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213Y1 - 휴대용 소형기기의 벨트클립 - Google Patents

휴대용 소형기기의 벨트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213Y1
KR920008213Y1 KR2019900017328U KR900017328U KR920008213Y1 KR 920008213 Y1 KR920008213 Y1 KR 920008213Y1 KR 2019900017328 U KR2019900017328 U KR 2019900017328U KR 900017328 U KR900017328 U KR 900017328U KR 920008213 Y1 KR920008213 Y1 KR 9200082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lip
belt
main body
shaf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7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0831U (ko
Inventor
송봉수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7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213Y1/ko
Publication of KR9200108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8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2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2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9Other details of the casing, e.g. wall structure, passage for a connector, a cable, a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휴대용 소형기기의 벨트클립
제1도의 (a)는 종래의 소형기기에 일체로 벨트클립을 형성한 상태도, (b)는 종래의 소형기기에 결합시키는 벨트클립에 대한 상태도.
제2도 (a)(b)는 본 고안에 대한 클립의 정면 및 A-A선 단면도.
제3도 (a)는 본 고안에 대한 클립을 기기의 결합구에 설치하기 전 상태도, (b)는 본 고안에 대한 클립을 기기의 결합구에 설치한 상태도, (c)는 제3도(b)에 대한 부분 정면도, (d)는 본체의 후면이 돌출되지 않게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기기 본체 22 : 벨트클립
25 : 이동홈 26 : 걸림공
28 : 가이드대 29 : 버튼공
31 : 푸쉬버튼 32A : 큰직경축
32B : 작은 직경축
본 고안은 휴대 가능한 기기 즉, 휴대용 카세트 플레이기 또는 휴대용 카세트 레코오드 및 휴대용 무선전화기, 무선호출기 무전기 등을 벨트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벨트클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기본체와 벨트클립의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휴대용 소형기기의 벨트클립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벨트클립은 제1도 (a)에 도시한 것과같이 벨트에 끼워져 걸릴 수 있는 벨트홍(3)과 걸림턱 (4)를 갖추어서 된 벨트클립 (2)을 기기본체(1)의 배면에서 일체로 형성시킨 구성과 제1도 (b)와 같이 별도로 벨트클립 (12)을 형성하여 기기본체 (11)에 부착시키고자 할 때에는, 우선 기기본체 배면에 형성된 나사공(16)에 벨트클립 (12)에 끼워진 스크류(15)를 손가락이나 그 밖의 도구로 사용하여 나사식으로 체결시킴에 의해 벨트클립(12)이 기기본체 (11)의 배면에 부각되었다.
이후에 사용자는 휴대용 기기(1)(11)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벨트에 걸쇠들 상태로 휴대하기를 원할때에는 벨트클립 (2)과 기기본체(1)(11) 사이의 벨트홈(3)(13)을 벌려 도시하지 않은 벨트에 끼워 주었다.
상기의 착용상태로 휴대하던 기기본체(1)(11)의 벨트클립 (2)(12)중 걸림턱 (4)(14)을 당겨 벨트에서 벗겨지게 한 후 기기본체(1)(11)를 삽입하던 방향과는 반대방향 당겨올리면, 벨트홈(3)(13)이 벨트에서 빠지게 되어 기기본체 (1)(11)는 벨트에서 분리되었다.
그리고, 제1도 (a)의 경우 벨트클립 (12)을 기기본체 (11)에서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최초에 벨트클립의 부착작업시 조여 주었던 스크류(15)를 풀어내면 기기본체와 벨트클립이 분리되었다.
제1도 (a)와 (b)의 벨트클립에 의해서 휴대용 기기들을 손에 휴대하다가 때에 따라서는 허리의 벨트에 걸어 둔 상태로 휴대할 수 있다. 그러나 벨트클립을 기기본체에 형성함에 있어서, 제1도 (b)와 같은 구성에서 스크류 조임 작업을 해야만 벨트클립이 기기본체에 부착되는 것이므로, 사용상태의 불합리한 조작에 의해 스크류 혹은 기기본체의 나사공에 형성된 나사산이 망그러질 경우 나사조임 상태를 이룰수가 없어서, 벨트클립의 기기본체에 부착하는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제1도 (a)와 같은 구성에서는 스크류 조임 작업은 필요없으나 벨트클립이 기기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벨트클립이 뿌러질 경우, 이때에 벨트클립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부러진 경우 외관의 모양도 좋지 않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벨트클립이 스크류 조임 작업없이도, 벨트클립이 기기본체와 결합, 분리되는 것이 요구되었고, 또 그 결합, 분리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요구되었다.
또한 벨트클립을 기기본체에서 분리시킨 상태에서는 벨트 클립용 결합구조가 기기본체의 배면의 면적을 적게 차지함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격은. 벨트 클립과 기기본체와의 결합 분리가 스크류 조임 작업이 아닌 푸쉬슬라이딩(pash sliding) 작업으로 이루어지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벨트클립이 기기본체에 간단하게 결합, 분리되고 벨트클립이 기기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그 결합상태가 매우 안정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기본체의 배면에서 누를 수 있는 버튼의 일부가 돌출되어 있도록 하는 구성과, 그 버턴이 눌려질 때 벨트클립을 기기본체에 삽입함과 빼내는 것이 가능하고, 버튼을 놓올때 벨트클립이 기기본체에 결합되는 구성이 버튼과 벨트클립에 형성되어야 한다.
또 눌려지는 버튼은 기기본체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하는 구성과 눌려진 후 최초의 원상태로 되돌아 갈수 있는 탄성을 보유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 및 특징은 후술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도면 및 등록 청구의 범위로 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소청기기 본체(21)의 배면에 설치된 조작구(20)에서 벨트클립 (22)이 결합되고, 분리되도록 구성한 것에 있어서, 조작구(20)는 푸쉬버튼(31)과 코일스프링 (33) 그리고 스프링 고정판(34) 및 기기본체의 배면에서 돌출시켜 삽입흠(30)과 버튼공(29)을 교차하게 갖는 가이드대(28)로 구성된다.
상기의 푸쉬버튼(31)은 직경의 크기가 각기 다른 두개의 축(32A)(32B)을 일체로 형성하여 계단형의 형상을 갖는다.
직경이 각기 다른 축(32A)(32B) 중 작은 직경(d)의 축(32B)은 벨트를립에 대해 삽입, 분리시에 벨트클립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고, 또 다른 큰 직경 (0)의 축(32A)은 벨트클립에 대해 결림시 록크기능율 교차하는 삽입홈과 버튼공 사이에서 수행하게 된다.
상기의 기기본체 (21) 배면에는 버튼공(29)을 축(32A)보다 큰 직경 (D')으로 똥고 가이드대 (28)에는, 큰 직경 (D')과 축(32A)보다 작은 진정 (d')을 공유하도록 뚫어 작은구멍 (d')이 가이드대(28)'의 장면에 노출되게 뚫는다.
상기와 같이 기기본체 배면에 뚫은 버튼공(29)으로 푸쉬버튼(31)과 압축코일 스프링 (33)을 삽입하면 푸러버튼(31)의 작은직경(d)으로 된 축(328)이 가이드대(28)의 작은구멍 (d')에 끼워져 선단이 본체와 외부로 노출되면서, 큰 직경(D)의 축(32A)의 선단둘레가 가이드대(28)의 내면에 닿아 걸리게 된다.
상기의 버튼공(29)에 압축 코일 스프링 (33)을 삽입한 뒤에는, 스프링 고정판(34)을 버튼공(29) 축선에 대해 수직하게 삽입하여 끼워두면 압축코일 스프링 (33)의 탄력을 푸쉬버튼(31)에 탄성력을 지속적으로 가하게 된다.
따라서, 푸쉬버튼(31)의 작은직경 (d)의 축(32B)은 항상 탄성력을 받는 상태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기기본체 (21)의 배면과 가이드대(28) 사이에는 벨트클립 (22)을 끼워주기 위한 삽입홈(30)이 형성되어 있어 이곳을 통해 벨트클립의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홈(30)을 출입하는 벨트클립 (22)의 삽입부 선단에는 푸취버튼(31)의 작은직경(d)에 대해 저항없이 출입될 수 있는 폭(d')으로 절개하여서 된 이동홈(25)을 형성하고, 이동공(25)의 끝에는 푸쉬버튼(31)의 큰직경 (D) 저항없이 삽입될 수 있는 폭(D")으로 걸이공(26)을 틀어 형성하며, 그 뒤에는 기기본체의 삽입홈(30)이 갖는 폭의 양면에 접촉 상태로 끼워지는 크기로 절곡한 지지편(27)을 형성하고, 그 아래 끝단에 벨트로의 삽입을 유연하게 하기 위한 삽입유도부(24)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벨트클립에 대한 결합분리 상태를 설명하면 벨트클립 (22)의 삽입부를 기기본체 (21)의 삽입홈(30)으로 삽입하게 되면 삽입부의 이동흠(25)을 입구가 푸쉬버튼(31)의 굵은직경 (D)의 축(32A)에 닿게 되나, 이동공의 폭(d")이 금은직경 (D) 보다 작아서 삽입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벨트클립 (22)을 기기본체에의 삽입홈(30)으로 상이함과 동시에 푸쉬버튼(31)의 작은직경(d') 축(32B)을 눌러준다.
푸쉬버튼(31)이 눌리면 작은직경 (d)의 축(32B)은 삽입홈(30)위치에 도달하므로, 작은직경 (d)보다 큰 폭(d')으로 된 이동홈(25)은 작은직경의 축(32B)에 끼위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곧이어 큰폭(D')으로 된 걸림홈(26)이 작은직경 (d)의 축(32B)위치에 이르게 된다.
이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푸쉬버튼(31)에서 손가락을 떼어낸다.
따라서 지금까지 압축되어 있던 압축코일 스프링 (33) 압측 탄성력이 복원되므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푸쉬버튼(31)을 밀어낸다.
압축코일 스프링 (33)에 의해 밀리는 푸쉬버튼(31)은 굵은직경 (D)의 축(32A)이 벨트클립 (22)의 걸림공(26)을 통과하여 작은직경 (d)의 측(32B)이 가이드대 (28)의 작은공(d')에 끼워져 큰 직경 (D')의 축(32A)이 작은 구멍 (d') 내면에 닿아 정지할 때 벨트클립 (22)은 기기본체 (21)와 결합된다.
이는 벨트클립 (22)에 들린 걸림공(26)에 큰 직경의 축(32A)이 끼워져서 바질 수 없기 때문이다.
벨트클립 (22)의 이러한 기기본체와의 결합으로 사용자는 허리에 착용된 벨트에 기기본체를 휴대하고 다닐수 있으며 기기본체 (21)에서 벨트클립 (22)을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는 푸쉬버톤(31)의 작은직경 (d)의 축(32B)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벨트클립 (22)이 기기본체(21)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푸쉬버튼(31)을 누르면 작은 직경의 축(32B)이 벨트클립 (22)의 큰 직경 (D')에 위치하게 되므로 벨트클립 (22)은 이들의 직경차이로 인해 흔들릴 수 있고, 따라서 잡아당겨짐도 가능하다. 벨트클립(22)이 당겨지면 이동홈(25)의 폭(d')이 작은직경 (d)의 폭(32B)보다 크므로 벨트클립 (22)은 기기본체(21)의 삽입홈(30)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은 벨트클립 (22)을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하여 삽입홈(30)이 기기본체(21)의 뒷면과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어 가이드대 (28)가 돌출된 구성을 이루지만 기기본체(21)를 형성함에 따라서는 제3도(d)와 같이 삽입홈(30)를 굴곡시켜 가이드대(28) 부분을 삭제할 수도 있다.
기기본체 (21)의 뒷면에서 가이드대(28)가 튀어나오지 않게 되면 제품의 디자인과 취급하는 상태를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에 의해 벨트클립 (22)은 사용자 허리에 착용된 벨트에 용이하게 착용휴대 할 수 있고, 또 벨트클립과 기기본체와의 결합, 분리가 푸쉬버튼의 누름과 벨트 클립의 슬라이딩 만으로 이루어져 사용하기가 용이하고, 특히 그 구조가 간단해 조립과 제작하기에도 용이한 이점이 있으며, 고장이 발생될 원인 이 줄어들어 벨트클립의 기능이 상실될 염려가 전혀 없는 것이다.

Claims (1)

  1. 휴대용 소형기기 본체 (21)의 배면에서 벨트클립 (22)이 결합되거나 분리되도톡 구성한 것에 있어서, 벨트클립 (22)의 삽입부 선단을 삽입되는 방향으로 절개하여 이동홈(25)을 형성하면서 이동홈(25)에 이어서 걸림공(26)을 일체로 형성하고, 기기본체 (21)의 배면과, 기기본체의 배면에서 돌출시켜 형성된 가이드대(28) 사이에, 직경이 각기 다른 직경을 공유한 버튼공(29)과 삽입홈(30)을 직교한 구성으로 형성하고, 이동홈 통과용 작은직경 (d)의 축(32B)과 걸림공 통과용 큰 직경(D)의 축(32B)과 걸림공 통과용 큰 직경(D)의 축(32A)이 일체로 된 푸쉬버튼(31) 및 압축 코일스프링 (33)을 상기 버튼공(29)으로 끼워 코일스프링 고정판(3B)으로 이탈되지 않게 형성하여, 가이드대(28)의 외면에 튀어나온 푸쉬버튼(31)으로 기기본체 (21)와 벨트클립 (22)의 결합, 분리를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기기의 벨트클립.
KR2019900017328U 1990-11-12 1990-11-12 휴대용 소형기기의 벨트클립 KR9200082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7328U KR920008213Y1 (ko) 1990-11-12 1990-11-12 휴대용 소형기기의 벨트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7328U KR920008213Y1 (ko) 1990-11-12 1990-11-12 휴대용 소형기기의 벨트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831U KR920010831U (ko) 1992-06-17
KR920008213Y1 true KR920008213Y1 (ko) 1992-11-14

Family

ID=19305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7328U KR920008213Y1 (ko) 1990-11-12 1990-11-12 휴대용 소형기기의 벨트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2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831U (ko) 199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65544A (en) Locking device with combined wedging and spring action
EP1653120B1 (en) Holder and cord fastener
US6026585A (en) Structure for a tape measure
KR920008213Y1 (ko) 휴대용 소형기기의 벨트클립
JP3083998B2 (ja) 装身具の留め具及びその使用方法
JP4134093B2 (ja) ハンドベルトを備える携帯端末
JPH11207A (ja) 携帯品の落下防止具
JP2007301236A (ja) 装身具用留め具
KR200160973Y1 (ko) 도어부재의 버튼부 탄발장치
JP3413104B2 (ja) 針用糸通し器
JP2578176Y2 (ja) 衣服用ベルト
KR920003985Y1 (ko) 플라스틱제 버클
JPS6485Y2 (ko)
CN216889502U (zh) 一种清洗机的机壳及具有其的清洗机
KR970001704Y1 (ko) 의복벨트용 버클
KR970004697Y1 (ko) 걸고리가 제쳐지는 버클
KR930008190Y1 (ko) 페이저(pager)의 벨트클립 착탈장치
KR200160971Y1 (ko) 도어부재의 버튼부 탄성장치
EP0058798A1 (en) Belt buckle
JPH08224113A (ja) ベルト用のバックル
KR20000006260U (ko) 버클
KR910001255Y1 (ko) Vcr 전면판넬 고정장치
KR930008302Y1 (ko) 장신용 귀걸이 착용장치
KR880003987Y1 (ko) 밸트 고리장치
JP2578177Y2 (ja) バック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