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877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877B1
KR920007877B1 KR1019920009754A KR920009754A KR920007877B1 KR 920007877 B1 KR920007877 B1 KR 920007877B1 KR 1019920009754 A KR1019920009754 A KR 1019920009754A KR 920009754 A KR920009754 A KR 920009754A KR 920007877 B1 KR920007877 B1 KR 920007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fiber membrane
hollow fiber
water
activated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9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하루 고다도
요시오 가나이
겐조 미까다
야스히로 쓰가모도
겐지 사루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다가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와다나베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0914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5118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다가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와다나베 가즈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1019920009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8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9Filter cartridge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수기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정수기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단면도.
제3도는 이 정수기에 사용되는 카트리지단체(單體)의 종단면도.
본원 발명은 가정의 수돗물 등의 음료수를 처리하는 정수기, 특히 물의 정화처리재로서 중공사막(中空絲膜)이 사용되어 있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정수기의 일예는 일본국 특개소 60(1985)-17918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 개시된 정수기는 보디에 카트리지를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하고, 카트리지의 하면에 통수(通水)입구 및 통수출구를 배설하고, 이 통수입구 및 통수출구에 연통하는 입구통로 및 출구통로를 보디에 배설하며, 카트리지내에 활성탄을 수납하고, 그 활성탄의 통수출구측에 필터를 배치하며, 그 필터의 오염상태를 외부로부터 관찰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 전체를 투명하게 한 것이다.
이러한 정수기는 활성탄과 필터에 의한 물의 처리로서 중공사막을 처리재로서 이용하는 것에 대하여는 배려되어 있지 않았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물의 정화처리재로서의 활성탄과 중공사막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콤팩트한 구조의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원 발명은 원수(原水) 입구통로(1d)와 정수(淨水)출구통로(1e)를 가지고, 수도꼭지 등에 장착 가능한 보디(1)와, 이 보디(1)에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물의 정화처리재를 내장하고 있는 원통형의 카트리지(5)를 구비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5)는 세로로 긴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카트리지(5)가 상기 보디(1)에 장착되는 측에 상기 원수입구통로(1d)에 접속되는 제1접속구(5a) 및 상기 정수출구통로(1e)에 접속되는 제2접속구(5b)를 가지고, 상기 제1접속구 (5a)로부터 상기 카트리지(5)내에 유입된 원수가 상기 정화처리재에 의해 정화되어 상기 제2접속구(5b)로부터 유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화처리재는 중공사막(6)을 수납한 세로로 긴 원통형의 중공사막케이스(9)와, 이 중공사막케이스(9)와 상기 카트리지(5)내벽과의 사막에 형성되는 수납실(5e)에 수납된 활성탄(7)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공사막케이스(9)는 상기 카트리지(5)내에 세로로 길게 또한 상기 카트리지(5) 내벽에 대해 편심하여 배치되고, 그에 의해서 상기 수납실(5e)은 넓은 활성탄 영역과 그보다 좁은 활성탄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수입구통로(1d)는 상기 수납실(5e)의 넓은 활성탄 영역의 하단부에, 상기 정수출구통로(1e)는 상기 중공사막케이스(9)의 하단부에 각각 배설되고, 그리고 상기 중공사막케이스(9)의 상부에는 활성탄 상부영역과 상기 중공사막케이스(9) 상단부를 연통시키는 상측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 있다.
이 정수기에 있어서, 보디의 원수입구통로로부터 물을 정화하는 수정화카트리지의 제1접속구를 통하여 수정화카트리지내에 우입된 원수(原水)는 중공사막케이스의 주위에 있는 활성탄에 의해 염소냄새 및 오염이 충분히 제거된 후에, 상기 카트리지내의 상측공간을 거쳐 중공사막케이스내의 중공사막에 도입되어, 그 중공사막에서 잡균이 충분히 제거되고, 그 후 수정화카트리지의 제2접속구를 통하여 보디의 정수출구통로로부터 정수로서 배출된다.
중공사막케이스는 세로로 긴 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속에 중공사막이 수납되어, 그 중공사막케이스의 전 외주와 세로로 긴 원통형 수정화카트리지 내벽과의 사이에 활성탄이 수납되어 있으므로, 수정화카트리지의 통수입구로부터 활성탄을 통과할 때까지의 거리 및 중공사막케이스의 입구로부터 중공사막을 통과할 때까지의 거리가 충분히 길게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정화처리능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수정화카트리지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중공사막케이스를 수정화카트리지에 대해 편심하여 배치함으로써 생긴 활성탄 수납실의 넓은 영역의 하단부에 수정화카트리지에의 원수도입을 위한 제1접속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도 수정화카트리지의 소형화에 기여하고 있다.
다음에,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보디(1)는 접속부(2)를 통해 수도꼭지(3)에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 보디는 수도꼭지(3)로부터 대략 수직 아래쪽으로 뻗은 수직통수로(通水路)인 상부 수도꼭지연통로부(1b) 및 하부 원수(原水) 토출통로부(1c)와, 이것과 연통할 수 있는 수평중앙통수로(1a)와, 이 수평중앙통수로(1a)와는 분리되어 있으며, 수직방향으로 뻗은 정수출구통로(1e)를 가지고 있다. 이 수평중앙통수로(1a)안에는 레버(4a)로 수평방향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된 전환밸브(4)가 수납되어 있다. 이 전환밸브(4)는 그 수평방향의 동작에 의해 상부의 수도꼭지연통부 (1b)와 하부의 원수토출통로부(1c) 및 중앙통수로(1a)의 단부(端部)의 입구통로 (1d)의 전환을 행한다.
즉, 도시한 전환밸브 위치에서는 수도꼭지연통로부(1b)와 원수토출통로부 (1c)와는 연통되어 있고, 입구통로(1d)는 그것들로부터 차단되어 있다.
또, 전환밸브(4)가 도면에 있어서 우측으로 이동되면 수도꼭지연통로부(1b)와 입구통로(1d)가 연통되고, 원수토출통로부(1c)는 차단된다.
접속부(2)는 보디(1)의 수도꼭지연통로부(1b)상부에 끼워진 시일링(seal ring)(2a)과, 이 시일링(2a)을 보디(1)에 압착하고 있는 인너링(inner ring)(2b)과, 이 인너링(2b)을 보디(1)에 압착하는 아우터링(outer ring)(2c)과, 이 아우터링(2c)을 보디(1)에 압착하는 나사(2d)를 포함하고 있다. 4개의 나사(2e)(제2도)를 수도꼭지단부를 시일링(2a) 위에 압착한 상태로 체결함으로써 보디(1)가 수도꼭지 (3)에 고정된다. 커버가 이 클램프나사부를 덮고 있다.
원수토출통로부(1c) 하부에는 토출원수의 "스트레이트"와 "사워"의 전환수단 (13)이 설치되고, 이 전환은 레버(13a)에 의해 행하여진다.
세로로 긴 통형의 카트리지(5)는 보디(1)에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카트리지(5)의 보디(1)에 장착되는 하면측에는 제1접속구로 되는 통수입구 (5a)와 제2접속구로 되는 통수출구(5b)를 가지고 있다. 이 통수입구(5a)는 보디(1)의 원수입구통로(1d)에 연통되어 있으며, 통수출구(5b)는 보디(1)의 정수출구통로 (1e)에 연통되어 있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트리지(5)내에는 중공사막(6)을 수납할 세로로 긴 원통형의 중공사막케이스(9)가 수납되며, 그 전주위와 수정화카트리지(5) 내벽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실(5e)에 입자형의 야자각(殼)활성탄 (7)이 수납되어 있다.
수정화카트리지(5)내에 중공사막케이스(9)를 세로로 길게 또한 편심하여 배치함으로써 중공사막케이스(9)와 수정화카트리지(5) 내벽과의 사이에 형성된 수납실(5e)의 다른 영역(5f)보다 넓어진 영역(5g)의 하단측의 제2접속구로 되는 통수출구(5b)에 연통되어 있다. 수정화카트리지(5)내에는 활성탄(7)의 상하끝면을 형성하도록 하상부다공판(10),(11)이 배치되어 있다. 상부다공판(11)은 플랜지(11a)를 가지고 있고, 이 부분이 중공사막케이스(9)에 끼워져 있다. 활성탄(7)을 지지하고 있는 하부다공판(10)과 통수입구(5a)와의 사이에는 체크밸브(8)가 배치되어 있다. 체크밸브(8)는 자중(自重)에 의해 통수입구(5a)를 막고 있으며, 수압이 가해지면 상측으로 부상(浮上)하여 그 주의의 간극으로부터 물이 활성탄(7)에 도달한다. 중공사막(6)과 활성탄(7)의 상단은 대략 일치하고 있으며, 그 상측공간(5c)을 통해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중공사막(6)은, 그 상단부가 물의 입구측으로 된다. 카트리지(5)의 상벽은 투명한 플라스틱제의 캡(5d)이 설치되고, 이 캡(5d)은 카트리지측벽상부에 삽입되어 초음파용접에 의해 장착된다. 도면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이 투명한 캡(5d)은 요면(凹面)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중공사막의 눈막힘에 의해 카트리지 내압이 상승하더라도 그것에 충분히 견뎌낼 수 있는 강한 강도를 가지고 있다.
카트리지(5)를 보디(1)축에 압착하도록 커버(12)가 보디(1)에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중공사막(6)은 다공질로서 가늘고 긴 실모양의 중공(中空)부재이며, 중앙부에는 축방향으로 뻗는 작은 관통공이 있고, 측벽부에는 다수의 매우 작은 구멍이 있으며, 그 측벽의 다수의 세공(細孔)으로부터 들어온 물은 중앙의 관통공에 모여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단부에서 배출된다. 이 중공사막(6)은 카트리지상단부에서 대략 U자형으로 절곡되고, 하단부에서는 합성수지(9a)에 의해 중공사막케이스(9)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상단부로부터 들어온 물은 중공사막(6)의 측벽세공으로부터 중앙관통공으로 들어가서 카트리지 하단부에 도달하여, 정수의 제2접속구인 출구통로(5b)로부터 배출된다.
이러한 정수기에 있어서, 전환밸브(4)를 원수측에 설정하면, 원수는 수도꼭지(3)로부터 원수토출통로부(1c)를 거쳐 직접 외부로 나올 수 있다. 그리고, 전환밸브(4)를 정수측에 설정하면, 원수는 수도꼭지(3)로부터 입구통로(1d)를 통하여 카트리지(5)의 제1접속구인 원수입구(5a)에 도달하며, 체크밸브(8)에 수압이 가해져 이것을 부상시켜 활성탄(7)을 지나 염소냄새 및 오염이 활성탄(7)에 흡착된 후, 중공사막(6)에 그 상단부측으로부터 유입하여 잡균이 제거되고, 그 다음에 제2접속구인 통수출구(5) 및 정수출구통로(1e)를 지나서 외부로 정수가 되어서 나온다.
이러한 정수기에 의하면, 중공사막케이스(9)는 세로로 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중공사막케이스(9) 전주위와 수정화카트리지(5) 내벽 전주위와의 사이에 활성탄(7)이 수납되어 있으므로, 정화될 물이 수정화카트리지(5)의 제1접속구인 통수입구(5a)로부터 활성탄(7)을 통과할 때까지의 유로거리 L1및 중공사막케이스(9)의 입구로부터 중공사막(6)을 통과할 때까지의 유로거리 L2가 길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수정화카트리지(5)를 대형화하지 않고 충분한 정화능력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수정화카트리지(5)내에 있어서, 중공사막케이스(9)를 편심하여 배치하고 또한 그 편심에 의해 넓어진 활성탄(7)의 수납실 영역(5g)의 하단측을 제1접속구인 통수입구(5a)에 연통시키고 있어서, 제1접속구인 통수입구(5a)로부터 수정화카트리지(5)내에 유입된 원수는 그 속에 함유되어 있는 염소나 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활성탄(7) 내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하면 정화처리제인 활성탄 및 중공사막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콤팩트한 정수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원수(原水) 입구통로(1d)와 정수(淨水) 출구통로(1e)를 가지고, 수도꼭지 등에 장착가능한 보디(1)와, 이 보디(1)에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물의 정화처리재를 내장하고 있는 원통형의 카트리지(5)를 구비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5)는 세로로 긴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카트리지(5)가 상기 보디(1)에 장착되는 측에 상기 원수입구통로(1d)에 접속되는 제1접속구(5a) 및 상기 정수출구통로(1e)에 접속되는 제2접속구(5b)를 가지고, 상기 제1접속구(5a)로부터 상기 카트리지(5)내에 유입된 원수가 상기 정화처리재에 의해 정화되어 상기 제2접속구 (5b)로부터 유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화처리제는 중공사막(中空絲膜)(6)을 수납한 세로로 긴 원통형의 중공사막케이스(9)와, 이 중공사막케이스(9)와 상기 카트리지(5) 내벽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실(5e)에 수납된 활성탄(7)으로 이루어 지고, 상기 중공사막케이스(9)는 상기 카트리지(5)내에 세로로 길게 또한 상기 카트리지(5) 내벽에 대해 편심하여 배치되고, 그에 의해서 상기 수납실(5e)은 넓은 활성탄 영역과 그 보다 좁은 활성탄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수입구통로(1d)는 상기 수납실(5e)의 넓은 활성탄 영역의 하단부에, 상기 정수출구통로(1e)는 상기 중공사막케이스(9)의 하단부에 각각 배설하고, 그리고 상기 중공사막케이스(9)의 상부에는 활성탄 상부영역과 상기 중공사막케이스(9) 상단부를 연통시키는 상측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막케이스(9)는 상기 카트리지(5)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걸쳐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19920009754A 1988-04-15 1992-06-05 정수기 KR920007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9754A KR920007877B1 (ko) 1988-04-15 1992-06-05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91493 1988-04-15
JP63091493A JPH0651182B2 (ja) 1988-04-15 1988-04-15 浄水器
KR1019890004704A KR920005912B1 (ko) 1988-04-15 1989-04-10 정수기
KR1019920009754A KR920007877B1 (ko) 1988-04-15 1992-06-05 정수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4704A Division KR920005912B1 (ko) 1988-04-15 1989-04-10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877B1 true KR920007877B1 (ko) 1992-09-18

Family

ID=26432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9754A KR920007877B1 (ko) 1988-04-15 1992-06-05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87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1201B2 (en) Encapsulated filter cartridge
US4882061A (en) Filter apparatus
CN112933973A (zh) 一种具有反冲洗功能的反渗透滤芯、复合滤芯及净水机
KR920007877B1 (ko) 정수기
KR920005912B1 (ko) 정수기
CN111606443A (zh) 滤芯组件和净水器
CN212770122U (zh) 水路板和滤芯组件
JP2004167319A (ja) エアー/水抜き付き浄水器
CN212334820U (zh) 滤芯组件和净水器
CN212770123U (zh) 滤筒和滤芯组件
CN111606444A (zh) 滤芯组件和净水器
JP3700669B2 (ja)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
JPH11253936A (ja) 浄水器
CN216890368U (zh) 一种净水滤件以及净水机
WO2021259068A1 (zh) 滤芯组件和净水器
CN214611829U (zh) 净水装置
JPH11253935A (ja) 浄水器
JPH10180250A (ja) 浄水用カートリッジ
JP2002224665A (ja) 浄水カートリッジ及び水処理装置
JP4125461B2 (ja)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
KR200211447Y1 (ko) 정수기용 활성탄 필터하우징
JPH11253933A (ja) 浄水器
JP3098765B2 (ja) 浄水器
JPH04298283A (ja) 浄水カートリッジ
JPH11253934A (ja) 浄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