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703Y1 - 데크보드(Deck Board) - Google Patents
데크보드(Deck Boar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5703Y1 KR920005703Y1 KR9211760U KR920011760U KR920005703Y1 KR 920005703 Y1 KR920005703 Y1 KR 920005703Y1 KR 9211760 U KR9211760 U KR 9211760U KR 920011760 U KR920011760 U KR 920011760U KR 920005703 Y1 KR920005703 Y1 KR 92000570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ed
- board
- fixing
- lower side
-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2—Horizontal loading or unloading platfo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배면도.
재3도는 본 고안의 확대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이용되는 작동기구를 나타내는 부분절단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조립요부를 나타내는 부분절단 분해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에 이용되는 높이조정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주 2 : 고정프레임
3 : 하부가로대 4 : 가동보드
5 : 밸런스추 6 : 작동축부
7 : 높이조정기구
본 고안은 화물의 상, 하차시 창고의 플랫포옴(Plat-form)과 차량사이를 연결시켜 포크리프트(Fork Lift)등의 운반수단에 화물을 적재한 채로 차량 내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한 데크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있어서 화물차의 적재함과 창고의 플랫포옴과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상호 간격 및 높이차가 존재하여 왔었던바 화물의 상, 하차시엔 상기 문제로 인하여 지게차, 푸쉬카트(Ptlsh Cart)등의 운반수단내에 짐을 적재한 채로 창고의 플랫포옴과 차량의 적재함 사이를 왕래할 수 없는 불편한 점이 있었고 또한 이로인하여 일일이 인력을 이용하여 상, 하차 하여야하므로 화물의 상, 하차 시간이 많이 걸리며 작업공간의 필요성으로 인하여 창고의 플랫포옴 길이를 적정길이 이상 확보하여야만 되는 관계로 창고의 유효공간 확보상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노출되어 왔음이 사실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은 제공한다.
본 고안의 주목적은 지게차, 푸쉬카트등을 화물을 적재한 채로 차량내외부로 왕래가 가능하도록하여 상, 하차 작업인원을 감소시키고 화물의 상, 하차 시간을 대폭 단축시켜 경제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한 데크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창고의 플랫포옴 길이를 단축시키더라도 작업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어 창고의 유효면적을 극대화할수 있으며 건축비도 절감할 수 있는 데크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플랫포옴에도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비교적 경량으로 제작될 수 있어 취급 및 사용이 간편하며 사용후엔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원위치될 수 있도록 한 데크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체화하고자 전면에 쿠션고무를 설치하고 고정브라켓을 마련한 양측지주 사이에 상부 고정보드와 일체로 형성된 고정프레임 및 하부가로대가 고정설치되며, 표면엔 다수의 요절부가 형성된 가동보드, 가동보드와 링크 연결되고 와이어의 일측이 연결고정된 채로 양측에 위치한 가이드로드를 타고, 상,하 운동할수 있게 되어있는 밸런스추, 스프링에 탄지되어 고정축에 축설되고 와이어가 타측이 고정되고 감겨진 풀리가 양측에 설치된 작동축이 각각 설치되며, 하부의 가로대 및 높이조정간이 일체로 형성된 높이조정기구의 결합구성에 의하여 이루어전 간이식 데크보드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는 다음의 구성설명에서 보다 명백해 질것이다.
즉, 첨부된 도면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인 데크보드는 참고번호 100으로 나타낸다.
이는 양측지주(1,1') 사이에 고정프레임(2) 및 하부가로대(3)가 고정설치되고 가동보드(4), 밸런스추(5), 작동축부(6) 및 높이조정기구(7)의 결합구성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양측지주(1,1')의 전면엔 쿠션고무(la,1'a)가 설치되어 차량의 적재함과 데크보드(100)가 직접 맞닿는 것을 방지하면서 충격을 예방할 수 있게되어 있고 양측엔 체결공(1d) (1'd)을 갖는 고정브라켓(lb,1'b)을 일체로 마련하여 창고의 플랫포옴에 설치하기 용이하게 되어 있으며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된 상부 고정보드(2a)와 배면의 고정프레임(2)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하부엔 하부가로대(3)가 고정설치된다.
상기 가동보드(4)는 제1도 및 제3도,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상부에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고 중앙 일측엔 손잡이 구멍(4a)이 뚫려있으며 배면엔 고정돌부(4b,4'b)를 형성하여 상기, 밸런스추(5)에 고정설치되는 양링크(5a,5'a)와 회동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밸런스추(5)는 제2도 및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전면엔 링크(5a,5'a)의 일측이 고정설치되고 배면엔 로드공(8a)(8'a)이 천공되고 결합공(8b,8'b)을 형성한 결합돌부(8c)(8'c)를 가지고 있는 고정부재(8)(8')를 설치하여 상기 로드공(8a)(8'a)엔 가이드로드(9)(9')를 접동가능하게 끼우고 상기 결합공(8b,8'b)엔 와이어(10)(10')의 일측을 고정한 고정구(11)(11')를 끼워 체결고정하게 되어있다.
상기 가이드로드(9)(9')는 고정보드(2a)저면에 고정된 양브라켓트(2b)(2'b)와 하부가로대(3) 사이에 고정설치될 수 있게 이루어지되, 상기 양측 브라켓트(2b)(2'b)엔 장공(2c,2'c)이 각각 형성되어 중앙요부(12a)가 형성된 고정구(12)에 일측을 끼우고 동상의 볼트(13) 및 너트(14)에 의하여 체결고정하며 상기 하부가로대(3)상부엔 타측에 마련된 브라켓트(9a)(9'a)를 체결고정할 수 있게되어 있다.
상기, 작동축부(6)은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상기 고정프레임(2)에 설치된 양측브라켓(15,15')에 체결된 고정축(16)에 축설되고 서로 마주 고정된 중앙의 고정부(l7)는 플랜지부(18)를 중심으로 양스프링(19.19')의 일측이 끼워진 채로 고정프레임(2)에 체결고정되며, 양측 가동부(20,20')는 와이어(10,10')의 다른 일축이 고정되어 감겨진 풀리(21,21')에 고정되며 스프링(19,19')의 타단이 끼워지되 일측의 축길이 방향홈부(20a,20'a)엔 스프링(19)(19')의 끝단(19a,9'a)이 각각 끼워져 작동시 스프링(19,19')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밸런스추(5)와 가동보드(4)을 합한 자중은 상기 작동축부(6)에 탄성된 스프링(19,19')의 탄성계수가 갖는 범위내에 있도록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조정기구(7)는 제4도 및 제7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하부의 받침대(22)와 장공(23a)이 마련된 높이조정간(23)이 일체로 고정되어 양측에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대(22)는 전출한 바 있는 하부가로대(3)의내측에, 높이조정간(23)은 지주(1,1') 내측에 각각 끼워질 수 있게되어 있으며 높이조정시엔 양측의 지주(1,1')에 형성된 체결공(1c)과 상기 장공(23a)을 일치시키고 높이조정기구(7)을 내리면 지주(1,1')등의 상부본체를 들어 올리거나 내려 적정한 높이가 정해지면, 통상의 볼트(26) 및 너트(27)를 체결하여 이를 행할 수 있게 되어있다.
미설명부호로서 24는 플랫포옴, 25는 차량을, 28,28'는 완충구를 나타낸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제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설치 및 작동순서를 살펴보면 설치방법은 제1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창고나 기타 화물적재, 하역장소에 위치한 플랫포옴(24)의 단부에 세위넣고 양측 고정브라켓(1b,1b')의 체결공(1d,1'd)을 통하여 통상의 보올트등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체결고정하게 되며, 이때 플랫포옴(24)의 높이가 양측지주(1)(1')의 높이보다 높은 경우엔 높이조정기구(7)를 이용하여 상하향 조정함으로써 본 고안인 데크보드(100)의 높이를 조절하면 된다.
작동순서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차량(25)을 플랫포옴(24) 가까이 근접시키고 적재함을 연다음 제4도 및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인 데크보드(100)의 가동보드(4)를 상승시켜 위치시키고자 하는 경우 이의 손잡이구멍(4a)에 손을 넣고 상부로 당겨올린다.
이때, 작동축부(6)의 탄지된 스프링(19)(19')의 탄성력과 밸런스추(5)의 자중에 의하여 가동보드(4)를 용이하게 들어올릴수 있고 상기 가동보드(4)의 고정돌부(4b)(4'b)와 링크(5a)(5'a)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수평상태로서 그 끝단을 차량(25)의 적재함에 설치위치에 자리잡게 할수있어 본 고안인 데크보드(100)의 사용준비 상태가 완료된다.
그런다음 차량의 적재함 내부에 있는 화물을 하역하거나 아니면 창고로부터 짐을 옮겨 차량에 적재하면 되는데 이때 단순히 인력을 이용하거나 지게차나 푸쉬카드등 별도의 운반수단을 이용하여 본 고안인 데크보드(100)의 상부 고정보드(2a) 및 가동보드(4)를 정유, 상, 하차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화물의 상, 하차가 끝나면 다시 데크보드(100)의 가동보드(4)를 설치시와는 반대로 당겨 하강시켜 원위치시키면 된다.
상기와 같이 가동보드(4)를 설치하거나 원위치시키는 경우, 내부의 밸런스추(5), 와이어(10)(10'), 풀리(21)(21') 및 작동축부(6)의 양스프링(19)(19')이 갖는 상호 작동에 의하여 손쉬운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되어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그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우선 가동보드(4)의 설치시 상부로 가동보드(4)를 당겨올리는 경우 링크(5a)(5'a)와 연결설치된 밸런스추(5)가 함께 상승하되, 밸런스추(5)엔 와이어(10)(10')의 일측이 연결고정되어 있어 스프링(19)(19')에 의하여 탄지된 상태에 있게된 와이어(10)(10')가 풀리(21)(21')에 감겨지는 회전력과 가동보드(4)와 밸런스추(5)의 자중에 의하여 손쉽게 상승될 수 있으며, 반대로 가동보드(4)를 하강시켜 윈위치 시키고자 하는 경우엔 링크(5a)(5'a)와 연결설치된 배런스추(5)가 함께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고정축(16)에 축설된 고정부(17)의 플랜지부(18)를 중심으로 일측이 체결고정되고 타측이 양측 가동부(20)(20')의 출길이 방향홈부(20a)(20'a)에 끼워 고정된 스프링(19) (19')의 탄지력에 의한 물리(21,21')가 감길려고 하는 역방향 회전력으로 가동보드(4) 및 밸런스추(5)의 자중에 의한 하강으로 균형을 이루면서 서서히 유연하게 하강 될수 있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인 데크보드(100)는 창고나 기타 화물의 적재, 하역장소에 동상 마련되어 있는 기존 또는 신규의 플랫포옴(24)에 손쉽게 설치하여 차량에 화물을 상차시키거나 또는 차량으로 부터 화물을 하차시키고자 하는 경우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고 지게차나 푸쉬카트등을 화물을 적재한 체 차량의 내외로 내왕할 수 있어 상,하차 작업인원을 감소시킬수 있으며, 기존의 창고가 갖는 플랫포옴보다 그 길이를 짧게하더라도 운용이 가능하여 창고의 유효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는 동시에 건축비도 절감할 수 있고 기존의 플랫포옴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취급 및 사용이 편리하여 경제적인 운용이 가능한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 양측지주(1,1') 사이에 고정프레임(2) 및 하부가로대(3)가 설치되고 가동보드(4), 밸런스추(5), 작동축부(6) 및 높이조정기구(7)의 결합구성에 의하여 이루어지되,상기, 양측지주(1,1') 전면엔 쿠션고무(1a,1a)가 설치되고 양측엔 고정브라켓(1b,1b)을 일체로 설치하여 상부 고정보드(2a)및 고정프레임(2)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하부엔 상기 하부가로대(3)가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보드(4)는 손잡이 구멍(4a)이 뚫려지고 배면엔 고정돌부(4b,4'b)를 형성하여 밸런스추(5)의 링크(5a,5'a)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밸런스추(5)는 전면에 링크(5a,5'a)의 일측이 고정설치되고 배면엔 고정부재(8)(8')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재(8)(8')는 로드공(8a)(8'a)이 천공되고 결합공(8b)(8'b)을 갖는 결합돌부(8c)(8'c)를 설치하되, 상기, 로드공(8a)(8'a)엔 가이드로드(9)(9')를 끼우고 결합공(8b)(8'b)엔 와이어(10)(10')의 일측을 고정한 고정구(11)(11')를 고정하며, 상기 가이드로드(9)(9')는 고정보드(2a) 저면에 고정된 브라켓트(2b)(2'b)와 상기 하부가로대(3)사이에 고정설치될 수 있게 이루어지되 상기 브라켓트(2b)(2'b)엔 장공(2c)(2'c)이 형성되어 통상의 고정구(12)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하부가로대(3) 상부엔 브라켓트(9a)(9'a)로 체결고정하게 되어있는 동시에, 상기 작동축부(6)는 브라켓(15)(15')에 체결된 고정축(16)의 양측과 중앙에 가동부(20)(20')와 고정부(17)가 축설되되 상기, 고정부(17)는 플랜지부(18)를 중심으로 양스프링(19)(19')의 일측이 끼워진 채로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고, 양측가동부(20)(20')는 와이어(10)(10')의 다른 일측이 고정되어 감겨진 풀리(21)(21')에 고정되어 축길이 방향홈부(20a,20'a)에 상기, 스프링(19,19')의 타측의 끝단(19a,19'a)이 각각 끼워져 이루어지고, 상기, 높이조정기구(7)는 하부의 받침대(22)와 장공(23a)이 마련된 높이조정간(23)이 양측에 일체로 고정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대(22)는 하부가로대(3)의 내측에, 높이조정간(23)은 지주(1,1')의 내측에 각각 삽설되어서 상기 지주(1,1')에 체결공(1c)과 장공(23a)을 일치시키어 통상의 고정볼트(26) 및 너트(27)로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크보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9211760U KR920005703Y1 (ko) | 1989-12-05 | 1992-06-29 | 데크보드(Deck Boar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90017963A KR910011610A (ko) | 1989-12-05 | 1989-12-05 | 데크보드(Deck Board) |
KR9211760U KR920005703Y1 (ko) | 1989-12-05 | 1992-06-29 | 데크보드(Deck Board)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90017963A Division KR910011610A (ko) | 1989-12-05 | 1989-12-05 | 데크보드(Deck Boar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05703Y1 true KR920005703Y1 (ko) | 1992-08-20 |
Family
ID=26628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9211760U KR920005703Y1 (ko) | 1989-12-05 | 1992-06-29 | 데크보드(Deck Boar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20005703Y1 (ko) |
-
1992
- 1992-06-29 KR KR9211760U patent/KR92000570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74416A (en) | Flat load trailer | |
US2676720A (en) | Material handling equipment cooperable with vehicles | |
US4417738A (en) | Retractable caster assembly having a lever in rolling engagement with a pressure plate | |
WO2003072414A1 (en) | Hand trolley with winch operated lifting carriage | |
US4105218A (en) | Portable pallet carriers | |
KR920005703Y1 (ko) | 데크보드(Deck Board) | |
KR102081323B1 (ko) | 특장차용 발판 | |
KR200231143Y1 (ko) | 차량운반용 트럭 | |
KR200411721Y1 (ko) | 리프팅 기능을 갖는 화물 운반용 손수레 | |
US668211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ing a length of a lift gate | |
CN111807231A (zh) | 一种集装箱跨运车 | |
JPH09301044A (ja) | 車両設置用車イス等リフタ− | |
CN213060066U (zh) | 物流配送助力车 | |
JPH0357020B2 (ko) | ||
EP0433290A1 (en) | Goods lifting and/or lowering assembly | |
KR0134263Y1 (ko) | 짐 운반용 사다리차 | |
JPS6348800B2 (ko) | ||
SU1230953A1 (ru) | Тележка дл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 монтажа т желовес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 | |
KR970004083Y1 (ko) | 고층건물용 화물 운반장치 | |
JPH0518396Y2 (ko) | ||
JPS6323415Y2 (ko) | ||
JPS62989Y2 (ko) | ||
JPH07315108A (ja) | 幌ウイング形トラックの積荷の積み降ろし装置 | |
KR960000114Y1 (ko) | 농수산물 포장상자 적재용 리프트 | |
KR200215376Y1 (ko) | 간이 손수레의 계단 승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60715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