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348Y1 - 스트레이너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레이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348Y1
KR920006348Y1 KR2019870023163U KR870023163U KR920006348Y1 KR 920006348 Y1 KR920006348 Y1 KR 920006348Y1 KR 2019870023163 U KR2019870023163 U KR 2019870023163U KR 870023163 U KR870023163 U KR 870023163U KR 920006348 Y1 KR920006348 Y1 KR 9200063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er
cap
valve
ho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31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723U (ko
Inventor
김현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231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6348Y1/ko
Publication of KR8900127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7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3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3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트레이너장치
제1도는 종래 스트레이너 장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스트레이너 장치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스트레이너 장치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밸브실
12 : 조립공 13 : 유입연결구
14 : 유입구 15 : 유출구
16 : 스트레이너삽입부 17, 18 : 밸프패킹
21 : 밸브볼 22 : 밸브공
23 : 스트레이너삽입공 24 : 캡
25 : 오링 26, 29 : 결합돌기
27, 28 : 결합홈 31 : 걸림편
32 : 플랜지부 33 : 절개홈
34 : 손잡이 40 : 스트레이너
50 : 자석
본 고안은 각종 배관에 접속되어 배관을 통해 흐르는 액체(물 또는 기름등)에 혼합된 이물질(산화철포함)을 제거하는 스트레이너(Strainer)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해·조립 및 청소가 매우 간편하게 되도록 한 스트레이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배관에는 스트레이너와 자석이 내장된 스트레이너장치를 설치하여 배관을 통해 흐르는 액체(물 또는 기름등)에 혼합된 이물질과 산화철을 여과·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스트레이너 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에 유입구(3)와 유출구(4)가 형성되고 중간부에 스트레이너삽입부(2)가 일체로 형성된 장치본체(1)와, 상기 장치본체(1)의 스트레이너삽입부(2)에 삽입되는 스트레이너(5) 및 상기 스트레이너삽입부(2)에 나사체결되는 캡(6)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트레이너(5)는 그 하단이 본체(1)의 내부 중간에 형성된 걸림환턱(7)에 걸려서 지지되고 그 상단부는 상기 캡(6)의 고정홈(8)에 삽입고정되는 것으로 유입구(3)에서 유입된 액체가 스트레이너(5)를 통해 유출구(4)로 유출되는 과정에서 스트레이너(5)에 의하여 액체내에 함유된 이물질이 여과·제거되어 유출구(4)측으로는 여과정화된 액체가 유출되도록 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트레이너장치에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스트레이너(5)에는 이물질이 포집누적되는 바이를 청소하기 위해서 캡(6)을 풀어내어 그 캡(6)의 고정홈(8)에 고정된 스트레이너(5)를 삽입부(2)에서 인출하여 스트레이너(5)를 청소한 후 다시 조립해야 하는 바 캡(6)을 풀어냈을때 액체가 스트레이너삽입부(2)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이너장치의 양단측에 별도의 밸브(미도시)를 설치하여 청소하는 동안 액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해야 하므로 배관라인에 스트레이너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필수적으로 두개의 밸브가 필요로 하게 되어 배관부품이 증가되고 배관작업이 그만큼 지연되며 배관비용이 증가될뿐아니라 청소시에도 일일이 양측밸브를 잠근 후 스트레이너(5)를 인출하여 청소하고 다시 스트레이너(5)를 조립후 밸브를 열어야 하므로 스트레이너(5)의 청소작업이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폐단이 있을 뿐아니라, 이에따라 사용자가 번거로움을 이유로 적기에 청소를 하지 않게되어 스트레이너장치내에 이물질이 과다하게 축적되고 배관내의 액체의 여과, 정화성능이 저하되어 배관내에 이물질이 축적·부착되는등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폐단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트레이너를 장치본체에서 분리인출하였을때 자체적으로 관로가 닫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밸브를 설치하여 여닫을 필요없게되어 배관부품의 감소와 배관작업과 청소작업의 간편화 및 청소시간의 단출을 기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적기에 청소를 하게되어 스트레이너 및 배관의 오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스트레이너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스트레이너장치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장치본체(10)의 내부에 스트레이너(40)와 자석(50)을 삽입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10)의 양측에는 내부의 밸브실(11)에 연통되는 조립공(12)과 유출구(15)를 형성하여 상기 조립공(12)에는 유입구(14)가 형성된 유입연결구(13)를 체결고정하고, 중간부에는 상기 밸브실(11)에 연통되는 스트레이너삽입부(16)를 형성하며, 상기 밸브실(11)내에는 유입통공(19)과 유출통공(20) 이 형성된 밸브패킹(17)(18)과, 밸브공(22)과 상기 스트레이너(40)가 삽입되는 스트레이너삽입공(23)이 천공된 밸브볼(21)을 삽입설치하고, 상기 스트레이너삽입부(16)내에는 상기 자석(50)이 고정된 저면에 스트레이너(40)가 삽입지지된 캡(24)을 삽입하여 그 주면에는 상기 삽입부(16)와의 사이에 밀착되는 오링(25)을 끼우며, 그 저면에는 상기 밸브볼(21)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돌기(26) 및 결합홈(27)에 맞물리는 결합홈(28)와 결합돌기(29)를 형성하고, 상기 캡(24)의 상부에는 상기 삽입부(16) 상단에 형성된 요홈(30)에 삽입되는 플랜지부(32)를 형성하여 그 주연부 양측에는 삽입부(16)의 상단 양측에 돌출형성된 걸림편(31)에 일치하는 절개홈(33)을 형성하며, 상기 캡(24)의 상면에는 손잡이(34)을 고정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유입연결구(13)는 그 내측단부에 나사부(35)를 형성하여 본체(10)의 조립공(12)에 형성된 나사부(36)에 체결고정하며, 조립공(12)은 상기 밸브패킹(17)(18)과 밸브볼(21)을 밸브실(11)내에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천공한다.
상기 스트레이너(40)에는 급수홈(41)을 형성하며, 상기 캡(24)의 저면에는 자석(50) 주위를 감싸는 스트레이너삽입홈(37)을 형성하여 스트레이너(40)의 상단부를 삽탈가능하게 삽입지지하며 상기 밸브볼(21)에 형성된 스트레이너삽입공(23)의 바닥에는 스트레이너(40)의 하단이 지지되는 지지돌환(38)을 형성한다.
상기 스트레이너삽입부(16) 상단의 걸림편(31)은 유입구(14)와 유출구(15)측에 대칭으로 형성하며 캡(24)의 플랜지부(32)의 절개홈(33)은 캡(24) 하부에 결합되는 밸브볼(21)의 밸브공(22)와 직교하는 위치에 형성한다.
상기 손잡이(34)는 고정볼트(39)에 의해 캡(24)의 상면에 고정설치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스트레이너장치는 상기 밸브패킹(17)(18)과 밸브볼(21)을 본체(10)의 조립공(12)을 통해 밸브실(11)내에 삽입하되 밸브공(22)이 유입구(14)와 유출구(15)를 잇는 축선에 대해 직교되게 셋팅하고, 조립공(12) 의 나사부(36) 에 유입연결구(13) 의 나사부(35) 를 체결하며, 상기 스트레이너삽입부(16)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편(31)에 캡(24)의 절개홈(33)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스트레이너(40)와 자석(50)이 설치된 캡(24)을 삽입부(16)에 삽입하여 캡(24) 하단의 결합홈(28)과 결합돌기(29)를 밸브볼(21)의 결합돌기(26)과 결합홈(27)에 맞물려 결합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플랜지부(232)를 요홈(30)에 삽입되게한 후 캡(24)의 상면에 손잡이(34)를 고정볼트(39)로 고정 설치하여 조립하는 것이며, 유입구(14)와 유출구(15)측을 배관타인(미도시)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34)에 의해 캡(2l)과 이에 맞물려 결합된 밸브볼(21)을 90° 돌리면 제3도와 같이 밸브공(22)이 유입구(14) 및 유출구(15)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되며, 캡(24)은 그 플랜지부(32)가 삽입부(16)의 걸림편(31)에 걸려서 임의로 빠지지 않게 된다.
배관라인에 연결설치한 상태에서 유입구(14)를 통해 유입된 액체(물 또는 기름)는 유입통공(19)을 통해 밸브실(11)내로 들어가고 다시 밸브공(22)을 통해 스트레이너삽입공(23)내로 들어가서 스트레이너(4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되고 자석(50)에 의해 산화철이 여과 및 흡착제거되어 다시 정화된 액체가 밸브공(22)과 유출통공(20) 및 유출구(15)를 통해 배관라인으로 유출되는 것이다.
밸브실(11)내에서는 상기 패킹(17)(18)과 오링(25)에 의해 기밀하게되어 액체의 누설은 일어나지 않는다. 이와같이 사용중 스트레이너(40)의 청소가 필요한 시기가 된 경우에는 손잡이(34)로써 캡(24)과 밸브볼(21)을 90° 돌리면 캡(24)의 플랜지부(32)에 형성된 절개홈(33)이 상기 삽입부(16)의 걸림편(31)에 일치하게되어 캡(24)을 삽입부(16)에서 인출할 수 있게 되는 바, 이때 밸브공(22)을 최초 조립시와 같이 유입구(14)와 유출구(15)에 대해 직각으로 되어 유입구(14)와 유출구(15)를 차단하게 되므로 캡(24)을 인출하더라도 배관내의 액체가 상기 삽입부(16)을 통해 유출되지 않게 된다.
캡(24)을 인출하면 그 저면에 고정된 자석(50)과 삽입홈(37)에 삽입된 스트레이너(40)가 함께 인출되는 바 이때 스트레이너(40)를 삽입홈(37)에서 분리하여 스트레이너(40)와 자석(50)에 축적된 이물질과 산화철등을 제거해 낸후 다시 상술한 방법으로 조립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스트레이너장치의 양측에 별도의 밸브를 설치하여 청소시 이들 밸브를 잠글필요없이 손잡이를 90° 돌리는 것만으로써 액체를 차단함과 아울러 스트레이너를 인출할 수 있으므로 배관부품이 감소되고 배관이 간편하게 되며 청소작업이 편리하게 되어 사용자가 적기에 청소할 수 있게되므로 항상 배관내의 정화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장치본체(10)의 내부에 스트레이너(40)와 자석(50)을 삽입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10)의 양측에는 내부의 밸브실(11)에 연통되는 조립공(12)과 유출구(15)를 형성하여 상기 조립공(12)에는 유입구(14)가 형성된 유입연결구(13)를 체결고정하고, 중간부에는 상기 밸브실(11)에 연통되는 스트레이너삽입부(16)를 형성하며, 상기 밸브실(11) 내에는 유입통공(19)과 유출통공(20) 이 형성된 밸브패킹(17) (18)과, 밸브공(22)과 상기 스트레이너(40)가 삽입되는 스트레이너 삽입공(23)이 천공된 밸브볼(21)을 삽입설치하고, 상기 스트레이너삽입부(16)내에는 상기 자석(50)이 고정된 저면에 스트레이너(40)가 삽입지지된 캡(24)을 삽입하여 그 주면에는 상기 삽입부(16)와의 사이에 밀착되는 오링(25)을 끼우며, 그 저면에는 상기 밸브볼(21)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돌기(26) 및 결합홈(27)에 맞물리는 결합홈(28)와 결합돌기(29)를 형성하고, 상기 캡(24)의 상부에는 상기 삽입부(16) 상단에 형성된 요홈(30)에 삽입되는 플랜지부(32)를 형성하여 그 주연부 양측에는 삽입부(16)의 상단 양측에 돌출형성된 걸림편(31)에 일치하는 절개홈(33)을 형성하며, 상기 캡(24)의 상면에는 손잡이(34)를 고정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장치.
KR2019870023163U 1987-12-26 1987-12-26 스트레이너장치 KR9200063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3163U KR920006348Y1 (ko) 1987-12-26 1987-12-26 스트레이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3163U KR920006348Y1 (ko) 1987-12-26 1987-12-26 스트레이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723U KR890012723U (ko) 1989-08-07
KR920006348Y1 true KR920006348Y1 (ko) 1992-09-17

Family

ID=19270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3163U KR920006348Y1 (ko) 1987-12-26 1987-12-26 스트레이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634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288A (ko) 2018-10-24 2020-05-07 이상무 자석결합형 스트레이너
KR102079671B1 (ko) 2019-07-01 2020-02-20 이상무 각종 스트레이너용 자석식 철분포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723U (ko) 198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0782B2 (en) Backwash flushing filter
US5022986A (en) Manifold and disposable filter assembly
EP3665421A1 (en) Magnetic filter for a central heating system
MXPA01003639A (es) Unidad de filtracion de fluido.
US5406974A (en) Automatic fluid flow control and strainer device
US6322696B1 (en) Inlet filter for high pressure sprayer
CN214714876U (zh) 水栓用净水装置
KR920006348Y1 (ko) 스트레이너장치
KR100287077B1 (ko) 정수기 필터 지지장치
US6149703A (en) Fuel system filtering apparatus
KR200198110Y1 (ko) 절수기능을 가진 밸브 유니온
KR20030063111A (ko) 절수기능을 가진 밸브 유니온
KR950002138Y1 (ko) 유체 차단식 여과밸브
KR950002139Y1 (ko) 센서가 부착된 유체 차단식 여과 밸브
KR920000938Y1 (ko) 보조 정수기
KR960007675Y1 (ko) 보조 정수기
KR960007022Y1 (ko) 가스 여과기
JP3003093B2 (ja) ドレントラップ
KR0139324B1 (ko) 관로에 설치되는 필터의 교환장치
JP3049769U (ja) ろ水器用水流切換弁
KR960010298Y1 (ko) 배관순환유체의 불순물 여과장치
KR200338959Y1 (ko) 수도 직결식 정수기의 토출관 결합구조
KR960003039Y1 (ko) 트랩용 여과장치
JPS5826005Y2 (ja) ストレ−ナ
KR100878896B1 (ko) 정수기용 필터 하우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