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709B1 - 화분 - Google Patents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709B1
KR920006709B1 KR1019900013345A KR900013345A KR920006709B1 KR 920006709 B1 KR920006709 B1 KR 920006709B1 KR 1019900013345 A KR1019900013345 A KR 1019900013345A KR 900013345 A KR900013345 A KR 900013345A KR 920006709 B1 KR920006709 B1 KR 920006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outer cylinder
inner cylinder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3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3840A (ko
Inventor
김영권
Original Assignee
김영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권 filed Critical 김영권
Priority to KR1019900013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6709B1/ko
Publication of KR920003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분
제1도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부재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제1도상의 각부재를 체결한후 A-A선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 4 : 주수구
10 : 내통 13 : 급수관
15 : 요홈 15A : 연장부재
20 : 부유부재
본 발명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적정량의 물을 자동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급수양의 조절기능도 구비한 자동급수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화분의 급수방식은 화분위에서 식물과 토양을 통과하여 화분저면에 구성한 배수구로 배출된다.
따라서, 식물의 물흡수정도 및 토양의 수분함유량을 감안하여 매일 또는 2∼3일 간격으로 물을 공급해야 하며, 또한 여행등 관리자의 부재로 인하여 장기간 동안 물을 공급하지 못할 경우에는 식물이 고사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뿐만아니라, 화분내의 토양은 다량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토양의 표면은 대기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마른 상태일 경우에도 흙표면의 건조 상태만 보고 화분에 물을 계속 공급하여 흙내부의 과도한 수분함량으로 인하여 뿌리가 썩어 식물이 죽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자동급수 화분이 제시되었다.
자동급수 화분은 흙을 담는 재배조와 급수재를 내장한 급수관을 구비하여 급수관 상단은 다수의 소공을 형성, 경계판에 대응되게하고, 급수관 하단은 저수조의 저면 인접부까지 연장되게 하였다.
따라서, 재배조에 토양을 채워 식물을 심고, 저수조에 물을 수용할 경우 물은 급수재 및 토양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 급수관 상단을 통과하여 재배조내의 흙에 자동적으로 공급될 뿐아니라, 급수관 상단의 다수개의 소공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재배조내로 공급되는 급수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화분 역시, 경계판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저수조와 재배조 사이에 공기 소통이 되지 않도록 접착재 등을 사용하여 접착시켜야 되는데, 이러한 작업공정이 매우 힘이 드는 기술상의 난점과, 식물을 화분에 심기전에 식물을 종류에 따라 미리 급수조절(소공들의 개폐)을 행하여야 하며, 식물을 심은 뒤 급수조절을 해야할 필요가 있을 경우 화분내의 식물과 토양을 제거한 뒤 급수조절을 하고 다시 심어야 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기존의 화분이 가지고 있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토양에 일정량의 수분공급은 물론, 식물의 수분흡수 정도에 따라 화분내의 적당량의 수분이 공급될 수 있으며 식물이 심어진 상태에서 급수량 조절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한 화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은 상부개방형 원통부재(1)로서, 일측중앙부에는 일정면적의 주수구(4)를 형성하고, 하단 원주면에는 받침대(3)를 구성한 외통(1)과, 상기 외통(1)내로 삽설되는 상부개방형 원통부재(10)로서, 상단에는 전원주면에 걸쳐 Г형으로 외측으로 절곡시킨 걸림턱(12)을 구성하고, 본체(11) 하단에는 상기 주수구(4)와 대응하는 동일 또는 유사한 폭 및 길이의 요홈(15)을 구성하며, 상기 요홈(15)하단에는 상기 외통(1)내부 저면과 하단이 어느정도 간격이 발생하는 연장부재(15A)를 고착하며, 상기 본체(11) 저면에는 본체(11)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상기 연장부재(15A)와 동일길이의 급수관(13)을 다수개 구성하여 각각에 급수재(14)를 삽설시킨 내통(10) 및, 상부개방형 본체(21)상에 일정 길이의 부유침(23)이 고착된 평판(22)을 고착하여 상기 내통(10)의 연장부재(15A) 내부면과 이와 대응하는 외통(1)의 본체면(2) 사이에서 물의 부력을 받아 유동하는 부유부재(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부재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제1도상의 각부재를 체결한 후 A-A선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크게 외통(1), 내통(10) 및 부유부재(20)으로 구별된다. 외통(10)은 일정직경의 상부개방형 원통부재로서, 본체(2)저부에는 받침대(3)를 형성하고 측면의 중간부에는 소정면적의 절개부(4)를 형성하여 외통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이하 주수구라 칭한다.)
내통(10)은 외통(1)에 삽설될 수 있는 보다 작은 직경의 상부개방형 원통부재로서, 토양 및 식물을 수용하는 재배조 기능을 수행하며, 상단에는 삽설한 상태에서 외통(1)상단에 걸릴 수 있도록 외측으로 Г형태로 절곡시킨 걸림턱(12)를 구성하여 삽설시 내통(10) 하단과 외통(1) 저면에 소정간격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 걸림턱(12)은 내통(10)의 외통(1)에 대한 착탈시 손잡이 역할도 수행한다.
내통(10)은 외통(1)에 삽설될 수 있는 보다 작은 직경의 상부개방형 원통부재로서, 토양 및 식물을 수용하는 재배조 기능을 수행하며, 상단에는 삽설한 상태에서 외통(1)상단에 걸릴 수 있도록 외측으로 T형태로 절곡시킨 걸림턱(12)은 내통(10)의 외통(1)에 대한 착탈시 손잡이 역할도 수행한다.
내통(10) 본체(11)의 하부에는 일정공간의 사각 요홈(15)을 구성하여 외통(1)의 주수구(4)와 연통되도록 하며, 요홈(15)하단에는
Figure kpo00001
형 단면을 갖는 연장부재(15A)를 고착하여 요홈(15)과 연통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도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통(10)의 걸림턱(12)내부 상단에서 요홈(15) 상단까지의 길이 l1은 외통(1) 상단에서 주수구(4)상단까지의 길이 l4와 동일하며, 요홈(15) 폭 w2과 길이 l2는 주수구(4)의 폭 w5도 길이 l5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함으로서, 외통(1)내로 내통(10)을 삽설시킬 경우 내통(10)의 요홈(15)을 주수구(4)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연장부재(15A)의 길이 l3는 외통(1)의 주수구(4) 하단에서부터 본체(2)내부 저면까지의 길이 l6과 유사하거나 보다 작게 구성하여 삽설시 연장부재(15A)가 본체(2)내부 저면에서 이격되도록 한다.
내통(10)의 본체(11)하단면에는 본체(11)내부와 연통되는 다수의 급수관(13)을 구성하되, 각급수관(13)하단의 직경을 상부 관직경 보다 작게하여 급수재(14)를 하부에 수요할시 급수재(14)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며, 토양은 급수관(13)내의 급수재(14) 표면까지 수용한다.
제2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급수관(13) 길이는 연장부재(15A)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성하여 급수관(13) 하단이 외통(1)내부 저면과 어느 정도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부언하고자 하는 것은 급수관(13)하단을 외통(1)내부 저면에 접착되게 하더라도, 그대신 각급수관(13)의 하단 일부에 요홈을 형성시켜 외통(1)에 담겨진 물이 요홈을 통해 급수관(13)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있다는 것을 밝혀두고자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외통(1)내에 내통(10)을 삽설시키면, 내통(10)은 상단의 걸림턱(12)이 외통(1)의 상단에 걸쳐지게 된다. 내통(10)하부의 연결부재(15A)하단과 각급수관(13)의 하단은 외통(1)내부 저면과 어느 정도 이격되며, 내통(10)의 요홈(15A)은 외통(1)의 주수구(4)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수위의 변화에 따라 요홈(15) 및 연장부재(15A)내부에서 상하운동하는 부유부재(20)는 일정공간을 갖는 상부개방형 본체(21)상에 부유침(23)이 고착된 평판(22)을 고착함으로서, 부력을 갖고 수면에 떠오르게되어 수위를 가시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의 사용을 제1도 및 제2도를 통하여 설명하면, 토양 및 식물을 수용한 내통(10)을 요홈(15) 및 연장부재(15A)내에 부유부재(20)를 수용한 상태로 요홈(15)과 연장부재(15A)는 주수구(4)에 대응하여 외통(1)에 삽설시킨후 주수구(4)를 통하여 외통(1)하부에 물을 급수하게 된다.
이때 물은 주수구(4)하단까지 수위가 올라갈때까지 급수하며, 이부분이 외통(1)의 저수조가 된다.
물은 연장부재(15) 하단을 통하여 저수조 전공간에 걸쳐 공급되고 급수관(13)내에 내장된 급수재(14) 및 토양의 모세관 형상으로 인하여 내통(10)내부에 담겨진 흙전체로 상향 공급되어 식물의 뿌리에 적절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토양 및 식물의 뿌리에 수분이 공급됨에 따라 수면이 하향이동하고 요홈(15) 및 연장부재(15A)는 주수구(4)에 대응하여 외통(1)에 삽설시킨후 주수구(4)를 통하여 외통(1)하부에 물을 급수하게 된다.
이때 물은 주수구(4)하단까지 수위가 올라갈때까지 급수하며, 이부분이 외통(1)의 저수조가 된다.
물은 연장부재(15) 하단을 통하여 저수조 전공간에 걸쳐 공급되고 급수관(13)내에 내장된 급수재(14) 및 토양의 모세관 현상으로 인하여 내통(10)내부에 담겨진 흙전체로 상향 공급되어 식물의 뿌리에 적절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토양의 수분함유 정도에 따라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 식물 및 토양이 수용된 상태의 내통(10)을 외통(1)에서 분리하여 다수개의 급수관(13) 저면을 고무마개 또는 접착테이프등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급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외통의 저수조 부분에 물을 공급하게 되면 2∼3개월 동안 자동적으로 식물 및 토양에 수분이 공급되어 화분에 매일 또는 2∼3일 간격으로 물을 주는 번거로움이 해결되며, 식물이 심어져 있는 상태에서도 급수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유부재를 사용함으로서 외통내에 저수된 물의 양을 외부에서 감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시기를 손쉽게 체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된 외통은 스테인레스나 도자기 같은 고품위 재질로 제작하고, 내통은 플라스틱 같은 값싼 재질로 제조함으로서, 적은 비용으로 화분의 외양을 고급스럽게 할 수도 있다.

Claims (5)

  1. 상부개방형 원통부재(1)로서, 일측중앙부에는 일정면적의 주수구(4)를 형성하고, 하단에 원주면에는 받침대(3)를 구성한 외통(1)과, 상기 외통(1)내로 삽설되는 상부개방형 원통부재(10)로서, 상단에는 전원주면에 걸쳐 Г형으로 외측으로 절곡시킨 걸림턱(12)을 구성하고, 본체(11)하단에는 상기 주수구(4)와 대응하는 동일 또는 유사한 폭 및 길이의 요홈(15)을 구성하며, 상기 요홈(15)하단에는 상기 외통(1)내부 저면과 하단이 어느정도 간격이 발생하는 연장부재(15A)를 고착하며, 상기 본체(11) 저면에는 본체(11)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상기 연장부재(15A)와 동일길이의 급수관(13)을 다수개 구성하여 각각에 급수재(14)를 삽설시킨 내통(10) 및, 상부개방형 본체(21)상에 일정길이의 부유침(23)이 고착된 평판(22)을 고착하여 상기 내통(10)의 연장부재(15A) 내부면과 이와 대응하는 외통(1)의 본체면(2)사이에서 물의 부력을 받아 유동하는 부유부재(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13)은 수용된 상기 급수재(1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하단 원주면 일부길이를 내측으로 절곡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3. 제1항에 있어서, 내통(10)의 본체(11) 하단 높이는 외통(1)의 주수구(4) 하단의 높이 이상의 높이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4. 제1항에 있어서, 급수관(13) 하단이 외통(1)내부 저면에 닿도록 하는 대신 급수관(13)길이 방향으로 요홈을 형성시켜, 외통(1)에 담겨진 물이 요홈을 통해 급수관(13)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5. 제1항에 있어서, 내통(10)하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급수관(13)중 일부수의 급수관(13)의 상기 요홈 입구의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하여, 내통(10)내의 흙의 수분함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KR1019900013345A 1990-08-29 1990-08-29 화분 KR920006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3345A KR920006709B1 (ko) 1990-08-29 1990-08-29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3345A KR920006709B1 (ko) 1990-08-29 1990-08-29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840A KR920003840A (ko) 1992-03-27
KR920006709B1 true KR920006709B1 (ko) 1992-08-17

Family

ID=19302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3345A KR920006709B1 (ko) 1990-08-29 1990-08-29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670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840A (ko) 199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8664A (en) Hydroculture growing system with improved light/water meter
US4829709A (en) Self-watering flower pot
US6219969B1 (en) Plant containerizing and watering device
US5502924A (en) Planter assembly having automatic water-feeding and drying intervals
US4527354A (en) Implantable reservoir for automatic watering of plants
US9060472B2 (en) Plant container
US4885869A (en) Automatic water-supplying flowerpot utilizing the capillary action and its water-supplying control method
WO2005058016A1 (en) Root and water management system for potted plants
US5107621A (en) Hydroculture growing system with improved light/water meter
US5247762A (en) Hydraulic planter system
JP4898161B2 (ja) 植木鉢
EP0217817B1 (en) Water-controlled plant growing device
KR200302520Y1 (ko) 수분 공급장치 및 수위측정기구가 장착된 화분
KR920006709B1 (ko) 화분
CN2234692Y (zh) 自动吸水式植物栽培盆
RU207078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с автоматическим увлажнением почвы
JP4003103B2 (ja) 自動灌水植物栽培容器
KR940000476B1 (ko) 급수량 조절이 가능한 자동급수 화분
WO1998053668A1 (en) Fluid store and dispenser
KR102303717B1 (ko)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
US11617314B2 (en) Self-wicking plant growth receptacle
JPH04129756U (ja) かん水栽培方法における水位調整構造
KR102653506B1 (ko) 자동 관수 화분
JP3003407U (ja) 自動潅水植木鉢
JP3027161U (ja) 植木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