 생성하지 않다)로 옮긴다. 이 무동작의 모드는 코드갱신부(310)에서 새로운 반주코드가 주어지는 시점까지 계속하며, 이 시점에서 해독/발음제어부(350)는 통상의 동작모드로 되돌아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주자는 오른쪽 손바닥을 진동중의 현에 대서 진동을 정지시키므로서 의도적으로 반주를 정지 혹은 잠시 쉴 수가 있다. 반주형성부(330)의 휴지중에, 연주자는 통상의 멜로디 파트를 연주해도 좋다.
점선으로 표시되는 제2의 결합선은 현을 튀기는 속도 내지 강하기를 나타내는 신호를 운반한다. 반주형성부(330)의 방음제어부(350)는 이 신호를 사용해서 악음의 어텍 엔베로프, 혹은 음량을 제어할 수가 있다.
발생부(340)에서의 반주패턴과 제어부(350)에서의 패턴 해독을 위한 로직은 여러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가 있다. 2개의 예를 제12도와 제13도에서 예시한다.
먼저, 제12도 쪽에서 설명한다. 반주패턴 발생부(340M)는 음악시간(T5-T0)으로 표시되는 길이의 반주패턴을 가지고 있다. 반주패턴의 악음요소는 수평 또는 시간성분과 세로성분 또는 피치속성므로서 된다. 도시된 반주패턴에 따르면, 시각 T0에서 다른 크기의 세로성분을 가지는 2개의 악음요소 IFR1와 IFR2가 발생하여 시각 T1에서 다시 다른 세로성분을 가진 하나의 악음요소 IFR1이 발생하는데, 이하 마찬가지이다.
반주패턴 발생부(340)는 반주패턴의 앤드(T5로서 표시되어 있다)에 달하염 패턴의 선두(T0으로서 표시되었다)에 되돌아와서 반주패턴을 되풀이한다. 제12도의 경우, 반주패턴의 피치속성의 각 치(이하 일반적으로 IFR라 함)는 코드의 근음에서의 피치의 인터벌 내지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피치 인터벌 IFR가 패턴발생부(340M)에서 패턴 해독부(351M)로 반주성분의 수평 내지 리듬성분에 따르면 타이밍으로서 공급된다. 해독부(351M)는 예를 들면, 룩 업 테이블로서 구성되는 음(피치인터벌) 수정부(352)를 가지고 있으며, 피턴 발생부(340M)으로부터의 피치 인터벌(IFR)에 의해 해독 테이블의 코럼이 특정된다. 더욱이, 해독부(350M)는 TYPE와 ROOT와의 조합 표현되는 코드갱신(310)(제11도)로부터의 반주코드(ACCOMP CHORD)도 받아들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TYPE가 해독 테이블(352)의 로우를 특정한다. 해독 테이블(352)위의 TYPE와 IFR로서 특정되는 장소에는 수정된 피치 인터벌 CIFR이 쓰여져 있다. 이 수정 데이터(352)에서 되며, 가산기(summer, 353)에 입력되며, 여기서 PITCH와 조합되어서 소망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PITCH가 생성되어 발음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제공된다.
제13도에서의 제2의 보기에서는, 패턴발생부(340N)는 반주패턴의 리듬성분에 따르는 각 타이밍에 있어서, 해독부(351N)에 OCT+CM#( )로 일반적으로 표시되는 피치속성을 공급한다. 반주패턴에 포함되는 각 피치속성은 옥타브 번호 OCT와 코드구성을 번호 CM#로서 구성되게 되는 것이다. 다시, 해독부(351N)는 다른 표현형식의 코드, 즉 각 코드구성음의 피치 PITCH(CM#1)-PITCH(CM#)와 코드구성음의 수 NO(CM)를 받도록 되어 있다. NO(CM)와 CM#( )이 패턴 해독부(351N)의 할당/모듈로부터(356)으로 입력되고 여기서 CM#( )가 NO(CM)로서 계산된다. 나눈 나머지가 수정 CM#( )으로서 셀렉터(357)에 입력되며, 이것을 받아서 셀렉터(357)는 코드구성음의 피치의 집합에서 나머지 값과 일치하는 코드구성음의 피 "PITCH(수정 CM#)"를 선택하고 가산기(359)에 출력한다. 나눈 결과의 상 OCT(Q)은 가산기(358)에 입력되고 여기서 반주패턴의 피치속성에 포함되는 옥타브 성분 OCT와 조합되어 TOCT를 생성한다. TOCT는 가산기(359)에 입력되고, 여기서 PITCH(수정CM#)와 조합되어 특정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피치가 되어 발음부 제어부(도시하지 않았음)에 공급된다.
그리고 도시의 목적에서, 제12도와 제13도에서의 반주패턴에 온 쌍을 이루는 노트 온(note ON) 노트 오프(note OFF)의 명령이 포함되도록 표시하지 않았다. 대표적으로 반주패턴에는 그와 같은 쌍을 이루는 노트 온, 오프의 명령이 포함되어 있으며, 노트 온 명령에 상술한 피치속성이 붙고, 쌍의 나머지인 노트 온 명령에 같은 값을 가진 피치속성이 붙는다. 이로서 각 악음이 길이, 내지 지속시간(예컨대, 8분음부, 4분음부의 길이)가 정해진다. 좀더, 세련된 반주패턴의 경우, 노트 온이나 오프의 명령에 베로시티도 붙는 간단한 반주 패턴에서는 반주패턴 메모리위에 노트 온, 오프의 코맨드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피치속성의 타이밍 노트 온의 타이밍으로서 해석된다. 또, 가끔 수동조작에서 응답해서 반주패턴이 다른 패턴으로 체인지하는 것도 있다. 본 발명의 적용에서 반주패턴의 발생기술 및 패턴 해독기술은 임의의 공지된 타입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
그런데, 제14도를 참조하건대, 이 도면에는 이 발명의 특징으로 짜넣은 기타 타입의 전자현악기의 전체구성(10)이 개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의 요소가 버스(11)를 거쳐서 서로 결합하고 있다. 전자현악기(10)의 전체적동작(제16도 참조)은 프로그램(ROM12)에 기억되는 시스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13)에 의해서 제어된다. 그리고 ROM(12)에는 정수나 기타의 영구적인 테이블이나 패턴등도 기억된다. 워킹 RAM(14)은 CPU(13)에 의해서 리드라이트되어 시스템에 상대 파라미터 예컨대 선택음색 식별자(selected timble identifier), 선택리듬 식별자(selected rhythm identifier), 템포 데이터(tempo data), 현상태 데이터(string status data), 핑거보드상태 데이터, 시스템 메뉴 식별자, 보이스 어시근 테이블(voiceassign table), 포인터, 흘러그(flag), 시간데이터, 중간데이터등을 기억하는 데 사용된다. 반주패턴 메모리(15)는 복수의 반주패턴 메모리(15)는 복수의 반주패턴(베이스 패턴, 리듬패턴을 포함)을 기억한다. 프렛(fret)스위치 어레이(array)(16)는 프렛부의 핑거보드(도시않음)에 매트릭스상으로 배치한 복수의 압력응답 스위치로서 되며, 각 스위치는 핑거보드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쳐진 6본의 현(도시않음)직하의 이웃하고 있는 프렛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손가락으로 핑거보드에 대해서 눌러서 댔을 때에 대응하는 스위치가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CPU(13)는 시스템 프로그램에 따라서 프렛 스위치 어레이(16)를 주기적으로 주사해서 핑거보드의 상태 즉, 핑거보드의 조작위치를 모니터한다. 현 픽업(17)은 전자현악기의 발현부(스트럽부)에서 각각의 현에 붙혀져 있는 6개의 독립된 전자식 픽업으로서 되며, 각 픽업에 의해 현의 음향적 기계적인 진동이 대응하는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레벨검출기(18)는 현 픽업(17)로부터의 6개의 진동성의 전기신호를 받아서 전기신호의 각 사이클에서의 피크 내지 진동레벨을 검출한다. CPU(13)는 이들의 레벨데이터를 시스템 프로그램에 따라서 읽어내고 분석하고, 현상태 파라미터, 예컨대, 현의 진동개시(트리거링(triggering)), 트리거 베로시티(trigger velocity), 현의 휴지상태등을 생성 혹은 판별한다. 스위치 패널(19)은 모드선택 스위치, 데이터 입력 스위치, 음색선택 스위치, 리듬 선택 스위치, 리듬스타트/스톱 위치, 템포볼륨 음량볼륨, 전원스위치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스위치, 볼륨으로서 되며, 이들의 스위치, 볼륨은 현악기의 몸체(도시하지 않음)에 배치되어 있다. 표시장치(20)는 복수의 LED와 LCD로서 되며, 시스템의 현상태, 데이터등을 표시한다. 음원(21)은 TDM의 폴리포닉 음원(polyphonic sound sources)(복수의 보이스모듈(voice module))으로서 구성할 수 있으며, CPU(13)에서 버스(11a)를 통해서 주어지는 명령에 응답해서 악음신호를 합성한다. 합성된 악음신호는 사운드 재생 시스템(22)에 보내져서 외부로 방음된다. MIDI 인터페이스(23)는 주지의 구성이며, CPU(13)의 제어하에, 입력보드(IN)에 주어지는 MIS데이터를 수신해서 출력보드 OUT에서 MIDI데이터를 송신한다. MIDI통신속도를 정확히 유지하기 위해 도시한 MIDI인터페이스(23)는 실행중의 프로그램에 끼워넣어서 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5도는 전자현악기(10)가 간락한 코드 지정의 모드에 있을 때에 선택되는 핑거 보드에 대한 피치할당의 보기를 나타낸 것이다. 이 피 할당은 통상의 6번의 어코스틱 기타에서의 피치할당, 즉 현의 음향적 성질과 핑거보드의 포렛배치에 의해서 정해지는 것과 같은 것임을 알 수가 있다. 다시, 이 피치할당은 전자현악기(10)가 통상이 연주모드에 있을 때에 선택되는 피치할당과 동일하다. 도시한 피치할당 맵에서 각 레터의 첨자는 옥타브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제1현 ST1, 포렛(1)에서의 F4는 제4옥타브의 F 내지 파를 나타내고 있다. 코드의 간략화 지정모드속에서는 전자현악기(10)는 이들의 옥타브 번호는 무시할 수가 있다.
제16도는, 전자현악기(10)의 전체적 동작의 프로우챠트이다. 파워 온(16-0)이 되며 CPU(13)는 시스템 프로그램의 초기화 루틴(16-1)을 실행해서 각종의 데이터의 크리어, 초기화 기억할당(Storage Allocation)등을 행한다. 이하 CPU(13)는 16-2∼16-14에서 개요를 나타낸 메인프로그램을 되풀이해서 실행한다. 상세하게는, CPU(B)는 스위치 패널(19)의 상태가 변화했는가 어떤가를 체크하고(16-3), 변화했을 때는 루틴(16-4)를 실행한다. 루틴(16-4)에서는 주사한 스위치 패널(19)의 새로운 상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모드의 설정, 선택음색의 갱신, 템포데이터의 갱신 MID메세지 송신을 위한 준비, 표시장치(20)의 제약등을 실행한다. 이어서, 프로그램은 블록(16-S)로서 둘러싼 핑거보드 주사/처리프로그램으로 옮긴다. 이 서브프로그램(16-S)는 프렛 스위치 어레이(16)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핑거보드 주사루틴(16-5)와 핑거보드의 상태 내지 조작위치에 변화가 생겼을 때(여기서는 판별박스 16-6으로부터의 YES로서 표시되어 있다)에 행해지는 핑거보드 데이터 처리루틴(16-7)로서 된다. 처리루틴(16-7)은 동작모드(처리 16-4에서 정해져 있는)에 따라서 실행되는데, 예를 들면 노멀모드일 때는 핑거 보드위의 새로이 검출된 1 내지 복수의 조작위치에 대응하는 피치 데이터가 생성되며, 코드의 간략화 지정모드일 때는 조작위치에서 코드를 판별하기 위한 프로세스가 실행된다. 핑거보드 프로그램(16-S)의 실행 후, CPU(13)는 레벨검출기(18)에서 현진동의 레벨데이터를 리드하여(16-8), 현의 상태(발현에 의한 진동개시, 진동종료 등)의 판단이나 발현 베로시티의 계산등을 선택적으로 행한다(16-9). 이어서 CPU(13)은 외부의 전자악기등에서 송신되고 할인 프로그램(도시되지 않음)에서 수신한 MID 데이터(만약 있을 경우)의 해독을 포함한 입력 MIDI 데이터 처리 루틴(16-10)을 실행한다.
다음의 루틴(16-11)은 반주처리이며, 이로서 반주패턴(리듬만의 패턴, 베이스패턴, 코드반주패턴을 포함)의 선택적인 생성, 해독이 행해진다. 메인 프로그램위의 이 시점에서 음원(21)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는 준비되어 있다. 그래서, 메이니 프로그램은 발음처리(음원제어)루틴(16-12)으로 진행하고 여기서 선택적으로 보이스 어사인을 실행하여 소요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코맨드(노트 온 코맨드, 노트 오프 코맨드, 기타의 악음 파라미터 변경의 코맨드)를 음원(21)로 보낸다. 루틴(16-13)에서 CPU(13)는 송신해야 할 MIDI메세지(만약 있다면)를 생성한다. 최후에, CPU(13)는 다음의 메인프로그램의 버스를 위해 필요한 준비(소용의 흘럭의 리셋트, 버스카운터의 인크리멘트등을 포함)를 행하고(16-14), 그후, 메인 프로그램의 선두(루틴 16-2)의 엔트리인)로 되돌아간다.
이 발명은, 핑거보드에 대한 간략화된 핑거 링(핑거보드 위에서 손가락을 현에 대해서 위치결정을 하고 이와 같은 위치에서 현을 핑거 보드에 대해서 누르는 조작)에 의해서 지정된 코드를 식별하는 전자 현악기에 짜넣은 코드판별장치와 판별된 코드의 이용장치(매뉴얼, 자기동 내지 맨·매신의 협착, 협동에 의한 반주장치(등에 관하고 있다. 아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전자현악기(10)를 이런 점에 관해서 상술한다.
[코드판별-예 1]
일반적으로 코드를 "지정", "생성" 내지 "합성"하는 프로세스와, 코드를 "분석", "판별" 내지 "식별"하는 프로세스는 역의 관계에 있다. 이 발명에서는 코드의 지정은 전자현악기의 연주자가 행하며, 지정된 코드의 판별을 전자현악기가 행한다. 이런 점을 염두에 두면, "코드를 지정한다"라는 스테이트먼트와, "코드를 판벌내지 식별한다"라는 스테이트먼트는 말을 바꾸어서 사용해도 혼란은 없을 것이며, 때로는 오히려 형편이 좋을 때가 있다. 뜻하는 바는 그것이 사용되고 있는 문맥에서 명백해진다.
그런데 제17도는 참조하면, 이 도면에는 프렛부의 핑거보드의 선도에 의해 코드의 저정 내지 판별법의 최초의 보기가 예시되어 있다. 제17도에서, 혹환은 근음프렛 위치(근음 지정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1 내지 복수의 조작 프렛 위치중에서 가장 헤드에 가까운 프렛 위치가 근음프렛 위치가 된다.
그리고, 근음프렛 위치에 대응시키는 음고는 통상의 멜로디 연주시에 발음되는 음고와 같다(제15도 참조). 예를 들면, 제1현의 제3프렛이 근음프렛 위치라면 G(제17a도), 제2현의 제3프렛이 근음프렛 위치면 D(제17b도)이다. 한편, 코드의 종류는 근음프렛 위치와 그 가까이에 있는 조작프렛 위치와의 조합으로서 결정되며, 근음프렛 위치만일 때 메이저(MAJOR) 근음프렛위치와 함께 같은 현의 1 프렛위가 눌려졌을 때 마이너(minor), 근음프렛위치가 눌려졌을 때는 세븐스(7th), 근음프렛 위치에 가해서 같은 현의 1프렛 위와 2프렛 위가 눌려졌을 때는 마이너 세븐스(M7th), 근음프렛 위치에 가해서 같은 현의 12프렛위와 현의 1프레수이가 눌려졌을 대는 메이저 세븐스(M7th), 근음프렛 위치와 함께 이웃의 현의 1프렛위가 눌려졌을 때는 디미닛슈(dim)가 된다.
제18도에서 형태로 연주자에게서 지정된 코드는 전자형악기(10)가 판별할 수 있다. 이 코드판별은 전자현악기(10)가 소정의 동작 모드에 있을 때에, 제16도의 프로우챠트에 의해서 개요를 나타낸 시스템 프로그램의 핑거보드 주사/처리 세그멘트(16-S)내에서 실행한다. 제18도에서와 같이 코드판별 루틴은 코드의 근음을 결정하는 프로세스(18-1)와 코드의 종류(타입)를 결정하는 프로세스(18-2)로서 기본적으로 구성된다.
이하, 제17도에 관련해서 기술한 코드 지정 내지 판별법(1)에 따르는 근음결정과 종류결정의 상세를 제19도(근음 결정)와 제20도(종류결정)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9도의 근음결정 프로세스에서 CPU(13)는 먼저 눌러져 있는 프렛 중에서 최저 프렛위치를 검출한다(19-1). 다음에 최저프렛 위치가 몇번째의 현에 관한 것인가를 조사한다(19-2). 그리고, 19-1에서 얻은 프렛번호와 1-2에서 얻은 현 번호를 사용해서음고의 데이터로 변환시킨다(19-3). 여기서, 이 변환은 통상의 멜로디 연주에서 동일 프렛번호, 동일 현 번호에 대해서 행하는 변환과 동일하다. 이 결과, 압현검출부(1)에서 검출된 조작프렛 위치중, 가장 헤드에 가까운 프렛위치를 근음프렛 위치로 하고 그 위치에 대해서 멜로디 연주의 경우와 같은 음고가 코드의 근음으로서 대응지우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근음(제17도에서 표시하는 혹환의 음고)가 결정된 후, 제20도에서의 방법으로서 코드의 종류가 결정된다. 제20도의 프로우에서의 ○, △, ×는 제17도에서와 같은 기호와 같은 뜻이며, ○는 근음프렛 위치와 같은 현의 1프렛위의 위치, △는 근음프렛 위치와 같은 현의 2프렛위의 위치, ×는 근음프렛 위치의 이웃의 현의 1프렛위의 위치이다. 20-1에서 ○의 프렛위치가 조작되어 있는가 어떤가를 체크하고, 조작되어 있으면 20-2에서 △의 프렛위치가 조작되고 있는가 어떤가를 본다. 20-2의 체크 성립시에는 근음의 프렛 위치와 함께 같은 현의 1프렛 위와 2프렛위가 조작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코드의 종류는 마이너 세븐스(M7th)이라고 결정한다(20-3). 20-2의 체크가 불성립일 때는 20-4에서 ×의 프렛위치가 조작되어 있는가 어떤가를 조사한다. 20-4가 성립했을때는 근음프렛위치에 가해서 같은 현의 1프렛위와 이웃의 현의 1프렛위가 조작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메이져 세븐스(M7th) 이라고 결정한다(20-5). 20-4가 불성립일때는 근음프렛위치에 가해서 같은 현의 1프렛위가 조작되고 있으며, 또한 같은 현의 2프렛위와 이웃의 현의 1프렛위는 어느것도 조작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마이너(minor)라고 결정한다(20-6). 20-1이 불성립시는 20-7에서 △의 프렛위치가 조작되고 있는가 어떤가를 체크한다. 20-7에 성립시에는 근음에 가해서 같은 현의 2프렛위는 조작되고 있으나, 1프렛위는 조작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코드의 종류로서 세븐스(7th)라고 결정한다(208). 20-7에서 불성립시에는 20-9에서 ×의 프렛위치가 조작되어 있는가 어떤가를 체크한다. 20-9가 성립시에는 근음프렛위치 이외에 이웃의 현의 1프렛위치가 조작되고 있으며, 또한 같은 현의 1프렛위는 조작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디미닛슈(DIM)라고 결정한다(20-20). 20-9가 불성립시는, 근음프렛위치 이외의 프렛위치, 즉 같은 현의 1프렛위, 2프렛위, 이웃의 현의 1프렛위는 모두 조작되고 있지 않다. 말하자면, 조작되고 있는 것은, 근음프렛위치 뿐이다. 따라서 메이져라고 판정한다(20-11). 이상에 의해 제17도에 관해서 기술한 코드판별을 실현하고 있다.
다시, 제17도를 참조하건대, 도시의 코드지정법에 의하면, 모든 코드에 핑거보드위의 손가락에 의해서 쉽게 조작될 수 있는 좁은 범위내에 포함되는 조작위치로서 지정할 수가 있음을 알 수가 있다. 더욱이, 모든 코드는 핑거보드위의 거의 직선상에 조작위치에 의해서 지정되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다시, 근음지정위치는 항상 조작위치의 끝, 여기서는 가장 헤드 가까이에 위치하므로 근음지정위치는 항상 연주자가 코드를 지정할 때의 기준이 될 수 있다. 태반의 연주자는 이와 같은 근음지정위치에 할당되는 피치를 일부로 배워서 외워둘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통상의 현악기의 사용을 통해서 이미 이와 같은 피치를 지득하고 있기 때문이다.
[코드판별-예 2]
다음에 제21도를 참조하면, 이 도면에서 코드지정 내지 판별법의 두번째의 보기가 예시되어 있다. 이 보기에서는, 조작된 프렛위치중에서 최고 프렛위치(보디측)가 근음프렛위치가 된다(a로서 표시하는 흑환참조), 근음프렛위치에 대해서 할당되는 음고는 제1예와 같으며 통상의 멜로디 연주때와 같다. 한편, 코드의 종류는 조작된 프렛의 위치의 수와 조작프렛의 위치 상호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서 판별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된 프렛위치가 하나뿐일 때는 메이저(MAJOR)가 되고, 2개일 때는 마이너(minor)인가 세븐스(7th)가 되며 3개일때는 마이너 세븐스(M7th)가 된다. 그리고, 2개일 때는 근음프렛위치에 대해서 1프렛위가 조작되고 있는 것이면 마이너가 되며, 2프렛위가 조작되고 있는 것이라면, 마이너 세븐스가 된다. 주목할 점은, 근음프렛위치에 대한 나머지의 조작프렛의 위치의 제한이 완화되어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조작프렛수가 3일 때는 근음프렛위치 이외의 2개의 프렛위치는 근음프렛위치보다 아랫쪽의 프렛위치이면 어디라도 상관없다(제21도의 사선의 범위). 따라서, 제21도에서 a,b,c와 조작된 경우에도 a,b',c'와 조작된 경우에도 같은 마이너 세븐을 지정할 수 있다. 또, 조작프렛수가 2일 때는 마이너와 세븐스의 구별을 위해 근음프렛과 1프렛위의 누름인가, 근음프렛과 2프렛위의 동시누름인가를 지정할 필요는 있으나, 동시누름되는 프렛은 어느현의 프렛이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a,b의 동시누름이라도 a,b'의 동시누름이라도 같은 마이너를 지정할 수가 있으며, 혹은 a,c의 동시누름에서도 a,c'의 동시누름에서도 같은 세븐스를 지정할 수 있다.
상술의 코드 판정을 실현하기 위해 CPU(13)는 제22도의 프로우에서와 같이 동작을 한다. 먼저, 22-1에서 조작되고 있는 프렛위치속에서 최고 프렛위치를 검출하고 22-2에서 그 현번호를 검출하고 22-3에서 최고 프렛위치와 현번호로부터 근음의 음고 X를 결정한다.
여기까지로서, 코드의 근음이 결정된 것으로 된다. 다음에, 22-4에서 근음 이외에 조작되고 있는 프렛위치의 수를 판별한다. 근음이외의 2개의 프렛위치가 조작되어 있을 때에는 마이너 세븐스의 코드 Xm7로 결정한다(22-5). 근음 이외의 어느 프렛위치도 조작되고 있지 않을 때는 메이저의 코드 XMAJ로 결정한다(22-6). 근음 이외의 하나의 프렛위치가 조작되고 있을 때는 그 프렛위치가 근음프렛위치보다도 1프렛위인가, 2프렛위인가를 2-7로서 판별한다. 1프렛위일 때는 세븐스의 코드 X7이라고 결정하고(22-8), 2프렛위일 때는 마이너의 코드 Xm라고 결정한다(22-9).
이와 같이 제2예에서는, 코드의 종류를 조작프렛수와 조작프렛 상호의 위치관계에서 결정하고 있으므로 코드의 종류별로 조작해야 할 프렛위치의 조합 내지 형을 엄밀히 특정지을 필요는 없으며, 비교적 거친 손가락 사용으로서 같은 코드를 지정할 수가 있다. 또, 제1예와 마찬가지로 밀집적인 손가락 사용으로서 코드를 지정할 수 있는 점에서도 유리하다.
[코드판별-예 3]
제23도는 코드지정 내지 판별법의 제3번째의 보기를 나타낸 것이다.
이 보기에서는, 핑거보드위의 1 내지 복수의 조작위치 중에서 가장 브릿지쪽에 가까운 조작위치가 코드의 근음을 정하는 조작위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23a-e도에서는, 제5프렛위치가 근음지정위치가 된다. 이때도, 각 프렛위치에 대응지워져 있는 음고는, 통상의 멜로디 연주시에 할당되는 음고와 같다. 도시한 근음지정위치는 제3현의 위에 있으므로 근음의 피치는 C가 된다.
한편, 코드의 종류는 근음지정위치의 좌(헤드측)에서 이 위치에 근접하는 핑거보드 에리어의 상태로 의존한다. 상세하기로는, 조작위치가 다만 1점으로서 될 때는 코드의 타입은 메이저이며(파트(a)참조), 근음지정위치의 좌인의 프렛위치가 조작되고 있을 때는 코드의 타입은 세븐스이며(파트(b)참조), 근음지정위치에서 2개의 좌의 프렛위치가 조작되고 있을 때는 코드의 타입은 마이너이며(파트(c)참조), 근음지정위치에서 하나 좌와 두개 좌의 프렛위치가 모드조작되어 있을 때는 코드의 타입은 마이너 세븐스(파트(e)참조)이다. 여기서, 유의할 것은, 근음지정위치에 대한 이들의 지정위치의 현 성분, 즉 핑거보드를 가로지르는 방향에 따르는 위치성분은 타입에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서, 타입은 이들의 지정위치와 근음지정위치와의 사이에 핑거보드의 길이 방향에 따르는 프렛거리 또는 그 조합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것이다.
제24도는 상술한 코드지정법(3)을 따라서, 지정을 위해 행해진 핑거보드의 조작위치는 검출하고, 의도되고 있는 코드를 판별하는 프로그램을 프로우챠트로서 나타낸 것이다. 이 프로그램에 의하면 CPU(13)는 핑거보드(내지 프렛 스위치 어레이(16)를 제3d도에서와 같은 순서로서 주사한다(스텝 24-1)). 이 주사는, 핑거보드를 가로지르는 방향에 따라서 제1현의 위치에서 제6현의 위치에 이르는 주 주사와, 하나의 주 주사의 완료후, 핑거보드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우측으로 하나 이동해서 주 주사를 되풀이하므로서 전체로서 형성되는 핑거보드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보디측에서 헤드측으로 진행하는 부 주사로서 된다. 이하, 제3도에서와 같은 주사를 폭우선주사(WIDTHFIRST SCANNING)라 부르기도 한다. 이와 같은 폭 주사(제3도의 타입)속에서 동작하고 있는 프렛 스위치가 검출되었다고 하면, 제23도의 코드지정맵에 따라서 그 프렛 스위치의 위치(i,j)(여기서 i는 프렛 번호, j는 현 번호이다)가 근음을 특정하고 있으며, 따라서, 피치할당 및 (제15도 참조)에 따라서 그 최초에 발견된 프렛 스위치에 할당된 프렛 넘버(i)와 현 넘버(j)에서 근음의 피치를 계산할 수가 있다(제24도에서는 24-2, 24-3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이로서, 의도하고 있던 코드의 근음의 판별이 끝난다. 그후 CPU(13)는 제24도에서 블록 24-TYPE로서 표시하는 코드의 타입 판별의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상세하기는, 주사 프렛위치(i)를 근음위치에서 하나 좌로 움직이고 i-1의 프렛 열을 선택해서, 그 프렛열을 제1현에서 제6현을 향해서 주사시키고, 동작하고 있는 프렛 스위치가 있는가 어떤가를 조사한다(스텝 24-4). 성립하는 경우에는 다시 하나 좌의 프렛 열 i-2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6개의 프렛 스위치의 상태를 조사한다(스텝 24-5). 만약, 프렛 열 i-2도 동작하고 있는 프렛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으면 코드타입은 제23도의 코드지정법에 따라서 마이너 세븐스이다(스텝 24-6). 만약 체크(24-5)가 불성립이라면, 코드타입은 세븐스로 판별된다(스텝 24-7). 체크(14-4)로 되돌아와서, 만약 이 체크가 불성립일때, 즉 근음지정위치의 왼쪽 이웃의 프렛 열(i-1)이 동작하고 있는 프렛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지 않을때는 스텝(24-8)로 분기하고 여기서, 다시 하나의 왼쪽의 프렛 열(i-2)를 조사한다. 만약, 프렛 열(i-2)이 동작하고 있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으면, 코드타입은 마이너이며(스텝 24-9),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메이저이다(스텝 24-10).
이와 같이 제24도에서의 코드판별 프로그램은 CPU(13)로 하여금 타입 D의 폭우선주사를 핑거보드(프렛스위치 어레이)에 대해서 실행시키고, 최초에 발견한 동작 프렛 스위치의 2차원적인 위치를 가지고 근음지정위치를 판별시키고, 그것을 근음의 피치로 변환시켜서, 판별된 근음지정위치의 하나의 좌와 2개의 좌의 프렛 열에서의 12개의 프렛 스위치의 상태를 조사하여, 그 결과에 따라서, 코드의 타입을 판단시키고 있다. 명백하게, 이 프로세스는 제24도에서의 코드지정의 규약에 따른 것이며, 코드의 판별을 생각할 수 있는 최단의 시간으로서 완료한다(축차식 프로그램 제어에 관한 한). 하기야, 최초에 핑거보드의 전역을 주사하며 주사위치의 집합을 검출하고, 메모리의 1차 어레이에 기억시켜 두고 그렇게 한 후 조작위치의 어레이를 타입 D의 웅선순위(제3d도 참조)에서 소팅하고, 소트된 어레이를 끝에서 조사하여 코드의 근음과 타입을 판별하도록 프로그램을 변경해도 좋다. 핑거보드를 주사시키는 수단은 프로그램 제어가 없는 하드웨어에서도 가능하다. 다시, 프렉시블은 결하나, 코드판별 프로그램과 CPU(13)의 조합을 대체하여 코드판별전용의 하드웨어를 구성할 수도 있다.
[코드판별-예 4]
코드지정 내지 판별의 4번째의 보기는, 제25도에서의 핑거보드(조작위치가 핑거보드위에 흑환으로서 표시되어 있다)의 선도에서 쉽게 이해할 수가 있을 것이다. 이 제4의 보기는, 제23도에 관련해서 기술한 제3의 예와 잘 닮고 있다. 유일의 상이점은, 핑거보드위의 근음위치가 조작위치속에서 가장 헤드에 가까운 끝의 위치(제3보기에서는 가장 보디에 가까운 곳)에서 정해지는 점이다.
이 목적을 위해, CPU(13)는 이번에는 제26도의 프로우챠트에서와 같이 동작을 한다. 이 코드판별 프로세스는 루틴(26-1)에서 핑거보드에 대해서 타입 D(제3도)대신에 타입(C)의 폭우선주사, 즉, 최초에 제1프렛, 제1현의 위치에 있는 프렛 스위치에서 프렛 열에 따라서 제6현의 프렛 스위치를 향해서 나가는 주사가 사용되는 점, 루틴(16-4)내에서 근음위치의 하나 오른쪽의 프렛 열(i+1)이 주사되는 점, 및 루틴(26-5) 또는 루틴(26-8)에서 다시 하나 오른쪽의 프렛 열(i+2)가 조작되는 점을 제외하고서는 제3예의 프로세스(제24도)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코드판별-예 5]
제5번째의 코드지정 혹은 코드판별은 조작위치를 흑환으로서 나타내는 핑거보드를 나타내는 제27도에서 이해할 수가 있을 것이다. 실제로는, 제5번째의 보기는 제3예(제23도)의 확장이며, 이들의 확장부는 제27e도에서 h도에 예시되어 있다. 간단히 말하면, 제5예는 근음 및 이의 프렛 열에서(여기서는 좌측에 있다) 셋까지의 프렛 코드의 타입의 지정을 위해 사용한다. "메이저 세븐스"는 임의의 프렛 열(i)에 있는 근음위치와 프렛 열(i-3)에서의 임의의 현에 대한 위치와의 조합으로서 되는 2개의 조작위치에서 지정되고, "디미닛슈"는 근음프렛 열(i)와 프렛 열(i-1)와 프렛 열(i-3)내의 조작위치에 지정되고, "어규멘트"는 근음프렛(i), 프렛 열(i-2)와 (i-3)내의 조작위치로서 지정되고 "서스펜디드"는 근음위치를 포함하는 연속적인 4개의 프렛 열에서의 조작위치에 의해서 지정된다.
이 규약에 따라서, 지정된 코드를 판단하는 목적은 제24도에서의 프로그램에 이 발명의 개시에 의해서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변경을 가하므로서 쉽게 실현시킬 수가 있다.
제27도의 코드지정은 다르게 해석할 수도 있다. 즉, 제27도에서의 모든 조작위치는 직선상(여기서는 특히 현 위)에 있다. 때로는 직선상의 어느 조작위치의 조합에만 의해서 코드가 지정 내지 판별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때, 핑거보드에 대한 주사는 길이 우선주사(LENGTH-FIRST SCANNING)가 바람직하다. 길이 우선주사에서는, 핑거보드는 현에 대응해서 연장하는 트랙에 따라서 주사하며, 1트랙의 주사가 완료하며는 다음의 트랙으로 옮겨지는데, 이하 마찬가지이다. 1트랙의 주사중에서 최초로 검출된 조작위치가 근음위치로서 식별된다. 다음에, 그 트랙위에서, 근음위치에서 셋가지의 위치를 조사한다. 이 결과에서 코드의 타입이 판별된다.
[코드판별-예 6]
제6번째의 코드지정 내지 코드판별은, 조작위치를 흑환으로서 표시한 핑거보드의 선도를 나타내는 제28도와 코드타입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제29도에서 이해가 갈 것이다. 이 보기에서는, 근음위치는 조작위치중에서 핑거보드의 길이방향에서 보아 끝(제28도에서는 가장 보디에 가까운)의 조작위치에 의해서 특정된다. 상술한 제1예 내지 제5예와는 대조적으로, 이 제6예에서는 코드의 나이프가 조작위치에 핑거보드의 길이 방향에 대한 프렛 넘버(Y 성분)뿐만이 아니고 핑거보드를 가로지르는 방향에 대한 트랙 내지 현 넘버(X 성분)에도 의존하도록 되어 있다. X 내지 폭, Y 내지 길이의 용어를 사용하자면, 예(1) 내지 (5)는 Y 또는 길이를 베이스로 하는 코드 타입 지정/판별규약을 채용하고 있으며, 한편 예(6)는 X 또한 Y를 베이스로 하는 코드 타입 지정/판정논리를 채용하고 있다라는 것이 편리할 것이다. 제29도의 타입테이블에 표시하는 1에서 12까지의 숫자와, 제28도의 파트(a)를 가르키는 핑거보드위에 기재된 숫자와는 대응하고 있다. 파트(a)에서의 이들 숫자는 흑환으로서 나타내는 근음지정위치에서 2개까지의 프렛 열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근음의 프렛 열에 인접하는 프렛 열 내의 제1현의 위에 숫자 "1"이 제2현위에 숫자 "2"가, 이하 같이 해서 제6현에 숫자 "6"이 붙으며, 다음의 프렛 열 내의 제1현의 숫자 "7"이, 제2현의 위에 숫자 "8"이, 이하 같이하여 제6현의 위에 숫자 "12"가 붙는다. 이들의 숫자 내지 위치는 테이블(29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코드타입의 식별자이다.
예를 들면, 숫자 내지 위치 "1"는 프렛 나인스가 붙은 세븐스코드(7th b9)을 뜻하며, j=2는 어규멘트코드(aug)를 뜻한다. 테이블에서도 알 수 있는 것처럼 이들 12개의 위치의 각각은 유익한 코드타입을 나타내고 있다. 12종류의 다른 코드의 셋트는 많은 연주자에 있어서, 반주를 연주하는데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이들의 12의 위치는 모드 핑거보드 위에서 근음위치에서 충분히 가까운 곳에 있다. 보다 광범위한 뜻에서, X는 Y를 베이스로 하는 코드타입 지정법은 X만을 베이스로 하는 코드타입 지정법에 비해 훨씬 다양한 코드를 제공할 수가 있다.
여기서 말한 코드지정법에 따라서 지정된 코드는 제30도에서의 프로우챠트에 따라서 판별된다. 스텝(30-1)에서 (30-3)까지는 금은판별의 프로세스를 구성하고 있다. 이들의 스텝은, 제24도의 스텝(24-1)에서 (24-3)과 동일하다. 근음판별의 프로세스가 완료하면, 블록 30-TYPE를 둘러싼 스텝(30-4)에서 (30-14)로 구성된 타입판별 프로세스가 실행된다. 타입판별 프로세스 30-TYPE의 엔트리 포인트에서, 변수(i)는 근음지정위치의 프렛 넘버를 나타내고 있다. 타입판별 프로세스 30-TYPE의 최초의 스텝(30-4)에서 카운터(k)를 "1"로 세트한다. 프로세스 30-TYPE의 나머지의 부분에서도 알 수 있는 것처럼, k=1은 근음위치를 포함한 프렛 열의 바로 왼쪽의 프렛 열을 뜻하며, K=0는 다시 다음의 프렛 열을 뜻하고 있다. 스텝(30-5)에서는 주사시켜야 할 프렛 열(i)을 좌로 움직여서 제1현을 선택한다. 그리고 스텝(30-6) 내지 (30-8)의 루트에서 그 프렛 열에 있는 6개의 프렛 스위치를 하나씩 조사한다. 만약 그 프렛 열에 동작하고 있는 프렛 스위치가 포함되어 있으면 이것이 체크(30-6)에서 검출된다. 만약, 그 프렛 열에 동작하고 있는 프렛 스위치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카운트(k)를 데크리먼트시켜서 스텝(30-1), 스텝(30-5)로 되돌아가며, 주사시켜야 할 프렛 열을 다시 하나 좌로 옮겨서 그 프렛 열의 주사(30-6 내지 30-8)를 행한다. 2개의 프렛 열의 어느것에도 동작하고 있는 스위치가 없으면, 카운터(k)에서 보로비트가 출력되어 보로엣크가 성립한다. 이것은, 제28도의 파트(a)에서와 같이, 핑거보드 위에서 다만 하나의 위치(근음을 지정하는 위치)가 눌러진 것 같은 경우이다.
그래서 파트(a)의 우단의 코드 기호에 따라서, 메이저를, 의도하고 있는 코드의 타입과 판별하고 있다(스텝 30-11). 파트(b)-(e)에서 예시되어 있는 것 같은 그외의 경우에는 근음위치로부터의 2개의 프렛열 내에 조작위치가 포함되어 그것에 대응하는 프렛 스위치가 동작하고 있다. 이것은 스위치 테스트(30-6)에서 검출되며, 프로그램은 주사 프렛 열(k)을 체크단계(30-12)로 진행한다. 만약 k=1이면, 근음위치의 좌의 프렛 열에서 어느 현이 눌러져 있다. 그 현 내지 트랙의 값은 레지스터(j)에 이미 들어가 있다(프렛열 주사 30-6 내지 30-8). 이 j는 제28도의 파트(a)와 제29도의 타입 테이블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코드의 타입 식별자 그 자체이다. j의 값은 판별된 코드타입을 기억하는 적당한 레지스터에 세이브된다. 제30도의 프로우의 맵(30-14)내에는 코드 판정 테이블을 참조하여 코드의 타입을 결정한다는 스테이트멘트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것은 단순히 도면의 목적에서 표시된 것이다. 체크단계(30-12)에서 k=0가 발견되었을 때는 핑거보드 위에서 근음위치 2개 왼쪽에 있는 프렛 열에서 번호(j)의 현이 눌러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 j의 값은 제28도의 파트(a)의 흑환(근음)에서 2개 왼쪽의 프렛 열에 표시된 숫자로 변환해서, 코드식별자를 나타내도록 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j에 6을 가산해서(스텝 60-13), 코드타입 레지스터에 세이브한다.
제28도의 파트(a)에서 표시하는 단일의 조작위치에 의한 코드지정은 제외해도 좋다. 이때, 모든 코드를 핑거보드위의 2개의 포인트로서 지정 가능하다.
[분수코드의 판별-예 7]
상술한 예 1에서 예 6까지는 코드가 단일의 근음을 포함하는 것을 상정해 왔다. 이론의 목적에서, 이와 같은 코드를 모노코드라 부르며 그 정규화된 피치 내지 세로의 배치를 생각해 보는 것이 좋다. 정규화된 배치에서는 모노코드는 크로오즈드이고 또한 루트의 포지숀에 있다고 한다. 이 포지숀에서는, 근음이 최저음의 코드노트 즉 베이스를 형성하며, 근음의 위에가능한 한 작은 피치 인터벌을 가지고서 나머지의 코드 구성음이 위치한다.
예를 들면, 메이저의 드라이어드의 경우 근음에서 장3도의 곳과 완전5도의 곳에 나머지의 코드구성음이 위치한다. 상술한 보기에서 취급하지 않았던 폴리코드는 2개 내지 그 이상의 모노코드로서 된다. 모든 모노코드가 세로방향에 대해서 접근하고 있는 배치의 폴리코드, 예컨대 모든 구성음이 1옥타브 내에 포함하도록 배치된 폴리코드는 통상 바람직하지 못한다. 2개의 모노코드를 포함한 대표적인 폴리코드 내지 바이코드의 배치에서는 제1의 모노코드(하부구조 코드라고 불려진다)의 위에 제2의 모노코드(상부구조 코드라 불려진다)가 형성된다. 폴리코드의 구성음의 일부는 실제의 연주에서 가끔 생략(드롭)된다. 이 모노코드로서 되는 폴리코드는 일반적으로 X/Y(X on Y라고 읽을 수도 있다)의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분모 Y가 하부구졸의 코드를, 분자 X가 상부구조의 표시를 나타내고 있다. 하부구조의 코드 Y중에서 하나의 구성음만이 울려질 때는 폴리코드는 "온 베이스 코드", "베이스부 코드", "코드 온 베이스" 도는 "분수코드"라고 부를 수가 있다. 통상의 모노코드는 분자코드 X를 가지지 않는 코드 혹은 분자코드 X가 분모코드 Y로서 치환된 코드(Y/Y)라고 생각할 수가 있다. 모노코드의 어떤 구성을(대표적으로는 근음)은 세로의 방향에서 옥타브의 정수배의 간격을 가지고 더블로서 사용되는 일도 가끔 있다(예를 들면 C메이저에 대한 CV2, E3, G3, C4).
베이스라고 불려지는 악기는 폴리포닉의 파트에서 최저음과 파트(베이스 라인이라 불려진다)를 치는데 사용된다. 앞서의(C2,E3,G3,C4)의 보기에서는 베이스(C2)는 베이스 악기로서 연주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부 코드"가 연주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상술한 온 베이스 코드와는 혼동하기가 쉬우므로 이하에서는 X/Y(X=Y)로서 표시되는 코드는 분수코드라 부르기도 한다. 이와 같은 분수코드에서는 분모코드의 파트중 하나의 구성음만이 선택 내지 연주되므로 그 구성음 베이스라 하기 보다는 분모코드의 근음이라고 부르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들의 용어를 사용하면, 상술한 보기에서의 코드는 분모코드와 분자코드가 같은 코드, 즉 모노코드이며, 모노코드의 근음과 타입을 지정(또는 판별)하므로서 코드가 지정(또는 판별)된다라고 할 수가 있다. 한편, 분수코드는 분모코드의 근음과 분자코드의 근음과 타입을 지정(또는 판별)하므로서 지정(또는 판별)할 수 있다.
환언하면, 모노코드의 아래에 모노코드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음이 추가되며는 이에 의해서 모노코드를 분자코드로 하는 분수코드가 형성된다. 모노코드의 음의 세트의 아래에 모노코드에 포함되는 음(예컨대 근음)이 추가되더라도, 이에 의해서 코드의 기본적 성질은 변하지 않으며, 모노코드가 유지된다. 여기서, 전술한 코드 지정의 보기는 이 후자의 케이스도 포함시킬 수가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임을 알 수가 있다. 다시, 분수코드는 모노코드의 확장 혹은 모노코드 브러스 1음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보기의 모노코드지정/판별 시스템을 약간, 변경하므로서 모노코드의 지정(또는 판별)과 함께 분수코드의 지정(또는 판별)이 가능한 전자현악기의 코드지정/판별 시스템을 구성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의 보기가 분수코드를 특정하는 조작위치를 흑환으로 표시한 핑거보드의 선도 그려서 제31도에서 개시되어 있다. 제31도에서 분수코드의 2개의 근음은 흑환이 조작위치속에서, 가장 몸체 가까이에 위치하는 2개의 흑환 조작위치에서 특정된다. 여기서, 제15도를 참조하면, 같은 프렛열내에서 피치의 할당은 제6현의 위치에 가장 낮은 피치가 할당되며, 다음에 제5현, 이와 같이 하여 제1현에 가장 높은 피치가 할당되어 있다(통상의 6현 기타와 같음). 분수코드에서의 분모코드의 근음은 타의 코드톤 보다 낮은데, 즉 베이스로서 연주되는 것이 통상이다(분모코드가 하부구조의 코드라고 불려지는 것에도 참고 바람). 따라서, 제31도에서의 2개의 근음조작위치중, 큰 숫자가 붙은 현 위의 흑환으로 분모코드의 근음을 지정하고 작은 숫자가 붙은 현 위의 흑환으로 분모코드의 근음을 지정하는 것이 좋다. 다시, 제31도에서 가르키는 분수코드 지정을 위한 조작위치는 제23도에서의 모노코드 지정을 위한 조작위치에 잘 닮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31도의 조작위치에서 분모의 근음을 나타내는 조작위치(흑환)을 제외하면, 결과는 제31도의 조작위치와 일치한다. 따라서 제23도에 관련해서 기술한 모노코드의 지정법과 제31도에 관해서 지금 설명하고 있는 분모코드의 지정법을 조합시킬 수가 있다.
제32도에는, 이와 같은 모노코드 지정법 또는 분수코드 지정법에 따라서 지정된 모노코드 또는 분수코드를 판별하는 코드판별 프로그램의 프로우챠트를 나타내고 있다. 코드판별 프로그램은 여기서는 스텝(32-1)에서 (32-14)로서 표시되어 있다. 이중에서, 블록 32-BASS로서 둘러싼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제24도에서 예시하는 모노코드판별 프로그램으로서 구성된다. 제32도의 스텝(32-1) 내지 (32-7)은 제3도에서의 타입 D의 폭우선주사의 상세를 나타낸 것으로, 제23도에서는 간단하게 박스(23-1),(23-2)로서 표시한 것이다. 스텝(32-8)은 모노코드(또는 분자코드)의 근음의 피치를 주사결과에서 생성하고 있는 것이며, 스텝(32-14)은 모노코드(또는 분자코드)의 타입은 판별하고 있는 것이며, 제23도와 31도의 코드지정법에 대해서는 제24도의 블록 24-TYPE내에서 표시하는 프로세스로서 실현할 수가 있다.
프로세스 32-BASS는 모노 또는 분자코드의 근음판별 프로세스(32-1)(32-8)과 모노 또는 분자코드의 타입 판별 프로세스(32-14)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프로세스 32-BASS에서 지정되어 있는 코드가 모노코드인가 분자코드인가를 판별하고, 판별된 코드가 분수코드일 때는 분모코드의 근음을 식별하고 있다. 상세하게 기술하면, 루틴 32-BASS에 들어가기 전에 프렛 넘버(i)와 넘버(j)와의 조합을 모노코드의 근음위치 혹은 분수코드의 경우에는 분자코드의 근음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제31도와 제23도에서 알수 있는 것처럼, 지정되어 있는 코드가 분수코드이면 같은 프렛열(i)의 하방에 조작위치가 있을 것이며, 모노코드가 지정되어 있는 것이 된다. 이 프렛열내의 나머지의 프렛 스위치에 대한 검사를 스텝(32-9)에서 (32-11)로서 형성되는 열주사 루프로서 행하고 있다. 주사에 있어서 조작스위치가 발견되면 그 스위치의 위치가 분모코드의 근음을 지정하는 위치이다. 그래서, 이 조작위치를 피치할당에 따라서 피치데이터(키코드)로 변환해서 분모 근음을 스토어 하기 위한 적당한 레지스터에 세이브한다(스텝 32-12). 프렛열 주사가 동작하고 있는 스위치를 검출함이 없이 끝났을 때는 모노코드이므로 분모근음 레지스터를 크리어한다(스텝 32-13). 그 대신에 그 레지스터(32-8)에서 얻고 있는 모노코드의 근음 데이터를 세트해도 좋다.
판별된 코드는 자동반주를 위해 이용된다. 이것은, 제32도의 블록 O-AUTO에서 간략화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시의 블록 30-AUTO에 따르면 스텝(32-15)에서 판별된 코드가 모노코드인가, 분수코드인가를 체크해서, 체크결과에 따라서, 자동반주를 행하고 있다(32-16 32-17). 이것은, 시스템 전체의 동작의 이해를 위해 나타낸 것이다.
실제로는, 베이스 라인을 생성하기 위한 베이스 음의 피치데이터를 기억하는 레지스터(상술한 분모근음 레지스터일 수 있다)의 내용을 읽어내어 기억되어 있는 피치를 가지는 베이스 음을 자동 베이스 패턴에서 표시된 발음해야 할 타이밍으로서 생성하는 것을 자동적으로 베이스라인에서 생성된다. 이로서, 분수코드가 지정되어 있는 동안에는 판별된 분모코드의 근음에 대응하는 베이스 음이 베이스 패턴의 리듬에 따라서 울리며, 모노코드가 지정되어 있는 동안은 모노코드의 구성음(예컨대, 근음)에 대응하는 베이스 음이 타임리하게 울리게 된다.
제33도는 제28도에서의 X(핑거보드의 길이성분) 또한 Y현(현 넘버)의 양쪽에 의존하는 코드타입을 지정하는 모노코드 지정법에 대해서 확장된 분수코드의 지정법을 예시한 것이다. 이 보기에서도 분모코드의 근음을 지정하기 위한 핑거보드 위의 위치는 분자코드의 근음을 지정하기 위한 위치가 속하는 프렛열의 하방에 준비되고 있다(제33도에서 세로로 나란히 한 2개의 흑환 참조).
제33도와 제28도에서 나타내는 코드 지정법에 의해서 지정된 코드의 판별은 코드타입 판별루틴(32-14)을 위해 제30도의 타입판별 모듈 30-TYPE를 사용하는 제32도의 프로우챠트에 따라서 실현할 수 있다.
[코드판별-예 8]
제34도는 제8번째의 코드지정/판별의 보기를 나타낸 것이다. 이 보기에서는 코드의 타입은 핑거보드 위의 조작위치(제34도에서 흑환으로서 표시하고 있다)의 수에 의해서 특정된다. 도면의 보기에서는, 하나의 조작위치를 메이져를 특정하고 두개의 조작위치(도시않음)는 마이너를 특정하며, 네개의 조작위치는 마이너 세번을 특정한다. 코드의 근음은 이들의 조작위치에 대해서 피치할당 맵(map)(제15도 참조)에 따라서 할당된 피치속에서 최적음의 피치에 의해 특정된다.
이 코드지정법에 따르는 핑거보드 위의 조작위치에서 코드를 판별하는 프로세스는 제35도에 예시되어 있다. 제35도에서, CTR는 핑거보드의 조작위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이다. 스텝(35-1)에서 이 카운트(CTR)를 초기화한다. 계속하는 스텝(35-2) 내지 (35-10)에서는 제3도에서의 타입 A의 폭우선 순위에 따라서 핑거보드를 주사하고 있으며, 주사중에서 조작위치를 검출할 때마다 그것을 피치(키코드)로 변환해서 피치어레이에 세트하여(35-5), 카운터(CTR)를 인크리멘트하고 있다. 핑거보드의 주사가 완료하면 카운터(CTR)의 내용을 조사하고(35-11), 카운트가 제로가 아니면 그 값을 현타입 레지스터(C TYPE)에 넣고 피치어레이 KC( )의 속의 최저음의 피치를 선택해서 현근음 레지스터(C ROOT)에 넣는다(35-12,13). 계속되는 스텝(35-14 내지 35-18)에서 현타입과 현근음을 각각 앞 내지 유효타입 "TYPE"와 앞 내지 유효근음 "ROOT"와 비교해서 불일치가 발견되면 유효타입, 루트를 현타입, 루트로 갱신하고 플러그(F)를 세운다. 현코드가 앞에선의 코드와 같을 때는 플러그(F)를 내린다. 플러그(F)는 판별된 코드를 이용하는 프로세스로서 참조할 수가 있다.
핑거보드의 주사는 상술한 폭우선 순위 대신에 피치할당 맵에 따르는 피치우선순위(PITCH PRIOITIES)에 따라서 실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피치순주사(PITCH-ORDERED SCANNING)의 결과는 피치어레이 KC( )에 기억된다. 주사가 끝난 후 피치 어레이 KC( )의 최초의 요소(주사를 핑거보드 위의 위치속에서 피치할당 맵에 따라서, 최저음의 위치에서 개시한 경우) 또는 최후의 요소(주사를 최고음의 위치에서 시작했을 경우)가 근음의 피치를 나타내고 있다. 피치카운터(소프트웨어 위)를 준비해서 피치카운터를 피치우선주사의 동작과 동기시킬 수 있다. 주사중에 동작하고 있는 스위치가 발견되었을 때 피치카운터의 카운트를 피치스택 내지 어레이 KC( )에 홀한다.
[판별된 코드의 이용]
본 전자현악기(1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서 판별된 코드를 전자현악기(10)의 동작모드에 따라서 반주를 위해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6도는, 코드 이용을 위한 간략화된 프로우챠트를 나타내고 있다. 코드판별 프로세스(36-1)위에서 상술의 보기 1에서 보기 8로서 예시한 것 같은 코드판별이 실행되며, 그 결과가 ROOT와 TYPE에 세이브 된다(36-2). 이 코드 특정 데이터 ROOT, TYPE는 제36도에서 화살표 부의 점선으로서 표시되는 화살표가 지시하는 프로세스에서 참조되도록 되어 있다. 어느 동작모드에서는 새로운 코드판별 응답해서 코드의 피치를 가지는 약음을 곧바로 올리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런 모드에 있을 때, 모드체크(36-3)가 성립하며, 판별되어 있는 ROOT와 TYPE에서 코드 구성음의 피치가 생성되어 어레이 PITCH( )에 정정된다. 어레이 PITCH( )속의 피치데이터의 존재는 피치데이터의 수만큼의 노트 온 요구를 뜻한다. 그래서, 이들의 노트를 위해서 보이스 사인이 행해지고(36-5), 폴리포닉 음원의 각 보이스 채널에 피치어레이 속의 각 피치데이터를 포함하는 발음 코멘드가 보내지고, 음원의 이들 보이스 채널에서 대응하는 기본 주파수를 가지는 악음이 생성된다(35-6).
한편, 현모니터 프로세스(36-7)에서는 악기의 각 현의 상태가 모니터된다. 예를 들면, 현이 발현되면, 현에 진동이 발생하여 모니터 프로세스(36-7)에 의해 그것이 검지되어 데이터 TRIG(ST)로서 표시되는 현의 진동개시를 나타내고 있다)가 생성되어 프로세스(36-8)로 넘겨진다. 어느 동작모드에서는, 복수(여기서는 6본)의 현중에서는 어느 현이 발현될 경우라도 프로세스(36-8)는 유효 플러그 VALID를 세운다. 다른 모드에서는, 프로세스(36-8)는 같은 현조건에 응답해서 코드(ROOT,TYPE)(코드판별 프로세스(36-1,36-2)에서 얻어져 있다)에 의해서 정해지는 유효한 현의 넘버를 어레이 VST에 기억한다. 상당히 현악기에 익숙해 있는 연주자에 있어서 유효가 될 수 있는 또 다른 동작모드에서는 코드(ROOT,TYPE)에서 정해지는 복수의 유효한 현이 거의 동시에 발현되었을 때만, 프로세스(36-8)는 플러그 VALID를 세운다. 어떤 모드에서도, 소요의 트리거 조건이 성립되지 않으면 프로세스(36-8)는 VALID 플러그를 "INVALID"의 값에 리세트한다.
이어서, VALID 플러그는 박스(36-9)에서 검사된다. 만약 VALID 플러그가 세트되어 있으면, 발현에 의해서 반주의 리듬에 제어되는 매뉴얼 모드인가, 반주 패턴에 의해서 반주 리듬이 제어되는 오트모드인가를 스텝(36-10)에서 체크한다. 현 모드가 매뉴얼 모드이면, 프로세서(36-11)가 실행된다. 프로세스(36-11)에서는 코드(ROOT,TYPE)에 의해서 특정되는 현/피치 할당 테이블이 참조되어 어레이 VST( )에 표시된 유효현에 대한 피치데이터가 선택된다. 이들의 피치데이터는 어레이 PITCH( )에 기억되고, 이어서 음원제어 프로세스(36-5)(36-6)에서 참조되는 음원에서 이들의 피치를 가진 악음이 생성된다. 체크(36-10)에서 현모드가 매뉴얼 모드임이 판별되었을 때는 레지스터 ROOT의 내용이, 반주용 근음 레지스터 ACCOMP-R에 벗겨져서 레지스터 TYPE의 내용이 반주용 타입레지스터 ACCOMP-P에서 벗겨진다(36-12).
이와 같이 해서 자동반주를 위한 반주코드가 동작코드에 따라서 미리 정해져 있는 조건을 채우는 현트리거 이벤트에 응답해서 갱신된다. 반주처리(36-13)(36-15)에서는 반주패턴이 통상의 방법으로서 메모리에서 읽어내어져서 패턴에 포함되는 악음을 발음해야 할 시간이 도래하면 그 시각에 관한 1 내지 복수의 피치 속성 데이터를 프로세스(36-12)에서 갱신되고 있는 반주코드(ACCOMP-R과 ACCOMP-P)에 따라서 해독하고 피치데이터로 변환해서 어레이 PITCH( )에 기억한다. 이렇게 하므로서, 프로세스(36-5)(36-6)가 기동되어 어레이 PITCH( )에 있는 데이터로서 표시되는 피치를 가진 1 내지 복수의 악음이 발생하도록 음원이 제어된다.
이상에서, 이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을 끝마치겠는데,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처럼, 이 발명의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여러가지의 변형, 변경이 용이하다.
예를 들면, 전자현악기의 다수의 다른 모드를 핑거보드 위의 복수의 다른 에리어에 할당해서 각 에리어에 대한 핑거링을 하도록 그 에리어에 할당된 모드에 관련하는 고유의 응답이 현악기측에서 생기도록 해도 좋다. 예컨대, 멜로디등이 연주되는 통상의 모드를 핑거보드의 오른쪽 반분(예컨대, 제13프렛에서 제24프렛까지)에 할당하고, 간략화된 핑거링에 의한 코드지정이 가능한 코드모드를 핑거보드 왼쪽반분(예컨대, 제1프렛에서 제12프렛까지)에 할당한다. 여기서, 연주가 핑거보드의 좌반분에 대해서 적당한 현을 적당한 위치에 포지쇼닝해서 내려누른다고 하자, 이렇게 해서 전자현악기는 핑거보드의 좌반분에 할당되어 있는 선택모드에 따라 그 핑거링에서 의도되어 있는 코드를 판별한다. 여기서, 연주자는 오른손의 손가락으로서 현을 튀긴다. 이렇게 하면, 예컨대, 전자현악기는 할당되어 있는 코드모드와 판별되어 있는 코드에 따라서 악음을 발생해서 울려퍼진다. 이렇게 해서, 핑거보드의 좌반분에 대한 핑거링에 의해 연주자는(이 경우, 발현의 타임이에 맞춘) 반주를 행한다. 이어서, 연주자는 솔로의 연주를 희망한다. 연주자는 핑거보드의 "우반분"에 대해서 핑거링을 행하면서 적당한 타이밍으로서 적당한 현을 튀긴다. 이 핑거보드의 우반분에는 통상의 동작모드가 할당되어 있으므로 전자현악기는 현이 발현될 때마다 그 현의 핑거보드에 대한 위치에 대응하는 피치를 가진 악음을 생성한다. 코드모드가 할당되는 핑거보드의 에리어는 가장 작다 하더라도, 또 소망이라면 현악기의 보디에 가까운 쪽의 핑거보드의 부분에 할당시킬 수가 있다.

Claims (51)

  1. 핑거보드와 복수의 현을 맞추며, 또한 상기 핑거보드에는 그 긴쪽방향에 따라서 연재하는 복수의 트랙이 규정되어 있는 각각의 트랙이 각각의 현에 대응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전자현악기에서 사용되는 코드 판별 장치(100)에 있어서, 코드를 지정하기 위해 행해지는 상기 핑거보드에 대한 간략화된 운지에 따라서 정해지는 핑거보드의 조작위치를 검출하는 운지 검출수단(120)과, 상기 핑거보드의 각 위치에 대해서 피치를 할당하기 위해, 2차 원인 상기 핑거보드의 각 위치의 성분중, 그 위치가 상기 복수의 트랙중의 어느 트랙내에 위치하는가를 나타내는 제1성분과, 그 위치의 상기 핑거보드의 긴쪽방향에 관한 긴쪽 성분인 제2성분과의 양쪽에 각 피치가 의존하도록 피치를 할당하는 피치 할당수단(140)과, 상기 운지검출수단(120)과 상기 피치 할당수단(140)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위치중에서 하나의 조작위치를 근음지정위치로서 선택하고, 이 선택된 근음지정위치에 대응하는 악음의 피치를 생성하므로서 코드의 근음을 판별하는 근음판별수단(130)과, 상기 운지검출수단(120)에 결합하고 있으며, 상기 조작위치에서 코드의 타입을 판별하는 타입판별수단(150)과,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 코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손가락을 상기 핑거보드위의 하나의 위치 또는 복수의 위치에 밀어 붙이므로서 지정되며, 또한 상기 복수의 위치는 상기 핑거보드 위의 손가락에 의해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는 비교적 좁은 범위내에 놓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태반의 코드가, 복수의 상기 핑거보드위의 거의 1직선상의 복수의 위치에 밀어붙이므로서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의 코드는, 보통의 어크스틱의 현악기를 사용해서 같은 코드를 지정했을 때의 핑거보드의 조작위치의 부분집합인 조작위치에 의해서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음판별수단(130)은, 상기 운지검출수단(120)에 의해 상기 핑거보드위의 복수의 위치가 손가락으로 눌려져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 이 복수의 누름위치중에 상기 핑거보드의 길이 방향에 관해서 일단에 있는 누름위치를 상기 근음 지정위치로 해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보드는 전자현악기의 헤드와 몸체와의 사이에 연재하고 있으며, 상기 일단에서의 누름위치는 가장 상기 헤드에 가까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보드는 전자현악기의 헤드와 몸체와의 사이에 연재하고 있으며, 상기 일단에서의 누름 위치는 가장 상기 몸체에 가까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음판별수단(130)은, 상기 피치 할당수단(140)을 참조하므로서, 상기 운지검출수단(120)의 검출하고 있는 곳의 손가락으로 눌려지고 있는 상기 핑거보드위의 각 위치를 1옥타브내의 음고데이터로 변환하는 피치 변환수단(170)과, 이 변환된 음고데이터 중에서 소정의 음고순위를 가진 음고데이터를 근음데이터로 해서 선택하는 선택수단(230)으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230)은, 상기 변환된 음고데이터중에서 최저음을 나타내는 음고데이터를 상기 근음데이터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230)은, 상기 변환된 음고데이터중에서 최고음을 나타내는 음고데이터를 상기 근음데이터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입판별수단(150)은 상기 운지검출수단(120)에 의해 검출된 상기 조작위치의 패턴을 인식하므로서 코드의 타입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입판별수단(150)은 상기 근음판별수단(130)에도 결합하고 있으며 상기 근음지정위치와 나머지의 위치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적인 관계를 분석하므로서 코드의 타입을 식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입판별수단(150)은 상기 운지검출수단(120)에 의해 손가락으로 눌려져 있다고 검출된 상기 핑거보드위의 위치의 수에 따라서 코드의 타입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입판별수단(150)은 상기 운지검출수단(120)에 의해 손가락으로 눌려져 있다고 검출된 상기 핑거보드위의 위치의 수에 따라서, 코드의 그룹 또는 코드의 타입을 식별하는 분류수단(153)과, 상기 근음판별수단(130)과 상기 분류수단(153)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분류수단에 의해 코드의 그룹이 식별되었을 경우에, 상기 근음지정위치와 나머지의 누름 위치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적인 관계를 분석하므로서 그 그룹에 속하는 코드의 타입을 식별하는 특정수단(151)으로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타입판별수단(150)은, 각 코드의 타입이 상기 근음지시 위치와 상기 나머지의 조작위치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핑거보드의 긴쪽방향의 거리에서만 의해서 규정되도록 하여 각 코드의 타입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타입판별수단(150)은, 각 코드의 타입이 상기 근음지시 위치와 상기 나머지의 조작위치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긴쪽방향의 거리와 상기 나머지의 조작위치가 속하는 트랙과 쌍방에 의해 규정되도록 해서 각 코드의 타입을 식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모든 코드는 손가락으로서 상기 핑거보드위의 4개 이하의 위치를 누름으로서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모든 코드는 손가락으로서 상기 핑거보드위의 위치만을 누르는 것으로서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 할당수단(140)에 의해 할당되는 피치는 멜로디를 연주하기 위해 상기 핑거보드에 대해서 운지가 행해질 때에 할당되는 피치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보드는 프렛 없는 핑거보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보드에는 이 핑거보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지하는 프렛이 복수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운지검출수단(120)은 상기 핑거보드위의 각 조작위치를 대응하는 프렛과 대응하는 트랙과의 조합으로서 규정하는 위치규정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코드판별 장치(100)에 의해서 판별 가능한 코드중 적어도 1부는 베이스 노트와 베이스 노트위에 구성되는 코드 노트로서 되는 온 베이스 코드를 지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다시, 상기 운지검출수단(120)에 결합하고 있어서, 상기 조작위치 중에서 하나의 조작위치를 베이스 노트 지정위치로 해서 선택하는 베이스 노트 판별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지검출수단(120)은, 상기 핑거보드의 조작위치로서 손가락으로서 눌려져 있는 위치만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지검출수단(120)은, 상기 핑거보드의 조작위치로서 손가락으로 눌려져 있는 위치뿐만 아니라 손가락으로 눌려져 있지 않는 트랙의 상태까지도 검출할 수 있돌고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25. 핑거보드와 이 핑거보드의 긴쪽방향에 따라서 연재하는 복수의 현을 가지고 있는 전자현악기에서 사용되는 코드판별장치에 있어서, 코드를 지정하기 위해서, 상기 복수의 현 중에서 적어도 1본의 현을 상기 핑거보드에 손가락으로 눌러서 대므로서 행해지는 상기 핑거보드에 대한 운지에 따라서 정해지는 상기 복수개의 현의 조작위치를 검출하는 운지검출수단(120)과, 상기 복수의 현에 대한 악음의 피치를 관계되는 현과 그 현의 긴쪽방향에 따르는 조작위치외의 양쪽에 의존하도록 할당하는 피치 할당수단(140)과, 상기 운지검출수단(120)과 상기 피치 할당수단(140)을 결합하고 있으며, 상기 조작위치중에 하나의 조작위치를 근음지정위치로서 선택하고 이 선택된 근음 지정위치에 대응하는 악음의 피치를 생성하게 하므로서 코드의 근음을 판별하는 근음판별수단(130)과, 상기 운지검출수단(120)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조작위치에서 코드의 타입을 판별하는 타입판별수단(150)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각 코드는 하나 또는 복수의 현을 손가락으로서 상기 핑거보드위의 하나의 위치 또는 복수의 위치에 밀어붙이므로서 지정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위치는 상기 핑거보드위의, 손가락으로서 쉽게 닿을 수가 있는 비교적 좁은 범위내에 두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의 코드는, 보통의 어코스틱의 현악기를 사용해서 같은 코드를 지정했을 때의 복수의 현의 조작위치의 부분집합인 조작위치에 의해서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운지검출수단(120)에 의해 상기 복수의 현중에서 적어도 1본의 현이 상기 핑거보드위의 복수의 위치에서 눌려져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는 이 복수의 누름위치중에서 상기 핑거보드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1단에 있는 누름위치를 상기 근음지정위치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근음판별수단(130N)은, 상기 피치 할당수단(140)을 참조하므로서 상기 운지검출수단(120)과 검출하고 있는 상기 현에 의해서 눌려져 있는 상기 핑거보드위 각 피치를 1옥타브 내의 음고데이터 속에서 소정의 음고순위를 가진 음고데이터를 근음데이터로서 선택하는 선택수단(131,132)으로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30. 제25항에 있어서, 타입판별수단(150N)은 상기 운지검출수단(120)에 의해서 검출된 상기 조작위치의 패턴을 인식하므로서 코드의 타입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3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타입 판별수단(150)은 상기 근음판별수단(130)에도 결합하고 있으며, 상기 근음지정위치와 나머지의 조작위치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적인 관계를 분석하므로서 코드의 타입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 할당수단(140)에 의해 할당되는 피치는 멜로디를 연주하기 위해 상기 핑거보드에 대해서 운지가 행해질 때에 할당되는 피치에 대응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33. 제1항에 있어서, 코드판별 장치에 의해서 판별 가능한 코드중에서 적어도 일부는 베이스 노트와 베이스 노트의 위에서 구성되는 코드노트로서 되는 온 베이스 코드를 지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다시 상기 운지검출수단(120)에 결합하고 있고, 상기 조작위치중에서 하나의 조작위치를 베이스 노트 지정위치로서 선택하는 베이스 노트 판별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34.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운지검출수단(120)은 상기 현에 발생하는 진동의 주파수를 모니터하고, 그 모니터 결과에서 상기 조작위치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35.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운지검출수단(120)은 상기 현의 조작위치와 상기 현의 일단 또는 상기 핑거보드의 일단과의 거리를 측정해서 그 측정 결과에서 상기 조작위치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3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운지검출수단(120)은 상기 핑거보드에 배설해서 분포하는 압력 응답 스위치의 어레이와 이 어레이를 주사해서 동작하고 있는 스위치를 검출하므로서 상기 조작위치를 특정하는 수단(121,12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37. 핑거보드와 복수의 현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상기 핑거보드에는 그 긴쪽방향에 따라서 연재하는 복수의 트랙이 규정되어 있어서, 각각의 트랙이 각각의 현에 대응 가능으로 되어 있는 전자현악기에 있어서, (A) 하기의 수단으로서 되는 코드판별수단(100)과, (a) 코드를 지정하기 위해서 행해지는 상기 핑거보드에 대한 운지에 따라서 정해지는 핑거보드의 조작위치를 검출하는 운지검출수단(120)과, (b) 상기 핑거보드의 각 위치에 대해서 피치를 할당하기 위해 2차원인 상기 핑거보드의 각 위치의 성분중, 그 위치가 상기 복수의 트랙속의 어느 트랙내의 위치하는가를 나타내는 제1성분과, 그 위치의 상기 핑거보드 긴쪽방향에 관한 긴쪽성분인 제2성분과의 양쪽에 각 피치가 의존하도록 피치를 할당하는 할당수단(140), (c) 상기 운지검출수단(120)과 상기 피치 할당수단(140)에 결합하고 있으며, 상기 조작위치중에서 하나의 조작위치를 근음지정위치로 하여 선택하고, 이 선택된 근음지정위치에 대응하는 악음의 피치를 생성하므로서 코드의 근음을 판단하는 근음판별수단(130) 및, (d) 상기 조작위치에서 코드의 타입을 판별하는 타입 판별수단(150), (B) 상기 코드판별수단(100)의 상기 근음판별수단(130)과 상기 타입판별수단(150)에 결합하고 있으며, 판별된 근음과 타입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현에 피치를 할당하는 현/피치 할당수단과, (C) 상기 복수의 현의 각각에서의 진동의 발생을 검출하는 진동검출수단(220)과, (D) 상기 진동검출수단(220)과 상기 현/피치 할당수단(210)에 결합하고 있으며, 상기 진동검출수단(220)에서 신호가 주어졌을 때에 상기 현/피치 할당수단(210)을 참조해서 약음의 발생을 제어하는 발음 제어수단(230)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검출수단(220)으로 부터의 신호에는 진동을 개시한 현을 특정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발음제어수단(230)은 상기 특정된 현에 대해 상기 현/피치 할당수단(210)에 의해 할당되어 있는 피치를 가지는 악음의 생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현/피치 할당수단(210)은 상기 복수의 현의 일부에 대해서만 피치를 할당하고 나머지 현에 관한 상기 발음 제어수단의 동작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
  40. 핑거보드와 복수의 현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상기 핑거보드에는 긴쪽방향에 따라서 연재하는 복수의 트랙이 규정되어 있어서 각각의 트랙이 각각의 현에 대응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전자현악기에서 사용되는 자동 반주장치에 있어서, (A) 하기의 수단으로서 되는 판별수단(100)과, (a) 코드를 지정하기 위해서 행해지는 상기 핑거보드에 대한 간략화된 운지에 따라서 정해지는 핑거보드의 조작위치를 검출하는 운지검지수단(120), (b) 상기 핑거보드의 각 위치에 대해서 피치를 할당하기 위해, 2차원으로서 되는 상기 핑거보드의 각 위치의 성분중, 그 위치가 상기 복수의 트랙속의 어느 트랙내에 위치하는가를 나타내는 제1성분과, 그 위치의 상기 핑거보드의 긴쪽방향에 관한 긴쪽성분인 제2성분과의 양쪽에 각 피치가 의존하도록 피치를 할당하는 피치 할당수단(140), (c) 상기 운지검출수단(120)과 상기 피치 할당수단(140)은 결합하고 있으며, 상기 조작위치속에서 하나의 조작위치를 근음지정위치로서 선택하고, 이 선택된 근음지정위치에 대응하는 악음의 피치를 생성하므로서 코드의 근음을 판별하는 근음판별수단(130), 및 (d) 상기 운지검출수단(120)에 결합하고 있으며, 상기 조작위치에서 코드의 타입을 판별하는 타입 판별수단(150), (B) 각 악음의 피치 속성 코드와 각 음을 발음해야 할 타이밍 코드로서 되는 반주패턴을 자동적으로 발생하는 패턴 발생수단(340)과 (c) 상기 패턴 발생수단(340)과 상기 코드판별 수단(100)의 상기 근음판별수단(130)과 상기 타입판별 수단(150)이 결합하고 있으며, 판별된 근음과 타입에 따라서, 상기 반주패턴의 피치 속성코드를 해독해서 피치를 얻고, 이 얻어진 피치를 가진 악음의 발생을, 대응하는 타이밍 코드에 따라서 제어하는 발음제어수단(350)과,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자동반주장치.
  41. 핑거보드와 복수의 현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상기 핑거보드에는 긴쪽방향에 따라서 연재하는 복수의 트랙이 규정되어 있어서 각각의 트랙이 각각의 현에 대응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전자현악기에서 사용되는 자동 반주장치에 있어서, 코드를 지정하기 위해 행해지는 상기 핑거보드에 대한 운지에 따라서 정해지는 핑거보드의 조작위치를 검출하는 운지검출수단(120)과, 상기 복수의 현에서의 진동의 발생을 검출하는 진동검출수단(220)과, 반주패턴을 자동적으로 발생하는 패턴 발생수단(340)과, 상기 패턴 발생수단(340)에 결합하고 있으며, 코드와 상기 반부패턴에 입각해서 반주음의 생성을 제어하는 발음제어수단(350)과, 상기 진동검출수단(220)과 상기 운지검출수단(120)과 상기 발음 제어수단(350)에 결합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현중에서 어느 현에도 그 진동의 개시가 검출되기만 하면, 그 시점에서 상기 진동검출수단(220)에서 주어지는 신호에 곧바로 응답해서 그 시점에서의 상기 조작위치에 의해서 특정되는 코드를 상기 발음제어수단(350)에 공급하고, 그 이후, 이 발음제어수단(350)이 상기 반주음의 생성을 위해 참조하게 되는 코드가 이 공급된 코드에 의해서 갱신되도록 하는 코드 갱신수단(310)과,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자동반주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코드를 특정하는 상기 조작위치는 통상의 현악기에서, 같은 코드를 지정하기 위해서 행해지는 핑거보드에 대한 통상의 운지주법에 의해서 정해지는 조작위치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자동반주장치.
  43. 핑거보드와 복수의 현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상기 핑거보드에는 긴쪽방향에 따라서 연재하는 복수의 트랙이 규정되어 있어서 각각의 트랙이 각각의 현에 대응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전자현악기에서 사용되는 자동 반주장치에 있어서, (A) 하기의 수단으로서 되는 코드판별 수단(100)과, (a) 코드를 지정하기 위해서 행해지는 상기 핑거보드에 대한 간이화된 운지에 따라서 정해지는 핑거보드의 조작위치를 검출하는 운지검지수단(120), (b) 상기 핑거보드의 각 위치에 대해서 피치를 할당하기 위해, 2차원으로 된 상기 핑거보드의 각 위치의 성분중, 그 위치가 상기 복수의 트랙속의 어느 트랙내에 위치하는가를 나타내는 제1성분과, 그 위치의 상기 핑거보드의 긴쪽방향에 관한 긴쪽성분인 제2성분과의 양쪽에 각 피치가 의존하도록 피치를 할당하는 피치 할당수단(140)과, (c) 상기 운지검출수단(120)과 상기 할당수단(140)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위치 속에서 하나의 조작위치를 근음지정위치로서 선택하고, 이 선택된 근음지정위치에 대응하는 악음의 피치를 생성하므로서 코드의 근음을 판별하는 근음판별수단(130), 및 (d) 상기 운지검출수단(120)에 결합해 있으며, 상기 조작위치에서 코드의 타입을 판별하는 타입 판별수단(150), 상기 복수의 현에서의 진동의 발생을 검출하는, 진동검출수단(220)과, 반주패턴을 자동적으로 발생하는 패턴발생수단(340)과, 상기 패턴 발생수단(340)에 결합되어 있으며, 코드와 상기 반주패턴에 입각하여 반주음의 생성을 제어하는 발음제어수단(350)과, 상기 진동검출수단(220)과 상기 근음판별수단(130), 상기 타입판별수단(150)과 상기 발음제어수단(220)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현중의 어느 현에서도 그 진동의 개시가 검출되기만 하면, 그 시점에서 상기 진동검출수단(220)에서 주어지는 신호에 곧바로 응답해서 그 시점에서 판별되고 있는 근음과 타입에 의해서 특정되는 코드를 상기 발음 제어수단(350)에 공급하며, 그 이후, 이 발음제어수단(350)이 상기 반주음의 생성을 위해 참조하게 되는 코드가 이 공급된 코드에 의해서 갱신되게 하는 코드갱신수단(310)과,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자동반주장치.
  44. 핑거보드와 복수의 현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상기 핑거보드에는 긴쪽방향에 따라서 연재하는 복수의 트랙이 규정되어 있어서 각각의 트랙이 각각의 현에 대응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전자현악기에 있어서, (A) 아래의 수단으로서 되는 코드판별수단(100)과, (a) 코드를 지정하기 위해서 행해지는 상기 핑거보드에 대한 간략화된 운지에 따라서 정해지는 핑거보드의 조작위치를 검출하는 운지검출수단(120), (b) 상기 핑거보드의 각 위치에 대해서 피치를 할당하기 위해 2차원으로 된 상기 핑거보드의 각 위치의 성분중, 그 위치가 상기 복수의 트랙중에서 어느 트랙속에 위치하는가를 나타내는 제1성분과, 그 위치의 상기 핑거보드의 긴쪽방향에 관한 긴쪽성분인 제2성분과의 양쪽에 각 피치가 의존하도록 피치를 할당하는 피치할당수단(140), (c) 상기 운지검출수단(120)과 상기 피치 할당수단(140)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위치중에서 하나의 조작위치를 근음 지정위치로서 선택하고, 이 선택된 근음지정위치에 대응하는 약음의 피치를 생성하게 하므로서 코드의 근음을 판별하는 근음판별수단(130), 및 (d) 상기 운지검출수단(120)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위치에서 코드의 타입을 판별하는 타입 판별수단(150), 상기 복수 현의 어느 것이 발현되었을 때를 검출하는 발현검출수단과, 상기 발현 검출수단과 상기 근음판별수단과 상기 타입 판별수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발현이 검출되었을 때, 이에 응답하여, 판별되어 있는 근음과 타입으로서 특정되는 코드에 조합되는 복수의 악음이 실질상 동시에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발음제어수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
  45. 핑거보드와 이 핑거보드의 긴쪽방향에 따라서 연재하는 복수의 현을 구비하고 있는 전자현악기에 있어서, 코드를 지정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현중에서 적어도 1본의 현을 상기 핑거보드에 손가락으로서 바짝대므로서 행해지는 상기 핑거보드에 대한 운지에 따라서 정해지는 상기 복수의 현의 조작위치를 검출하는 운지검출수단(120)과, 상기 복수의 현에 대한 악음의 피치를 관계하는 현의 긴쪽방향에 따르는 조작위치와의 양쪽에 의존하도록 할당하는 피치할당수단(140)과, 상기 운지검출수단(120)과 상기 피치할당수단(140)중에서 하나의 조작위치를 근음지정위치로 해서 선택하고, 그 선택된 근음지정위치에 대응하는 악음의 피치를 생성하므로서 코드의 근음을 판별하는 근음판별수단(130)과, 상기 운지검출수단(120)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위치에서 코드 타입을 판별하는 타입 판별수단(150)과, 상기 근음판별수단(130)과 상기 타입판별수단(150)에 결합되어 있으며, 판별된 근음과 타입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현에 피치를 할당하는 현/피치 할당수단(210)과, 상기 복수의 현의 각각에서의 진동의 발생을 검출하는 진동검출수단(220)과, 상기 진동검출수단(220)과 상기 현/피치 할당수단(210)과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검출수단에서 신호가 주어졌을 때에 상기 현/피치할당수단(210)을 참조해서 악음의 발생을 제어하는 발음제어수단(230)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검출수단(220)으로부터의 신호에는 진동을 개시한 현을 특정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발음제어수단(230)은 상기 특정된 현에 대해서 상기 현/피치 할당수단(210)에 의해 할당되어 있는 피치를 가진 악음의 생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
  47. 핑거보드와 이 핑거보드의 긴쪽방향에 따라서 연재하는 복수의 현을 구비하고 있는 전자현악기에 사용되는 자동반주장치에 있어서, 코드를 지정하기 위해서, 상기 복수의 현중에서 적어도 1본의 현을 상기 핑거보드에 손가락으로 바짝 대므로서 행해지는 상기 핑거보드에 대한 간략화된 운지에 따라서 정해지는 상기 복수의 현의 조직 위치를 검출하는 운지검출수단(120)과, 상기 복수의 현에 대한 악음의 피치를, 관계되는 현의 긴쪽방향에 따르는 조작 위치와의 양쪽에 의존하도록 할당하는 피치 할당수단(140)과, 상기 운지검출수단(120)과 상기 피치할당수단(140)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위치중에서 하나의 조작위치를 근음 지정위치로서 선택하고, 이 선택된 근음지정위치에 대응하는 악음의 피치를 생성하므로서 코드의 근음을 판별하는 근음판별수단(130)과, 상기 운지검출수단(120)에 결합하고 있으며, 상기 조작위치에서 코드의 타입을 판별하는 타입 판별수단(150)과, 각 악음의 피치속성 코드와 각 악음을 발음해야 할 타이밍 코드로서 되는 반주패턴을 자동적으로 발생하는 패턴 발생 수단(340)과, 상기 패턴 발생수단(340)과 상기 코드판별수단(100)의 상기 근음 판별수단(130)과 상기 타입 판별수단(150)에 결합되어 있으며, 판별된 근음과 타입에 따라서, 상기 반주패턴의 피치 속성 코드를 해독하여 피치를 얻고 이 얻어진 피치를 가진 악음의 발생을, 대응하는 타이밍 코드에 따라서 제어하는 발음 제어 수단(350)과,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자동 반주장치.
  48. 핑거보드와 이 핑거보드의 긴쪽방향에 따라서 연재하는 복수의 현을 가지는 전자현악기에서 사용되는 자동반주장치에 있어서, 코드를 지정하기 위해서, 상기 복수의 현중에서 적어도 1본의 현을 상기 핑거보드에 바짝 대므로서 행해지는 상기 핑거보드에 대한 운지에 따라서 정해지는 상기 복수의 현의 조작위치를 검출하는 운지검출수단(120)과, 상기 복수의 현에 대한 악음의 피치를, 관계되는 현과 그 현의 긴쪽방향에 따르는 조작위치와의 양쪽에 의존하도록 할당하는 피치할당수단(140)과, 상기 운지검출수단(120)과 상기 피치할당수단(140)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위치중에서 하나의 조작위치를 근음지정위치로 해서 선택하고, 이 선택된 근음 지정위치에 대응하는 악음의 피치를 생성하므로서 코드의 근음을 판별하는 근음판별수단(130)과, 상기 운지검출수단(120)에 결합하고 있으며, 상기 조작위치에서 코드의 타입을 판별하는 타입판별수단(150)과, 상기 근음판별수단(130)과 상기 타입 판별수단(150)에 하고 있으며, 판별된 근음과 타입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피치 할당하는 현/피치 할당수단(210)과, 상기 복수의 현의 각각에서의 진동의 발생을 검출하는 진동검출수단(220)과, 반주패턴을 자동적으로 발생하는 패턴발생수단(340)과, 상기 패턴 발생 수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코드와 상기 반주패턴에 입각해서 반주음의 생성을 제어하는 발음제어수단(350)과, 상기 진동검출수단(220)과 상기 근음판별수단(130)과 상기 타입판별수단(150)과 상기 발음제어수단(350)들에 결합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현중의 어느 현에서도 그 진동의 개시가 검출되기만 하면 그 시점에서 상기 진동 검출수단(220)에서 주어지는 신호를 곧바로 응답해서 그 시점에서 판별되어 있는 근음과 타입에 의해서 특정되는 코드를 상기 발음제어수단(350)에 공급하며, 그 이후, 이 발음 제어수단이 상기 반주음의 생성을 위해 참조하게 되는 코드가 이 공급된 코드에 의해서 갱신되도록 하는 코드 갱신수단(310)과,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자동 반주장치.
  49. 핑거보드와 복수의 현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핑거보드에는 그 긴쪽방향에 따라서 연재하는 복수의 트랙이 규정되어 있어서 각각의 트랙이 각각의 현에 대응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전자현악기에서 사용되는 코드판별장치에 있어서, 코드를 지정하기 위해서, 상기 각 트랙에 대해서 운지조작이 행해졌을 때, 그 운지조작의 위치를 검출하는 운지검출수단(120)과, 상기 복수의 트랙내에서 운지조작될 복수의 조작위치마다 대응하는 피치를 할당하는 피치 할당수단(140)과, 상기 운지검출수단(120)과 상기 피치 할당수단(140)에 결합하고 있으며, 상기 운지검출수단(120)에서 검출된 상기 조작위치 속에서 하나의 조작위치를 근음 지정위치로 해서 선택하고, 이 선택된 근음 지정위치에 대해서, 상기 피치 할당수단에 의해 할당되어 있는 피치를, 코드의 근음으로서 지정하는 근음 판별수단(130)과, 상기 운지검출수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위치에서 코드의 타입을 판별하는 타임 판별수단(150)과,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코드판별장치.
  50. 핑거보드와 이 핑거보드의 긴쪽방향에 따라서 연재하는 복수의 현을 구비한 전자현악기에서 사용되는 자동 반주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중에서 적어도 1본의 현을 상기 핑거보드에 바짝 대므로서 행해지는 상기 핑거 보드에 대한 운지에 따라서 정해지는 상기 현의 조작위치를 검출하는 운지검출수단(120)과, 상기 운지검출수단(120)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위치를 대응하는 피치로 변환하는 피치 변환수단(170)과, 상기 피치 변환수단에 결합되어 있고, 변환된 피치에 피치순위 속성을 할당하는 속성할당 수단(210)과, 각 악음의 피치순위 속성을 각 악음의 발생되어야 할 타이밍에서 발생하는 반주패턴 발생수단(340)과, 상기 속성할당수단과 상기 반주패턴 발생수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반주패턴 발생수단에서 주어지는 피치순위 속성을, 상기 속성할당 수단을 참조하므로서 해독해서 피치로 변환하고, 이 피치를 가진 악음의 발생을 제어하는 발음제어수단(350)과,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자동 반주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반주패턴 발생 수단(340)에서 발생하는 피치순위 속성의 옥터브 데이터와 옥터브 내의 피치 순위 데이터로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악기의 자동 반주장치.
KR1019890005463A 1988-04-25 1989-04-25 전자현악기의 자동반주장치 KR9200082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54539(U) 1988-04-25
JP?63-54539 1988-04-25
JP5453988 1988-04-25
JP63-296228 1988-11-25
JP63296277A JP2600864B2 (ja) 1988-11-25 1988-11-25 ワーク位置決め装置
JP29622988 1988-11-25
JP63-296227 1988-11-25
JP63-296229 1988-11-25
JP29622888 1988-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505A KR890016505A (ko) 1989-11-29
KR920008298B1 true KR920008298B1 (ko) 1992-09-26

Family

ID=27463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5463A KR920008298B1 (ko) 1988-04-25 1989-04-25 전자현악기의 자동반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29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505A (ko) 1989-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6052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KR100374761B1 (ko) 가창 반주 시스템
CA2358526C (en) Electron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6670535B2 (en) Musical-instrument controller with triad-forming note-trigger convergence points
US6111179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having guitar-like chord selection and keyboard note selection
US648638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fingering guidance in playing musical instrument from performance data
JP4195232B2 (ja) 楽器
US6188008B1 (en) Chord ind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storage medium
US4757736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having rhythm-play function based on manual operation
US6541688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performance assistance function
US5223659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automatic accompaniment based on fingerboard fingering
US7220906B2 (en) String-instrument typ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3774928B2 (ja) 演奏補助装置
KR920008298B1 (ko) 전자현악기의 자동반주장치
JP3994200B2 (ja) 半音階行列鍵盤
JP3705175B2 (ja) 演奏制御装置
JP4354546B2 (ja) 楽器演奏動作検出と楽器演奏動作指導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131220B2 (ja) 和音演奏楽器
JP3714240B2 (ja) 演奏支援機能付電子楽器
JP3705174B2 (ja) 演奏制御装置
JPH0417988Y2 (ko)
JP2827313B2 (ja) 電子楽器
JPH0422998A (ja) コード構成音割当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弦楽器
JPH06222754A (ja) 電子弦楽器
JPH09319372A (ja) 電子楽器の自動伴奏装置及び自動伴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