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984B1 - 편직기의 원사 배열 및 공급용 회전드럼 - Google Patents

편직기의 원사 배열 및 공급용 회전드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984B1
KR920007984B1 KR1019900005078A KR900005078A KR920007984B1 KR 920007984 B1 KR920007984 B1 KR 920007984B1 KR 1019900005078 A KR1019900005078 A KR 1019900005078A KR 900005078 A KR900005078 A KR 900005078A KR 920007984 B1 KR920007984 B1 KR 920007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long
housing
cam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5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614A (ko
Inventor
엄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라딘무역
엄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라딘무역, 엄길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라딘무역
Priority to KR1019900005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984B1/ko
Publication of KR910018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2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직기의 원사 배열 및 공급용 회전드럼
제1도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드럼부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평면구성 상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요부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동작상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주에어 공급실린더부의 공압 공급계략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로드아암 회동 동작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드럼부에 실대롱이 장착되어짐을 도시한 상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직조부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드럼(Drum) 2 : 어퍼하우징(Upper housing)
3 : 센터하우징(Center housing) 4 : 로어하우징(Lower housing)
5 : 상부캠 6 : 하부캠
7, 7' : 실대롱수장홈 8 : 실대롱진입부
9 : 단차턱 10 : 캠샤프트
11 : 실대롱수납홈 13 : 로드아암(Rod arm)
14 : 치차부 18 : 제어모터(Stepping Motor)
19 : 캠고정보울 21 : 실대롱 저장레일
23, 23' : 피스톤로드홈 24 : 에어홀
25 : 실대롱 26 : 실대롱저장홈
27 : 주에어공급실린더 28 : 캠잠금실린더
29 : 실대롱방출실린더 30 : 실대롱공급실린더
35 : 샤프트홈 36, 36' : 실대롱가이드홈
37 : 스프링 38 : 캐리지(Carriage)
44 : 실정리장치
본 발명은 편직기의 일단에 회전드럼을 구성하여 직조과정의 효율을 도모한 것으로서 특히, 의류의 무늬 모양 직조에 요구되는 원사배열 및 공급을 모든 자동으로 처리하여 기존 편직기의 한정된 개념의 기능을 한차원 향상시킨 편직기의 원사배열 및 공급용 회전드럼에 관한 것이다.
현존하는 편직기의 일반적인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캐리지가 일정한 거리를 수평운동하면서 직조부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지적할 수 있다.
이는 캐리지를 안내하며 직조바늘을 다수개 배열한 플레이트와 조합되어 실을 바늘에 걸친후 캐리지를 이동시킴으로서 편직을 수행한다.
한편, 일정한 무늬 형상을 나타내는 편물을 직조하기 위해서는 편물의 형상과 색상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원사가 필요하며 준비된 원사를 적절한 시기에 공급하여야함은 물론 배열 또한 계획된 위치에 정확히 배열함으로서 요구하는 형상의 편물직조가 가능하나 색상의 선택과 공급 및 배열을 직접수작업에 의존하는 까닭에 직조작업시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고, 특히, 선택된 색상의 원사를 플레이트에 고정된 실바늘에 개별적으로 걸치는 행위는 작업자체에 대한 신뢰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수작업으로서 편물의 불량 발생율을 근절할 수 없다는 모순과 작업시간의 과다소비로 비능률과 비효율적인 측면이 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색상의 선택과 공급 및 배열을 컴퓨터조작에 의한 전자제어 방식으로 자동화된 것으로서 실대롱 수납레일에 장착되어 원사의 배열 및 공급, 선택을 자동적으로 처리하는 회전드럼을 핵심부분인 중추기능으로 채택하여 주변의 공압부픔과 의존적으로 콤비네이션을 이루면서 일정한 레일위를 이동하면서 편직을 시도하는 것으로 모든 동작은 요소요소에 배치된 실린더 및 공압부품들에 의한 에어의 입, 배출을 위조로 동작을 나타내며 이의 통제는 사전에 계획된 전자 제어에 의한 컨트롤로 구성되며 편물의 자동편직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면과 부호일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주요부분을 드럼부와 하우징으로 구분할 수 있고, 그밖에 상대되는 캠 및 공압부품들의 연결과 결합상태를 열거할 수 있다.
먼저, 드럼부를 살펴보면 드럼(1)은 중앙에 샤프트홈(35)을 수직으로 통공하여 실정리장치(44)를 장작한 하부캠(6)에서 돌출된 캠샤프트(10)가 관통하며, 상부에서 스프링(37)을 안착한 후 상부캠(5)과 고정볼트(33)로서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캠(5)은 실대롱가이드홈(36)(36')이 대칭으로 형성된 것 이외에 중심에 볼트홈 외주면으로 돌기삽입홈(32)이 형성되어 캠샤프트(10)은 돌기(31)와 맞물려 결합되며 드럼(1)보다는 중앙을 단차턱(9)으로 다소 확장된 외주면으로 형성하였고 상호 대향진 방향에 각각 절개된 홈으로 이루어진 실대롱 수장홈(7)(7')을 동일 형상으로 구성하였으며 상부 상단면에 보올(19)을 장착하였고 상부측면 둘레를 치차부(14)로서 형성하였다.
한편, 하우징부는 상·중·하로 분리 구성되는 것으로 각각 그 명칭으로 어퍼하우징(2)과 센터하우징(3) 및 로어하우징(4)으로 차례로 구분한 것으로 외부의 전체적인 형상은 유사하나 센터하우징(3)은 드럼(1)의 단차턱(9)외주면을 안내할 수 있는 크기의 원형홈을 형성하였으며 각각의 하우징은 실대롱진입부(8)와 실대롱수납홈(11)을 형성한 후 볼트홈(42)을 일치시켜 결합볼트(34)로서 결합하는 것으로 드럼(1)을 장착함과 동시에 기어샤프트(20)에서 돌설한 기어(15)를 드럼(1)의 치차부(14)와 맞물리도록 장착하며 어퍼하우징(2)과 센터하우징(3)에는 피스톤로드홈(23)(23')을 형성한다.
한편, 어퍼하우징을 관통한 기어샤프트(20)는 하우징의 상면으로 2개소 돌설되어 부시(22)를 삽입한 후 기어풀리(14')를 고정하며 측면으로 모터고정대(16)를 결합한 후 제어모터(18)을 장착하고 상면에 모터풀리(15)를 고정하여 기어풀리(14')와 타이밍 벨트(17)로서 연결하며 타측으로 로드아암플레이트(12)를 체결한 후 로드아암(13)을 구성하며 위치상 전면부에는 어퍼하우징(2)에 형성된 피스톤로드홈(23)을 중심으로 주에어공급실린더(27)을 장착하되 별도의 베이스를 구성하여 장착하며 센터하우징(3)에 통공된 피스톤 로드홈(23')에는 실대롱방출실린더(29)를 부착하였으며 이와는 독립적으로 캠잠금실린더(28)을 장착하였다.
한편, 전체적인 결합체로 이루어진 드럼하우징부가 장착될 수 있는 별도의 기계적 구성을 필요로하여 본 발명에서는 실대롱 저장홈(26)을 등간격으로 다수개 횡으로 형성한 레일을 구성한 것으로 실대롱 저장홈(26)을 제외한 전면의 돌출부 상단 중심부에 에어홀(24)을 통공하여 실대롱(25)을 장착할 수 있는 실대롱저장레일(21)로 형성하였으며 후면부에 실대롱 공급실린더(30)를 독립적으로 취부한 후 드럼하우징부와 실대롱 저장레일(21)이 맞닿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레일은 편직기의 몸체에 재치 부동적으로 고정하였고 드럼하우징은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수평을 이루면서 레일과 평행을 이루어 결합되나 여기서 고정수단은 드럼하우징을 수평으로 레일과의 접점을 유지하면서 좌우이동이 가능한 고정수단으로 구성하였다.
미설명부호 38은 캐리지이며 39는 니돌베드(Neddle Bad)이고 40은 바늘이며 41은 원사, 43은 실타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기술적 내용은 원사의 공급장치에 해당하며 이는 색상의 선택과 배열을 동시에 수행하는 기능을 보유한 회전드럼으로서 편직기의 핵심적인 부분에 해당하며 종래의 수동식 편직기의 기능에서 제외된 부분이 전술한 회전드럼부임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회전드럼부의 구동을 충족시키기 위해 다량의 공압부품(실린더)을 적용하였으며 이동과 회동에는 구동모터와 제어모터를 장착하여 모든 동작을 전자적으로 제어하고 있어 별도의 컨트롤부와 에어공급장치를 부가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즉, 필요한 색상을 선택한 후 편물의 어느 특정한 부위에 붉은색의 원사가 요구된다면 드럼하우징을 그 지점에서 정지시켜 드럼의 회전으로 요구하는 붉은색의 원사를 바늘에 공급한 후 다음 동작의 대기상태로 이동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종래의 경우 수작업으로 처리할 수밖에 없는 작업 부분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수작업을 대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회전드럼은 우선 일정한 거리를 수평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레일을 필요로 하며 실대롱 저장기능을 부여한 실대롱 저장레일(21)과 조합됨으로서 원사의 공급을 시도할 수 있고 또한 배열할 수 있는 역할이 주어진다.
먼저, 실대롱을 다수개 보유한 실대롱 저장레일(21)에서 실대롱(25)이 이탈되어 드럼(1)에 장입되는 동작을 살펴보면 제6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하우징에 장착된 주에어공급실린더(27)에 의한 실대롱 공급실린더(30)의 작동으로 실대롱이 드럼(1)의 실대롱 수장홈(7)에 공급됨을 파악할 수 있고, 여기서, 주에어공급실린더(27)에서 발생된 공압이 실대롱 저장레일(21)의 후면부에 배열된 실대롱 공급실린더(30)에 공압을 전달하는 과정은 한 개의 흡착노즐(주에어 공급실린더)로서 다수개의 실대롱 공급실린더를 작동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곧이어, 실대롱(25)을 장입한 드럼(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하우징의 실대롱수납홈(11)과 마주본 상태에 도달되면 드럼 상부와 저부에 캠샤프트(10)로서 결합된 캠(5)(6)이 회전하여 실대롱을 최초드럼에 장입된 지점에서 외부로 방출하는 바, 방출되는 동작원리는 측면에서 공압이 공급되는 로드 아암플레이트(12)에 장착된 로드아암(13)이 상부캠(5)의 실대롱 가이드홈(36) 일측에 회동력을 가함으로서 실대롱은 하우징의 실대롱 수납홈(11)으로 이동하고 타측 실대롱 수장홈(7)에 위치했던 실대롱은 레일의 최초지점으로 귀환하는 것으로(단, 실대롱을 이동시킨 로드아암은 드럼이 정지된 상태에서 캠을 복귀시킴) 이는 레일의 실대롱저장홈(26)에서 드럼으로 공급되었던 최초지점으로 귀환되는 것이다.(이때 드럼은 정지된 상태임)
여기서 드럼하우징의 위치변화를 살펴보면, 실대롱이 드럼부에 공급되는 순간부터 캠의 회전으로 실대롱이 레일의 최초지점으로 귀환됨과 하우징의 실대롱수납홈(7)에 이동되는 시점까지 드럼하우징은 정지된 상태이며 한 개의 실대롱이 레일로 귀환하고 하우징의 실대롱수납홈(11)에 도달한 후 드럼하우징을 우측으로 이동하여 이와 같은 연속적인 동작을 나타내려는 대기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와 같은 드럼하우징과 드럼부의 위치변화와 회동은 실대롱 저장레일(21)에서 실대롱을 공급하고 드럼에 장입하는 과정으로서 한 개의 실대롱 이동경로를 파악하면 알 수 있다.
즉, 레일의 실대롱 저장홈(26)에서 실대롱이 공급되면 하우징의 실대롱진입부(8)을 통과하여 드럼의 실대롱 수장홈(7)에 도달된다. 이어서 드럼의 회전으로 하우징의 실대롱수납홈과 마주본 상태에 이르러 드럼이 멈춰지면 캠이 회동 하우징의 실대롱수납홈(11)으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실대롱 방출실린더에 의해 드럼의 실대롱 수장홈(7)에 장착되면 멈춰졌던 드럼이 회전하여 최초드럼에 진입했던 지점에 이르러 캠의 회동으로 레일로 귀환하는 것으로(제7도 참조) 캠잠금실린더는 캠(5)의 오버워크를 방지하기 위한 실린더이고 드럼표면에 돌출된 캠고정 보올(19)과 스프링(37)은 상부캠(5)의 선접촉 마모를 방지하고 캠의 정위치 회동을 도모하도록 한 것으로 캠고정보올은 상부캠 저면에 형성된 보올홈과 밀착되어 정확한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요소중 제어모터는 회전력이 기어(15)를 통하여 드럼(1)에 형성된 치차부(14)에 전달되어 드럼이 회동하는 것으로 연속적인 회동이 아닌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레일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면서 작동하며 로드아암(13) 및 캠잠금실린더(28)와 주에어공급실린더(27) 그리고 실대롱방출실린더(29)는 동일하게 외부 콤프레서의 공압으로 작동되는 공압부품들으로서 이는 모두 전자제어방식 및 센서기능으로 순간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것이며 드럼하우징이 레일을 따라 수평이동이 가능한 까닭은 앞서 설명한 별도의 고정수단에 결착되어 이동이 가능한 바 구동모터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진다.
다음은 실대롱(25)과 원사(41)와의 위치관계 및 실대롱의 기능적인 측면을 살펴보고 원사가 레일의 실대롱에 적용되는 이유를 요약하면, 우선 실대롱은 원사를 니들베드(39)상의 바늘(40)에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컬러를 선택한 후 실대롱에 원사를 끼우는 것으로 실대롱이 드럼을 통하여 이동하면서 바늘에 원사가 걸치는 효과를 나타내어 수작업시 손으로 바늘에 꿰어 원사를 배열하는 작업과 동일하다.(제8도 참조)
이때 하부캠(6)에 결착된 실정리 장치(44)는 실대롱이 드럼으로 전후진하면서 실대롱 끝단에 걸려오는 원사를 반추형의 회전운동으로 벗겨주는 장치로서 회동의 상·하부캠과 동일한 회전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편물에 요구되는 다양한 원사의 색상을 실대롱에 끼워 넣은 후 실대롱을 필요한 시기에 드럼으로 이동시켜 수작업을 대체할 수 있는 기능이 부여되는 것으로 드럼을 통하여 니들베드(39)상의 고정된 바늘(40)에 원사의 색상을 선정하여 배열을 완료하면 캐리지(38)을 이동시켜 편직을 시도하는 것이다.
또한, 한정된 레일을 드럼하우징이 이동한다는 것은 바늘(40)에 원사를 걸치는 동작상태를 의미하고 일단정방향(우측)으로 이동시 드럼은 시계방향의 회전으로 원사가 연속적으로 꼬이는 형상이 나타나고 레일 끝부분에 도달되면 드럼의 역회전하여 좌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꼬였던 원사를 실대롱을 통하여 최초 상태로 레일에 나열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실대롱을 이동시켜 원사를 니들베드상에 걸치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시도하여 편직기에 획기적인 원사배열 및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종래의 수동식 편직기에서 이루지 못한 수작업부분을 회전드럼을 적용 전격적인 자동화로 대체하여 수작업과 동일한 조직의 편물을 기대할 수 있고 매우 신속한 동작으로 작업 능률을 극대화한 장치이다.

Claims (1)

  1. 중앙둘레에 단차턱(9)과 상부에 치차부(14)를 형성한 원형의 드럼(1)은 중심부에 샤프트홈(35)을 통공하고 2개소의 실대롱 수장홈(7)(7')을 형성하며 표면에 캠고정용 보올(19)을 돌출시킨 후 실정리 장치부(44)가 결착된 하부캠(6)의 캠샤프트(10)를 드럼중심의 관통하여 실대롱 가이드홈(36)(36')이 형성된 상부캠(5)과 결합함으로서 드럼부를 구성하고 드럼을 안내하는 하우징부는 각각 어퍼하우징(2)과 센터하우징(3) 및 로우하우징(4)으로 분리구성하되 외부전체적인 형상은 동일하며 각각의 하우징은 수평에서 직각방향으로 수직선상에 실대롱진입부(8)와 실대롱수납홈(11)이 형성되었고 피스톤로드홈(23)(23')을 통공한 어퍼하우징(2)과 센터하우징(3)은 접촉면 사이에 독립된 2개소의 기어(15)가 고정되어 기어풀리(14')를 외부로 돌설하였으며, 이와는 별도로 외부에서 주에어공급실린더(27)가 어파하우징의 피스톤로드홈(23)을 통과하고 실대롱 방출실린더(29)가 센터하우징의 피스톤 로드홈(23')을 관통하는 것으로서 캠잠금실린더(28)는 상부캠(5)의 일측과 접점을 이루며 로드아암(13)은 상부캠의 실대롱 가이드홈(36)에 연결되고,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실대롱저장홈(26)을 형성한 실대롱 저장레일(21)은 전면돌출부중 상단에 에어홀(24)을 통공하며 중심부는 실대롱공급실린더(30)를 개별적으로 장착하여서 된 것으로 드럼하우징과 결합되어 회전드럼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의 원사배열 및 공급용 회전드럼.
KR1019900005078A 1990-04-12 1990-04-12 편직기의 원사 배열 및 공급용 회전드럼 KR920007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5078A KR920007984B1 (ko) 1990-04-12 1990-04-12 편직기의 원사 배열 및 공급용 회전드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5078A KR920007984B1 (ko) 1990-04-12 1990-04-12 편직기의 원사 배열 및 공급용 회전드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614A KR910018614A (ko) 1991-11-30
KR920007984B1 true KR920007984B1 (ko) 1992-09-21

Family

ID=19297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5078A KR920007984B1 (ko) 1990-04-12 1990-04-12 편직기의 원사 배열 및 공급용 회전드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9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558B1 (ko) * 2007-09-21 2008-01-10 신동근 편직기용 원사빔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558B1 (ko) * 2007-09-21 2008-01-10 신동근 편직기용 원사빔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614A (ko) 199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03079B2 (ja) 織機等の制御
US2862468A (en) Ornamental stitch sewing machines
US4569297A (en) Needle bar detachable drive and stroke adjusting mechanism
KR920007984B1 (ko) 편직기의 원사 배열 및 공급용 회전드럼
JPH09140970A (ja) ミシン
US2884882A (en) Sewing machine with finger to control bobbin thread
KR101403225B1 (ko) 다양한 스티치들의 타입과 레이아웃 이용하여 직물을재봉하기 위한 다기능 재봉기
US4343251A (en) Sewing machine
EP0507558B1 (en) Full-rotation shuttle for sewing machine
KR101424287B1 (ko) 재봉틀 작동 중의 직물 공급을 위한 피이더
JPH09140971A (ja) ミシン
US6615757B2 (en) Over lock sewing machine
US3450078A (en) Looper carrier for sewing machine
JP3006841B2 (ja) 多本糸かがり縫い目を形成するためのかがり縫いミシン
JPH11244568A (ja) ボタン孔かがりミシン用の糸切断装置
JPS6142524Y2 (ko)
JP3833722B2 (ja) 扁平縫い兼用オーバーロックミシン
JPH0431718B2 (ko)
WO2003025273A1 (en) Device to change the color of the thread on quilting/embroidering machines, relative method and relative quilting/embroidering machine
CN220099325U (zh) 横机的针织物压片装置
CN220335455U (zh) 一种绗绣机窄体旋梭箱
KR100810544B1 (ko) 자동자수기용 실채기장치
KR200291260Y1 (ko) 양말직기의 사도판
US2935862A (en) Combined knitting and sewing machine
JP2004242972A (ja) 多針ミシン及びコンビネーション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19930416

Effective date: 1994072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9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