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717Y1 - 내용제성 및 내마모성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내용제성 및 내마모성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717Y1
KR920007717Y1 KR2019870020697U KR870020697U KR920007717Y1 KR 920007717 Y1 KR920007717 Y1 KR 920007717Y1 KR 2019870020697 U KR2019870020697 U KR 2019870020697U KR 870020697 U KR870020697 U KR 870020697U KR 920007717 Y1 KR920007717 Y1 KR 9200077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glass plate
motor
supported
qu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0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1238U (ko
Inventor
이동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20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717Y1/ko
Publication of KR8900112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12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7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7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01N2021/0106General arrangement of respective parts
    • G01N2021/0112Apparatus in one mechanical, optical or electronic bloc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01N2201/063Illuminating optical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용제성 및 내마모성 측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내용제성 및 내마모성 측정장치를 부분절결하여 보인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내용제성 및 내마모성 측정장치를 부분절결하여 보인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내용제성 및 내마모성 측정장치의 카운터부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기 본체 1a : 요입부
2 : 메인 스위치 3 : 모터 스위치
4 : 속도계 5 : 속도 조정기
6 : 디지털 카운터 7, 7', 7" : 지지대
8, 8', 8", 8a, 8'a, 8"a : 무게추 9, 9', 9" : 하중 지지레버
10 : 수평 조절기 11, 11', 11" : 집게
12, 12', 12" : 스틸볼 13, 13', 13" : 연결봉
14, 14' : 안내레일 16 : 유리판
17, 17', 17" : 광센서 18 : 광원
19, 19', 19" : 시료도막 31 : 모터
본 고안은 예를 들면, 자기기록재생기에 사용되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화학관련제품의 내용제성 및 내마모성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과학적으로 합리적인 방법으로 정확한 측정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한 내용제성 및 내마모성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하여 화학관력제품의 내용제성을 측정함에 있어서는, 별도의 측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베이스 필름의 상부에 측정하고자하는 시료도막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측정자가 면봉에 용제를 묻혀 반복되는 동작으로 시료도막을 문질러 면봉에 묻혀진 용제에 의하여 시료도막이 벗겨지는 순간을 눈으로 확인하여, 그 동안 헤아려온 왕복 횟수를 각각의 시료도막마다 실시함으로써 시료도막의 내용제성을 상대비교하였다.
또한, 내마모성을 측정함에 있어서는, 단시간내에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아직 알려지지 않은 상태이지만, 종래 기술에 의하여 자기 테이프를 측정할 경우에는, 자기 테이프의 주행을 멈추고 그 자기 테이프에 회전 헤드만 접촉시켜 자기 테이프의 마모정도를 S/N(signal to noise ratio)로 체크하는 방법과, 연필의 경도 숫자(···B, 1H, 2H,···)대로 자기 테이프를 각각 문질러 시료도막이 벗겨지는 연필의 경도 숫자를 비교하여 시료도막의 내마모성을 측정하는 방법등의 몇가지가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내용제성 측정기술은, 용제가 묻혀진 면봉을 측정자기 직접 손으로 문지르게 됨으로써 문지르는 힘, 문지르는 속도, 면봉의 기울기, 눈으로 확인하는 시점등이 각 사람마다 차이가 있으므로 이와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측정결과는 객관적인 정확한 값으로 적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S/N를 이용환 내마모성 측정기술은, 완제품을 제조하여야 하고, 장시간(1시간 이상)동안 측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연필경도 시험에 의한 내마모성 측정기술은, 연필심을 깍는 모양에 따라 오차가 발생되어 정확한 측정결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와같은 종래의 내용제성 및 내마모성의 측정기술은, 재현성이 전혀 없어 측정과정을 면밀하게 살펴볼 수 없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내용제성 및 내마모성을 측정할 경우, 측정 조건을 장치에 의하여 동일하게 부여하여 과학적으로 합리적인 측정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내용제성 및 내마모성 측정장치를 재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메인 스위치, 모터 스위치, 속도계 및 모터 속도 조정기, 디지털 카운터가 설치되는 기기 본체와, 기기 본체의 상면에 고정된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중 지지레버와, 상기 하중 지지레버에 고정되는 수평조절기와, 상기 하중지지레버의 양측에는 지지되는 무개추와, 상기 하중지지레버의 하면 선단부에 고정되어, 스틸볼이 고정된 연결봉 또는 면봉이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집게와, 상기 기기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요입부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안내레일과, 시료도막이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직선왕복 이동되는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의 하부에 지지되어 유리판과 함께이동되는 광원을 갖는 반사갓과. 기기 본체의 상면에 고정되어 광원의 빛를 감지하는 광센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제성 및 내마모성 측정장치가 제공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의한 내용제성 측정시에는, 일정한 하중과 일정한 속도로 시료도막을 마찰시켜, 시료도막이 벗겨지는 순간 광이 투과되도록 하고, 이를 광센서가 감지하여, 왕복 횟수를 기록하던 카운터를 정지시킴으로써 데이타 값의 신뢰성 및 재현성을 가능하게 하며, 한편, 내마모성 측정시에는, 시료도막에 일정한 하중을 부여하고, 일정한 속도 및 왕복 횟수를 미리 결정하여 세팅하며, 스틸볼로 마찰시켜 시료도막의 마모된 표면 상태를 육안이나, 광학 현미경, 또는 전자 현미경등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완제품이 아닌 중간단계에서도 체크를 가능하게 하고, 단시간 내의 측정이 가능하며, 마모되는 여러가지 현상을 직접 볼 수 있고, 측정결과에 대한 데이타의 정리 및 분석이 용이해지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애용제성 및 내마모성 측정장치를 부분절결하여 보인 정면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내용제성 및 내마모성 측정장치를 부분절격하여 보인 평면도이며,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내용제성 및 내마모성 측정장치는, 기기 본체(1)의 전면에 메인스위치(2)및 모터 스위치(3)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그 상측에 속도계(4) 및 모터 속도 조정기(5)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그 상측에 모터 속도 조정기(5)와 연결되는 수개의 디지털 카운터(6)(6')(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기 본체(1)의 상면 일측에는 2개의 1조의 지지대(7)(7')(7")가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세우져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7)(7')(7")의 상부에는 일정길이의 하중지지레버(9)(9')(9")가 힌지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하중지지레버(9)(9')(9")의 양측에는 무개추(8)(8')(8"), (8a)(8'a)(8"a)가 각각 지지되어 있고, 하중지지레버(9)(9')(9")의 회전중심 상부에는 수평조절기(10)(제1도에만 도시)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하중지지레버(9)(9')(9")의 하면 선단부에는 집게(11)(11')(11")가 각각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집게(11)(11')(11")에는 스틸볼(still ball)(12)(12')(12") 이 고정된 연결봉(13)(13')(13")또는 면봉(도시하지 않음)이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기기 본체(1)의 상면 일측부에는 일정깊이로 요입부(l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입부(1a)의 양측에는 상면에 안내홈(14a)(14'a)이 형성된 안내레일(14)(14')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안내레일(14)(14')에는 유리판(16)이 왕복이동수단에 의하여 왕복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왕복이동수단은, 예를 들면, 모터(31)와, 모터(31)의 회전축(32)에 고정되는 지지판(33)과, 상기 지지판(33)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는 연결핀(34)와, 상기 연결핀(34)에 일측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레버(35)와, 상기 유리판(16)이 지지되는 지지대(16')의 하면 중간부에 고정되어, 연결레버(35)의 타측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핀(36)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왕복이동수단은 본 고안에서 한정적으로 보호받고자 하는 사항은 아닌 것으로, 다른 형태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모터(31)의 구동에 의하여 유리판(16)이 왕복이동하는 구성이라면 어떠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유리판(16)이 지지되는 지지대(16')의 하면 양측에는 안내레일(14)(14')의 안내홈(14a)(14'a)으로 삽입되는 안내돌출부(37)(37')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반사갓(15)및 광원(18)이 고정되어, 유리판(16)과 함께 반사갓(15)및 광원(18)도 동시에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기기 본체(1)의 상면 일정부위에는 광센서(17)(17')(17")(제4도 참조)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9, 19', 19"는 시료도막, 20은 전자빔을 발사시키는 장치,21, 21'은 시료도막(19)(19')(19")을 각각 지지하기 위한 시료 물림대를 보인 것이다.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내용제성 및 내마모성 측정장치의 카운터부 구성을 보인 회로도로서, 광센서(17)(17')(17")의 신호로 디지털 카운터(6)(6')(6")가 고전위일 경우에는 앤드 게이드에 의하여 모터(31)를 정지시키고, 저전위일 경우에는 모터를 구동시키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카운터(6)(6')(6")가 모두 정지될 경우에만 모터(31)가 정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내용제성 및 내마모성 측정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3가지의 시료도막(19)(19')(19")을 동시에 측정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시료도막(19)(19')(19")의 내용제성을 측정함에 있어서는, 지지대(16')에 유리판(16)을 올려놓고, 각각의 시료 물림대(21)(21')에 각각의 시료도막(19)(19')(19")를 고정시킨 후, 하중지지레버(9)(9')(9")의 각 집게(11)(11')(11")에 내용제성 측정용 면봉을 고정하고, 상기 하중지지레버(9)(9')(9")를 수평으로 유지시킨 다음, 유리판(16)의 왕복속도를 속도계(4)로 맞추고, 하중을 결정하여 하중지지레버(9)(9')(9")의 양측에 무게추(8)(8')(8"), (8a)(8'a)(8"a)를 조정하며, 이후 메인 스위치(2)를 온(ON)시킨다.
다시, 집게(11)(11')(11")로 부터 내용제성 측정용 면봉을 분리시켜, 용제를 묻힌 다음, 집게(11)(11')(11")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모터 스위치(3)를 온(ON)시킨다.
상기 모터 스위치(3)의 구동에 의하여 유리판(16)이 왕북이동수단에 의하여 안내레일(14)(14')을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하게 되는바,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모터 스위치(3)의 구동에 의하여 모터(31)의 회전축(32)이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회전축(32)에 고정된 지지판(33)의 연결핀(36) 및 유리판(16)이 지지되는 지지대(16')의 연결핀(36)에 연결레버(35)의 양단부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지지판(33)에 고정된 연결핀(36)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지지대(16')를 왕복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16')는 하면 양측에 형성된 안내돌출부(37)(37')가 안내레일(14)(14')의 안내홈(14a)(14'a)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직선왕복운동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와같이 지지대(16')가 안내레일(14)(14')을 따라 왕복운동을 하게 되므로 유리판(16)의 상면에 지지된 시료도막(19)(19')(19")과 내용제성 측정용 면봉이 마찰접촉이 되며, 디지털 카운터(6)(6')(6")에는 유리판(16)의 왕복운동 횟수를 카운터하여 기록하게 된다.
이와같이 지지대(16')의 반복되는 왕복이동으로 내용제성 측정용 면봉에 묻혀진 용제에 의하여 시료도막(19)(19')(19")의 표면이 벗겨지는 순간, 광원(18)의 빛이 유리판(16)및 시료도막(19)(19')(19")을 투과하여, 관센서(17)(17')(17")에 감지됨으로써 해당 디지털 카운터(6)(6')(6")가 정지되는 것이며, 표면이 벗겨지지 않은 시료도막(19)(19')(19")의 해당 디지털 카운터(6)(6')(6")는 유리판(16)의 반복되는 왕복이동에 의하여 시료도막(19)(19')(19")의 표면이 벗겨질때까지 계속 유리판(16)의 왕복횟수가 증가하게 된다.
이후, 모든 시료도막(i9)(19')(19")의 표면이 벗겨져 디지털 카운터(6)(6')(6")가 정지하게 되면, 모터(31)의 구동이 정지되는 것이며, 디지털 카운터(6)(6')(6")에 기록된 왕복횟수를 비교하여 각각의 시료도막(19)(19')(19")에 대한 내용제성을 수치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펀, 시료도막(19)(19')(19")의 내마모성을 측정함에 있어서는, 내용제성 측정시와 마찬가지로 지지대(16')에 유리판(16)을 올려놓고, 각각의 시료 물림대(21)(21')에 각각의 시료도막(19)(19')(19")를 고정시킨후, 하중지지레버(9)(9')(9")의 각 집게(11)(11')(11")에 내마모성 측정용 스틸볼(12)이 고정된 연결봉(13)을 결합시킨 후, 상기 하중지지레버(9)(9')(9")를 수평으로 유지시킨 다음, 유리판(16)의 왕복속도를 속도계(4)로 맞추고, 하중을 결정하여 하중지지레버(9)(9')(9")의 양측에 무게추(8)(8')(8"), (8a)(8'a)(8"a)를 조정한다.
이후, 디지털 카운터(6)(6')(6")에 모터(31)의 왕복이동횟수를 미리 결정하여 세팅한 다음, 메인 스위치(2)및 모터 스위치(3)를 온시킨다.
상기 모터 스위치(3)의 구동에 의하여 통상적인 왕복이동수단에 의하여 유리판(16)이 지지된 지지대(16')가 안내레일(14)(14')의 안내를 받으며 직선왕복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유리판(16)의 상면에 지지된 시료도막(19)(19')(19")과 내마모성 측정용 스틸볼(12)이 마찰접촉이 된다.
이와같은 모터(31)의 구동에 의하여 지지대(16')의 왕복이동횟수가 디지털 카운터(6)(6')(6")에 설정해 놓은 왕복횟수에 도달하게 되면, 모티(31)가 정지되며, 이후, 시료도막(19)(19')(19")을 유리판(16)으로 부터 분리시켜, 육안, 광학 현미경, 또는 전자현미경등으로 시료도막(19)(19')(19")의 마모 정도를 관찰 및 분석할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내용제성 및 내마모성 측정장치는, 기구적인 구성에 의하여 균일한 하중과 일정한 속도로 시료도막의 내용지성 및 내마모성을 측정하여, 보다 객관적인 정확한 결과를 얻을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며, 종래에는 도막 특성에 따른 상대 평가만 가능한 것에 비하여, 본 고안에 의하면, 시료도막의 절대 평가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데이타의 자료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내마모성 측정시에는 측정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측정도중에 시료도막의 마모 정도와 현상을 관찰하거나 사진촬영이 가능하여 보다 정확한 데이타를 얻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메인 스위치(2), 모터 스위치(3), 속도계(4)및 모터 속도 조정기(5), 디지털 카운터(6)(6')(6")가 설치되는 기기 본체(1)와, 기기 본체(1)의 상면에 고정된 지지대(7)(7')(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중 지지레버(9)(9')(9")와, 상기 하중 지지레버(9)(9')(9")에 고정되는 수평조절기(10)와, 상기 하중지지레버(9)(9')(9")의 양측에는 지지되는 무게추(8)(8')(8"), (8a)(8'a)(8"a)와, 상기 하중지지레버(9)(9')(9")의 하면 선단부에 고정되어, 스틸볼(12)(12')(12")이 고정된 연결봉(13)(13')(13")또는 면봉이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집게(11)(11')(11")와, 상기 기기 본체(1)의 상면에 형성된 요입부(1a)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안내레일(14)(14')과, 시료도막(19)(19')(19")이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안내레일(14)(14')을 따라 직선왕복 이동되는 유리판(16)과, 상기 유리판(16)의 하부에 지지되어 유리판(16)과 함께 이동되는 광원(18)을 갖는 반사갓(15)과, 기기본체(1)의 상면에 고정되어 광원(18)의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17)(17')(17")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제성 및 내마모성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17)(17')(17")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카운터(6)(6')(6")의 출력값이 모두 고전위일 경우에는 모터(31)를 정지시키고, 상기 디지털 카운터(6)(6')(6")의 출력값중 하나라도 저전위일 경우에는 모터(31)를 구동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제성 및 내마모성 측정장치.
KR2019870020697U 1987-11-27 1987-11-27 내용제성 및 내마모성 측정장치 KR9200077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0697U KR920007717Y1 (ko) 1987-11-27 1987-11-27 내용제성 및 내마모성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0697U KR920007717Y1 (ko) 1987-11-27 1987-11-27 내용제성 및 내마모성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238U KR890011238U (ko) 1989-07-13
KR920007717Y1 true KR920007717Y1 (ko) 1992-10-17

Family

ID=19269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0697U KR920007717Y1 (ko) 1987-11-27 1987-11-27 내용제성 및 내마모성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71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238U (ko) 198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8938B2 (ja) ゴム摩耗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
US4149405A (en) Process for measuring the viscosity of a fluid substance
JP2007509326A (ja) 半固体材料を検査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RU94010095A (ru) Система анализа индикаторной полоски
DE59107707D1 (de) Analysesystem und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s Analyten in einer fluiden Probe
KR920007717Y1 (ko) 내용제성 및 내마모성 측정장치
US2860510A (en) Cantilever stiffness and curl tester
US4091654A (en) Magnetic recording member abrasion tester
DE3771384D1 (de) Verfahren zur ermittlung von messdaten ueber eine optische uebertragungsstrecke mittels eines optischen sensors.
JPS636404A (ja) 針入度またはちよう度の測定方法および測定装置
SU94770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спытани образцов материалов на изнашивание
RU228911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ытания материалов на трение
RU224429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ытания материалов на трение
JPH09178470A (ja) 表面粗さ測定評価方法および装置
CN113686735B (zh) 测量血液凝固属性的方法及装置
Orr et al. A Single-Fiber Load-Elongation Tester for Cotton
SU168462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пределени механических свойств материалов
RU29378U1 (ru) Прибор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осыпаемости тканей
SU119351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спытани на трение текстильных материлов
JPH1123449A (ja) 粘着材料の保持力測定装置およびその方法
SU1725107A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 качества обработки поверхности образца
SU748190A1 (ru) Конический пластометр
RU221855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диаметра стальных канатов
SU1682765A1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 линейных параметров детали на микроинтерферометре
SU176223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пределени шероховатости образца бумаги и карто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