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251Y1 - 캠코더의 오디오 녹음 모니터회로 - Google Patents

캠코더의 오디오 녹음 모니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251Y1
KR920008251Y1 KR2019890020122U KR890020122U KR920008251Y1 KR 920008251 Y1 KR920008251 Y1 KR 920008251Y1 KR 2019890020122 U KR2019890020122 U KR 2019890020122U KR 890020122 U KR890020122 U KR 890020122U KR 920008251 Y1 KR920008251 Y1 KR 9200082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signal
audio
amplifier
bi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201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421U (ko
Inventor
권오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900201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251Y1/ko
Publication of KR9100134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4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2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2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0Indicating arrangements; War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6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video camera or receiv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12Bandpass or bandstop filters with adjustable bandwidth and fixed centre frequenc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designed for audio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캠코더의 오디오 녹음 모니터회로
제1도는 종래의 캠코더 오디오 녹음 모니터회로의 일예를 보인 회로도.
제2도는 종래의 캠코더 오디오 녹음 모니터회로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캠코더 오디오 녹음 모니터 회로도.
제4도는 제3도의 블록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각부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녹음신호증폭기 2 : 녹음바이어스발진기
3 : 재생신호증폭기 H : 녹음/재생헤드
31 : 녹음신호검출부 32 : 바이어스트랩부
33 : 제1증폭기 34 : 저역필터
35 : 제2증폭기 36 : 교류/직류변환기
37 : 표시부 38 : 전원전압제어부
본 고안은 캠코더(CAMCORDER)의 오디오 녹음 모니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촬영중 오디오 신호가 기록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뷰파이니더(viewfinder)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확인, 모니터링(Monitering)하여 보다 더 활동적이고 자연스런 촬영에 적당하도록 한 캠코더의 오디오 녹음 모니터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캠코더 오디오 녹음 모니터는 일반적으로 두가지가 있는데,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 캠코더 오디오 녹음 모니터회로 일예를 보인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디오 입력신호를 녹음신호증폭기(1)에서 증폭한 뒤 콘덴서(C1) 및 저항(R1)을 통하여 바이어스 발진기(2)에서 바이어스를 인가받고, 다시 녹음/재생절환스위치(SW1)의 녹음단자(R)를 통해 녹음/재생헤드(H)에 인가하여 녹음하게 되며, 이때 상기 녹음신호증폭기(1)에서 증폭된 뒤 콘덴서(C1)를 통한 신호를 증폭기(3)에서 다시 증폭한 후 교류/직류변환기(4)를 통해 직류로 변환하여 표시부(5)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또한, 제2도는 종래 캠코더 오디오 녹음 모니터회로의 다른예를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마이크(11)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마이크증폭기(12)에서 증폭한 신호나 라인입력 신호를 라인증폭기(13)를 통해 증폭하고, 그 라인증폭기(13)의 출력신호를 모니터증폭기(14)를 통해 증폭하고, 그 오디오 출력을 티브이(TV) 모니터로 모니터 하거나 이어폰을 통해 모니터링하게 된다.
이와같은 종래의 제1도 캠코더 오디오 녹음 모니터회로에 있어서는 녹음신호증폭기(1)의 출력을 콘덴서(C1), 저항(R1) 및 녹음/재생 절환스위치(SW1)를 통해 녹음헤드(H)에서 녹음함과 아울러 녹음상태 모니터를 위해 상기 콘덴서(C1)를 통한 신호를 증폭기(3)를 통해 증폭한 뒤 교류/직류변환기(4)에서 직류로 변환시켜 녹음상태를 표시하게 되고, 이에따라 녹음시 녹음/재생절환스위치(SW1)가 절환이 불량하거나, 녹음헤드(H)에 이상이 생기거나, 기타 다른 요인에 의해 녹음이 되지 않는다 하여도 녹음신호증폭기(1)에서 출력되는 신호만 있으면 녹음되고 있는 것으로 표시하게 되므로 신뢰성이 낮게되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또다른 실시예인 제2도에 도시된 종래의 캠코더 오디오 녹음 모니터회로에 있어서는 비디오 촬영시 뷰파인더로는 오디오 기록상태 유무를 전혀 확인할 수가 없으며, 비디오 촬영시 오디오가 기록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이어폰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촬영시 이어폰의 이어폰선에 의하여 촬영이 자유롭지 못하고, 특히 캠코더는 야외이동이 많으므로 촬영상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오디오 녹음 상태를 신뢰성 있게 확인 할수 있도록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해 녹음상태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이어폰 선으로 인한 촬영장애요소를 해소한 오디오 모니터회로를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 캠코더 오디오 녹음 모니터회로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오디오 녹음신호를 인가받아 증폭하는 녹음신호증폭기(1)의 출력신호와 바이어스발진기(2)의 녹음 바이어스신호를 합산한 후 녹음/재생절환스위치(SW1)의 녹음단자(R)를 통해 녹음/재생헤드(H)에서 녹음되고, 이 녹음/재생헤드(H)에서 재생되는 신호는 녹음/재생절환스위치(SW2)의 재생단자(P)를 통해 재생신호증폭기(3)에 인가되도록 한 캠코더의 녹음/재생회로에 있어서, 상기 녹음/재생헤드(H) 및 녹음/재생절환스위치(SW2)사이에 접속된 녹음바이어스조정용 저항(R1)에서의 검출신호 신호검출부(31)의 출력을 코일(L1)및 콘덴서(C2)를 통해 바이어스 발진주파수를 트랩시키는 바이어스트랩(Bias Trap)부(32)와, 이 바이어스트랩부(32)의 출력신호를 고입력 임피던스를 갖는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를 사용하여 증폭하는 제1증폭기(33)와, 이 제1증폭기(33)의 출력신호에서 불필요한 고역성분을 제거하는 저역필터(34)와, 이 저역필터(34)를 통한 신호를 필요로 하는 신호레벨로 증폭하는 제2증폭기(35)와, 이 제2증폭기(35)의 출력을 다이오드(D1),(D2)및 콘덴서(C10)를 이용하여 직류신호로 바꾸는 교류/직류변환기(36)와, 이 교류/직류변환기(36)의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전자 뷰파인더 내부에 부착한 발광다이오드(LED)를 통해 녹음상태 표시를 위한 표시부(37)와, 시스템 제어의 시스콘으로부터 녹음/재생모드 신호중 저전위 녹음모드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1증폭기(33), 저역필터(34), 제2증폭기(35), 교류/직류변환기(36)및 표시부(37)에 전원전압(Vcc)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전원전압제어부(38)로 구성한 것으로, 녹음/재생절환스위치(SW1),(SW2)는 녹음모드시에 그의 녹음단자(R),(R)에 각기 단락되고, 재생모드시에 그의 재생단자(P),(P)에 각기 단락되게 되어 있으며, 또한 시스콘으로부터 공급되는 녹음/재생제어신호는 녹음모드시에 저전위로 공급되고, 재생모드시에 고전위로 공급되게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고안 캠코더 오디오 녹음 모니터회로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콘으로부터 녹음/재생제어신호가 녹음모드 신호인 저전위로 공급되면 전원전압제어부(38)의 트랜지스터(TR4)가 오프되어 그의 콜렉터에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이 고전위 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TR3)가 도통되어 본 고안 회로의 각부에 전윈전압(Vcc)을 공급하게 됨으로써 그 각부가 동작된다.
그리고, 그 녹음모드상태에서 녹음/재생절환스위치(SW1),(SW2)은 그의 녹음단자(R),(R)에 각기 단락된다.
따라서, 이때 녹음신호증폭기(1)의 출력신호와 녹음바이어스용 녹음바이어스발진기(2)의 녹음바이어스가 합산된 후 녹음/재생절환스위치(SW1), 녹음/재생헤드(H), 저항(R1)및 녹음/재생절환스위치(SW2)를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되면서 녹음/재생헤드(H)에서 녹음되고, 여기서 저항(R1)은 녹음바이어스조정용으로 동작되는데, 그 저항(R1)을 통해 검출되는 미소신호가 콘덴서(C1)를 통해 바이어스 발진주파수를 트랩시키는 바이어스트랩부(32)에 입력되면 주파수가 트랩된 제5도의 (b)와 같은 파형의 신호로 출력되고, 이 출력신호는 미약하므로 제1증폭기(33)의 고입력 임피던스를 갖는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를 사용하여 증폭하게 된다.
즉,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는 녹음바이어스조성용 저항(R1)의 값에 비교되지 않을 정도의 고임피던스값을 가지므로 본 고안에 따른 회로가 상기 저항(R1)의 양단에서 검출되는 녹음신호를 이용하여도 녹음 바이어스계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고입력임피던스를 갖는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를 이용한 제1증폭기(33)에서 증폭한 신호는 필요로 하는 신호성분 이외의 성분까지 증폭되었으므로 저역필터(34)를 통해 고역의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필터링하고, 다시 제2증폭기(35)를 통해 표시에 필요로 하는 레벨로 제5도의 (c)에 도시한 바와같이 증폭한 후 교류/직류변환기(36)를 통해 직류신호로 변환하고, 이 교류/직류변환기(36)를 거쳐 직류신호로 변환된 녹음신호는 표시부(37)를 통해 전자 뷰파인더 내에 부착시킨 발광다이오드(LED)를 구동하게 되는데, 이때 그 표시부(37)의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는 제5도의 (d)에 도시한 바와같은 파형신호가 인가된다.
여기서, 교류/직류변환기(36)의 다이오드(D1),(D2)에 의하여 반파정류되고 콘덴서(C10)에 의해 평활되어 직류신호로 변환되는데, 그 직류신호는 오디오 입력신호의 크기에 따라 비례하게 되며, 이 교류/직류변환기(36)의 출력신호는 표시부(37)의 바이어스용 저항(R10),(R11)을 통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그런데, 그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신호는 오디오 입력신호의 크기에 비례하므로, 그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전류값도 오디오 신호레벨에 따라 변하게 된다.
따라서, 그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 전류값이 변환하게 됨에 따라 그의 콜렉터 전류값이 변환하게 되어 발광다이오드(LED)의 밝기가 변화된다.
즉, 녹음되고 있는 오디오 신호레벨에 따라 녹음상태를 표시해주는 발광다이오드(LED)의 밝기가 변환되므로 오디오 녹음모니터링을 시간적으로 쉽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캠코더 촬영시 오디오 모니터를 하기 위해 이어폰을 사용했을때의 불편한 점을 해소할 수 있고, 녹음헤드의 녹음바이어스조정용 저항에서 녹음신호를 검출하여 표시하므로 고신뢰성을 갖게되며, 전자 뷰파인더 내부에 장착된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해 표시하므로 시각적으로 쉽게 녹음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한편, 재생모드상태에서는 시스콘으로부터 녹음/재생제어신호가 재생모드신호인 고전위로 인가되므로 전원전압제어부(38)의 트랜지스터(TR4)가 도통되어 트랜지스터(TR3)가 오프되고, 이에따라 각부에 전원전압(Vcc)이 공급되지 않아 구동되지 않게된다.
또한, 이때 녹음/재생절환스위치(SW1),(SW2)가 그의 재생단자(P)에 단락되고, 이에 따라 녹음/재생헤드(H)에서 재생되는 재생신호가 저항(R1)및 녹음재생절환스위치(SW2)를 통해 재생신호증폭기(3)에 인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이동이 심하고 활동스럽게 사용하는 캠코더에 있어서 오디오 녹음 모니터를 할때 전자뷰파인더 내부에 발광다이오드를 두어 녹음되는 오디오신호레벨에 따라 밝기가 변화되므로 시각적으로 쉽게 모니터링할 수 있고, 촬영에 불편을 주지 않아 이동이 자유로움과 아울러 합동적인 촬영을 할수 있으며, 녹음헤드의 바이어스조정용 저항에서 검출된 신호로 모니터링을 하므로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된다.

Claims (1)

  1. 오디오 녹음시 녹음/재생헤드(H)로부터 녹음 오디오 신호를 검출하는 녹음신호검출부(31)와, 상기 녹음신호검출부(31)에서 검출된 오디오신호의 바이어스 발진주파수를 트랩시키는 바이어스트랩부(32)와, 상기 바이어스트랩부(32)의 출력신호를 고입력 임피던스를 갖고 고이득으로 증폭하는 제1증폭기(33)와, 상기 제1증폭기(33)에서 증폭된 신호중 불필요한 성분을 제거하는 저역필터(34)와, 상기 저역필터(34)를 통한 신호를 다시 필요한 레벨로 증폭하는 제2증폭기(35)와 상기 제2증폭기(35)의 출력 신호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교류/직류변환기(36)와, 상기 교류/직류변환기(36)의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그 신호레벨에 따라 전자 뷰파인더 내부에 부착한 발광 다이오드(LED)를 구동하여 오디오 녹음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37)와, 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콘으로부터 녹음모드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각부에 전원전압(Vcc)을 공급하는 전원전압제어부(38)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오디오 녹음 모니터회로.
KR2019890020122U 1989-12-28 1989-12-28 캠코더의 오디오 녹음 모니터회로 KR9200082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0122U KR920008251Y1 (ko) 1989-12-28 1989-12-28 캠코더의 오디오 녹음 모니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0122U KR920008251Y1 (ko) 1989-12-28 1989-12-28 캠코더의 오디오 녹음 모니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421U KR910013421U (ko) 1991-07-30
KR920008251Y1 true KR920008251Y1 (ko) 1992-11-14

Family

ID=19294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20122U KR920008251Y1 (ko) 1989-12-28 1989-12-28 캠코더의 오디오 녹음 모니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25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421U (ko) 199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30421B2 (ja) ワイヤレス受信機
KR920008251Y1 (ko) 캠코더의 오디오 녹음 모니터회로
US3995315A (en) Audio circuit with noise muting feature
KR900004615Y1 (ko) 영상 신호 탐색 및 녹화 제어회로
KR0131581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재생시 이상 상태 알림 장치
KR930002043Y1 (ko) 캠코더의 탤리 램프 구동 회로
GB2150734A (en) Inter-music interval detecting system and method
JPH0739088Y2 (ja) テ−プレコ−ダ−のミユ−テイング回路
JPS6317111Y2 (ko)
JP2001119774A (ja) 音響信号入力装置
JP2605128B2 (ja) 検波回路
JPS6141195Y2 (ko)
KR930008228Y1 (ko) Tv 시청시 비디오신호 뮤트회로
KR910003569Y1 (ko) Vtr의 재생신호 판별회로
JPH0110565Y2 (ko)
RU2017346C1 (ru) Канал изображения видеомагнитофона
JPS5810202Y2 (ja) 記録再生装置
KR910003212Y1 (ko) 초저음 제거회로
KR940002756Y1 (ko) 스켈치 회로
JPH0320889Y2 (ko)
KR870001155Y1 (ko) 의사 영상 동기 신호를 이용한 음성신호 녹음회로
KR950004161Y1 (ko) 리모콘 제어신호 재생회로
KR920005271B1 (ko) 재생 fm 신호를 이용한 vtr 포맷트 판별 직접회로
KR900008277Y1 (ko) 핫 전원용 오디오 및 비데오 입력회로
KR860001643Y1 (ko) 텔레비젼/비디오 신호 자동절환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