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005B1 - 체액 흡수용 제품 - Google Patents

체액 흡수용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005B1
KR920006005B1 KR1019840002042A KR840002042A KR920006005B1 KR 920006005 B1 KR920006005 B1 KR 920006005B1 KR 1019840002042 A KR1019840002042 A KR 1019840002042A KR 840002042 A KR840002042 A KR 840002042A KR 920006005 B1 KR920006005 B1 KR 920006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product
epoxy resin
epoxy
reaction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2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8661A (ko
Inventor
다비 쉬무엘
Original Assignee
퍼스널 프러덕스 캄파니
제이슨 리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퍼스널 프러덕스 캄파니, 제이슨 리포우 filed Critical 퍼스널 프러덕스 캄파니
Publication of KR840008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8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0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25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Epoxy Resin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Polyether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Polymers With Sulfur, Phosphorus Or Metals In The Main Chain (AREA)
  • Polyamid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체액흡수용 제품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에폭시 수지와 아민 말단폴리(알킬렌 옥사이드)와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탄성의 기포상 중합체를 함유하는 체액 흡수용 제품에 관한 것이다.
체액 흡수용 제품(예 : 위생냅킨, 생리탐폰, 기저귀, 붕대류, 외과용 드레싱등)에 사용되는 물질, 통상은 발포체라고 불리우는 이와 같은 물질들 및 이의 제조공정들은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를들어, 새로이 개발된 폴리우레탄 발포체, 폴리에스테르 발포체 및 셀룰로오스 발포체가 체액흡수용 제품에 사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대부분의 선행 발포체는 다양한 체액흡수도를 가지지만,이들 선행 발포체의 특성은 바람직한 본 발명의 발포체에 미치지 못한다. 기저귀, 위생냅킨 또는 생리탐폰 등의 제품에 사용되는 발포체는 상당한 체액흡수력을 제공해야 한다. 이와 같은 발포체는, 사용자들이 이것으로부터 제조된 제품을 착용시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에 신체에 적합해야 하며, 사용자들이 안락함을 느끼도록 탄력이 있고 부드러워야 한다.또한, 발포체는, 이의 표면에 부착되는 체액을 이의 내부로 이송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이와 같은 용도의 발포체는 충분한 흡상작용(wicking)을 가져야 한다. 발포체가 생물학적으로 허용되는 물질만으로 이루어져야한다는 것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선행 발포체는 여러면에서 상기한 이상적인 특성을 갖지 못한다. 예를들어, 셀룰로오스 및 폴리비닐알콜발포체는 뻣뻣하고 안락하지 못하다. 폴리우레탄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발포체는 부드럽고 탄력을 가지며, 어느 정도 흡수력을 갖도록 개질시킬 수 있지만, 본질적으로 충분한 흡상력을 갖지 못한다. 따라서, 이상적인 특성에 더욱 근접한 기포상 중합물질, 즉 발포체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라, 선행물질에서 발전할 수 없었던 정도로 흡수성, 연성, 탄력성, 충분한 흡상력 및 생물학적 적합성을 갖는 기포상 중합물질을 제공한다. 특히, 하나 이상의 에폭시수지와 아민 말단 폴리(알킬렌 옥사이드)의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진, 바람직한 흡수성, 유연성, 탄력성을 갖는 기포상 발포체를 제공한다. 아민 말단 중합체는 아민 말단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아민말단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아민말단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다. 반응 혼합물중의 프로필렌 옥사이드그룹에 대한 에틸렌 옥사이드그룹의 비율은 약 1.0 내지 약 15.0,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약 10.0이 되도록 선택해야만 한다. 편의상, 알킬렌 옥사이드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양한 에폭시 단량체 및 중합체가 사용에 적합하며, 본 분야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다. 에폭시 수지는,반응 혼합물이 아민 그룹당 약 1.0 내지 약 3.0, 바람직한 것은 약 1.2 내지 약 1.8개의 에폭시 그룹을 함유하도록 반응 혼합물에 첨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폭시 수지는 하기 일반식인 비스페놀의 디- 및 폴리글리시딜에테르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은 1 내지 8개의 C, O, S 및/또는 N원자를 함유하는 2가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내지 8,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렌 또는 알킬리덴 그룹이다.
상기의 발포체는, 반응물들을 실온, 바람직하게는 승온에서 혼합시켜 바람직하게는 겔화직전의 반응상태에서 중간 반응 생성물을 생성시켜 제조한다. 그런 다음, 발포제를 첨가시켜 발포제의 기포구조를 형성시킨다. 바람직한 발포제는 활성화시 CO2기체를 방출하는 물질이며, 이와 같은 발포제를 본 발명의 기술과 함께 사용할 경우 생성된 발포체는 바람직한 순백의 외관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아민 말단 폴리(알킬렌 옥사이드)와 에폭시 수지와의 반응 생성물인 발포제를 제공한다.
아민 말단 폴리(알킬렌 옥사이드)는, 아민 말단 폴리(알킬렌 옥사이드)의 혼합물, 알킬렌 옥사이드의 공중합체(예 :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럭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반응 혼합물은, 생성된 반응 생성물이 목적하는 정도의 친수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충분히 높은, 프로필렌 옥사이드그룹에 대한 에틸렌옥사이드 그룹의 비율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바람직한 탄성을 갖는 반응 생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프로필렌 옥사이드 그룹에 대한 에틸렌 옥사이드의 비율은 충분히 낮아야 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친수성, 탄성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는 바람직한 상기 비율의 범위는 프로필렌 옥사이드 그룹당 약 1 내지 15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10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그룹인 것이다.
아민 말단 폴리(알킬렌 옥사이드)는 시판되고 있으며, 이들 원재중의 하나는 텍사스, 벨레이어 소재의 텍사코 케미칼 캄파니(Texaco Chemical Company)에서 "제프아민(Jeffamine)"이라는 상표로 시판되는 일련의 중합체이다. 특히 유용한 일련의 제프아민 화합물들은 하기의 일반식을 갖는 텍사코의"Jeffamine ED"화합물들이다 :
Figure kpo00002
이들 블럭 공중합체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캡핑화된 폴리에틸렌 글리콜로부터 유도되며, a, b 및 c의 값이 하기와 같은 화합물로서 텍사코사에서 시판하고 있다 :
Figure kpo00003
바람직한 발포체는, 언급된 이들 아민 말단 폴리(알킬렌 옥사이드)를, 텍사코 케미칼 캄파니에서 하기 일반식의 JEFFAMINE T-403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폴리옥시프로필렌 아민과 혼합시킴으로써 제조할수도 있다:
Figure kpo00004
상기식에서, x, y와 z의 합은 약 8.3이다.
많은 에폭시 단량체 및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에폭시 수지들은, 아민 말단 액체 중합체로부터 소수성 발포체를 제조하는데 사용해 왔으며, 언급된 특허원은 1979년 12월 3일 출원되어 1981년 6월24일 공고원 미합중국 특허원에 의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는 B. F. Goodrich Company사의 유럽 특허원제 80 107 479.0호에 기술되어 있다. 언급된 특허원에 기술되어 있는 에폭시수지는 본 발명의 탄력성, 흡수성, 친수성 발포체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으며, 분자당 평균 약 1.7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7 내지 약 4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7 내지 약 2.3개의 에폭시그룹을 갖는다. 이와 같은 에폭시 수지는 액체 또는 저-융점 고체일 수 있지만, 바람직한 것은 25℃에서 브룩피일드 RVT점도계로 측정했을때 약 200 내지 약 2,000,000센티포이즈의 벌크점도를 갖는 액체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에폭시 수지는 약 70 내지 약 6,000,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약 2,000의 에폭시 당량(즉, 에폭시 그룹당 g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폴리카복실산의 폴리글리시딜 에스테르의 바람직한 예에는 리놀레 이량체산의 디글리시딜 에스테르 및 리놀레삼량체산의 트리글리시딜 에스테르등이 포함된다. 적당한 글리시딜에테르 수지에는 폴리알킬 글리시딜 에테르, 클로렌드산 디올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디옥산디올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엔도메틸렌 사이콜로헥산디올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에폭시 노볼락 수지, 알칸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및 알칸 트리올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등이 포함된다.
더욱 바람직한 글리시딜 에테르수지에는 하기 일반식의 알칸디록 디글리시딜 에테르가 포함된다 :
Figure kpo00005
상기식에서, X는 탄소수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의 알킬렌 또는 알킬리덴 그룹이고, n은 1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이다.
바람직한 알칸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에는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및 부탄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등이 포함된다. 다른 더욱 바람직한 글리시딜 에테르수지에는 알칸그룹의 탄소수가 2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인 알칸트리올 트리글리시딜 에테르(예 : 글리세릴 트리글리시딜 에테르,트리메틸올프로판의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등)가 포함된다.
언급된 글리시딜 에테르 수지들을 본 발명에 사용하여 연성,흡수성, 탄력성 발포체를 제조한다. 그러나, 이들 그룹은 매우 느리게 반응한다. 가장 바람직한 글리시딜 에테르 수지는 비스페놀의 디- 및 폴리글리시딜 에테르이며, 언급된 비스페놀은 하기 일반식을 갖는다 :
Figure kpo00006
상기식에서, R은 1 내지 8개의 C, O, S 및/또는 N원자를 함유하는 2가 라디칼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렌 또는 알킬리덴그룹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렌 또는 알킬리덴 그룹이다.
바람직한 비스페놀의 예에는 메틸렌 비스페놀, 이소프로필리덴 비스페놀, 부틸리덴 비스페놀, 옥틸리덴 비스페놀, 비스페놀 설파이드, 비스페놀 에테르, 및 비스페놀 아민등이 포함된다. 이소프로필리덴 비스페놀을 사용하여 탁월한 결과를 수득할 수 있다. 언급된 에폭시 수지는 목적하는 특성을 갖는 발포체를 제공할뿐아니라, 매우 반응성이며, 본 발명의 기술에서 사용하기에 가장 바람직하다.
반응 혼합물중의 아민 말단 폴리(알킬렌 옥사이드)에 대한 에폭시 수지의 비는 광범위하게 변화할 수 있다. 활성 에폭시 그룹의 아민 그룹에 대한 비율은 약 1 내지 약 3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이 아민그룹당 약 1.2 내지 약 1.8의 에폭시 그룹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 발포체의 제조는, 우선 중간반응 단계를 수행한 다음, 중합반응이 계속됨에 따라 반응 혼합물을 발포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 2단계 연속공정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언급된 중간반응 단계는,우선 에폭시 수지와 아민 말단 폴리(알킬렌 옥사이드)를 전술된 비로 혼합시켜 수행한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약 25°내지 약 130℃의 반응 온도로 가열하고 유지시킨다. 실제로 50°미만의 온도에서의 반응시간은 바람직하지 못하게 길며, 110℃이상의 온도에서의 반응 시간은 조절하기 힘들정도로 짧다. 따라서, 바람직한 온도 범위는 약 50°내지 약 110℃, 가장 바람직한 것은 약 65°내지 약110℃이다. 반응이 진행되어 에폭시 수지와 아민 말단 폴리(알킬렌 옥사이드)와의 중합 반응이 발생함에 따라, 반응 혼합물의 점도는 증가하게 된다. 중간반응의 정도는, 반응 혼합물 점도의 연속 또는 중분 측정에의해 관찰하고,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반응의 진행을 나타내는 다른 특성들(예 : 밀도, 굴절률, 기계적 또는 전기적 특성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어떠한 특성을 사용하여 반응의 진행을 측정하는가에 관계없이, 반응 진행함에 따라 반응 혼합물은 액체상태로부터 거의 비탄성인 고체 상태로 된다. 액체와 고체간의 전이상태를 통상은 겔화상태라고 표현하며, 균일한 기포구조를 갖는 안정한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발포제를 언급된 전이상태 직전에서 도입시켜야 한다. 발포제의 지나친 조기도입은 거의 액체인 반응 혼합물을 통해 기체가 분산되기 때문에 안정한 기포구조를 형성시킬 수 없게 된다. 또한, 지나치게 늦은 발포제의 도입은 기체가 기포구조를 형성할 수 없을정도로 거의 고형화된 반응 혼합물을 초래할 것이다.
반응 혼합물이 점도가 약 1000 내지 약 12,000 센티포이즈(25℃에서 측정)에 도달할 때에 발포제를 도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언급된 범위의 점도는, 반응을 수행하는 온도에 따라 10분 내지 2시간내에 도달할 수 있다.
다양한 발포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가열에 의해 기체를 방출하는 특정화합물을 도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발포제 유형의 예에는, 가열에 의해 질소기체를 방출하는 아조 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및 벤젠 설포닐 하이드라지드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발포방법은, 탄산나트륨 또는 중탄산 나트륨 등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반응 혼합물과 혼합시키는 것이다. 적당한 산 또는 산성염의 첨가에 의해 이들 화합물을 반응시켜 이산화탄소 기계를 방출시킴으로써 발포시킨다. 적합한 산 또는 산 화합물의 예는 염산, 인산, 유기산(예 : 아세트산, 락트산, 또는 시트르산등),중아황산 나트륨 또는 인산 이수소 칼륨등이다.
이와 같은 발포제는, 혼합물의 온도가 30°내지약 110℃일 경우 초기 공중합 반응 혼합물에 첨가시킬 수있다. 이산화탄소의 방출을 조절하기 위하여, 반응 혼합물의 온도는 약 40°내지 약 80℃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포제를 첨가시키기 전에 초기 공중합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 발포가 개시된 후에, 발포는 바람직하게는 오븐 중에서 약 5분 내지 약 20분 동안 약 120°내지 약 140℃의 상승된 온도로 가열하여 완결시킨다.
[실시예 1내지 6]
일련의 발포체는 다양한 배합의 제프아민 아민 말단 폴리(알킬레옥사이드) 중합체를 중간반응 단계에서 에폭시 수지와 반응시키고, 필요시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다음, 발포제를 약 30초 동안 반응 혼합물에 첨가시킴으로써 반응 혼합물과 발포제를 혼합시킴으로써 제조한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은 다양한 온도에서 다양한 시간동안 오븐에서 가열시켜 발포 및 경화시킨다. 하기 표 1에는 출발반응물들(중량부), 및 이들 반응물들을 초기 공중합 반응단계에서 혼합시키는 조건들이 수록 되어 있다.
[표 1 ]
중간반응
Figure kpo00007
* EPON 828은 Shell Oil co.에서 시판되는 바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에테르이다.
** A-508은 Ciba Geigy, Inc.에서 시판되는, 에폭시화 폴티올로 희석된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 에테르이다.
하기 표 에는 발포제(중량부) 및 발포경화 조건이 수록되어 있다 :
[표 2]
발포 및 경화
Figure kpo00008
* ABIN은 아조 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이다.
표본 1 내지 6을 시험하여 이들의 각종 특성을 측정한다. 무수 발포체의 단위중량당 흡수된 물의 중량으로 표기되는 흡수도는, 무수 발포체 표본을 계량한 다음, 이것을 물용기에 완전히 침지시킨다. 샘플을 용기로부터 회수하여 외부압력을 가하지 않고 게량함으로써 측정한다. 측정결과는 무수 발포체의 그램당 물의 그램단위로 하기표에 수록되어 있다.
탄성도는, 발표체 표본에 압력을 가하여 이의 원 높이의 50%까지 압착시키고,1분간 압착 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압력을 제거하여 발포체를 원상태로 복귀시킨다. 1분간의 복귀시간후에 비압착 발포체의 원높이를 기준으로 하는 %복귀율을 하기 표 3에 수록했다.
발포체의 밀도는 표본의 부피를 측정하고, 무게를 측정하여 결정하며, 각 표본의 밀도는 단위 부피당 중량(g/cm3)으로 하기 표 3에 수록되어 있다.
수직 흡상력은, 1/4''×1/4"×2"의 발포체 스트립을 비이커 위에서 수직으로 유지시킨 상태, 즉 길이 방향을 수직으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이의 선단을 비이커중의 물에 침지시켜 측정한다. 물이 1.5인치 흡상되는데 필요한 시간을 하기 표 3에 수록했다 :
[표 3]
발포체의 특성
Figure kpo00009
[실시예 7 내지 14]
발포제를 첨가시키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내지 6과 동일한 절차를사용하여 일련의 표본을 필름형의 반응제품으로 제조한다. 본 실시예는, 초기 반응혼합물중의 아민그룹에 대한 에폭시 그룹의 다양한비율(E/A)의 효과, 및 아민 말단 폴리(알킬렌옥사이드)중합체중의 프로필렌 옥사이드 그룹에 대한 에틸렌옥사이드 그룹의 비율(EO/PO)의 효과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발포 단계를 생략하여 발포기포 구조 및 밀도의 변수를 제거 함으로써 EO/PO 및 E/A비율의 변화에 따라 이의 특성이 어떻게 변화하는 가를 예시한다. 하기 표 4에 수록된 특성들은 염의 모듈러스(Young's Modulus), 및 반응 생성물의 경도 및 탄성도에 관련이 있는 유리전이온도이다. 필름 표본을 계량한 다음, 물에 14일간 침지시켜 필림의 흡수도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필름의 무수 중량%로서 표기된 흡수중량을 하기 표 4에 수록했다 :
[표 4a]
Figure kpo00010
[표 4b]
Figure kpo00011
표 4, 특히 표본 7, 9, 11 및 13에 대한 측정 결과를 보면, EO/PO비율이 3.85로 일정한 경우, E/A 비율이 1.00 내지 2.03으로 증가함에 따라서 영의 모듈러스는 160 내지 796으로 증가하며, 유리전이 온도는 -17°내지 +21℃로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E/A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경도 및 비탄성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서, E/A비율이 1.0 내지 2.03으로 증가할 경우, 흡수도는 58%에서 7.7%로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표본 8, 10, 12 및 14에 대한 측정 결과를 보면, EO/PO의 비율이 두번째 상수치인 5.85인경우, 전술된 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상기의 데이타는, 본 발명의 용도에 적합한 발포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는 E/A비율을 주의 깊게 조절해야 한다는 발견과 일치한다. E/A비율이 높으면, 중합체는 지나치게 경질 및 비탄성이 되며, 따라서 비유연성 발포체가 생성될 것이다. 더 나아가서, 발포체는 거의 비-흡수성이 된다. E/A 비율이 낮으면, 중합체는 약하고, 매우 탄성적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바람직하지 못할 정도로 점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기포벽은 발포 및 경화중에 와해된다. 전술된 E/A 비율의 범위내에서 조작함으로써, 바람직한 발포체를 수득할수 있다.
표 4에는, 짝 표본 7과 8, 9와 10, 11과 12, 13과 14에 대한 참조가 수록되어 있다. 짝 표본 각각은, 일정한 E/A 비율에서 한 표본은 EO/PO비율이 높고 다른 하나는EO/PO비율이 낮은 2개의 표본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EO/PO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샘플은 더 낮은 경도, 더 큰 탄성도 및 더 큰흡수도를 갖게됨을 알 수 있다. 전술된 EO/PO비율의 범위내에서 조작함으로써 더욱 바람직한 발포체를 수득할 수 있다.

Claims (18)

  1. 흡수재 성분으로서, 아민 말단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아민 말단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와의 아민 말단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아민 말단 폴리(알킬렌 옥사이드)와 하나 이상의 에폭시 수지와의 반응 생성물(여기서, 반응 혼합물중의 프로필렌 옥사이드 그룹에 대한 에틸렌 옥사이드그룹의 비율은 약 1 내지 약 15의 범위이다)을 포함하는 기포상 중합체 물질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흡수용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반응 혼합물중의 프로필렌 옥사이드 그룹에 대한 에틸렌 옥사이드 그룹의 비율이 약 3 내지 약 10의 범위인 제품.
  3. 제1항에 있어서, 반응 혼합물이 아민 그룹당 약 1 내지 약 3개의 에폭시 그룹을 함유하는 제품.
  4. 제3항에 있어서, 반응 혼합물이 아민 그룹당 약 1.2 내지 약 1.8개의 에폭시 그룹을 함유하는 제품
  5. 제1항에 있어서, 아민 말단 폴리(알킬렌 옥사이드)가 하기 일반식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품.
    Figure kpo00012
    상기식에서, b는 약 10 내지 약 50의 실험치이고, a와 c의 합은 약 1 내지 약 5의 실험치이다.
  6. 제1항에 있어서, 아민 말단 폴리(알킬렌옥사이드)가 하기 일반식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품.
    Figure kpo00013
    상기식에서, x, y와 z의 합은 약 7 내지 약 10이다.
  7. 제1항에 있어서, 에폭시 수지중의 에폭시수지 분자당 에폭시 그룹의 평균 비율이 1.7이상인 제품.
  8. 제7항에 있어서, 에폭시 수지중의 에폭시 수지분자당 에폭시 그룹의 평균비율이 약 1.7 내지 약 4의범위인 제품.
  9. 제1항에 있어서, 에폭시 수지가 폴리 카복실산의 폴리글리시딜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제품.
  10. 제1항에 있어서, 에폭시 수지가 글리시딜 에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제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에폭시 수지가 하기 일반식의 알칸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를 포함하는 제품.
    Figure kpo00014
    상기식에서, X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 또는 알킬리덴 그룹을 포함하는 그룹중에서 선택된 그룹이고, n은 1 내지 25의 수이다.
  12. 제10항에 있어서, 에폭시 수지가 비스페놀의 디- 또는 폴리글리시딜 에테르이며, 상기비스페놀은 하기의 일반식을 갖는 제품.
    Figure kpo00015
    상기식에서, R은 C, O, S 및 N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1 내지 8개의 원자를 함유하는 2가 라디칼이다.
  13. 제12항에 있어서, R이 탄소수 약 1 내지 약 8의 알킬렌 또는 알킬리덴 라디칼인 제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에폭시 수지가 이소프로필리덴 비스페놀을 포함하는 제품.
  15. 제1항에 있어서, 제품이 위생 냅킨인 제품.
  16. 제1항에 있어서, 제품이 생리 탐폰인 제품.
  17. 제1항에 있어서, 제품이 일회용 기저귀인 제품.
  18. 제1항에 있어서, 제품이 붕대류인 제품.
KR1019840002042A 1983-04-18 1984-04-18 체액 흡수용 제품 KR920006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85,782 1983-04-18
US06/485,782 US4554297A (en) 1983-04-18 1983-04-18 Resilient cellular polymers from amine terminated poly(oxyalkylene) and polyfunctional epoxid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8661A KR840008661A (ko) 1984-12-17
KR920006005B1 true KR920006005B1 (ko) 1992-07-25

Family

ID=23929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2042A KR920006005B1 (ko) 1983-04-18 1984-04-18 체액 흡수용 제품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1) US4554297A (ko)
EP (1) EP0122810B1 (ko)
KR (1) KR920006005B1 (ko)
AT (1) ATE28206T1 (ko)
AU (1) AU565408B2 (ko)
BR (1) BR8401797A (ko)
CA (1) CA1229949A (ko)
DE (1) DE3464616D1 (ko)
DK (1) DK140984A (ko)
ES (1) ES8604620A1 (ko)
FI (1) FI841534A (ko)
GB (1) GB2139229B (ko)
GR (1) GR81685B (ko)
HK (1) HK92386A (ko)
IE (1) IE57222B1 (ko)
IN (1) IN159172B (ko)
MX (1) MX164938B (ko)
MY (1) MY8700084A (ko)
NO (1) NO841560L (ko)
NZ (1) NZ207736A (ko)
PH (1) PH19621A (ko)
SG (1) SG73286G (ko)
ZA (1) ZA8428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8854A (en) * 1984-04-27 1985-04-02 Personal Products Company Quaternized cellular polymers from amine terminated poly(aminoethers) and polyfunctional epoxides
US4748167A (en) * 1984-08-01 1988-05-31 Ppg Industries, Inc. Water-based coating compositions comprising epoxy-containing acrylic polymers an polyfunctional water-soluble amines
US4758466A (en) * 1987-05-05 1988-07-19 Personal Products Company Foam-fiber composite and process
US4886867A (en) * 1988-11-14 1989-12-12 Texaco Chemical Company Novel compositions from polyoxyalkylene amines and epoxides
DE3938061A1 (de) * 1989-11-16 1991-05-23 Bayer Ag Verknuepfte, aminmodifizierte polyalkylenoxide,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als emulsionsspalter
AU656917B2 (en) * 1990-10-09 1995-02-23 Mcneil-Ppc, Inc. Epoxy Resin Reaction Products
US5221726A (en) * 1990-10-09 1993-06-22 Mcneil-Ppc, Inc. Hydrophilic materials useful in preparing fluid-absorbent products
CA2065220C (en) * 1991-06-11 2003-03-18 Shmuel Dabi Method of forming a unitized absorbent product with a density gradient
JP3294268B2 (ja) * 1991-06-26 2002-06-24 ヘンケル・テロソン・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反応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
US5268224A (en) * 1991-08-12 1993-12-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foam materials for aqueous body fluids and absorbent articles containing such materials
US5387207A (en) * 1991-08-12 1995-02-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in-unit-wet absorbent foam materials for aqueous body fluid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5260345A (en) * 1991-08-12 1993-11-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foam materials for aqueous body fluids and absorbent articles containing such materials
US5147345A (en) * 1991-08-12 1992-09-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igh efficiency absorbent articles for incontinence management
US5464924A (en) * 1994-01-07 1995-11-07 The Dow Chemical Company Flexible poly(amino ethers) for barrier packaging
US5599337A (en) * 1994-05-02 1997-02-04 Mcneil-Ppc, Inc. Raised center sanitary napkin with raised edges
US5560878A (en) * 1994-11-30 1996-10-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tretchable absorbent articles
EP0722964A1 (de) * 1994-12-22 1996-07-24 Ciba-Geigy Ag Epoxidgruppenterminierte Polyester enthaltendes Epoxidharzgemisch
US5849805A (en) * 1995-01-10 1998-1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making foams useful as absorbent members for catamenial pads
EG21087A (en) * 1995-01-10 2000-10-31 Procter & Gamble Foams made from high internal phase emulsions useful as absorbent members from catamenial pads
US5563179A (en) * 1995-01-10 1996-10-08 The Proctor & Gamble Company Absorbent foams made from high internal phase emulsions useful for acquiring and distributing aqueous fluids
US5650222A (en) * 1995-01-10 1997-07-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foam materials for aqueous fluids made from high internal phase emulsions having very high water-to-oil ratios
US6130263A (en) * 1995-04-19 2000-10-10 Capitol Specialty Plastics, Inc. Desiccant entrained polymer
US6486231B1 (en) 1995-04-19 2002-11-26 Csp Technologies, Inc. Co-continuous interconnecting channel morphology composition
US6177183B1 (en) 1995-04-19 2001-01-23 Capitol Specialty Plastics, Inc. Monolithic composition having an activation material
USRE40941E1 (en) * 1995-04-19 2009-10-20 Csp Technologies, Inc. Monolithic polymer composition having a releasing material
US6316520B1 (en) 1995-04-19 2001-11-13 Capitol Specialty Plastics, Inc. Monolithic polymer composition having a releasing material
US6221446B1 (en) 1995-04-19 2001-04-24 Capitol Specialty Plastics, Inc Modified polymers having controlled transmission rates
US6460271B2 (en) 1995-04-19 2002-10-08 Csp Technologies, Inc. Insert having interconnecting channel morphology for aldehyde absorption
US6174952B1 (en) 1995-04-19 2001-01-16 Capitol Specialty Plastics, Inc. Monolithic polymer composition having a water absorption material
US6080350A (en) * 1995-04-19 2000-06-27 Capitol Specialty Plastics, Inc. Dessicant entrained polymer
US5911937A (en) * 1995-04-19 1999-06-15 Capitol Specialty Plastics, Inc. Desiccant entrained polymer
US6194079B1 (en) 1995-04-19 2001-02-27 Capitol Specialty Plastics, Inc. Monolithic polymer composition having an absorbing material
US6214255B1 (en) 1995-04-19 2001-04-10 Capitol Specialty Plastics, Inc. Desiccant entrained polymer
US6124006A (en) * 1995-04-19 2000-09-26 Capitol Specialty Plastics, Inc. Modified polymers having controlled transmission rates
US5633291A (en) * 1995-06-07 1997-05-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se of foam materials derived from high internal phase emulsions for insulation
US5770634A (en) * 1995-06-07 1998-06-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oam materials for insulation, derived from high internal phase emulsions
US5550167A (en) * 1995-08-30 1996-08-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foams made from high internal phase emulsions useful for acquiring aqueous fluids
US6465532B1 (en) 1997-03-05 2002-10-15 Csp Tecnologies, Inc. Co-continuous interconnecting channel morphology polymer having controlled gas transmission rate through the polymer
US6083211A (en) * 1998-03-13 2000-07-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igh suction polymeric foam materials
US6013589A (en) * 1998-03-13 2000-01-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materials for distributing aqueous liquids
US6261679B1 (en) * 1998-05-22 2001-07-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ibrous absorbent material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6160028A (en) * 1998-07-17 2000-12-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ame retardant microporous polymeric foams
US6245697B1 (en) 1998-11-12 2001-06-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exible mat for absorbing liquids comprising polymeric foam materials
US6746976B1 (en) 1999-09-24 2004-06-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in until wet structures for acquiring aqueous fluids
US6696002B1 (en) 2000-03-29 2004-02-24 Capitol Security Plastics, Inc. Co-continuous interconnecting channel morphology polymer having modified surface properties
CN1250665C (zh) * 2000-04-10 2006-04-12 汉高两合股份公司 抗冲击环氧树脂组合物
US6653149B1 (en) 2000-10-16 2003-11-25 Applied Biotech Inc. Specimen collection device and method
US6852905B2 (en) 2001-11-15 2005-02-08 Paragon Trade Brands, Inc. Fluid handling layers made from foam and absorbent articles containing same
US7749208B2 (en) * 2002-03-21 2010-07-06 Sca Hygiene Products Ab Insert for absorbent article having a feces retaining layer and spacer element
US7005143B2 (en) * 2002-04-12 2006-02-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Gel materials, medical articles, and methods
US6777290B2 (en) * 2002-08-05 2004-08-17 Micron Technology, Inc. Global column select structure for accessing a memory
US7358282B2 (en) 2003-12-05 2008-04-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ow-density, open-cell, soft, flexible, thermoplastic, absorbent foam and method of making foam
US7291382B2 (en) 2004-09-24 2007-11-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ow density flexible resilient absorbent open-cell thermoplastic foam
US8158689B2 (en) 2005-12-22 2012-04-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ybrid absorbent foam and articles containing it
US20070148433A1 (en) * 2005-12-27 2007-06-28 Mallory Mary F Elastic laminate made with absorbent foam
JP4855486B2 (ja) * 2006-03-10 2012-01-1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防臭フィルムを有する使い捨て吸収性用品
US20080195072A1 (en) * 2007-02-08 2008-08-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photochromic ink based graphics
CN101720338A (zh) 2007-06-05 2010-06-02 宝洁公司 包括表现出低胶烧穿的低基重膜的吸收制品
CA2691451C (en) 2007-06-21 2015-03-24 Sara H. Fan Instrument and receptacles for performing processes
US20100125261A1 (en) * 2008-11-20 2010-05-20 Randall Alan Watso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Odor Controlling Materials In A Distribution Profile
US10487199B2 (en) 2014-06-26 2019-11-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ctivated films having low sound pressure level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6185A (en) * 1960-11-21 1967-04-25 Union Carbide Corp Curable polyepoxide compositions containing a glycol diamine
FR1336409A (fr) * 1961-08-21 1963-08-30 Union Carbide Corp Compositions mûrissables de polyéppoxydes
US3380881A (en) * 1961-08-21 1968-04-30 Union Carbide Corp Curable compositions comprising a polyepoxide and a glycol polyamine
US3306809A (en) * 1961-08-21 1967-02-28 Union Carbide Corp Curable polyepoxide and glycol polyamine compositions
DE1300696B (de) * 1964-07-17 1969-08-07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schaeumten Formkoerpern auf der Basis von Epoxidpolyaddukten
US3436359A (en) * 1965-10-14 1969-04-01 Minnesota Mining & Mfg Polyether polyprimary polyamines and elastomeric products thereof
US3462393A (en) * 1967-05-05 1969-08-19 Dow Chemical Co Epoxy resin with diamine of polyoxypropylene glycol and method of cure
US3532653A (en) * 1969-02-27 1970-10-06 United States Steel Corp Epoxy adhesive compositions containing amine hardener and tertiar y amine catalyst
US3645969A (en) * 1970-06-22 1972-02-29 Union Carbide Corp Curable polyepoxide compositions containing as a curing agent a mixture of a polyglycol polyamine and an alkylene polyamine
EP0030668A1 (en) * 1979-12-03 1981-06-24 The B.F. GOODRICH Company Foamed amine terminated reactive liquid polymer/epoxy systems
US4423166A (en) * 1981-07-20 1983-12-27 Ppg Industries, Inc. Ungelled polyepoxide-polyoxyalkylenepolyamine resins, aqueous dispersions thereof, and their use in cationic electrodeposition
US4423170A (en) * 1982-10-15 1983-12-27 Texaco Inc. One component water reduced epoxy adhes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73286G (en) 1987-03-27
IE57222B1 (en) 1992-06-03
MY8700084A (en) 1987-12-31
ZA842891B (en) 1985-11-27
GB8409895D0 (en) 1984-05-31
US4554297A (en) 1985-11-19
KR840008661A (ko) 1984-12-17
IN159172B (ko) 1987-04-04
IE840948L (en) 1984-10-18
GB2139229B (en) 1986-06-11
GR81685B (ko) 1984-12-12
ES8604620A1 (es) 1986-02-01
DK140984D0 (da) 1984-02-29
NZ207736A (en) 1986-09-10
NO841560L (no) 1984-10-19
DE3464616D1 (en) 1987-08-13
BR8401797A (pt) 1984-12-04
FI841534A (fi) 1984-10-19
EP0122810B1 (en) 1987-07-08
AU565408B2 (en) 1987-09-17
HK92386A (en) 1986-12-12
AU2704684A (en) 1984-10-25
FI841534A0 (fi) 1984-04-17
CA1229949A (en) 1987-12-01
ES531274A0 (es) 1986-02-01
DK140984A (da) 1984-10-19
GB2139229A (en) 1984-11-07
PH19621A (en) 1986-05-30
EP0122810A1 (en) 1984-10-24
ATE28206T1 (de) 1987-07-15
MX164938B (es) 199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6005B1 (ko) 체액 흡수용 제품
US5221726A (en) Hydrophilic materials useful in preparing fluid-absorbent products
US4613543A (en) Interpenetrating polymeric network foams comprising crosslinked polyelectrolytes
KR100226395B1 (ko) 흡수성 발포물질의 친수 성화방법
JP4204196B2 (ja) 吸水性のフォーム状架橋ポリマー、その製造法およびその使用
ES2306738T3 (es) Recubrimiento absorbente y lubrificante y articulos recubiertos con el mismo.
EP0644207B2 (en) Superabsorbent polymer having improved absorption rate and absorption under pressure
US5451613A (en) Superabsorbent polymer having improved absorption rate and absorption under pressure
US5728762A (en) Polyether polyurethane polymers, gels, solutions and uses thereof
US4394930A (en) Absorbent foam products
EP0884037B1 (en) Absorbent article
EP1523518B1 (en) Use of water-absorbent, predominantly open-celled crosslinked acid-functional addition polymer foams in hygiene articles
EP1928511B1 (e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primary aqueous-liquid-absorbing agent
US3900030A (en) Catamenial tampons
GB2136813A (en) Absorbent foam products, process and compositions for immobilization of particulate absorbents
JP2003508120A (ja) 吸収フォーム材料及び前記フォーム材料を含有する吸収構造体
EP0480379B1 (en) Hydrophilic epoxy resin materials useful in preparing fluid-absorbent products
US4508854A (en) Quaternized cellular polymers from amine terminated poly(aminoethers) and polyfunctional epoxides
JP4722546B2 (ja) 吸水性樹脂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
EP0940149A1 (en) "Water-absorbing agent and production process therefor"
KR840001928B1 (ko) 흡수체 부동화 조성물
JPH1060014A (ja) 高吸水速度吸水性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4007601A1 (en) Sheetlike structures of water-absorbent open-celled foams based on crosslinked acid-functional polymers
JPH013406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