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615Y1 - 영상 신호 탐색 및 녹화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영상 신호 탐색 및 녹화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615Y1
KR900004615Y1 KR2019870012094U KR870012094U KR900004615Y1 KR 900004615 Y1 KR900004615 Y1 KR 900004615Y1 KR 2019870012094 U KR2019870012094 U KR 2019870012094U KR 870012094 U KR870012094 U KR 870012094U KR 900004615 Y1 KR900004615 Y1 KR 9000046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istor
video signal
capacito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20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498U (ko
Inventor
김원
김용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120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4615Y1/ko
Publication of KR8900034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4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6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6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222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clock-related aspects, e.g. phase or frequency adjustment or bit synchronisation
    • G11B20/10231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clock-related aspects, e.g. phase or frequency adjustment or bit synchronisation wherein an asynchronous, free-running clock is used; Interpolation of sample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영상 신호 탐색 및 녹화 제어회로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트랩회로 10 : 수평 동기 신호 증폭부
15 : 수평 동기 신호 평활부 20 : 직류 레벨 검파부
25 :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브 및 오디오 뮤우트부
Q1-Q4: 트랜지스터 R1-R15: 저항
C1-C9: 콘덴서 LED : 발광다이오드
본 고안은 영상 신호중의 수평 동기 신호를 증폭하여 영상 신호의 존재 유무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한 영상 신호 탐색 및 녹화 제어회로로써 텔레비젼 및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영상 신호 탐색 및 영상 신호의 유무 판독으로 인한 신호 발생 장치등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영상 신호의 존재 유무를 판단할 때 영상 신호중의 수직 동기 신호를 검파한 후 이를 직류 레벨로 변화시켜 마이콤에서 판단해 주도록 하였으나 이와같이 수직 동기 신호를 검파하여 영상 신호의 존재 유무를 판단할 때에는 영상 신호의 강도가 약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데도 수직 동기 신호는 인가되므로써 영상 신호가 존재하는 것처럼 회로가 오동작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수직 동기 신호 대신에 수평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신호의 강도가 약할때에도 영상 신호의 존재 유무를 정확히 판단해 주도록 하였으며 판단된 신호로 무신호시에는 녹화 방지 및 오디오 뮤우트 기능과 발광다이오드로 외부에 표시해 주도록 한 것으로써 영상 신호는 트랩 회로가 연결된 수평동기 신호 증폭부에 인가되어 증폭된 후 수평 동기 신호 평활부에서 평활되며 평활된 신호는 직류 레벨 검파부를 통하여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브 및 오디오 뮤우트부에 인가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데오 입력단자(1)로 인가되는 비데오 신호는 커플링 콘덴서(C9)를 통한후 비데오 출력단자(3)에 인가됨과 동시에 커플링 콘덴서(C1)와 바이어스용 저항(R1-R3)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게 연결하고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에는 바이어스용 저항(R4)과 수평 동기 신호 제거용 콘덴서(C3)를 연결하여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는 콘덴서(C2)와 코일(L1)로 구성된 트랩회로(5)를 연결하여 비데오 신호중의 수평 동기 신호를 증폭하게 수평 동기 신호 증폭부(10)를 구성한 후 수평 동기 신호 증폭부(10)의 출력은 커플링 콘덴서(C4)와 바이어스용 저항(R5)(R6)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게 연결하고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에는 바이어스용 저항(R7)과 평활용 콘덴서(C5)를 연결하여 수평 동기 신호 평활부(15)를 구성한다.
그리고 수평 동기 신호 평활부(15)의 출력은 바이어스용 저항(R8)(R9)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되게 연결하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는 바이어스용 저항(R10)(R11)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를 연결하여 직류 레벨 검파부(20)를 구성한다.
또한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에는 발광다이오드(LED)와 전류 제한용 저항(R12)을 연결함과 동시에 하이레벨의 녹화 신호가 인가되게 연결하고 오디오 입력단자(2)로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는 커플링 콘덴서(C8)와 임피던스 매칭용 저항(R13-R15)을 통하여 오디오 출력단자(4)에 인가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에 인가되게 연결하여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브 및 오디오 뮤우트부(25)를 구성한다.
이때 본 고안에 인가되는 전원(B')은 노이즈 제거용 콘덴서(C6)(C7)를 통하여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비데오 신호가 인가될 때와 인가되지 않을때로 나누어 살펴본다.
첫째로 비데오 신호가 인가될 경우를 살펴본다.
비데오 입력단자(1)로 튜너와 비데오 라인으로부터 비데오 신호가 인가되면 커플링 콘덴서(C9)(C1)를 통하여 수평 동기 신호 증폭부(10)에 인가됨과 동시에 비데오 출력단자(3)에 인가되므로 비데오 출력단자(3)를 통한 비데오 신호를 외부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수평 동기 신호 증폭부(10)에는 바이어스용 저항(R1-R3)에 의해 설정된 바이어스 전압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서 바이어스용 저항(R4)과 콘덴서(C3) 및 트랩회로(5)가 연결된 트랜지스터(Q1)에서는 수평 동기 신호를 증폭시켜 주게 된다.
이때 트랜지스터(Q1)에서는 에미터에 연결된 트랩회로(5)의 출력 주파수및 저항(R4)과 콘덴서(C3)의 바이어스에 의하여 에미터측으로 수평 동기 신호를 증폭 출력시키게 된다.
수평 동기 신호 증폭부(10)의 증폭된 신호는 커플링 콘덴서(C4)와 바이어스용 저항(R5)(R6)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측에서는 증폭된 신호가 전원(B')에 클램프(Clamp)되어 출력되게 되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 출력은 평활용 콘덴서(C5)에 의하여 일정 레벨의 직류 전압으로 평활되게 된다.
이러한 평활된 직류 레벨은 바이어스용 저항(R8)(R9)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되게 되나 트랜지스터(Q3)는 PNP형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트랜지스터(Q3)가 "턴 오프"되어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측에서 바이어스용 저항(R10)(R11)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는 접지 전위가 인가되게 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Q1)는 "턴 오프" 상태가 되어 콜렉터측에 연결된 발광다이오드(LED)가 "오프"됨과 동시에 녹화시 인가되는 하이 레벨 전압과 오디오 입력 신호는 트랜지스터(Q1)를 통하여 뮤우트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세트에 인가되므로써 비데오 신호가 인가될 경우에는 세트가 정상적인 녹화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둘째로 비데오 신호가 인가되지 않을 경우를 살펴본다. 비데오 신호가 인가되지 않을 경우에는 수평 동기 신호 증폭부(10)에서 증폭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수평 동기 신호 평활부(15)에서도 직류 레벨이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직류 레벨 검파부(20)의 트랜지스터(Q3)는 베이스측에 바이어스 전위가 인가되어 "턴 온"되게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3)의 "턴 온"으로 바이어스용 저항(R10)(R11)이 연결된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측이 접지 전위가 된다. 그러므로 녹화시 인가되는 하이 레벨의 녹화 신호와 오디오 신호는 트랜지스터(Q4)의 "턴 온"으로 접지로 흐르게 되어 뮤우트되므로 녹화 동작이 행하여 지지 않게 되며 전류 제한용 저항(R12)이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LED)가 점등되어 사용자는 세트의 녹화 중지 동작이 다른 고장에 의한 것이 아니고 비데오 신호가 인정되지 않아 중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데오 신호가 수평 동기 신호 증폭부에서 증폭되고 수평 동기 신호 평활부에서 직류 전압으로 평활된 후 직류 레벨 검파부에 인가되어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브 및 오디오 뮤우트부를 제어하여 정상적으로 구동되게 구성하여 비데오 신호가 인가되지 않을 경우에는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브 및 오디오 뮤우트부에서 녹화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뮤우트시켜 줌과 동시에 발광다이오드를 통하여 표시해 주도록 한 것으로써 종래와는 달리 수평 동기 신호를 증폭시켜 이용하므로 오동작 없이 완전한 동작을 하게 되며 발광다이오드의 점등으로 사용자가 비데오 신호가 인가되고 있지 않음을 손쉽게 알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비데오 신호가 저항(R1-R4)과 콘덴서(C3)가 연결되고 코일(L1)과 콘덴서(C2)로 구성된 트랩회로(5)가 연결된 트랜지스터(Q1)를 통하여 증폭되게 수평 동기 신호 증폭부(10)를 구성하며 수평 동기 신호 증폭부(10)의 출력은 저항(R5-R7)과 트랜지스터(Q2) 및 콘덴서(C4)(C5)로 구성된 수평 동기 신호 평활부(15)에서 평활되고 저항(R8-R11)과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된 직류 레벨 검파부(20)를 통한 후 발광다이오드(LED)가 연결되고 녹화 신호 및 오디오 신호가 콜렉터로 인가되는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인가되도록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브 및 오디오 뮤우트회로(25)를 구성한 영상 신호 탐색 및 녹화 제어회로
KR2019870012094U 1987-07-22 1987-07-22 영상 신호 탐색 및 녹화 제어회로 KR9000046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2094U KR900004615Y1 (ko) 1987-07-22 1987-07-22 영상 신호 탐색 및 녹화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2094U KR900004615Y1 (ko) 1987-07-22 1987-07-22 영상 신호 탐색 및 녹화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498U KR890003498U (ko) 1989-04-13
KR900004615Y1 true KR900004615Y1 (ko) 1990-05-25

Family

ID=19265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2094U KR900004615Y1 (ko) 1987-07-22 1987-07-22 영상 신호 탐색 및 녹화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46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498U (ko) 1989-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5094A (en) Muting circuit for eliminating transient signals generated due to power supply turn-on and turn-off
US4667242A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KR900004615Y1 (ko) 영상 신호 탐색 및 녹화 제어회로
US4568979A (en) Television receiver muting apparatus
US3995315A (en) Audio circuit with noise muting feature
JPS607564Y2 (ja) 同調表示装置
JPH08331482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電源on/off検知装置
KR920008251Y1 (ko) 캠코더의 오디오 녹음 모니터회로
US4143330A (en) Detector circuit
KR900009704Y1 (ko) 비데오 카메라의 녹화 확인장치
KR890000782Y1 (ko) 비디오 디스크플레이어의 드롭아우트 검출회로
KR930004830Y1 (ko) 동기신호 검출자동 조절회로
KR940002756Y1 (ko) 스켈치 회로
JPS5941634B2 (ja) カラ−受像機の色信号処理回路
KR900008277Y1 (ko) 핫 전원용 오디오 및 비데오 입력회로
KR930008228Y1 (ko) Tv 시청시 비디오신호 뮤트회로
JP2001119774A (ja) 音響信号入力装置
KR890003891Y1 (ko) Vtr 레코딩 모드에서 자동주파수 영역을 벗어난 오디오신호의 뮤팅 회로
KR910001305Y1 (ko) 모노/스테레오 자동 감지회로
KR930000145Y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잡음제거회로
KR860001644Y1 (ko) 텔레비젼/비디오 신호 자동절환회로
KR900008890Y1 (ko) Vtr헤드와 프리앰프의 오동작 검출회로
KR860002167Y1 (ko) 텔레비젼/비디오 신호 자동 절환회로
JPH08242160A (ja) 光信号受信装置
JPH02669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