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593Y1 - 철도차량 점퍼소켓용 단자대 - Google Patents

철도차량 점퍼소켓용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593Y1
KR920005593Y1 KR2019870016011U KR870016011U KR920005593Y1 KR 920005593 Y1 KR920005593 Y1 KR 920005593Y1 KR 2019870016011 U KR2019870016011 U KR 2019870016011U KR 870016011 U KR870016011 U KR 870016011U KR 920005593 Y1 KR920005593 Y1 KR 9200055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ck
jumper
connection box
terminal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60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770U (ko
Inventor
조인옥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160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593Y1/ko
Publication of KR8900067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7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5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5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5/0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G5/06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r combined with, couplings or connectors for fluid conduits or electric cables
    • B61G5/1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r combined with, couplings or connectors for fluid conduits or electric cables for electric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철도차량 점퍼소켓용 단자대
제1도는 본 고안을 점퍼소켓에 내장설치한 상태의 조립단면도.
제2도의 (a)는 본 고안 600V용 단자대의 평면도, (b)는 (a)의 측면도.
제3도의 (a)는 본 고안 1500V용 단자내의 평면도, (b)는 (a)의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 600V용 단자대와 1500V용 단자대를 결합한 상태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 : 점퍼소켓 2 : 점퍼소켓몸체
7 : 고정볼트 8 : 연결박스
9 : 600V용 단자대 10 : 1500V 단자대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각차간 연결용 점퍼(JUMPER) 소켓에 부착하는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점퍼소켓에 전선을 직접연결할수 없었으므로 연결박스를 별도로 설치하여 점퍼소켓에 점퍼소켓전용 케이블을 부착하고, 점퍼소켓에서 연결박스까지 점퍼케이블을 연결한 다음, 연결박스에서 차간 인통 및 각종부하고 연결사용 하였으므로, 연결박스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고, 케이블을 별도로 만들어야 하였다.
이와같은 구성은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전동차와 같이 구조가 복잡한 차량에서는 점퍼를 취부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결점을 해결하기위하여 단자대를 극소화하여 점퍼소켓에 내장시킬수 있도록 안출한것으로써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의거하여 점퍼소켓(1)의 구성을 설명하면, 점포소켓몸체(2)내에 수장설치된 절연체(3)에는 스프링(4)에 의하여 탄동되는 탄동접속봉(5)을 수개설치하고, 이에 접속연결선(6) 일측을 접속하며, 고정볼트(7)에 의하여 연결박스(8)내에 수장설치된 단자대(9)(10)의 단자판에는, 접속연결선(6)의 타측을 고정하여 접속시킨다.
이와같이된 상태에서, 연결박스(8)의 외측면에는 와이어 인출공(11)이 형성된 패킹(12)을 패킹케이스(13)로써 고정설치하고, 점퍼소켓몸체(2)일측에는 록킹암(14)을 돌출형성한 다음, 이에 핸들(15)을 부착설치하여 탄동 접속봉(5)을 선택적으로 눌러서 전원을 접속공급시킬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점퍼소켓(1)의 내부에 수장설치되는 단자대(9)(10)의 구성을 설명하면, 제2와 같이 600V용 단자대(9)에 간벽(16)(161)(162)(163) (을 사이에 두고, 3단의 와이어 연결홈(17)(171)(172)을 층상으로 형성하고, 중앙부좌우에는 돌출단자 고정부(18)(181)를 형성하며, 각 와이어 연결홈(17)(171)(172)에는 2개씩의 접속부를 가진 단자판(19)(191)(192)을 설치하고, 돌출단자고정부(18)(181)에는 한개씩의 접속부를 가진 단자판(20)(201)을 각각 고정설치하여, 8개의 접속부를 갖는 단자판을 설치한다.
이와같이된 상태에서, 4방의 모서리부에는 1500V용 단자대(10)취부용 나사공(21)(211)(212)(213)을 형성하고, 배면 중앙부에는 고정나사홈(22)을 형성하고 간벽(16)(161)의 양측중앙부에는 1500V용 단자대 고정홈(29)(291)(292)(293)을 요입 형성하여 600V용 단자대를 구성한다.
제3도와 같이 1500V용 단자대(10)에는 간벽(23)(231)(232)을 사이에두고, 와이어 연결홈(24)(241)을 형성하여, 이에 단자판(25)(251)을 설치하고, 일측좌우에는 통공(26)(261)을 형성하고 고정돌출부(30)(301)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600V용 단자대에 1500V용 단자대를 제4도와 같이 상하 2개를 고정홈(29)(291)(292)(293)에 고정돌출부(30)(301)를 맞춰서 결합한후 체결볼트(27)(271)로써 체결하여 일체로 구성한다음, 이를 점퍼소켓(1)의 연결박스(8)에 내장하고, 600V용 단자대배면에 형성된 고정나사홈(22)에 고정볼트(7)로써 체결하여 결합할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8개의 접속부를 가진 600V용 단자대(9)와 4개씩의 접속부를 갖는 1500V용 단자대(10)두개를 일체로 결합구성하여 점퍼소켓(1)의 연결박스(8)에 내장설치하므로써 종래 점퍼소켓과 연결박스를 별도로 구성하여 설치하던 복잡성과 설치상의 어려움을 해소할수 있는 특징으로 지닌 것이다.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되는 것임.

Claims (1)

  1. 8개의 접속부를 가진 600V용 단자대(9)와 4개씩의 접속부를 가진 1500V용 단자대(10)를 고정홈(29)(291)(292)(293)에 고정돌출부(30)(301)를 결합한후 체결볼트(27)(271)로써 결합하고, 이를 점포소켓(1)의 연결박스(8)에 내장설치하여 고정볼트(7)로 고정시켜서 결합구성된 철도차량점퍼 소켓용 단자대.
KR2019870016011U 1987-09-21 1987-09-21 철도차량 점퍼소켓용 단자대 KR9200055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6011U KR920005593Y1 (ko) 1987-09-21 1987-09-21 철도차량 점퍼소켓용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6011U KR920005593Y1 (ko) 1987-09-21 1987-09-21 철도차량 점퍼소켓용 단자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770U KR890006770U (ko) 1989-05-15
KR920005593Y1 true KR920005593Y1 (ko) 1992-08-17

Family

ID=19268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6011U KR920005593Y1 (ko) 1987-09-21 1987-09-21 철도차량 점퍼소켓용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59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770U (ko) 198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13558Y2 (ja) 自動車用配線装置
US5857863A (en) Automobile instrument panel harness-connecting construction
JPH1125844A (ja) バッテリーと電気接続箱との接続構造
KR920005593Y1 (ko) 철도차량 점퍼소켓용 단자대
JP3290387B2 (ja) 電気接続箱
RU98116747A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системы управления с блоком управления в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JP3112416B2 (ja) 電気接続箱の接続構造
KR19980062130A (ko) 전기자동차의 밧데리 장착구조
JP2571476Y2 (ja) 電気接続箱
KR910005732Y1 (ko) 점퍼 소켓
JP3301515B2 (ja) 内燃機関のインジェクタ用コネクタブロック
JPS5890017U (ja) パネルの電源供給構造
JP3832308B2 (ja) 車両用防塵・防水ケース
CN212572048U (zh) 一种顶棚线束结构
JP3189206B2 (ja) 電気接続箱
JPS6344277Y2 (ko)
JPH0316215Y2 (ko)
JPH03703Y2 (ko)
JPH0539017Y2 (ko)
JPS6224945Y2 (ko)
JP2538729Y2 (ja) スイッチボックス
JPS63171259U (ko)
JPS61153427U (ko)
JP2537147Y2 (ja) 分岐接続箱の接続構造
JPS6156519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6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