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938Y1 - 보조 정수기 - Google Patents

보조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938Y1
KR920000938Y1 KR2019890016814U KR890016814U KR920000938Y1 KR 920000938 Y1 KR920000938 Y1 KR 920000938Y1 KR 2019890016814 U KR2019890016814 U KR 2019890016814U KR 890016814 U KR890016814 U KR 890016814U KR 920000938 Y1 KR920000938 Y1 KR 9200009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water purifier
cas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68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8699U (ko
Inventor
손종윤
차은상
Original Assignee
손종윤
차은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종윤, 차은상 filed Critical 손종윤
Priority to KR20198900168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938Y1/ko
Publication of KR9100086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6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9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9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01D35/046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the filtering element being mounted in the faucet plu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조 정수기
제1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조립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조립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연결밸브 11 : 보조정수기 본체
12 : 케이스 13 : 마이크로 휠터부
14 : 패킹 15 : 연결관
17 : 나사부 18 : 휠터설치구멍
19 : 나사부 20 : 결합부
21 : 배수구멍 22 : 단부
23 : 배수구멍 24 : 휠터캡
25 : 걸름망 26 : 부직포
27 : 마이크로 휠터 29 : 휠터뚜껑
본 고안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정수기의 사용시 수도공사, 누수현상 및 저장탱크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이물질을 1차로 걸러줌과 동시에 정수토록하여 정수기의 휠터 수명을 연장시킴은 물론 정수효율을 더욱 높이고자안출한 보조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각종 정수기의 수도꼭지와 직접연결하여 사용되고 있는바, 이는 수도공사, 누수현상 및 저장탱크의 사용시 사후관리 소홀로 인해 이물질이 배출되었기 때문에 정수휠터 용량으로는 제대로 처리되는 시간이 적어서 휠터의 수명에 비해 정수효율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었으며, 이를 보완하고자 고가의 휠터를 교체하야되는 경제적인 부담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해결하고자안출한 것으로, 포리 카보네이트재의 마이크로 휠터가 내장된 보조정수기를 수도꼭지 또는 연결밸브에 설치한후 정수기와 연결되게 하므로써 수도공사,누수현상 및 저장탱크의 사용시 발생되는 이물질을 1차로 걸러줌과 동시에 정수를 겸비하도록 하고, 그 보조정수기를 통해 정수된 물은 정수기로 공급토록 하므로써 2차로 정수토록하여 정수효율의 높힘은 물론 고가품 휠터의 사용수명을 연장시켜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줄수 있는 등 매우 실용적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제1도 내지 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써, 부호1은 수도밸브본체이며, 그 본체(1)는 각각 냉, 오수 공급용 냉, 온수 조절손잡이(2)(3)및 냉, 온수 밸브(4)(5)를 각각 설치하며, 중앙에 나사부(6)가 형성된 수도꼭지(7)가 좌, 우 유동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냉수밸브(4)에 개폐손잡이(8)의 좌, 우 작동에 의해 개폐되는 연결밸브(9)를 나사식 결합시켜 일체화하고, 상기 연결밸브(9)는 ″ㄱ″자형으로써, 타단에 나사부(10)를 형성한다.
그리고 부호 11은 보조정수 기본체로써, 그 본체(11)는 케이스(12), 마이크로 휠터부(13), 패킹(14), 연결관(15)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2)는 투명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되며, 상부에 육각부(16)가 형성되게 돌출시키고, 그 내주면에 나사부(17)를 형성하여 일측이 개방된 휠터설치구멍(18)을 형성하고, 하부에 단부(22)를 형성시킨후 나사부(19)가 형성된 결합부(20)에 배수구멍(21)을 형성시켜 상기 휠터 설치구멍(18)과 연통되게 한다.
상기 마이크로 휠터부(13)는 제조시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자유로히 교체가능토록 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 중앙에 배수구멍(23)을 형성한 휠터 캡(24)의 내부에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걸름망(25), 부직포(26), 마이크로 휠터(27)를 적층되게 삽입설치한후 상부에 유입구멍(28)이 형성된 휠터뚜껑(29)을 밀봉시켜 일체화되게 한다.
상기 마이크로 휠터(27)는 포리 카보네이트재로써 압축성형하여 정수효율을 높히도록 한다.
상기 연결관(15)은 단부(30)가 형성된 상, 하부 내외주면이 각각 나사부(31)와 닛뿔부(32)를 형성한다.
그후 보조정수기 본체(11)를 조립하고자 할때에는 케이스(12)의 휠터설치구멍(18)에 마이크로 휠터부(13)를 삽입설치한후 그 마이크로 휠터부(13)의 삽입설치시 걸름망(25)이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한다.
그후 상기 케이스(12)의 결합부(20)의 나사부(19)에 연결관(15)의 나사부(31)를 나사식 결합시켜 일체화 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어 보조정수기 본체(11)를 구성시킨후 케이스(12)의 나사부(17)를 상기 연결밸브(9)의 나사부(10)에 나사식 결합시켜 일체화 하고, 이와동시에 연결밸브(9)와 케이스(12) 사이에 패킹(14)이 설치되게 하여 누수를 방지토록 한다.
이때 보조정수기 본체(11)는 하방을 향하도록, 예컨대 연결밸브(9)가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한다.
그후 보조정수기 본체(11)의 연결밸브(9)의 닛뿔부(32)에 각종 정수기(33)와 직접 또는 호스(34)등으로 연결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한편, 실시예로써, 보조정수기 본체(11)를 수도밸브 본체(1)의 수도꼭지(7)에 직접설치하여 정수기(33)와 연결하여도 무방하며, 또한 정수기 (33)의 설치가 필요없이 단지 보조정수기 본체(11)만 수도꼭지(7)또는 연결밸브(9)에 연결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수도밸브본체(1)의 냉수밸브(4)에 냉수가 항상 공급된 상태에서 연결밸브(9)의 개폐손잡이(8)를 닫힘위치에서 열림위치로 작동시키면 냉수는 연결밸브(9)를 통해 보조정수기본체(11)로 공급하게 된다.
즉, 보조정수기 본체(11)로 공급된 냉수는 마이크로 휠터부(13)의 케이스(12)에 상부에 일체화된 휠터뚜껑(29)의 유입구멍(2)을 통과하여 걸름망(25), 부직포(26)및 마이크로 휠터(27)를 통해 케이스(12)의 배수구멍(21)으로 배수되어 정수기(33)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걸름망(25)을 통과할때 수동공사, 누수현상 및 저장탱크의 사용시 발생되는 이물질을 1차로 걸러주고, 부직포(26)및 마이크로 휠터(27)를 거치는 냉수는 1차로 정수된다.
따라서, 보조정수기 본체(11)를 통해 정수된 냉수는 정수기(33)에 의해 2차로 정수되므로 오염되지 않은 정수된 물을 음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1차로 이물질을 제거 및 정수하는 마이크로 휠터부(13) 수명은 정수기(33)의 휠터보다 짧게 된다.
그러므로 마이크로 휠터부(13)를 교체해야 되므로 이때에는 보조정수기본체(11)를 연결밸브(9)에서 분리시킨후 패킹(14)과 미이크로 휠터부913)를 케이스(12)에서 각각 꺼내고 마이크로 휠터부(13)만 교체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교체시기는 투명 케이스(12)로 투시되는 마이크로 휠터부(13)의 색상변경으로 알수 있기 때문에 누구든지쉽게 판별할수가 있다.
상기 마이크로 휠터부(13)의 가격은 정수기(33)에 내장된 휠터보다 현저하게 저렴하기 때문에 부담없이 교체할 수 있고 또한 소비자가 간단하게 교체할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와 신뢰도를 높일수 있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의 실시예로써, 연결밸브(9)가 없는 경우 본 고안의 보조정수기 본체(11)를 냉수 밸브(4)에 설치하지 않고, 수도꼭지(7)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며, 또한 정수기(33)가 없는 가정이나 공공건물에서 보조정수기 본체(11)만 설치하여 사용하여도 물을 음용할수 있으므로 매우 실용적인 것이다.

Claims (1)

  1. 냉, 온수 조절손잡이(2)(3)및 냉, 온수 밸브(4)(5), 수도꼭지(7)가 설치된 수도밸브본체(1)에 정수기(33)를 연결한 것에 있어서, 상부의 내외주면에 나사부(17)와 육각부(16)가 형성되게 일측이 개방된 투명케이스(12)의 휠터 설치구멍(18)에, 하부중앙에 배수구멍(23)을 형성한 캡(24)의 내부에 상부에서 하부로 걸름망(25), 부직포(26), 마이크로 휠터(27)를 삽입설치하고 유입구멍(28)이 형성된 휠터뚜껑(29)으로 밀봉시킨 마이크로휠터부(13)를 삽입설치하고, 상기 케이스(12)의 하부에 배수구멍(21)을 형성시킨 결합부(20)의 나사부(19)에 연결관(15)의 나사부(31)와 나사식 결합하여 보조정수기 본체(11)를 구성하고, 상기 보조정수기 본체(11)의 케이스(12)를 상기 냉수밸브(4)에 설치된 연결밸브(9)와 결합시킴과 동시에 패킹(14)으로 밀폐되게 하여 1차로 정수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정수기.
KR2019890016814U 1989-11-14 1989-11-14 보조 정수기 KR9200009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6814U KR920000938Y1 (ko) 1989-11-14 1989-11-14 보조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6814U KR920000938Y1 (ko) 1989-11-14 1989-11-14 보조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699U KR910008699U (ko) 1991-06-27
KR920000938Y1 true KR920000938Y1 (ko) 1992-02-06

Family

ID=19291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6814U KR920000938Y1 (ko) 1989-11-14 1989-11-14 보조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93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189B1 (ko) * 2002-01-23 2005-02-22 최대영 밸브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45494B1 (ko) 2022-11-02 2023-06-22 (주)늘푸른씨앤씨 데미스터 자동 세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189B1 (ko) * 2002-01-23 2005-02-22 최대영 밸브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45494B1 (ko) 2022-11-02 2023-06-22 (주)늘푸른씨앤씨 데미스터 자동 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699U (ko) 1991-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5692A (en) Water filter
US4454891A (en) Air gap drain module for use in a reverse osmosis system
US4980073A (en) Valve stem for a filter device
US7354513B2 (en) Countertop water treatment unit
KR920000938Y1 (ko) 보조 정수기
CN1151752C (zh) 一体化净化饮水机
US4968440A (en) Coupling element for a filter device
KR0118303Y1 (ko) 수도 직결형 정수기용 여과기
CN107261613B (zh) 净水器控流底座
JP3702530B2 (ja) 浄水器
CN206130117U (zh) 恒温沐浴器的前端过滤结构
KR0156714B1 (ko) 정수기용 여과장치
KR960007675Y1 (ko) 보조 정수기
CN212203302U (zh) 一种新型滤水龙头
US5078176A (en) Valve assembly for a filter device
KR920006348Y1 (ko) 스트레이너장치
CN213176919U (zh) 多保空气阻断器
CN201423195Y (zh) 净水过滤器
KR950002138Y1 (ko) 유체 차단식 여과밸브
JPH0721975Y2 (ja) 浄水器用安全弁
KR960008191Y1 (ko) 수도 계량기 보호밸브
KR200239779Y1 (ko) 정수기용 중간밸브
KR19980062054U (ko) 정수기의 콕크 결합구조
KR970006098Y1 (ko) 정수기
KR960008598Y1 (ko) 정수기용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