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191Y1 - 수도 계량기 보호밸브 - Google Patents

수도 계량기 보호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191Y1
KR960008191Y1 KR2019940003091U KR19940003091U KR960008191Y1 KR 960008191 Y1 KR960008191 Y1 KR 960008191Y1 KR 2019940003091 U KR2019940003091 U KR 2019940003091U KR 19940003091 U KR19940003091 U KR 19940003091U KR 960008191 Y1 KR960008191 Y1 KR 9600081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eter
tap water
filter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3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5373U (ko
Inventor
박병호
Original Assignee
박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호 filed Critical 박병호
Priority to KR20199400030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8191Y1/ko
Publication of KR9500253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53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1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1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16K1/06Special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flow, e.g. special shape of passages or ca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 F16K31/50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the actuating means being rotable, rising, and having internal threads which co-operate with threads on the outside of the valv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수도 계량기 보호밸브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앵글밸브본체2 : 스핀들
3 : 밸브판4 : 핸들
5 : 유입관6 : 배출관
7 : 여과관부8 : 오물수집실
9 : 오물인출관10 : 투명캡
11 : 개방관체부12 : 뚜껑
13 : 다공휠터14 : 메인밸브
15 : 계량기
본고안은 가정등의 수도배관에 있어서, 수돗물의 사용량을 측정하는 계량기를 보호하고 이에 공급되는 수돗물을 여과휠터로서 여과시켜 줄 수 있도록한 수도 계량기 보호밸브에 관한 것으로 본고안의 특징은 수도 계량기와 메인 밸브 사이에 관설되어 공급수(수돗물)를 단속하여 주는 앵글밸브의 구조를 개량하여 계량기측에 고인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줄 수 있게 하므로서 겨울철 동파 방지효과를 갖도록하여 이의 사용 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게 하며 특히 배출관 일측에는 별도의 여과실을 형성하고 이에 스테인레스 재질의 다공 휠터로서 수돗물에 함입된 고형(固形) 불순물을 걸러줄 수 있도록하여 이 불순물이 계량기로 흘러들어가서 발생되는 계량기의 고장을 방지하고 걸러진 불순물은 하측의 투명캡에 고여지게 하므로서 이들 불순물이 쌓인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가능토록 하고 청소가 용이하도록하여 보다 위생적인 수돗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등의 수도배관에 있어서는 상수도관에서 공급되는 수돗물이 메인밸브와 계량기를 통하여 가정내로 공급되는바 이때 계량기의 교체나 고장시 수리등의 목적으로 수돗물을 단속하기 위하여 계량기와 메인밸브 사이에 별도의 앵글밸브를 설치하여 주게 된다.
이에 따라 계량기의 교체나 수리시에는 이 앵글밸브를 잠구어서 계량기측으로 부터 유입되는 수돗물을 차단시켜 주게 되는데 이와 같은 통상의 앵글밸브는 단순히 수돗물의 단속 역할만을 하게 되어 그 사용수단이 단순하였을뿐만 아니라 겨울철에 이 앵글밸브를 잠구어 놓게 되면 계량기측에 물이 잔류하여 계량기가 쉽게 동파되는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어 이 계량기측에 고인물을 외부로 배수시켜 주어야 하는 필요성이 따르게 되었고 한편 상수도관으로 부터 유입되는 수돗물에는 관체 벽면측에 고형 불순물등이 함께 함유된 상태로 공급되어 계량기의 고장을 일으키는 한 요인이 되므로서 이를 여과시켜 주어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이에 본고안은 수돗물의 단속과 함께 여기서 함유된 고형 불순물등을 충분히 여과시켜 줄 수 있도록 하며 이의 각종 불순물이 걸러져 쌓인 상태를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여과휠터 및 쌓인 오물을 간단히 처리하여 청소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앵글밸브본체(1) 내측에 핸들(4) 및 밸브판(3)이 축착된 스핀들(2)을 내설시켜 유임관(5)측으로부터 유입된 수돗물을 단속하여 일측의 배출관(6)으로 배출시켜 줄 수 있도록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이의 배출관(6)측으로 여과관부(7)를 하향 융설하여 오물수집실(8)을 형성시키고 이에 오물 인출관(9)을 돌설하여 투명캡(10)을 착탈시키며 상측에는 개방관체부(11)를 형성하여 뚜껑(12)이 개폐되게 하되, 상기 여과관부(7)와 개방관체부(11) 사이의 오물 수집실(8)에는 스테인레스제로된 다공 휠터(13)를 개재하여서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된 본고안은 유입관(5)측에 메인밸브(14)를 접설시키고 배출관(6)으로 계량기(15)를 관설하여 유입관(5)측으로부터 유입된 수돗물이 다공휠터(13)를 거쳐서 계량기(15)측으로 공급되게 하므로서 이 수돗물이 여과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앵글밸브본체(1)내의 스핀들(2) 상측에 축설된 핸들(4)의 조작에 의해 밸브판(3)이 상하로 개폐되어 수돗물이 단속되도록 한 앵글밸브의 작용 및 효과는 일반적인 것으로 이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핸들(4)을 돌려서 밸브판(3)을 상측으로 개방시켜 유입관(5)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을 배출관(6)으로 공급되게 하여 주면 이 유입관(5)에서 공급된 수돗물은 여과관부(7)의 오물수집실(8)에 유입되어 이 오물 수집실(8)과 상측 개방관체부(11) 사이에 개재된 다공휠터(13)가 수돗물에 함입된 각종 고형 불순물을 걸러주게 되며 여기서 걸러진 오물은 오물수집실(8) 저면의 오물인출관(9)에 잔류하여 이 오물인출관(9)에 결합된 투명캡(10)에 고여지게 되고 이러한 여과 과정을 거친 수돗물은 배출관(6)에서 계량기(15)로 공급되어 불순물이 계량기에 흘러들어가서 일으킬 수 있는 고장 원인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다공휠터(13)에 여과되어 오물인출관(9)의 투명캡(10)에 모여진 오물은 투명캡(10)으로부터 외부에 투시되어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서 이 투명캡(10)에 열어서 투명캡(10) 및 오물수집실(8)에 잔류된 오물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수돗물이 걸러지면서 다공휠터(13)에는 많은 불순물이 달라 붙거나 찌꺼기가 남게 되어 이를 청소할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때는 개방관체부(11)의 뚜껑(12)을 열어서 다공휠터(13)를 꺼집어낸 뒤 이를 깨끗이 씻어 청소해 주거나 새로이 교체하여 주면 이의 청소 및 교체 작업이 간단하게 되고 또 다공휠터(13)는 여과 목적과 필료에 따라서 여과공의 크기를 다르게 하거나 다양한 재질로서 구성하여 주면 보다 효과적으로 여과 작용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특히 겨울철에는 유입관(5)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을 차단시켜 놓게 되면 계량기(15)내에 수돗물이 잔류하여 동파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는 유입관(5)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을 차단시켜 놓은 상태에서 여과관부(7) 저면의 오물인출관(9)으로부터 투명캡(10)을 분리시켜 주게 되면 계량기(15)에 잔류된 물이 역류하여 배출관(6)및 오물수집실(8)을 거쳐서 오물 인출관(9)으로 배수하게 된다.
따라서 계량기(15)와 배출관(6)측에 남아 고여진 물을 외부로 모두 배수시킨 다음 다시 투명캡(10)을 오물인출관(9)에 결합시켜 주면 계량기(15)와 배출관(6)에 잔류된 물이 거의 없어지게 되어 이의 동파 현상을 충분히 막아 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고안은 가정내로 공급되는 수돗물을 일차로 여과시켜 보다 위생적인 수돗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을뿐만 아니라 걸러진 불순물등의 청소 작업이 용이하고 계량기(15)와 배출관(6)에 잔류한 물을 외부로 오부 배수시킬 수가 있게되어 겨울철의 동파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계량기를 보호하여 이의 사용 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가 있는등 그 실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앵글 밸브 본체(1) 내측에 스핀들(2)과 밸브판(3)이 축설되고 상측에 핸들(4)이 축착되어 유입관(5)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돗물을 배출관(6)측에 단속적으로 공급되게 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이의 배출관(6)측에 여과관부(7)를 하향 융설하여 오물수집실(8)을 형성하고 오물인출관(9)을 관출하여 투명캡(10)을 착탈시키며 상측에는 개방관체부(11)를 형성하여 뚜껑(12)을 개폐시키되 상기 오물수집실(8)과 개방관체부(11) 사이에는 다공휠터(13)를 내장시켜 유입관(5)에서 공급된 수돗물을 여과시켜 줄 수 있도록한 것에 특징이 있는 수도 계량기 보호밸브.
KR2019940003091U 1994-02-19 1994-02-19 수도 계량기 보호밸브 KR9600081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3091U KR960008191Y1 (ko) 1994-02-19 1994-02-19 수도 계량기 보호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3091U KR960008191Y1 (ko) 1994-02-19 1994-02-19 수도 계량기 보호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373U KR950025373U (ko) 1995-09-18
KR960008191Y1 true KR960008191Y1 (ko) 1996-09-24

Family

ID=19377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3091U KR960008191Y1 (ko) 1994-02-19 1994-02-19 수도 계량기 보호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81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373U (ko) 1995-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94324A (zh) 一种前置水过滤器
KR100820226B1 (ko) 개폐 가능한 봉수 장치를 구비하는 하수 장치
JP6078720B2 (ja) 配管装置
KR960008191Y1 (ko) 수도 계량기 보호밸브
KR200389968Y1 (ko) 상수도배관용 스트레이너 설치구조
CN108928941A (zh) 一种新型厨房生活污水处理装置
KR101734203B1 (ko) 세면대 배수관용 거름장치
CN208785938U (zh) 一种双排污的流量仪用过滤器
CN207829085U (zh) 一种排水管道
US3608725A (en) Automatic, self-cleaning air relief system for diatomaceous earth filter tanks
KR101959442B1 (ko) 파이프 어셈블리
KR960007675Y1 (ko) 보조 정수기
CN2897996Y (zh) 喷射冲洗式净水器
KR20070116017A (ko) 위생 배관용 일체형 오물포집 컵이 부착된 필터 조립체
KR200356290Y1 (ko) 세면수를 재활용하는 절수형 변기 물 저장탱크
CN219655372U (zh) 一种防堵水龙头
KR0118303Y1 (ko) 수도 직결형 정수기용 여과기
CN219491153U (zh) 前置过滤器
KR920000938Y1 (ko) 보조 정수기
CN219198207U (zh) 一种过滤球阀
KR100592400B1 (ko) 세면수를 재활용하는 절수형 변기 물 저장탱크
KR200156052Y1 (ko) 정수기의 물저장 및 급수장치
KR0178472B1 (ko) 정수기의 강제 배수장치
KR20110095078A (ko) 습식 싱크대 배수전의 건식 배수장치
CN207645929U (zh) 一种雨水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