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192Y1 - 환기팬 - Google Patents

환기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192Y1
KR920006192Y1 KR9212328U KR920012328U KR920006192Y1 KR 920006192 Y1 KR920006192 Y1 KR 920006192Y1 KR 9212328 U KR9212328 U KR 9212328U KR 920012328 U KR920012328 U KR 920012328U KR 920006192 Y1 KR920006192 Y1 KR 9200061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upport
mounting body
exterior
b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12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라 오하시
Original Assignee
아오이 죠이찌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027793A external-priority patent/JP2523576B2/ja
Application filed by 아오이 죠이찌,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to KR9212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61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1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1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환기팬
제1도 내지 제6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도는 패널을 설치체에서 해체하여 나타낸 요부의 사시도.
제2도는 바깥테두리를 제거하여 나타낸 요부의 사시도.
제3도는 요부의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IV-IV선에 따른 종단측면도.
제5도는 바깥테두리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제6도는 본체와 함께 나타낸 요부의 종단면도.
제7도와 제8도는 종래의 폐널을 설치한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각각 제4도와 제2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본체 12 : 외장테두리
14 : 패널 15 : 패널설치체
16,17 : 반침판(받는 곳) 20, 21 : 지지편
22 : 바깥테두리 S : 통풍용 공간
본 고안은 외장테두리상의 폐널이 통기용 공간을 통하여 대향하도록 설치한 환기팬과 관련있는 것으로, 특히 패널을 설치하는 구성을 개선한 환기팬에 관한 것이다.
외장테두리에 패널을 설치한 환기팬에서는 외장테두리가 구비한 벨 마우스(bellmowth)를 통하여 본체 내부의 팬과 모우터등이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외관이 보기 좋다는 잇점이 있다.
이와 같이 패널을 구비한 환기팬에서는, 일반적으로 패널을 바꾸어 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쪽에서 미리 설치되어 있는 폐널을 실내의 벽과 동일한 재료를 절단하여 형성한 것으로 교환하여 패널의 색과 모양을 실내의 벽 재료와 동일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제7도와 제8도는 종래의 패널을 설치한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외장테두리(1)에 지주(2)를 통하여 패널설치체(3)를 구성하는 2개의 받침판(4)이 나사(5)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두받침판(4)에 중첩된 패널(6)이 프라스틱제인 바깥테두리(7)로 설치되어 있다. 이 바깥테두리(7)는 나사(8)로 받침판(4)에 설치되어 있는데, 패널(6)을 중량이 큰 석도 보오드제와 교환하는 경우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바깥테두리(7)의 나사구멍이 어떤 원인으로 파손되어 지지하는 힘이 약해져도 바깥테두리(7)가 무거운 석고 보오드제 패널(6)을 지탱하지 못하고 이패널(6)과 함께 탈락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패널(6)의 내구석 부분에 대응하는 받침판(4)의 각 구석의 두변에 각각 대략 L형상의 지지편(9)을 설치하여 이 지지편(9)으로 패널(6)의 4변을 끼워서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패널을 설치하는 구성에 있어서, 교환하기 위하여 패널(6)을 외장테두리(1)로부터 해체하는데는, 우선 바깥테두리(7)를 나사(8)를 풀어서 받침판(4)에서 떼어내고, 이어서 받침판(4)을 외장테두리(1)에 설치하고 있는 나사(5)를 풀어서 받침판(4)중 적어도 한쪽을 외장테두리(1)로 부터 떼어낸다. 이로써 한쪽받침판(4)의 지지편(9)이 패널(6)로부터 해체되므로 패널(6)을 외장테두리(1)로 부터 떼어낼 수 있는 것이다.
위와같이 종래의 페널을 설치하는 구조에서는, 받침판(4)의 각 구석부분에 튀어 나오게 설치한 지지편(9)에 의해 패널(6)의 내변을 끼우듯이 하여 지지하고 있으므로 패널(6)을 외장테두리(1)로부터 해체하는데는, 바깥테두리(7)를 떼어내는 것만으로 부족하며 2개의 반침판(4) 중 적어도 한쪽의 받침판을 외장테두리(1)로 부터 떼어내야 하므로 패널(6)의 교환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바깥테두리를 떼어내는 것만으로 패널을 외장테두리에서 분리할 수 있으므로 패널의 교환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환기팬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환기팬은 평행하게 대향하는 쌍을 이루는 받침부를 구비한 패널 설치체를 지주를 통해서 외장테두리에 설치하고, 이 패널설치체의 쌍을 이루는 받침부에 패널의 1쌍의 평행한 두변만에 대응하여 지지편을 튀어나오게 설치하여 이들 지지편으로 패널의 평행한 두변을 바깥쪽으로 부터 표면에 걸쳐 끼워서 지지하도록 하고, 패널의 다른 한쌍의 평행한 두변부분의 틀어짐을 바깥테두리의 외주벽에 의해 방지하도록 그 바깥테두리를 패널의 외주부를 덮듯이 하여 패널 설치체에 설치하는 구성이다.
위와같은 장치의 본 고안에 의하면, 패널설치체의 받침부에 튀어나오게 설치된 지지편은 패널의 1쌍의 평행한 두변에 대응하여 설치되어있으므로 다른 한쌍의 평행한 두변은 지지편에 의한 지지에서 제외된다. 그러므로 바깥테두리를 해체하는 것만으로 패널을 지지편 사이에서 쉽게 떼어낼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한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6도에 의거하여 설명하기로 하겠다. 제6도에서 "11"은 예를 들면 실내벽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하여 설치된 본체이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 본체(11)의 내부에는 팬과 이팬을 구동하는 모우터등이 설치되어 있다. "12"는 본체(11)의 앞면에 붙이고 뗄수 있게 설치된 플라스틱제 외장테두리로, 여기에는 흡기구로서의 벨 마우스(13)(제1도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14"는 사각형의 형상 예를들면 상하와 좌우의 폭치수가 같게 형성된 대략 정사각형의 패널로, 이것은 외장테두리(12)의 앞면에 통기용공간(S)을 통해서 대향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패널(14)을 설치하는 구조를 제1도와 제2도에 의거하여 설명하기로 하겠다. 즉, "15"는 패널 설치체이며, 이것은 받침부로서의 상을 이루는 금속제의 가늘고 긴 받침판(16)(17)으로 구성되며 이들 양 패널설치판(16)(17)은 외장 테두리(12)에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각각의 좌우 양단부가 공간(S)을 화보하기 위한 가운데가 빈 각형상의 지주(18)를 통해서 외장테두리(12)에 설치되어있다.
이 받침판(16)(17)을 외장테두리(12)에 설치하는 것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외장테두리(12)의 뒷쪽에서 지주(18)안으로 삽입된 길다란 나사(19)를 받침판(16)(17)에 형성한 나사구멍(16a)(17a)에 나사로 맞추도록 되어 있다. "20"은 윗쪽 받침판(16)의 위가장자리 좌우양쪽에 대략 역 L형상으로 굴곡 형성된 한쌍의 지지편, "21"은 아랫쪽 받침판(17)의 아래 가장자리 좌우 양쪽에 대략 역 L형상으로 굴곡 형성된 한쌍의 지지편이며, 이들 지지펀(20)(21)은 패널(14)의 한쌍의 평행한 두변 즉 상하의 두변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이 지지편(20)(21)의 기편부(基片部) (20a)(21 a)와 안쪽을 향하여 굴곡된 단편부(端片部)(20b)(21b)가 받침판(16)(17)의 위를 제1도에 화살표(a)로 나타낸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므로서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지지편(20)(21) 사이에 삽입된 패널(14)의 상하두변을 그 바깥쪽에서 앞면부(표면부)에 걸쳐 끼워서 지지하고 있다. "22"는 플라스틱으로 정사각형으로 형성한 바깥테두리로, 이것은 패널(14)의 외주부를 덮듯이 하여 받침판(16)(17)에 설치되어 있다. 이 바깥테두리(22)의 설치구조는, 바깥테두리(22)의 내구석안쪽에 보스부(22a)(제5도참조)를 일체로 튀어나오계 설치하고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 각 보스부(22a)에 받침판(16)(17)의 구석에 형성한 작은구멍(16b)(17b)(제1도참조)에 통과시킨 나사(23)를 나사맞춤으로 바깥테두리(22)를 받침판(16)(l7)에 고정시는 것이다.
이와같은 경우에, 작은구멍(16b)(17b)이 패널(14)로 가려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패널(14)의 4구석을 사변형상으로 잘라내고 있다.
이와같은 바깥테두리(22)의 외부벽(22b)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받침판(16)(17)의 외주도 덮기 위하여 이들 양 받침판(16)(17)보다도 뒤쪽으로 뛰어나오도록 앞뒤 폭의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바깥테두리(22)의 내주벽(22c)은 패널(14)과 맞닿아서 이것을 받침판(16)(17)으로 밀어 누르는 것과 같은 앞뒤 폭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바깥테두리(22)의 외주벽(22b) 내면의 각 보스부(22a) 근방에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내주벽(22c)쪽을 향하여 소정량 돌출하는 리브(22d)가 일체적으로 튀어나오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로서 패널(4)의 좌우방향으로 틀어지는 것이 커지지 않도록 규제하여 패널(14) 구석의 사변부(14a)가 바깥테두리(22)안으로 나타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은 패널(14)의 설치구성에 있어서, 이 패널(14)을 본체(11)를 설치하는 실내벽의 재료와 동일한 재료를 절단하여 형성한 다른 패널과 교환하기 위하여 외장테두리(12)에서 분리하는데는, 우선 나사(23)를 바깥테두리(22)의 보스부(22a)로부터 풀어서 바깥테두리(22)를 패널 설치체(15)의 받침판(16)(17)으로 부터 해체하고, 패널(14)을 받침판(16)(17)의 긴쪽방향을 따라 반 화살표(a)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와같이 패널(14)을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면 지지편(20)(21)은 그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존재하고 있으며 패널(14)의 슬라이드를 저지하도록 작용하지 않으므로 패널(14)을 지장없이 지지편(20)(21) 사이로부터 꺼내어 패널설치체(15)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하여 패널(14)을 외장테두리(12)로부터 해체한후, 벽재를 절단하여 형성한 별도의 패널(도시하지 않음)을 받침판(16)(17) 위에 올려놓고 화살표(a)로 나타낸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면 이 패널의 상하두변이 지지편(20)(21)사이에 삽입되어 두변 부분이 지지편(20)(21)으로 지지된다. 그후, 바깥테두리(22)를 패널의 외주부를 덮도록 하여 받침판(16)(17)에 나사(23)로 설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설명으로 분명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바깥테두리(22)를 해체하는 것만으로 패널(14)을 쉽게 교환할 수 있으므로 받침판(16)(17)도 해체해야 했던 종래와 비교해 패널(14)의 교환작업을 쉽게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본실시예에 있어서, 패널(14)과 바깥테두리(22)를 정사각형으로 형성한 이유는 설치시의 방향성을 없애기 위한것인데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패널(14)와 상하좌우 각방향의 폭치수(ℓ1)는 양지지편(20)(21)의 기편부(20a)(21a) 내면간의 치수(ℓ2)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고, 또한 바깥테두리(22) 외주벽(22b)의 상하좌우 각 방향의 내면간의 치수(ℓ3)는 양지지편(20)(21)의 기편부(20a)(21a) 외면간의 치수(ℓ4)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패널(14)을 패널 설치체(15)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이 패널(14)의 상하방향으로의 흔들림을 지지편(20)(21)을 규제되고, 좌우방향으로의 흔들림은 바깥테두리(22)의 외주벽(22b)을 규제되게 되는데, 이때 지지편(20)(21)의 기편부(20a)(21a) 내면간의 간격(ℓ2)보다도 바깥테두리(22)의 외주벽(22b)의 좌우 양 내면간의 치수(ℓ3)쪽이 지지편(20)(21)의 판두께의 두배 이상 크게된다. 그러므로 패널(14)의 좌우 방향의 흔들림을 바깥테두리(22) 외주벽(2b)의 내면으로 규제하도록 하면 패널(14) 좌우 방향으로의 흔들리는 정도가 커져서 패널(14) 구석의 사변부(14a)가 바깥테두리(22)의 내측으로 나타나도록 되어 외관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바깥테두리(22)의 외주벽(22b) 내면에 리브(22d)를 튀어나오계 설치하여 이 리브(22d)로 패널(14)이 좌우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규제하도록 했으므로 패널(14)의 좌우방향의 흔들림이 적어져서 사변부(14a)가 바깥테두리(22)내측으로 나타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리브(22d)를 바깥테두리(22) 외주벽(22b)의 4변에 형성시킨 이유는 이 바깥테두리(22)를 정사각형으로 형성하여 설치할때의 방향성을 없애므로서 평행한 두변중 어느 한쌍의 두변이 좌우에 위치할지 일률적으로 결정되지 않았으므로 두쌍의 두변이 좌우에 위치하여도 패널(14)이 좌우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규제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페널(14)과 바깥테두리(22)를 같이 정사각형으로 형성시켰는데, 반드시 이렇계 할 필요는 없으며 직사각형이어도 괜찮다. 또한 패널은 외장테두리의 세로방향으로 삽입하도록 할 수 있는 구성이면 된다. 더구나 외장 테두리와 패널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주로서 폐널설치체를 외장 테두리에 설치하는 나사를 층을 형성하는 형상으로 하여 그 나사 자체를 지주로 이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밖에 본 고안은 지금까지의 설명과 도면에 나타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들면 패널 설치체로서는 4각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한 1개의 금속테두리로 구성하도록 해도 되며, 또한 천정에 설치하는 구성의 환기팬에 적용시켜도 되는 등 실시하는데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환기팬에 의하면 폐널을 지지하는 지지편(20)(21)을 페널의 평행한 1쌍의 두변만에 대응하여 튀어나오게 설치하는 동시에 다른 한쌍의 평행한 두변의 틀어짐을 외부돌레벽부에 의해 방지하도록 했으므로 패널 설치체를 외장 테두리에서 해체하지 않아도 패널을 지지편 사이에 가로 또는 세로방향에서 삽입하므로서 패널을 지지편에 지지시킬수 있으므로 바깥테두리를 해체하는 것만으로 패널을 패널 설치체에 설치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어서 패널의 교환작업을 쉽게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환기팬 본체의 앞면을 구성하는 외장테두리(12)와. 이 외장테두리에서 앞쪽으로 튀어나온 지주(18)와, 이 지주에 설치되어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는 한쌍의 패널 설치체(15)와, 이 설치체에 외장테두리와 대향하여 붙이고 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패널(14)과, 이 패널의 외주부를 덮고, 패널 설치체에 설치되는 바깥테두리(22)를 구비한 환기팬에 있어서, 전술한 각각의 패널설치체(15)는 외장테두리와 평행하게 설치된 받침부(16)(17)와, 이 받침부에 세워진 기부편(20a)(21a)와 이 기부편에서 안쪽으로 거의 직각으로 뻗어나고 또한 받침부와 평행하게 대향하는 단편부(20b) (21b)로 이루어진 지지편(20)(21)을 구비하며, 전술한 패널이 미리 정해진 방향에서 패널 설치체의 받침부를 따라 삽입되었을때 미리 정해진 방향을 다른 패널의 두변만이 각각 페널 설치체의 받침부와 지지편으로 지지되는 동시에 다른 두변부의 틀어짐이 상기 바깥테두리의 외주벽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팬.
KR9212328U 1987-02-09 1992-07-06 환기팬 KR9200061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12328U KR920006192Y1 (ko) 1987-02-09 1992-07-06 환기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27793 1987-02-09
JP62027793A JP2523576B2 (ja) 1987-02-09 1987-02-09 換気扇
KR1019880001169A KR880010290A (ko) 1987-02-09 1988-02-09 환 기 팬
KR9212328U KR920006192Y1 (ko) 1987-02-09 1992-07-06 환기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1169A Division KR880010290A (ko) 1987-02-09 1988-02-09 환 기 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192Y1 true KR920006192Y1 (ko) 1992-09-17

Family

ID=27285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12328U KR920006192Y1 (ko) 1987-02-09 1992-07-06 환기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619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9797C1 (ru) Фильтрующий вентилятор с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быстрого крепления
US6026605A (en) Switch plate picture frame assembly
KR101244126B1 (ko)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
US6661473B1 (en) Projection type television receiv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1967639A1 (en) Washing machine with ornamental panel
US20030112379A1 (en) Apparatus for mounting a screen in a projection television
FR2556169B1 (fr) Coffret pour appareillage electrique susceptible d'etre assemble lors de l'installation
KR920006192Y1 (ko) 환기팬
GB2064309A (en) A metal tub for a dishwashing machine
JPWO2005017858A1 (ja) 表示パネルの取付け構造
JP2523576B2 (ja) 換気扇
JP2007134813A (ja) パネル表示型テレビジョンおよびテレビジョンキャビネット
US7466482B2 (en) Display unit
JP2007227862A (ja) シールドボックス
EP0532321A2 (en) Speaker system with detachable horn
KR200320138Y1 (ko) 터치스크린 모듈
JP3849284B2 (ja) 空気調和機のエアフィルタ取付構造
EP0816974A2 (en) Computer enclosure having side opening for removable media
KR200214437Y1 (ko) 컴퓨터 케이스의 구조
KR940006638Y1 (ko) 도어틈새 조립부재
JPH0712837Y2 (ja) 空調機を内蔵した壁部空調装置
JP2905479B1 (ja) 送風機取付構造
JPH0744902Y2 (ja) 空調機を内蔵した壁部空調装置
JPH1042229A (ja) フィルタ取付装置
JP2552496B2 (ja) エアフィルタ−の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29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