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277B1 -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팩케이지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팩케이지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277B1
KR920008277B1 KR1019890020355A KR890020355A KR920008277B1 KR 920008277 B1 KR920008277 B1 KR 920008277B1 KR 1019890020355 A KR1019890020355 A KR 1019890020355A KR 890020355 A KR890020355 A KR 890020355A KR 920008277 B1 KR920008277 B1 KR 920008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disk
housing
package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20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152A (ko
Inventor
김영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20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277B1/ko
Publication of KR910013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8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consecutive-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Landscapes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팩케이지 승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에서 본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판 2 : 디스크하우징
3 : 덱크메카니즘 4 : 구동기어
5 : 풀리 10, 10', 10" : 회동기어
11, 11', 11" : 나사축 12, 12', 12" : 승강턱
13 : 디스크 팩케이지 14 : 트레이
본 발명은 디스크 플레이어에서 다수의 디스크가 장착된 디스크 팩케이지를 승강토록함에 따라 선택된 디스크를 인출하여 플레이할수 있도록한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팩케이지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다수의 디스크가 장착된 디스크 팩케이지로부터 선택한 디스크를 인출시키기 위해서는 덱크어셈블리를 승강하여 덱크어셈블리에 장치된 디스크 셀렉팅부에 의하여 인출되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덱크어셈블리라 함은 턴테이블, 픽업유니트, 픽업모터, 스핀들모터, 디스크로딩쳐크등으로 구성된 덱크메카니즘이다.
그런데, 상기에서 덱크어셈블리가 상,하 승강하면서 선택된 디스크를 인출하여 플레이하는 종래의 기술은 상기의 텍크메카니즘이 승강함에 따라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기기본체의 소형화 추구에 적합하지 못하였다.
또한, 상기 덱크메카니즘의 승강장치가 매우 복잡하여 부피가 커짐은 물론 승강작동에 있어서도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뿐만아니라 구성이 복잡함에 따라 작업공수가 증가되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종래와 같이 덱크메카니즘이 승강토록하지 아니하고, 다수의 디스크가 장착되는 디스크 팩케이지를 승강토록하는 승강수단을 구성하여 디스크 팩케이지가 승감함에 따라 선택된 디스크를 디스크 셀렉팅부에 의하여 인출토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실시예로서 도시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로서, 기기본체의 기판(1)에 디스크하우징(2)과 덱크메카니즘(3)을 설치한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 상기 덱크메카니즘(3)은 기판(1)에 고정설치하고 디스크하우징(2)은 승강수단에 의하여 상,하 승강토록 설치한다.
또한, 상기의 덱크메카니즘(3)에는 디스크 셀렉팅부를 구성하여 선택된 디스크를 인출토록 한다. 상기 승강수단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설명을 한다.
기기본체의 기판(1)에 구동기어(4)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이의 중앙에는 풀리(5)를 상기 구동기어(4)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축설하되, 이의 일측에는 구동풀리 (6)를 갖는 구동모터(7)를 고정 설치한다. 상기, 구동풀리(6)와 풀리(5)간에는 벨트 (8)로써 연결한다.
상기 구동기어(4)의 외주에는 다수의 아이들기어(9) (9') (9")를 치합연동되게 설치하고 상기 아이들기어(9) (9') (9")에는 회동기어(10) (10') (10")를 각각 치합연동되게 설치하며 회동기어(10) (10') (10")에는 나사축(11) (11') (11")을 형성한다. 상기 디스크하우징(2)에는 승강턱(12) (12') (12")을 형성하여 이를 상기의 나사축 (11) (11') (11")에 나착한다.
상기 디스크하우징(2)에는 디스크 팩케이지(13)를 섭착하되, 디스크 팩케이지 (13)에는 디스크가 장착되는 다수의 트레이(14)를 장착한다. 상기 트레이(14)에는 경사턱(15)을 갖는 걸림턱(16)을 형성한다.
상기 디스크하우징(2)의 후방에 고정설치된 덱크메카니즘(3)의 일측부에는 구동모터(17)를 고정설치하고, 구동모터(17)에는 구동풀리(18)를 축설한다. 상기 구동모터(17)의 일측부에는 풀리(19)를 갖는 웜(20)을 고정설치한다.
상기, 구동모터(17)의 구동풀리(18)와 웜(20)의 풀리(19)간에는 벨트(21)로써 연결한다. 상기 웜(20)에는 기어(22)를 치합연동되게 설치하되 이에는 피니언(23)을 축설한다. 상기, 피니언(23)의 하측부에는 가이드 핀(24)을 가이드되게 설치하되 이에는 랙(25)을 형성하여 상기, 피니언(23)이 치합되게 한다.
상기 가이드핀(24)의 일측에는 고정핀(26)을 형성하고 이에 작동레버(27)를 유동축(28)으로 설치한다. 상기, 작동레버(27)의 일측에는 회동축(29)을 축설하여 이를 중심으로 상기 작동레버(27)가 회동되게 한다.
상기의 회동축(29)은 덱크메카니즘(3)의 덱크(3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작동레버(27)의 일측 선단부에는 가이드브라켓트(31)를 제1가이드핀(32)으로 설치하되, 가이드브라켓트(31)의 일측선단에는 제2가이드 핀(33)을 회동되게 축설하며, 또한 타측에는 로킹턱(34)을 돌출 형성한다.
상기, 덱크메카니즘(3)의 덱크(30)에는 제1 및 제2가이드공(35)(36)을 형성하여 이에 제1 및 제2가이드 핀(32) (33)이 각각 삽입 가이드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브라켓트(31)의 로킹턱(34)은 트레이(14)의 걸림턱(16)에 로킹되어 트레이 (14)를 인출토록 하여서 된 구성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크하우징(2)에 삽착한 디스크 팩케이지(13)에는 디스크가 장착된 다수의 트레이(14)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 팩케이지(13)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디스크를 선택하여 플레이하고자 하려면, 승강수단에 의하여 디스크하우징(2)을 승강시키고, 덱크메카니즘(3)의 디스크 셀렉팅부에 의하여 디스크가 장착된 트레이(14)를 인출시켜 플레이 할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먼저, 디스크하우징(2)을 승강시키는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구동모터(7)를 구동시킨다. 구동모터(7)를 구동시킴에 따라 구동풀리(6)가 회전하고, 구동풀리(6)가 회전함에 따라 벨트(8)로써 연결된 풀리(5)가 회전한다. 풀리(5)가 회전함에 따라 이와 일체로 축설된 구동기어(4)가 회전한다. 구동기어(4)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구동기어 (4)와 치합된 다수의 아이들기어(9)(9')(9")가 회전하고, 아이들기어(9)(9')(9")가 회전함에 따라 이와 치합된 회동기어(10)(10')(10")가 회전한다. 회동기어(10)(10') (10")가 회전함에 따라 이와 일체로 형성된 나사축(11)(11')(11")이 회전하고, 나사축 (11)(11')(11")이 회전함에 따라 이에 승강턱(12)(12')(12")으로 나착한 디스크하우징(2)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승강한다.
그런데, 상기 디스크하우징(2)이 승강할때 디스크 팩케이지(13)에 장착된 다수의 디스크중 플레이하고자 하는 디스크를 인출시키기 위해서는 디스크가 장착된 트레이(14)의 걸림턱(16)이 가이드 브라켓트(31)의 로킹턱(34)에 로킹될수 있는 위치에서 가이 디스크하우징(2)의 승강작동이 정지된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덱크메카니즘(3)의 디스크 셀렉팅부에 의하여 플레이 하고자 하는 선택된 디스크를 인출시키는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덱크메카니즘(3)의 일측부에 고정설치한 구동모터(17)를 구동시킨다. 구동모터(17)를 구동시킴에 따라 구동풀리(18)가 회전되고, 구동풀리(18)가 회전됨에 따라 벨트(21)로써 연결된 풀리(19)를 회전시킨다. 풀리(19)가 회전됨에 따라 이와 일체로 축설된 웜(20)이 회전되고 웜(20)이 회전됨에 따라 이와 치합된 기어(22)가 회전한다. 기어(22)가 회전함에 따라 이와 축으로 연결된 피니언(23)을 회전시킨다.
그런데, 상기에서 피니언(23)의 회전방향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피니언(23)이 회전함에 따라 이와 치합된 랙(25)에 회전력을 전달시켜 랙(25)이 형성된 가이드핀(24)을 후방으로 직선이동시킨다.
이때, 가이드핀(24)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핀(26)과 유동축(28)으로써 연결된 작동레버(27)는 회동축(29)을 중심으로 회동이 된다. 이때, 작동레버(27)의 선단부에 제1가이드핀(32)에 의해 고정설치된 가이드브라켓트(31)를 전방으로 가이드시킨다. 가이드브라켓트(31)를 가이드 시킴에 따라 이에 설치된 상기의 제1가이드핀(32)과 제2가이드핀(33)은 덱크(30)에 형성된 제1 및 제2가이드공(35)(36)에서 가이드되고, 또한 상기 가이드브라켓트(31)에 형성된 로킹턱(34) 또한 함께 전방으로 가이드된다.
전방으로 가이드된 로킹턱(34)은 디스크 팩케이지(13)에 장착된 트레이(14)의 걸림턱(16)에 로킹이 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하면, 즉 로킹턱(34)은 걸림턱(16)의 경사면(15)을 따라 가이드되어 걸림턱(16)에 로킹이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로킹이 가능한 것은 가이드브라켓트(31)의 로킹턱(34)에 탄력성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하여 로킹된 트레이(14) 즉,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트레이(14)는 로킹턱(34)에 이끌려 덱크메카니즘(3)의 턴테이블(도시하지 않았음)에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로딩되어 트레이(14)에 장착된 디스크를 플레이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에서 트레이(14)가 가이드브라켓트(31)의 로킹턱(34)에 의하여 이끌려 덱크메카니즘(3)의 턴테이블에 로딩되는 작동원리는 상기에서 가이드브라켓트 (31)의 로킹턱(34)이 트레이(14)를 인출시키기 위하여 전방으로 가이드될때의 작동원리와 동일하고 단지 순서만이 역순서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상기 덱크메카니즘(3)의 턴테이블에서 플레이가 완료된 디스크를 다시 디스크 팩케이지(13)에 삽착시키고자 하려면, 상기에서 디스크 팩케이지(13)로 부터 트레이(14)를 인출시킬때와 동일한 작동원리와 작동순서에 의하여 트레이(14)를 디스크 팩케이지(13)에 삽착시킨다. 이후, 다시 로킹턱(34)이 걸림턱(16)으로 부터 해체되어 이탈시키고자 하려면, 상기 승강수단에 의하여 디스크 팩케이지(13)가 삽착된 디스크하우징(2)을 승강시켜 상기 로킹턱(34)을 디스크 팩케이지(13)에 다수로 장착되어 있는 트레이(14)들의 걸림턱(16) 사이에 위치되게 한다. 이후, 다시 가이드브라켓트 (31)의 로킹턱(34)을 후방으로 가이드시키면 로킹턱(34)은 아무런 간섭없이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작동원리는 즉, 디스크하우징(2)의 승강 작동원리와 가이드브라켓트(31)의 로킹턱(34)이 후방으로 가이드되는 작동원리들은 상기에서 이미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여러가지의 장치들로 구성된 덱크메카니즘(3)이 승강하면서 디스크를 인출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의 덱크메카니즘(3)은 고정설치되어 있고, 다수의 트레이(14)가 장착된 디스크 팩케이지(13)를 디스크하우징(2)에 의하여 승강토록 하면서 원하는, 즉 선택한 디스크를 덱크메카니즘(3)의 디스크 셀렉팅부에 의하여 인출토록 하여 플레이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덱크메카니즘(3)을 승강토록함에 따른 작동의 불안정 및 장치구성의 복잡성을 해결하였고, 또한, 부피가 큰 덱크메카니즘(3)을 승강시키지 않고 디스크하우징(2)을 승강시킴으로써 디스크의 인출시간을 단축시켰으며, 뿐만아니라 기기본체의 소형화에도 기여하고, 작업공수 또한 절감할수 있는 특징을 지닌 것이다.
그리고,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였을지라도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주내에서 많은 변경 또는 수정이 있을수도 있다.

Claims (2)

  1. 기기본체의 기판(1)에 디스크하우징(2)을 설치하고 이에 디스크 팩케이지(13)를 삽착하되 디스크 팩케이지(13)에는 디스크가 장착된 다수의 트레이(14)를 삽착하며, 상기 디스크하우징(2)의 후방에는 덱크메카니즘(3)을 설치한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하우징(2)을 상,하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구성하고, 덱크메카니즘(3)에는 디스크 셀렉팅부를 구성하여, 상기 디스크하우징(2)이 승강함에 따라 디스크 셀렉팅부에 의하여 디스크 팩케이지(13)에 장착된 디스크를 인출 및 삽입토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한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팩케이지 승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승강수단은 기판(1)에 풀리(5)를 갖는 구동기어(4)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구동기어(4)의 주연에는 다수의 아이들기어(9)(9')(9")를 치합연동되게 설치하며, 아이들기어(9)(9')(9")에는 나사축(11)(11')(11")을 각각 형성한 회동기어(10)(10')(10")를 치합연동되게 설치하되, 나사축(11)(11')(11")에는 디스크하우징(2)에 형성한 승강턱(12)(12')(12")을 나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한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팩케이지 승강장치.
KR1019890020355A 1989-12-30 1989-12-30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팩케이지 승강장치 KR920008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20355A KR920008277B1 (ko) 1989-12-30 1989-12-30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팩케이지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20355A KR920008277B1 (ko) 1989-12-30 1989-12-30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팩케이지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152A KR910013152A (ko) 1991-08-08
KR920008277B1 true KR920008277B1 (ko) 1992-09-26

Family

ID=1929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20355A KR920008277B1 (ko) 1989-12-30 1989-12-30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팩케이지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27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152A (ko) 1991-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9778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연속 플레이장치
US5621708A (en) Disk player equipped with disk changer
KR920008277B1 (ko)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팩케이지 승강장치
KR910005311B1 (ko) 자동연주형 기록매체 재생장치
JP2737663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3533727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JPH05198068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2771117B2 (ja) ガイド装置を備えたミニディスクプレーヤー用ディスクトレー
JPH059558Y2 (ko)
KR920005209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홀딩장치
KR910000318Y1 (ko) 80/120㎜ 공용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회전식 디스크 홀더 장치
KR100520976B1 (ko) 디스크 드라이브
KR950001797Y1 (ko) 씨디-롬 트레이 로딩장치
KR100249381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KR0141276B1 (ko) 콤팩트디스크체인저의 디스크척킹장치
JPS63108546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3481523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KR940002580B1 (ko)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KR940004588B1 (ko)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JP3627811B2 (ja) トレイ上のディスクテーブルの回転支持構造
KR930005771Y1 (ko) 기록매첼 지지장치
JPH0294160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1178163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KR900005914Y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스핀들 모우터를 이용한 로딩장치
KR920001947Y1 (ko) 트윈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