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926B1 - 링다운 타이회로의 링동기회로 - Google Patents

링다운 타이회로의 링동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926B1
KR920005926B1 KR1019890007335A KR890007335A KR920005926B1 KR 920005926 B1 KR920005926 B1 KR 920005926B1 KR 1019890007335 A KR1019890007335 A KR 1019890007335A KR 890007335 A KR890007335 A KR 890007335A KR 920005926 B1 KR920005926 B1 KR 920005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relay
unit
signal
synchron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7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9521A (ko
Inventor
민경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07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926B1/ko
Publication of KR900019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9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4Circuit arrangements for receivers of routing digits
    • H04Q3/10Circuit arrangements for receivers of routing digits for PBX selectors, i.e. private branch exchange sel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30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Supply Of Signal Curr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링다운 타이회로의 링동기회로
제1도는 종래의 링다운 타이회로의 블럭구성도.
제2도는 링 신호의 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링동기회로의 회로도.
제4도는 제3도의 각부분의 동작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음성통화로부 110 : 링거
200 : 링동기검출부 202 : 영점검출부
204 : 파형정형부 206 : 전압조절부
210 : 링송출 제어동기부 212 : 타이머
214 : 클럭발진부 216, 215 : 제 1, 제 2 래치
220 : 지연부 230 : 제 1 릴레이 구동부
240 : 제 2 릴레이구동부 250 : 링송출 릴레이
260 : 뮤트 릴레이 A1 : 연산증폭기
R1-R15 : 저항 C1-C8 : 콘덴서
I1-I2 : 반전소자 D1,D2 : 다이오드
본 발명은 전자식 사설교환 시스템의 트렁크회로에 있어서 링다운 타이회로(Ring Down Tie Circuit)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링신호의 송출을 단속하는 링송출 릴레이를 링신호와 동기시켜 제어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식 사설 교환시스템에 있어서 트렁크회로는 국선라인과 전용선을 시스템과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트렁크회로는 기능상으로 국선라인을 중계하는 루우프 스타트 트렁크(Loop Start Trunk)방식과 그라운드 스타트 트렁크(Ground Start Trunk)방식으로 구분되고, 또한 전용선을 중계하는 타이회로는 링다운 타이회로와 이앤드엠 타이회로(E and M Tie Circuit:이하 E/M타이 라함)와 보스웨이 타이회로(BothWay Tie Circuit)로 대별된다.
종래의 링다운 타이회로는 제1도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성통화로부(100)는 전용선(T,R)과 스위칭회로(170)사이에 접속되어 음성신호를 중계한다. 링거(Ringer)(110)는 링신호를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링송출 릴레이(120)는 상기 링거(110)의 링신호가 전용선(T,R)으로 송출되는 것을 단속한다. 릴레이구동부(130)는 디멀티플렉서(150)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중앙처리장치(이하 CPU라항)로부터 인가되는 링송출 제어데이타에 의해 상기 링송출 릴레이(120)를 구동하여"온(ON)" 또는 "오프(OFF)"시킨다. 여기서 상기 링송출 제어데이타는 링송출 릴레이(120)의 구동을 제어하는 데이타를 말한다. 그리고 링검출부(140)는 전용선(T,R)으로부터 링신호의 입력유무를 감지하여 감지에 따른 링감지신호를 멀티플레서(160)를 통해 상기 CPU로 송출한다.
이때 상기 릴레이구동부(130)는 상기 링거(110)에서 출력되는 링신호의 파형과 무관하게 링송출 릴레이(120)를 구동하였다. 즉, 제2도와 같이 진행되는 링신호의 1주기(T1)중 상기 CPU로부터 링송출 제어데이타가 인가되는 시점에서 링송출 릴레이(120)를 "온" 또는 "오프"시킨다.
이에 따라 링송출 릴레이(120)가 "온""오프"될때 과도현상에 의한 스파크(Spark)성 잡음이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스파크성 잡음에 의해 링송출 릴레이의 수명이 단축되며 또한 전자방해(Electro Magnetic Interference)현상이 발생되어 통화로상의 통화품질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링다운 타이회로에 있어서, 링신호와 동기시켜 링송출 릴레이를 구동하여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링송출 릴레이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링다운 타이회로의 링동기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링동기회로의 회로도로서, 전용선(T,R)과 스위칭회로(도시하지 않았음)사이에 입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음성통화로부(100)와, 링신호를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링거(110)와, 상기 링거(l10)의 출력단에 접속어 링거(110)에서 발생되는 링신호의 영점에 동기한 구형파신호를 링신호와 동일한 주기로 발생하여 링동기신호로서 출력하는 링동기검출부(200)와, 상기 링동기검출부(200)의 링동기신호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링 동기신호를 설정에 의해 선택 출력하는 선택스위치(SW1)와, CPU(도시하지 않았음)로부터 입력되는 링송출 제어데이타를 상기 선택스위치(SW1)를 통한 상기 링동기검출부(200)의 링동기신호에 동기시켜 출력하는 링송출 제어동기부(210)와, 상기 링송출 제어동기부(21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링동기신호에 동기된 링송출 제어데이타를 입력하여 입력된 링송출 제어데이타가 상기전용선(T,R)으로 링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상태일 경우에만 일정 지연시키는 지연부(220)와, 상기 전용선(T,R)과 상기 음성통화로부(100) 및 상기 링거(110)의 출력단사이에 접속되머 상기 음성통화로부(100)와 상기 링거(110)를 상기 전용선(T,R)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링송출 릴레이(250)와, 상기 전용선(T,R)에 상기 음성통화로부(100)와 병렬로 접속되며 상기 링송출 릴레이(250)가 상기 전용선(T,R)에 링거(110)의 출력단을 스위칭 연결할때 상기 음성통화로부(100)의 입력단을 뮤트(Mute)시키는 뮤트 릴레이(260)와, 상기 링송출 제어동기부(21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링동기신호에 동기된 링송출 제어데이타에 의해 상기 링송출 릴레이(250)를 구동하는 제1릴레이구동부(230)와, 상기 지연부(22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지연부(220)에서 조정된 링송출 제어데이타에 의해 상기 뮤트 릴레이(260)를 구동하는 제2릴레이구동부(240), 상기 제1, 제2릴레이구동부(230-240)의 동작을 위한 저항(R14) 및 콘덴서(C8)와, 상기 전용선(T,R)애 상기 뮤트 릴레이(260)를 통하여 상기 음성통화로부(100)와, 병렬로 접속되는 저항(R15)로 구성한다.
상기 제3도의 구성중 링동기검출부(200)는 연산증폭기(A1)와 3개의 저항(R1-R3)과 콘덴서(C1)로 구성되어 상기 링거(11O)에서 발생되는 링신호파형의 영(Zero)점을 검출하여 영점 검출시마다 레벨이 정,부로 반전되는 구형파신호를 발생하는 영점검출부(202)와, 3개의 저항(R4-R6)과 콘덴서(C2)와 다이오드(D1)으로 구성되어 상기 영점검출부(202)에서 발생되는 구형파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링동기신호로서 출력하는파형정형부(204)와, 트랜지스터(Tr1)와 3개의 저항(R7-R9)과 콘덴서(C3)로 구성되어 상기 연산증폭기(A1)에 일정 레벨의 부(Negative)의 전된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조절부(206)로 구성된다.
링송출 제어동기부(210)는 타이머(212)와 두개의 저항(R10-R11)과 콘덴서(C5-C6)로 구성되어 일정 주기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머(214)와, CPU로부터 입력되는 링송출 제어데이타를 상기 타이머(214)에서 발생되는 클럭신호에 의해 래치(Latch)하는 제1래치(216)와, 상기 제1래치(216)에 래치된 링송출 제어데이타를 상기 링동기검출부(200)에서 출력되는 링동기신호에 의해 래치하여 동기시키는 제2래치(218)로구성된다.
지연부(220)는 두개의 인버터(I1-I2)와 두개의 저항(R12-R13)과 다이오드(D2)와 콘덴서(C7)로 구성된다.
링송출 릴레이(250)는 제1전된(Vcc)측과 상기 제1릴레이구동부(230)의 출력단 사이에 접속되는 코일(L1)과, 각각 전용선(T,R)에 접속되는 두개의 스위치(S1-S2)로 구성된다.
뮤트 릴레이(260)는 제1전된전압(Vcc)측과 상기 제2릴레이구동부(240)의 출력단 사이에 접속되는 코일(L2)과, 전용선(T,R)사이에 접속되는 스위치(S3)로 구성된다.
제4도는 상기 제3도의 각 부분의 동작파형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3도의 동작예를 제4도의 동작파형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제3도의 링거(110)는 제4도의 (40)과 같은 링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링송출 릴레이(250)의 스위치(S1,S2)는 각각 공통(Common)단자(COM)가 전용선(T,R)에 접속되고 노말 클로우즈(Normal Close)단자(NC)가 음성통화로부(100)에 접속되며 노말 오픈(Normal Open)단자(NO)가 링거(110)의 출력단에 접속된다. 상기 스위치(S1,S2)는 "온"상태에서는 노말오픈단자(NO)에 접속되고 "오프"상태에서는 노말 클로우즈단자(NC)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링송출 릴레이(250)는 "온"상태에서는 링거(110)에서 발생되는 링신호를 전용선(T,R)으로 송출하며, "오프"상태에서는 전용선(T,R)과 음성통화로부(100)를 연결한다.
또한 뮤트 릴레이(260)의 스위치(S3)는 공통단자(COM)가 상기 스위치(S2)와 저항(R15)을 통하여 전용선(R) 및 음성통화로부(100)의 일단에 접속되고 노말 클로우즈단자(NC)는 개방상태이여 노말 오픈단자(NO)는 상기 스위치(S1)를 통하여 전용선(T) 및 음성통화로부(100)의 다른 일단에 접속된다. 상기 스위치(S3)는 "온"상태에서는 노말 오픈단자(NO)에 접속되고 "오프"상태에서는 노말 클로우즈단자(NC)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뮤트 릴레이(260)는 "온"상태에서는 음성통화부(100)의 두 입력단을 저항(R15)을 통하여 연결함으로써 상기 음성통화로부(100)의 입력을 뮤트시키여, "오프"상태에서는 음성통화로부(100)가 상기 스위치(S1,S2)를 통하여 전용선(T,R)에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링거(110)에서 발생되는 링신호는 링동기검출부(200)의 영점검출부(202)에도 입력된다. 상기 영점검출부(202)는 아나로그의 입력신호가 영점을 가로지를 때마다, 출력 레벨이 정(Positive),부(Negative)로 반전되어 변화되는 공지의 회로로서 슈미트 트리거(Schmitt Trigger)회로에 비해서 히스테리시스(Hysterisis)가 매우 적은 특성이 얻어지는 회로이다. 이때 입력이 정인 경우 출력은 부의 전된전압으로 스윙(Swing)되며, 마찬가지로 입력이 부인 경우 출력은 정의 전된전압으로 스윙된다.
그리고 영점검출부(202)의 연산증폭기(A1)의 동작전된으로서 5V의 논리레벨의 전된전압인 재1전된(Vcc)과 전압조절부(206)를 통하여 전압조절된 일정레벨의 제2전된(Vcc)이 공급된다. 상기 제2전된(Vss)은 전용선(T,R)상의 선로전된 즉,-48V의 통화공급전된이다. 여기서 전압조절부(206)는 -48V를연산증폭기(A1)의 동작전압범위내로 안정되게 전압조절한다. 즉,-48V를 저항(R8,R9)에 의해 일정 분압시켜 트랜지스터(Trl)의 베이스단자에 바이어스전압으로 공급함으로써 트랜지스터(Trl)의 에이터단자에서는 상기 -48V가 일정 강압된 전된전압이 출력된다. 상기 전압조절부(206)의 출력 전된전압은 저항(R8,R9)으로서 조정하는데,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예를들어 저항(R8,R9)를 동일한 저항값을 갖도록 하여 -24V로 조정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에 따라 영점검출부(202)의 연산증폭기(A1)에서는 링신호의 레벨이 변화하는 기간중 "0"이 되는 순간에 레벨이 정, 부로 반전되는 구형파신호를 발생한다. 즉, 제4도의 (41)과 같이 링신호의 주기에 동기한 구형파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발생된 구형파신호는 파형정형부(204)에서 파형이 정형된 후 링동기신호로서 출력된다.
이때 영점검출부(202)에서 출력되는 구형파신호는 연산중폭기(A1)의 공급전된인 5V의 제1전된(Vcc)과 전압조절부(206)에서 전압조절된 -24V의 제2전된(VSS)사이에서 스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파형정형부(204)의 다이오드(D1)는 상기 영점검출부(202)의 출력 구형파신호가 부의 전압이 될때 도통되어 부의 전압을 접지시킴으로써, 파형정형부(204)에서는 5V와 0V의 논리레벨로 파형이 정형된 구형파신호가 링동기신호로서 출력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영점검출부(202)의 구형파신호가 -24V로 될때 접지전된측으로부터 연산증폭기(A1)의 출력단자에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때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전류제한 저항(R5)으로서 제한한다.
상기 파형정형부(204)에서 파형이 정형된 링동기신호는 선택스위치(SW1)를 거쳐 링송출 제어동기부(210)의 제2래치(218)의 클럭입력단자(CLK)에 입력된다.
상기 선택스위치(SW1)는 상기 링동기검출부(200)에서 검출된 링동기신호 또는 외부링동기신호중에서 하나를 설정에 의해 선택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링동기검출부(200)에서 검출된 링동기신호를 선택출력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외부링동기신호는 외부의 링동기검출회로에서 발생되는 링동기신호를 말한다. 그리고 외부링동기신호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링동기검출부(200)에서 발생된 링동기신호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링동기검출부(200)에서 발생된 링동기신호를 이용할 경우에는 상기 선택스위치(SW1)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한편 클럭발진부(214)에서는 제4도의 (42)와 같은 일정 주기의 클럭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클럭발진부(214)는 범용의 타이머인 555타이머 IC(Integrate Circuit)
(212)를 사용하여 무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Astable Multi-vibrator)로 구성한 공지의 회로이다.
상기 클럭발진부(2l4)에서 발생된 클럭실호는 제1래치(216)의 클럭입력단자(CLK)에 입력된다. 이때 상기 제1래치(216)의 데이타입력단자(D)에는 제4도의 (43)과 같은 링송출 제어데이타 즉, 전용선(T,R)에 링신호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타가 입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래치(216)는 상기 링송출 제어데이타를 상기 클럭신호의 상승정(Rising Edge)에서 래치함으로써 제4도의 (44)와 같이 클럭신호에 동기된 링송출 제어데이타를 출력한다.
상기 클럭신호에 동기된 링송출 제어데이타는 제2래치(218)의 데이타 입력단자(D)에 입력된다. 이때 제2래치(218)는 클럭입력단자(CLK)에 링동기검출부(200)에서 검출된 제4도의 (41)과 같은 링동기신호를 선택스위치(SW1)를 통하여 입력한다. 이에 따라 제2래치(218)는 제1래치(216)에 래치된 데이타를 링동기신호의 상승점에서 래치함으로써 제4도의 (45)와같이 링동기신호에 동기된 링송출 제어데이타를 출력한다.
따라서 링송출 제어데이타가 링신호의 영점에 동기되어 제1릴레이구동부(230)의 입력단자(B)에 입력됨으로써 링송출 릴레이(250)가 링신호의 영점에 동기되어 구동된다. 또한 상기 링신호의 영점에 동기된 링송출 제어 데이타는 지연부(220)를 통하여 제2릴레이구동부(240)의 입력단자(B)에도 입력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제2릴레이구동부(230,240)는 범용의 구동 IC를 사용한 것으로 미합중국 MOTOROLA사의 MC 1472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논리게이트 및 아나로그 소자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제2릴레이구동부(230,240)에 접속되어 있는 저항(R14) 및 콘덴서(C8)는 단지 상기 제1,제2릴레이구동부(230-240)의 동작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제 2 릴레이구동부(230,240)는 입력단자(A)가 제1전된(Vcc)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입력단자(B)에 입력되는 신호가 논리 "하이"일때 출력단자(Y)가 "로우"상태가 됨으로써 각각 링송출 릴레이(250)의 코일(L1)과 뮤트 릴레이(260)의 코일(L2)에 제1전된(Vcc)에 의한 전류가 흐르게 함으로써 링송출 릴레이(250)와 뮤트 릴레이(260)를 "온"시킨다.
상기 링송출 제어데이타에 의한 링송출 릴레이(250)와 뮤트 릴레이(26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번째로 링송출 릴레이(250)를 "온"시켜 전용선(T,R)으로 링신호를 송출하기 위하여 CPU로부터 링송출 제어데이타가 논리 "하이"로 링송출 제어동기부(210)에 입력되면, 상기 링송출 제어데이타 "하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제2래치(216,218)에 의해 링동기신호에 동기된 후 제1릴레이구동부(230)의 입력단자(B)에 입력되는 동시에 지연부(220)의 인버터(I1)에 입력된다.
그러면 제1릴레이구동부(230)의 출력단자(Y)가 "로우"상태가 됨으로써 링송출 릴레이(250)의 코일(L1)에는 제1전된(Vcc)에 의한 전류가 흐름으로써 상기 링송출 릴레이(250)가 "온" 된다. 즉, 링송출 릴레이(250)의 스위치(S1,S2)의 공통단자(COM)와 노말 오픈단자(NO)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링거(110)에서 발생되는 링신호가 전용선(T,R)으로 송출된다.
따라서 링신호의 레벨이 변화하는 기간중 "0"이 되는 순간에 링송출릴레이(250)가 "온"됨으로써 스파크성잡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전자방해 현상을 최소로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연부(220)의 인버터(I1)에 입력된 "하이"는 인버터(I1)에 의해 "로우"로 반전되고 저항(R12,R13)을 거쳐 인버터(I2)에서 다시 반전되어 "하이"로 제2릴레이구동부(240)의 입력단자(B)에 입력된다. 그러면 제2릴레이구동부(240)의 출력단자(Y)가 "로우"상태가 되어 뮤트 릴레이(260)의 코일(L2)에는 제1전된(Vcc)에 의한 전류가 흐름으로써 상기 뮤트 릴레이(260)가 "온" 된다. 즉, 뮤트 릴레이(260)의 스위치(S3)의 공통단자(COM)와 노말 오픈단자(NO)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음성통화로부(100)의 두 입력단이 저항(R15)과 뮤트 릴레이(260)를 통하여 연결됨으로써 입력이 뮤트된다. 여기서 상기 저항(R15)는 상기 음성통화로부(100)의 두 입력단이 완전히 단락(Short)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저항수단이다. 이때 지연부(220)에서는 다이오드(D2)의 캐소드단자가 "로우"상태가 되어 저항(R13)과 콘덴서(C7)로 구성된 적분회로는 동작을 하지 않게 됨으로써 링송출 제어동기부(210)로부터 입력된 "하이"의 링송출 제어데이타는 지연되지 않고 그대로 제2릴레이구동부(240)의 입력단자(B)에 입력되는 것이다. 여기서 인버터(I1,I2)와 저항(R12,Rl3)에 의한 전파지연시간은 아주 짧은 시간이므로 무시한다.
따라서 링송출 릴레이(250)가 "온"되는 순간에 뮤트 릴레이(260)도 동시에 "온"됨으로써 링송출 릴레이(250)의 스위칭에 따른 잡임이 음성통화로부(100)에 입력되는 것이 방지된다.
두번째로 상기와 같이 링신호가 전용선(T,R)으로 송출되는 중에 링송출 릴레이(250)를 "오프"시켜 링신호의 송출을 중단하기 위하여 CPU로부터 링송출 제어데이타가 논리"로우"로 링송출 제어동기부(210)에 입력되면, 상기 "로우"의 링송출 제어데이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제2래치(216,218)에 의해 링동기신호에 동기된 후 제1릴레이구동부(230)의 입력단자(B)에 입력되는 동시에 지연부(220)의 인버터(I1)에 입력된다.
그러면 제1릴레이구동부(230)의 출력단자(Y)가"하이"상태가 됨으로써 링송출 릴레이(250)의 코일(Ll)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링송출 릴레이(250)가"오프"된다. 즉, 링송출 릴레이(250)의 스위치(S1,S2)의 공통단자(COM)와 노말 클로우즈단자(NC)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링거(110)에서 발생되는 링신호가 전용선(T,R)으로 송출되는 것이 중단된다.
따라서 링신호의 레벨이 변화하는 기간중 "0"이 되는 순간에 링송출 릴레이(50)가 "오프"됨으로써 스파크성 잡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전자방해 현상을 최소로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연부(220)의 인버터(I1)에 입력된 "로우"는 인버터(I1)에 의해 "하이"로 반전된다. 이때 다이오드(D2)의 캐소드단자가"하이"상태가 되어 저항(R13)과 콘덴서(C7)로 구성된 적분회로가 동작을 하게 됨으로써 RC시정수에 의한 일정 지연시간후에 인버터(I2)에 "하이"가 인가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인버터(I2)에서는 링송출 제어동기부(210)로부터 "로우"가 입력되는 순간부터 일징시간이 지연된 후에 "하이"가 출력되어 제 2 릴레이구동부(240)의 입력단자(B)에 입력된다. 그러면 제 2 릴레이구동부(240)의 출력단자(Y)가 "하이"상태가 됨으로써 뮤트 릴레이(260)의 코일(L2)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뮤트 릴레이(260)가 "오프"된다.
즉, 뮤트 릴레이(260)의 스위치(S3)의 공통단자(COM)와 노말 클로우즈단자(NC)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음성통화로부(100)의 입력에 대한 뮤트가 해제되고 음성통화로부(100)가 전용선(T,R)에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뮤트 릴레이(260)는 링송출 릴레이(250)가 "오프"되는 순간에 동시에 "오프"되는 것이 아니고 링송출 릴레이(250)가 "오프"된후 일정시간이 지난후에 "오프"됨으로써 링송출 릴레이(250)의 스위칭에 따른 잡음이 음성통화로부(l00)에 입력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발명은 링송출 릴레이를 링신호의 영점에 동기시켜 구동함으로써 전자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링송출 릴레이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 링송출 릴레이가 스위칭되는 기간동안 발생되는 잡음을 뮤트함으로써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중앙처리장치와 스위칭회로를 구비한 사설 교환시스템의 링다운 타이회로에 있어서, 전용선(T,R)과 상기 스위칭회로 사이에 입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음성통화로부(100)와, 링신호를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링거(110)와, 상기 링거(11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링거(110)에서 발생되는 링신호의 영점에 동기한 구형파신호를 링신호와 동일한 주기로 발생하여 링동기신호로서 출력하는 링동기검출기(20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링송출 제어데이타를 상기 링동기검출부(200)의 링동기신호에 동기시켜 출력하는 링송출 제어동기부(210)와, 상기 링송출 제어동기부(21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링동기신호에 동기된 링송출 제어데이타를 입력하여 입력된 링송출 제어데이타가 상기 전용선(T,R)으로 링신호를 송출하기위한 상태일 경우에만 일정 지연시키는 지연부(220)와, 상기 전용선(T,R)과 상기 음성통화로부(100) 및 상기 링거(110)의 출력단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음성통화로부(l00)와 상기 링거(l10)를 상기 전용선(T,R)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링송출 릴레이(250)와, 상기 전용선(T,R)에 상기 음성통화로부(100)와 병렬로 접속되며 상기 링송출 릴레이(250)가 상기 전용선(T,R)에 링거(1l0)의 출력단을 스위칭 연결할때 상기 음성통화로부(100)의 입력단을 뮤트시키는 뮤트 릴레이(260)와, 상기 링송출 제어동기부(21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링동기신호에 동기된 링송출 제어데이타에 의해 상기 링송출 릴레이(250)를 구동하는 제1릴레이구동수단과, 상기 지연부(22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지연부(220)에서 조정된 링송출 제어데이타에 의해 상기 뮤트 릴레이(260)를 구동하는 제2릴레이구동수단과, 상기 전용선(T,R)에 상기 뮤트 릴레이(260)를 통하여 상기 음성통화로부(100)와 병렬로 접속되는 저항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링다운 타이회로의 링동기회로.
KR1019890007335A 1989-05-31 1989-05-31 링다운 타이회로의 링동기회로 KR920005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7335A KR920005926B1 (ko) 1989-05-31 1989-05-31 링다운 타이회로의 링동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7335A KR920005926B1 (ko) 1989-05-31 1989-05-31 링다운 타이회로의 링동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521A KR900019521A (ko) 1990-12-24
KR920005926B1 true KR920005926B1 (ko) 1992-07-24

Family

ID=19286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7335A KR920005926B1 (ko) 1989-05-31 1989-05-31 링다운 타이회로의 링동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92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521A (ko) 199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6506B1 (ko) 주파수가 안정된 상태에서 클럭 전환을 행하는 클럭 발생 장치
KR910007284A (ko) 디지탈 제어 pll회로
JPH095430A (ja) トランスポンダ用アンテナ駆動装置
KR940022277A (ko) 그라운드바운스 절연형 출력버퍼
US4823309A (en) Data processing system with improved output function
JPH0223714A (ja) ポシティブエッジ及びネガティブエッジのパルスを選択的に発生する出力回路
JPH0772907B2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非接触icカード
US4031448A (en) Motor driving system and circuit therefor
US3795823A (en) Signal detection in noisy transmission path
JPH08139759A (ja) 負荷終端検知回路
US5894508A (en) Automatic power control apparatus of a PC mounted fax/modem
US4047057A (en) Monostable switching circuit
KR920005926B1 (ko) 링다운 타이회로의 링동기회로
US4918326A (en) Electronic switchgear, preferably operating contact-free
EP1451932B1 (en) Output driver comprising an improved control circuit
US4779063A (en) Oscillator with feedback loop including delay circuit
JPH07236180A (ja) 論理装置を活性化するための装置
EP1573476B1 (en) Current mode signalling in electronic data processing circuit
US3943381A (en) Pulse generating apparatus having a chattering pulse elimination circuit
TW245834B (en) Low power consumption and high speed nor gate integrated circuit
US3946254A (en) No-bounce electronically controlled switch circuit
US5770952A (en) Timer that provides both surveying and counting functions
JPS55147863A (en) Correcting system of dial pulse distortion
SU1401599A1 (ru) Релейный триггер
US6369607B2 (en) Digital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1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