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850Y1 - 급배수 동시 액면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급배수 동시 액면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850Y1
KR920007850Y1 KR2019900005680U KR900005680U KR920007850Y1 KR 920007850 Y1 KR920007850 Y1 KR 920007850Y1 KR 2019900005680 U KR2019900005680 U KR 2019900005680U KR 900005680 U KR900005680 U KR 900005680U KR 920007850 Y1 KR920007850 Y1 KR 9200078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water supply
water
control
liquid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56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0778U (ko
Inventor
이용종
Original Assignee
이용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종 filed Critical 이용종
Priority to KR2019900005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850Y1/ko
Publication of KR9100207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07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8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8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3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using buoyant prob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급배수 동시 액면 제어회로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급수제어구동부 F1, F2: 상, 하위 플롯트센서
Ry1: 제1릴레이 2 : 배수제어구동부
F3, F4: 상, 하위 플롯트센서 Ry2: 제2릴레이
본 고안은 저장수조내의 액면 높이를 일정 범위로 유지하려는 급수제어 또는 배수제어를 행할 수 있는 액면 제어회로와 관련된 것으로서, 이는 특히 제1저장수조로 부터 또 다른 제2저장수조로 용수제공을 행할 때에 제1저장수조는 배수 제어기능을 가지고 제2저장 수조는 급수제어 기능을 동시에 이룰 수 있는 간단한 급배수 동시 액면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분야와 비교적 관련이 있는 선행기술은 본 발명자에 의한 대한민국 실용공번 제89-30호등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는 하나의 펌프장치와 관련하여 급수 또는 배수제어 동작을 전자식 회로로 액면 제어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이는 하나의 펌프장치와 전자제어회로로서 상용공급용수 급수조로 부터의 급수제어장치나 또는 상용공급용수에 일정용수를 공급하는 저수조의 배수제어장치로서 선택 사용되어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장치에서는 저수조로 부터 상기 급수조로 펌프를 구동하여 공급할 경우 저수조에 용수가 전혀 없는데도 불구하고 펌프구동을 행하므로서 펌프의 공회전으로 과열을 초래 한다거나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야기하는 경우가 많았다.
일예로, 상기 저수조란 저수원이 되는 우물이나 또는 대단위 주택단지등에 마련된 저수조로 부터 각 가정에 상용용수를 제공하는 형태를 말하며 이러한 저수조에서 액면 배수 제어장치등이 마련되어져 있지 않다면 상기와 같은 전력 낭비와 펌프구동 모터의 공회전으로 무부하손이 커져 과열을 초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를 고려하여 저수조와 상용용수조에 각기 배수제어장치 및 급수제어장치를 독립적으로 2조를 마련하여 급배수 동시제어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독립적인 회로장치 수단이 별개로 이뤄지게 되므로서 이러한 장치의 전체적인 이용 가격이 비싸지며 회로 결선등의 복잡함을 야기하며 바람직한 것이 못되었다.
이외에도, 상기 예의 배수제어장치나 급수제어장치는 대개가 트랜지스터식 제어회로와 관련하여 이용되어지므로서 그 제어회로에 전기 및 열적 조건에 의한 전자적 장애(주로 오동작 노이즈) 및 습기, 누전으로 인한 오동작을 일으킬 소지가 많아 그 회로 및 기구적 신뢰성을 보장하기도 어려운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는 특히 종래와 같이 이러한 장치에서 회로 잡음등에 대한 오동작으로 부터 신뢰성이 양호하고 전극간 습기 및 누전에 의한 사고를 배재하며 간단한 회로로서 급수 및 배수제어동작을 동시에 이룰 수 있도록 한 급배수 동기 액면제어회로를 제공코져 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급수조에 마련한 2개의 상위레벨, 하위레벨 검출용 플로트센서 및, 이와 관련하여 급수제어를 행하면서 하위레벨에 이르렀을때의 배수제어동작부로 전환하는 스위치수단(일예로 릴레이)으로 된 급수제어 동작부와, 저수조에 마련한 2개의 상위레벨, 하위레벨 플롯트센서와, 이와 관련하여 펌프모터 구동에 의한 배수제어를 행하면서 상기 스위치 수단에 의해 상기 배수제어동작을 진행하는 배수제어 동작부를 일체로 포함한 구성의 그 급재수 등의 액면제어회로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급배수 동시 액면제어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는 상용전원(일예로 100V, 200V)이 압력되어지는 트랜스(T)와 정류용 다이오드(D1), 콘덴서(C)를 포함한 통상의 전원 정류부(RT)출력이 제1릴레이(RY1), 접점(Rla)에 의해 급수제어 동작부(1)와 배수제어동작부(2)로 선택 공급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또, 이 급수제어동작부(1)는 전원정류부(RT)의 "+"공급축과 접지점 사이에 급수조(UT)에 구비시킨 상위 검출상위 플롯트 센서(F1), 하위검출상위 플롯트 센서(F2), 스위치수단은 제1릴레이(Ry1)가 각기 직결되어져 있고, 상기 상위 프롯트센서(F1)와 하위 플롯트센서(F2)와의 사이에서 인출한 고정접점(C1)과, 전원정류부(RT) "+"측에 연결된 가동접점(R1a) 및 배수제어동작부(2)측 입력으로 이어진 고정접점(C2)으로 상기 릴레이(Ry1)의 스위치 접점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제1릴레이(Ry1)의 고정접점 C2와 접지점 사이에는 배수제어 동작부(2)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는 저수조(DT)내에 설치된 상위플롯트센서(F3), 하위플롯트센서(F4), 제2릴레이(RY2)가 상기 고정접점(C2)과 접지점 사이로 직렬되있으며, 상기 상위플롯트센서(F3)와 하위플롯트센서(F4)사이로 부터 인출한 고정접점(C2)과 상기 C2와 공접된 릴레이 접점(R2b) 및 공단자(C4)로 제2릴레이(Ry2)의 b접점을 이루고 있고 펌프(P)모터(M)의 선로를 개로 및 폐로하는 제2릴레이(Ry2)의 릴레이 접점(H2a)으로 a접점으로 이루고 있다.
또, 상기 스위치 수단인 제1, 2릴레이(Ry1, Ry2) 및 그 스위치접점은 이에 등가된 여하한 논리회로에 의한 균등 수단으로 이룰 수 있음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그 작용 및 효과가 다음과 같다.
즉, 최초에 급수조(UT)가 만충전된 상태에서는 급수제어동작부(1)측 상, 하위 플롯트센서(F1, F2)는 모두 온(ON)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제1릴레이(Ry1)는 온(ON)되어지고 릴레이 접점(R1a)는 고정접점(C1)측으로 이어져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급수조(UT)로 부터의 용수가 사용에 의해 줄어들게 되어 상위 플롯트센서(F1)이하가 되면 이 상위 플롯트센서(F1)는 오프되지만 "+"전원은 제1릴레이 접점(R1a)을 거쳐 하위 플롯트센서(F2)로 이어져 있고 그 제1릴레이(Ry1)는 계속 온 동작을 유지한다.
이후, 상기 하위 플롯트센서(F2)가 일정 레벨 이하로 내려가면 그 제1릴레이(Ry1)오프되고, 릴레이 접점(R1a)은 C2측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선 "+"전원이 급수조(UT)측의 상위플롯트센서(F3), 하위플롯트센서(F4), 제2릴레이(Ry2)로 전류가 흐르므로 제2릴레이(Ry2)는 온 상태로 유지되어 진다.
이에 의해 제2릴레이(Ry2)의 b점점(R2b)은 공접점 C4→고정접점 C3로 이어지고, a접점(R2a)은 펌프(P) 모터(M)를 구동하여 저수조(DT)로 부터 급수조(UT)측으로 소정용수를 공급한다.
용수가 진행됨과 동시에 상위 플롯트센서(F3), 오프되지만, 이 상위 플롯트센서(F3)가 오프되더라도 상기 제2릴레이(Ry2)의 a접점(R2a)이 고정접점 C3로 이어져 있으므로 하위 플롯트센서(F4)는 온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하위플롯트센서(F4)가 오프될 정도로 수위가 하강하면 제2릴레이(Ry2)는 오프되므로 펌프(P) 모터(M)는 정지되어진다.
또, 상기 급수제어 구동부(1)축의 하위플롯트센서(F2)는 수위의 상승으로 이어지지만 상기 상위 플롯트스위치(F1)가 온 되어지지 않는 한 제1릴레이(Ry1)는 오프상태를 계속 유지하므로서, 급수조(UT)에 용수가 만충전되어 지지 않는 한은 제1릴레이(Ry1)는 동작되어 지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배수제어구동부(2)는 급수제어 구동부(1)측 제1릴레이(Ry1)가 온되어 있는 급수동작시는 상기 그 접점 R1a이 C1으로 이어져 있어 그 모든 부하 차단이 계속되는 것이며, 하위 플롯센서(F4)이하인 수위조건에서 무조건 펌프(P) 모터(M)의 동작을 정지시키게 되어 저수조(DT)측에 용수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모터(M)구동이 진행되어 지는 일이 있을 수 없어 그 모터(M)보호와 전력소모 등을 피할 수 있다.
또, 상기 배수제어구동부(2)는 하위 플롯트센서(F4), 이상에서 용수가 채워진 상태에서는 급수 제어구동부(1)의 상위레벨까지 액면이 증가될때까지 용수공급이 계속되는 것이다.
또, 상기 급수제어구동부(1) 및 배수제어구동부(2)가 플롯트센서(F1,F2,F3,F4) 및 릴레이(Ry1, Ry2)만에 의해 동작되어 지므로서 선로로 부터 입력되는 불요잡음에 의해 전혀 오동작을 일으킬 염려가 없어 그 회로적 신뢰성을 양호히 보장할 수 있음은 물론 플롯트센서에 의해서만 작동되므로 습기나 전기누전에 의한 사고는 완전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일예로, 선로를 타고 DC직류에 얹혀진 교류잡음은 콘덴서(C)를 통해 대부분 없어지지만, 이외의 잔류 교류 잡음은 플롯트센서(F1, F2) 및 제1릴레이 코일(Ry1)을 통해 접지점으로 제거되어 지므로 상기 제1코일(Ry1)이 릴레이겸 잡음 제거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 급수제어구동부(2)측에서의 이 역할은 전적으로 동일하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저수조에서 급수조로 용수 공급을 행할때에 저수조 측의 배수제어 동작과 급수조측의 급수제어 동작이 불가분하게 동시 제어동작을 진행케 되어 모터의 소손이나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이며, 또 그 제어릴레이로 릴레이 기능겸 교류잡음 제거기능을 동시에 가지게 되어 이러한 회로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 가능케 한 유익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용입력에 전원정류부(RT)가 연결되고 저수조에서 액면 급수제어 또는 배수제어 기능을 구비한 액면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정류부(RT)의 출력에는 급수조(UT)의 상, 하위 플롯트센서(F1, F2)와 제1릴레이(Ry1)가 접지점과의 사이에서 각기 직결되어진 급수제어 구동부(1)와, 이 급수제어구동부(1)의 제1릴레이(Ry1)의 접점 변환으로 구동전원이 온, 오프 제어됨과 동시에 저수조(DT)측의 상, 하위 플롯트센서(F1, F2)와 제2릴레이(Ry2)가 각기 접지점과 직결되어진 배수제어 구동부(2)로 되고, 이 배수제어 구동부(2)의 제2릴레이(Ry2)에 의해서는 펌프(P) 모터(M)가 제어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수 동시 액면 제어회로.
KR2019900005680U 1990-05-01 1990-05-01 급배수 동시 액면 제어회로 KR9200078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5680U KR920007850Y1 (ko) 1990-05-01 1990-05-01 급배수 동시 액면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5680U KR920007850Y1 (ko) 1990-05-01 1990-05-01 급배수 동시 액면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778U KR910020778U (ko) 1991-12-20
KR920007850Y1 true KR920007850Y1 (ko) 1992-10-19

Family

ID=19298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5680U KR920007850Y1 (ko) 1990-05-01 1990-05-01 급배수 동시 액면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8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778U (ko) 199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63375A (en) Time delayed shut-down circuit for recirculation pump
KR101103101B1 (ko) 필드코일과 스위치가 달린 릴레이를 갖춘 회로
KR920007850Y1 (ko) 급배수 동시 액면 제어회로
RU2474632C2 (ru) Водоносный бытовой прибор
US4752188A (en) Oil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pump submerged in a transformer vault
JPS6128840B2 (ko)
KR0184799B1 (ko) 전기자동차의 전원 제어장치
CN103615382A (zh) 一种智能型潜水电泵
US4715785A (en) Oil detection apparatus for submersible pumps
CN218816905U (zh) 一种污水池用双泵轮流启停和保护控制电路
CN2168105Y (zh) 抽水机的保护装置
KR920006646Y1 (ko) 급배수 겸용 액면 자동제어 장치
KR0116465Y1 (ko) 세탁기의 공급전원 제어회로
KR0132730Y1 (ko) 액면제어기("-" 부궤환회로)의 감도보상회로
CN215446047U (zh) 洗瓶机废水利用系统
CN207896895U (zh) 一种无刷发电机组用的控制电路
KR950003016Y1 (ko) 3상모터의 결상보호 자동제어장치
RU76996U1 (ru) Блок автоматики для вибрационного насоса
KR970000193Y1 (ko) 트랜스레스(transless) 급,배수 겸용 액면제어 장치
KR0121708Y1 (ko) 세탁기의 감전방지 장치
CN201214633Y (zh) 污水自动提升控制装置
KR200330869Y1 (ko) 다목적 수위조절장치
KR200161630Y1 (ko) 식기세척기의 배수펌프 모터 제어장치
SU60052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правлени насосом
CN2145401Y (zh) 水位自动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0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