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581B1 -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재생시 이상 상태 알림 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재생시 이상 상태 알림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581B1
KR0131581B1 KR1019920021374A KR920021374A KR0131581B1 KR 0131581 B1 KR0131581 B1 KR 0131581B1 KR 1019920021374 A KR1019920021374 A KR 1019920021374A KR 920021374 A KR920021374 A KR 920021374A KR 0131581 B1 KR0131581 B1 KR 0131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flattening
transistor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1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2300A (ko
Inventor
김창진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20021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581B1/ko
Publication of KR940012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2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5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ideo Cassette Recorder) 재생시 이상 상태 알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재생 영상 신호로부터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여 알려주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재생시 이상 상태 알림 장치에 있어서, 재생 신호중 소정 신호 대역을 피킹하여 증폭하는 피킹 증폭 수단(18); 피킹 증폭 수단(18)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평할, 반전하여 출력하는 제1평할 수단(22); 오디오/콘트롤 헤드(23)의 콘트롤 신호 및 테이크 업릴(24)의 릴 펄스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서보 제어 수단(25); 서보 제어 수단(25)으로부터 출력되는 콘트롤 신호를 평할하고, 평할된 전압 레벨에 따라 전원 전압(+5V)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평할 수단(28); 제2평할 수단(28)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 되는 스위칭 수단(29); 스위칭 수단(29)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릴 펄스에 동기되어 상기 전원 전압(+5V)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버퍼부(34)와; 제1평할 수단(22)의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제2평할 수단(28)의 전원 전압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며 버퍼부(34)으로부터 인가되는 출력 전원 전압(+5V)에 따라 구동하여 VCR의 정상 구동 여부, 비디오 헤드(R, L)의 이물질 오염 여부 및 재생중인 비디오 테이프의 영상 신호 기록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수단(32)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재생시 이상 상태 알림 장치
제1도는 종래의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재생계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재생시 이상 상태 알림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상세 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 비디오 헤드 3 : 스위칭부
5, 13 : FM 자동 이득 조정 회로부 6 : 리미터
7 : FM 검파부 9 : 디엠퍼시스부
18 : 피킹 증폭 수단 22 : 제1평할 수단
25 : 서보 제어 수단 28 : 제2평할 수단
29 : 스위칭 수단 32 : 표시 수단
35 : 제3평할 수단
본 발명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이하, VCR이라 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VCR이 재생 모드로 구동중에 화면이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경우에 그 원인을 표시할 수 있게 한 VCR 재생시 이상 상태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VCR의 재생계 블록도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증폭기(2)는 R 헤드 및 L 헤드의 비디오 헤드(1)로부터 검출된 미세한 신호를 증폭하고, 스위칭부(3)는 비디오 트랙(Track)에서 순차적으로 재생되는 신호가 중복 또는 결손되지 않도록 R 또는 L 헤드쪽으로 순차적으로 스위칭 절환하여 R 또는 L 헤드의 영상 신호를 선택 출력하며, 재생 등화기(4)는 이 영상 신호의 지역 주파수 부분의 진폭 특성을 보상하여 출력하며, FM 자동 이득 조정 회로부(5)는 일정해야 할 동기 신호의 진폭을 기준 전압 레벨과 비교하므로써 영상 신호의 이득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출력하며, 재생 신호에는 테이프 변조, 또는 노이즈 등의 진폭 변동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리미터(Limiter)는 이것을 제거하고, 광대역에 걸쳐서 직선상이 좋은 FM 검파부(7)에 의해 FM 신호가 검파되고, FM 검파된 신호가 저역 통과 필터부(Low Pass Filter)(8)를 통과하면 반송파 성분을 제거한 영상 신호 성분이 얻어지게 된다.
또 레코딩시 프리엠퍼시스(Preemphasis) 회로(도시되지 않음)에서 강조한 고역 주파수 부분은 디엠퍼시스부(Deemphasis)(9)를 통하여 감쇄되어 원래 신호로 복귀되며, 출력 드라이브 증폭기(10)는 디엠퍼시스부(9)의 출력을 증폭하여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한 과정을 통한 비디오 테이프의 영상 신호의 재생시, 갑자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와 같은 현상의 원인으로서는 헤드에 이물질이 낀 경우, 테이프에 신호가 기록 되지 않는 경우 또는 VCR 세트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로 구분할 수 있으나, 종래의 VCR에서는 이러한 원인을 표시하여 주는 장치가 없어 사용자가 영상이 모니터상이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이유를 알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VCR이 재생 모드로 작동중에 재생되는 영상 신호가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때, 그 원인을 표시하여 주는 VCR 재생시 이상 상태 알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재생 영상 신호로부터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여 알려주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재생시 이상 상태 알림 장치에 있어서, 재생 신호중 소정 신호 대역을 피킹하여 증폭하는 피킹 증폭 수단; 피킹 증폭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평할, 반전하여 출력하는 제1평할 수단; 오디오/콘트롤 헤드의 콘트롤 신호 및 테이크 업릴(24)의 릴 펄스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서보 제어 수단; 서보 제어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콘트롤 신호를 평할하고, 평할된 전압 레벨에 따라 전원 전압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평할 수단; 제2평할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 되는 스위칭 수단; 스위칭 수단의 스위칭에 따라 릴 펄스에 동기되어 전원 전압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버퍼부와; 제1평할 수단의 출력 전압에 따라 제2평할 수단의 전원 전압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며, 버퍼부으로부터 인가되는 출력 전원 전압을 출력하는 제3평할 수단; 제3평할 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전압(+5V)에 따라 구동하여 VCR의 정상 구동 여부, 비디오 헤드의 이물질 오염 여부 및 재생중인 비디오 테이프의 영상 신호 기록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32)을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VCR 재생시 이상 상태 알림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비디오 신호를 리드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헤드(11), 제1도에 도시된 재생 등화기(4)와 FM 자동 이득 조정 회로부(5)의 기능과 동일한 재생 등화기(12), FM 자동 이득 조정 회로부(13), 재생 등화기(12)의 출력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 수단(18), 증폭 수단(18)을 통하여 증폭된 신호를 반전, 평할시키는 제1평할 수단(22)와, 오디오 신호 및 콘트롤 신호를 재생하는 오디오/콘트롤 헤드(Audio/Control Head)(23), VCR 의 재생 모드시에 테이프를 주행시키기 위하여 회전시에 발생하는 릴 펄스를 발생하는 테이크 업(Take-up) 릴(Reel)(24), 오디오/콘트롤 헤드(23)에서 출력되는 콘트롤 펄스와 테이크 업 릴(24)에서 발생하는 릴 펄스를 출력하는 서보 제어 수단(25), 서보 제어 수단(25)에서 출력되는 콘트롤 펄스 신호를 평할하고, 이 평할된 전압에 따라 전원 전압(+5V)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평할 수단(28), 제2평할 수단(28)에서 출력되는 전원 전압(+5V)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되어 전원 전압(+5V)을 제공하는 스위칭 수단(29), 스위칭부 수단(29)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상기 전원 전압(+5V)을 릴 펄스에 동기되어 출력하는 버퍼부(34)와, 제1평할 수단(22)의 출력 전압에 따라 제2평할 수단(28)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원 전압을 표시 수단(32)에 인가하며, 상기 버퍼부(34)의 출력 전원 전압(+5V)을 상기 표시 수단(32)에 제공하는 제3평할 수단(33)과, 제3평할 수단(33)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원 전압에 따라 구동하므로써 VCR의 정상 구동 여부, 비디오 헤드(R, L)의 이물질 오염 여부 및 재생중인 비디오 테이프의 영상 신호 기록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32)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동작 설명은 다음과 같다.
재생 등화기(12)는 비디오 헤드(11)에 의해서 독취되어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중 저역 주파수 부분의 진폭 특성을 보상하여 출력한다.
이때, 증폭 수단(18)은 재생 등화기(12)에서 출력되는 신호중 FM 신호가 가장 많이 집중된 3㎒ ~5㎒ 대역을 피킹(Peaking)하여 증폭하는 피킹 증폭기(14)와, 상기 증폭된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는 버퍼(15)와, 버퍼(15)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FM 동기 주파수를 피킹하여 증폭하는 피킹 증폭기(16)와, 상기 증폭된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는 버퍼(17)로 구성되며, 버퍼(17)의 출력 신호를 제1평할 수단(22)으로 제공한다.
제1평할 수단(22)은 증폭 수단(18)의 버퍼(17)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직류 성분의 신호로 만들어 주는 평할 회로(19)와, 상기 평할 회로(19)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반전시키는 반전 회로(20)와, 반전 회로(2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평할하는 적분 회로(21)로 구성된다.
서보 제어 수단(25)은 오디오/콘트롤 헤드(23)에서 제공되는 콘트롤 신호와 테이크 업 릴(24)에서 발생하는 릴 펄스 신호를 후술하는 제2평할 수단(28) 및 버퍼부(34)로 3평할 수단(35)으로 제공한다.
즉, 제2평할 수단(28)은 적분 회로(26)와 버퍼/평할 회로(27)로 구성되어 서보 제어 수단(25)에서 제공되는 콘트롤 펄스 신호를 적분하여 직류 성분으로 평할하고, 이 직류 전압은 버퍼/평할 회로(27)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7)를 구동시켜 전원 전압(+5V)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스위칭 수단(29)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평할 수단(28)의 버퍼/평할 회로(27)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5V)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되며, 버퍼(34)는 스위칭 수단(29)이 턴오프 상태일때에 서보 제어 수단(25)에서 제공되는 릴 펄스 신호에 따라 전원 전압(+5V)을 제3평할 수단(35)에 인가하게 된다.
여기서, 제3평할 수단(35)는 제1평할 수단(22)의 출력 전압에 따라 제2평할 수단(28)의 전원 전압(+5V) 및 버퍼부(34)의 전원 전압(+5V)을 표시 수단(32)에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표시 수단(32)는 제3평할 수단(33)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VCR의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상세 회로도로서, 상기 재생 등화기(1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FM 신호가 가장 많이 집중된 3㎒ ~5㎒ 대역을 피킹하여 증폭하는 피킹 증폭기(14)는 3㎒ ~5㎒ 대역을 피킹하여 증폭하는 트랜지스터(Q1)와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 단자에 상기 트랜지스터(Q1)에서 3㎒ ~5㎒의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병렬로 저항(R4),(R6)과, 콘덴서(C2)와, 코일(L1)을 통하여 접지되도록 구성되고, 버퍼(15)는 상기 피킹 증폭기(1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버퍼용 트랜지스터(Q2)를 구비하고, 피킹 증폭기(16)는 상기 버퍼(15)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FM 동기 주파수를 피킹하여 증폭하는 트랜지스터(Q3)와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 단자에 FM 동기 주파수 피킹을 위한 콘덴서(C4)와 코일(L2)로 구성되고, 버퍼(17)는 상기 피킹 증폭된 신호를 증폭하는 버퍼용 트랜지스터(Q4)와 바이어스 저항(R13),(R14)로 구성된다.
또한, 평할 회로(19)는 상기 증폭 수단(18)의 상기 버퍼(17)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성분을 직류 성분의 신호로 만들어 주는 평할용 저항(R15)과 콘덴서(C6)로 구성되고, 반전 회로(20)는 상기 평할 회로(1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반전 증폭하는 저항이 내장된 트랜지스터(Q5)와, 상기 트랜지스터(Q5)의 컬렉터에 저항(R18)을 통하여 구동 전원 전압을 제공하고, 적분 회로(21)는 상기 반전 회로(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평할하는 저항(R16)과 콘덴서(C7),(C8)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2평할 수단(28)의 적분 회로(26)는 서보 제어 수단(25)에서 제공되는 트랙킹 가변을 위한 콘트롤 펄스 신호를 적분하므로써 직류화하는 소정의 저항(R21),(R22),(R17)과 콘덴서(C10),(C11)로 구성되고, 버퍼/평할 회로(27)는 상기 적분 회로(26)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압에 따라 구동하여 전원 전압(+5V)을 출력하는 증폭용 트랜지스터(Q7)와, 상기 트랜지스터(Q7)의 에미터 단자에 병렬로 저항(R23)과 콘덴서(C12)로 구성된다.
저항이 내장된 트랜지스터(Q9)를 구비한 스위칭 수단(29)은 상기 버퍼/평할 회로(27)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5V)에 따라 스위칭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버퍼/평할 회로(27)에서 전원 전압(+5V)이 인가되면, 턴온되어 전원 전압(+5V)을 접지에 인가하나 버퍼/평할 회로(27)에서 로우 레벨이 인가되면 턴오프된다.
또한, 버퍼부(34)는 트랜지스터(Q9)에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8)로 구성되어 있으며, 트랜지스터(Q8)는 릴 펄스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구동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때, 트랜지스터(Q8)는 트랜지스터(Q9)가 오프되어야 턴온됨은 도시된 회로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제3평할 수단(35)의 버퍼(34)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6)을 구비하고, 트랜지스터(Q6)는 제1평할 수단(22)으로부터 하이레벨의 전압이 인가될 때에 상기 제2평할 수단(28)의 전원 전압(+5V)을 표시 수단(32)에 인가하는 한편, 버퍼부(34)로부터의 전원 전압(+5V)을 표시 수단(32)에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표시 수단(32)는 상기 버퍼/평할 회로(33)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전압(+5V)에 따라 VCR 재생시 헤드의 이물질과, 테이프 무신호와, VCR의 이상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며, 피에조(Piezo) 압전 소자(30)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라 함)(31)를 구비한다.
상술된 구성과 제4도 회로의 파형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증폭 수단(18)의 피킹 증폭기(14)는 상기 재생 등화기(1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중 FM 신호가 가장 많이 집중된 3㎒ ~5㎒ 대역을 피킹하여 입력이 400㎷p-p일 때 출력이 1.0Vp-p 되도록 트랜지스터(Q1)를 통하여 증폭하여 버퍼(15)로 출력하고(제4도의 A), 증폭용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에 연결된 버퍼용 트랜지스터(Q2)는 피킹 증폭기(14)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을 저장한다.
이 때, 버퍼(15)에 연결된 피킹 증폭기(16)는 증폭용 트랜지스터(Q3), 콘덴서(C4), 코일(L2)로 구성되어 상기 버퍼(15)로부터 1Vp-p의 FM파(제4도의 B)가 입력될 때 8.0Vp-p 의 FM파(제4도의 C)가 출력되도록 상기 1Vp-p 의 FM 파를 증폭한다. 이 증폭 신호를 트랜지스터(Q4)와 바이어스 저항(R13),(R14)으로 구성된 버퍼(17)에서 파형을 정형하고, 평할용 저항(R15)과 콘덴서(C6)로 구성된 평할 회로(19)를 거치면 완전한 직류 성분의 신호가 된다(약 5V).
그러나, 헤드의 이물질이 묻어있거나 기록된 신호가 없는 구간을 재생시에는 상기 재생 등화기(12)로부터 약 40mVp-p 정도의 노이즈 성분만 출력되어 나오므로 상기 버퍼(17)의 트랜지스터(Q4)의 출력은 제4도의 파형 D와 같이 0[V]가 된다. 또한, 두 헤드중 한쪽 헤드에만 이물질이 묻어 있으면, 이물질이 묻어있지 않은 쪽 헤드에서는 신호가 나오고, 이물질이 묻어있는 다른 쪽 헤드에서는 출력이 나오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일 경우 헤드에 이물질이 묻어 있는 쪽의 헤드에서는 30Hz의 구형파가 출력되고, PAL(Phase Alternation By Line) 방식인 경우, 헤드에 이물질이 묻어 있는 쪽의 헤드에서 제4도의 D와 같은 25Hz의 구형파가 출력된다. 이때, 제1평할 수단(22)의 평할 회로(19)는 상기 버퍼(17)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신호를 평할용 저항(R15)과 콘덴서(C6)를 통하여 직류 성분의 신호로 만들어주고, 상기 평할 회로(1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저항이 내장된 트랜지스터(Q5)와 상기 트랜지스터(Q5)의 컬렉터의 저항(R18)을 통하여 소정의 구동 전원 전압이 구성되는 반전 회로(20)에서 반전하여 적분 회로(21)로 제공한다. 따라서, 평할용 저항(R16)과 콘덴서(C7),(C8)로 구성되는 적분 회로(21)는 상기 두 헤드(L, R헤드)중 한쪽 헤드에만 이물질이 묻어 있을 때 발생하는 구형파를 평할하고, 두 헤드 모두 이물질이 묻어 있을 때와 같이 H 신호를 만들며, 제4도 파형 F와 같이 헤드에 이물질 및 무신호 테이프 재생시에는 약 4.0[V] 정도의 H 전압을 걸리게 하며, 신호가 정상적일 때는 0[V]가 공급되게 한다.
한편, 상기 서보 제어부(25)는 오디오/콘트롤 헤드(23)로부터 제공되는 컨트롤 펄스 신호를 제4도 파형 G와 같이 생성하여 제2평할 수단(28)의 적분 회로(26)로 제공하면, 저항(R21),(R22),(R17)과 콘덴서(C10),(C11)로 구성된 적분 회로(26)에서 상기 서보 제어부(25)의 출력되는 콘트롤 펄스를 적분하게 된다.
즉, 정상시와 헤드에 이물질이 묻어 있을 때에는 콘트롤 신호가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적분 회로(26)의 출력에 H 전압이 걸리고, 무신호 구간 재생시에는 콘트롤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상기 적분 회로(26)의 출력이 L 이 된다. 그리고, 이 신호는 트랜지스터(Q7)와 저항(R23)과 콘덴서(C12)로 구성되는 버퍼/평할 회로(27)에서 직류 성분의 전원 전압(+5V)을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즉 적분 회로(26)의 출력이 하이레벨일 때에 트랜지스터(Q7)를 구동시켜 전원 전압(+5V)을 출력하고, 이 전원 전압(+5V)은 콘덴서(C12)를 거치면 제4도 파형 H와 같이 리플(Ripple)이 제거된다. 따라서, 정상시와 헤드에 이물질이 묻어 있을 때는 제4도에서와 같이 파형 H는 H 레벨이 된다. 또한, 버퍼부(34)는 릴 펄스에 동기되어 트랜지스터(Q9)가 오프상태일 때에 전원 전압(+5V)을 제3평할 수단(35)에 인가한다.
이때, 상기 버퍼/평할 회로부(33)의 버퍼용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단자에는 상기 제1평할 수단(22)의 적분 회로(21)의 출력 신호가 제공되는 바, 예컨대, 신호가 정상적일 때에는 적분 회로(21)에서 L 전압이 출력되므로(제4도의 F), 상기 트랜지스터(Q6)는 턴오프가 되고, 이에 따라, 표시 수단(32)의 피에조 압전 소자(30)와 LED(31)는 오프 상태가 된다.
그러나, 헤드에 이물질이 끼워 있을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평할 수단(22)의 적분 회로(21)에서는 H 전압을 출력하게 되므로(제4도의 F) 상기 버퍼/평할 회로(33)의 트랜지스터(Q6)가 턴 온되어, 표시 수단(32)의 LED(31) 또는 피에조 압전 소자(30)도, 온이 된다.
따라서, LED(31)는 연속적으로 빛을 내고, 피에조 압전 소자(30)는 연속적인 소리를 내게 된다. 그리고, 기록된 신호가 없는 테이프 재생시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 H는 L 전압, 파형 F는 H 전압이 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6)는 오프되지만 파형 H가 L 전압이므로 트랜지스터(Q9)가 오프된다. 따라서, 상기 버퍼(34)의 트랜지스터(Q8)의 컬렉터에는 H 전압이 걸리게 되고 베이스 단자에는 서보 제어 수단(25)에서 생성한 제4도의 I와 같은 릴 펄스(Reel Pulse)가 인가되므로 상기 트랜지스터(Q8)는 릴 펄스가 H 일때만 턴온되어 상기 LED(31) 또는 피에조 압전 소자(30)에 릴 펄스가 공급되므로 LED(31)라면 0.2초 간격으로 점멸되고, 피에조 압전 소자(30)라면 0.2초 간격으로 파음이 들리게 된다. 물론, 정상시에는 상기 트랜지스터(Q9)에 H 전압이 인가되므로 턴온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8)는 턴 오프되므로 릴 펄스는 공급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VCR 재생시 이상 상태 알림 장치는, 헤드에 이물질이 묻어 있을 때에는 표시 수단(32)인 LED(31)가 온(피에조 압전소자(30)라면 연속적인 소리가 남)되고, 테이프에 기록된 신호가 없을 때에는 LED(31)는 점멸(피에조 압전소자(30)라면 파음으로 소리가 남)되고, 정상 상태일 때는 LED(31)가 오프 상태(피에조 압전소자(30)라면 소리가 나지 않음)가 된다. 그리고 LED(30)가 오프 상태인데도 화면이 나오지 않을 때는 VCR의 다른 부분에 고장이 생긴 것을 알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매우 편리하고 유용하게 VCR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재생 영상 신호로부터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여 알려주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재생시 이상 상태 알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생 신호중 소정 신호 대역을 피킹하여 증폭하는 피킹 증폭 수단(18); 상기 피킹 증폭 수단(18)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평할, 반전하여 출력하는 제1평할 수단(22); 오디오/콘트롤 헤드(23)의 콘트롤 신호 및 테이크 업 릴(24)의 릴 펄스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서보 제어 수단(25); 상기 서보 제어 수단(25)으로부터 출력되는 콘트롤 신호를 평활하고, 평활된 전압 레벨에 따라 전원 전압(+5V)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평할 수단(28); 상기 제2평할 수단(28)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 되는 스위칭 수단(29); 상기 스위칭 수단(29)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릴 펄스에 동기되어 상기 전원 전압(+5V)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버퍼부(34)와; 상기 제1평할 수단(22)의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제2평할 수단(28)의 전원 전압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며 상기 버퍼부(34)으로부터 인가되는 출력 전원 전압(+5V)을 출력하는 제3평활 수단(35); 상기 제3평활 수단(35)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전압(+5V)에 따라 구동 하여 VCR의 정상 구동 여부, 비디오 헤드(R, L)의 이물질 오염 여부 및 재생중인 비디오 테이프의 영상 신호 기록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32)을 구비하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재생시 이상 상태 알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킹 증폭 수단(18)은, 상기 재생 신호중 3㎒~5㎒의 FM 신호 대역을 피킹하여 증폭하는 제1피킹 증폭기(14); 상기 제1피킹 증폭기(14)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버퍼링하는 제1버퍼(15); 상기 제1버퍼(15)으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출력값으로 증폭시키기 위해 FM 동기 주파수 3.4㎒ 대역을 피킹하여 증폭하는 제2피킹 증폭기(16); 상기 제2피킹 증폭기(16)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버퍼링하는 제2버퍼(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재생시 이상 상태 알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평할 수단(22)는, 상기 피킹 증폭 수단(18)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평할시키는 평할 회로(19); 상기 평할 회로(1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반전하는 반전 회로(20); 상기 반전 회로(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적분하는 적분 회로(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재생시 이상 상태 알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평할 수단(28)은, 상기 서보 제어 수단(25)으로부터 출력되는 콘트롤 신호를 적분하는 적분 회로(26); 상기 적분 회로(26)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전원 전압(+5V)을 평할하여 출력하는 버퍼/평할 회로(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재생시 이상 상태 알림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킹 증폭기(14)는, 상기 재생 신호중 3㎒ ~5㎒의 FM 신호 대역을 피킹하여 증폭하는 트랜지스터(Q1)와; 상기 트랜지스터(Q1)를 바이어스하기 위해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 단자에 병렬로 소정의 저항(R4),(R6), 소정의 콘덴서(C2) 및 소정의 코일(L1)을 통하여 접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재생시 이상 상태 알림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피킹 증폭기(16)는, 상기 제1버퍼(15)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의 FM 동기 주파수를 피킹하여 증폭하는 트랜지스터(Q3)와,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 단자에 임피던스 매칭을 해 소정의 콘덴서(C4)와 소정의 코일(L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재생시 이상 상태 알림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 회로(20)는, 상기 평할 회로(1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반전하는 소정의 저항이 내장된 소정의 트랜지스터(Q5)를 포함하되, 상기 트랜지스터(Q5)의 컬렉터에 소정의 저항(R18)을 통하여 소정의 구동 전원 전압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재생시 이상 상태 알림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32)은, 상기 제3평할 회로(35)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VCR 재생시 헤드의 이물질과 테이프 무신호와 VCR의 이상여부를 표시하는 피에조(Piezo) 압전소자(30)와 LED(3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재생시 이상 상태 알림 장치.
KR1019920021374A 1992-11-13 1992-11-13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재생시 이상 상태 알림 장치 KR0131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1374A KR0131581B1 (ko) 1992-11-13 1992-11-13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재생시 이상 상태 알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1374A KR0131581B1 (ko) 1992-11-13 1992-11-13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재생시 이상 상태 알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300A KR940012300A (ko) 1994-06-23
KR0131581B1 true KR0131581B1 (ko) 1998-04-18

Family

ID=19343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1374A KR0131581B1 (ko) 1992-11-13 1992-11-13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재생시 이상 상태 알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58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300A (ko) 199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1581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재생시 이상 상태 알림 장치
JPH035019Y2 (ko)
KR950002653B1 (ko) 영상신호 기록장치
US4184178A (en) Drop-out compensator for sound reproducing apparatus during tape reversal
KR920008251Y1 (ko) 캠코더의 오디오 녹음 모니터회로
JPH0538424Y2 (ko)
JPH0463594B2 (ko)
KR950008489Y1 (ko) 팔/엔티에스씨(pal/ntsc)겸용 음성등화회로
US6185361B1 (en) Informatio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detecting both dropout of information signals and absence thereof
JPH0447798Y2 (ko)
KR0159411B1 (ko) 녹화 재생기의 저역 통과 필터
JPS5810202Y2 (ja) 記録再生装置
JP2702250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100270253B1 (ko) 비디오 테이프 재생 장치
KR930004922Y1 (ko) Vtr의 정지화면 구동회로
KR910003569Y1 (ko) Vtr의 재생신호 판별회로
JP2694038B2 (ja) ビデオ信号再生回路
JPH0426964Y2 (ko)
KR870001477Y1 (ko) 비데오 신호의 연속 보정회로
EP0598496B1 (en) Frequency drop-out compensation
KR950011523B1 (ko)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신호 판별 및 재생회로
KR910003396Y1 (ko) 비데오 테이프의 재생 금지 장치
KR910006342Y1 (ko) Vtr의 오토 트랙킹회로
KR0133660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제로 크로싱 에러 보정 장치
KR910004722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음성헤드 스위칭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