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272Y1 - 조립식 프레임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프레임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272Y1
KR920005272Y1 KR2019900008902U KR900008902U KR920005272Y1 KR 920005272 Y1 KR920005272 Y1 KR 920005272Y1 KR 2019900008902 U KR2019900008902 U KR 2019900008902U KR 900008902 U KR900008902 U KR 900008902U KR 920005272 Y1 KR920005272 Y1 KR 9200052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necting member
fixing member
fixing device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89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0918U (ko
Inventor
이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벨
이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벨, 이종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벨
Priority to KR20199000089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272Y1/ko
Publication of KR9200009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9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2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2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16B7/044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식 프레임의 고정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프레임이 조립된 전면을 보인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조립된 후면을 보인 사시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A"부 분해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작동을 보인 단면도로써, (a)는 고정부재가 연결부재를 고정하기전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 (b)는 고정부재가 연결부재를 고정한 후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 5 도는 제 4a 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프레임 1', 2' : 요철홈
3 : 연결부재 4 : 고정부재
본 고안은 영상표시기의 눈 보안용 필터나 각종 액자틀등에 사용되는 조립식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에 요철홈을 형성하여 각 모서리에 연결부재와 고정부재로써 간단한 조작에 의해 압착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공구나 기술에 관계없이 누구나 손쉽게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프레임의 외관손상 및 파손될 염려가 없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프레임이 조립되는 각 모서리의 외부로 별도의자형 경첩을 사용하던가 혹은 못박음 및 나사조립등으로 프레임을 연결하는 등 그 연결수단이 극히 단순하였기 때문에 조립되는 프레임이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품질을 저하시키는등 낙후된 기술이였으며, 또한 연결작업시 연결되는 부위를 수십번 교체하여야만 원하는 프레임 형상이 만들어짐은 물론 세심한 기술을 필요로 함으로 누구나 손쉽게 제작할 수 없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폐단을 감안하여, 프레임에 형성된 요철홈에 따라 별도의 연결부재와 고정부재로 압착고정되도록 조립식 프레임을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레임 (1)(2)에형의 요철홈(1')(2')을 갖도록 형성한 것과, 상기 프레임(1)(2)을 직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요철홈(1')(2')에 끼워지는형의 연결부재(3)와, 상기 연결부재(3)가 요철홈(1')(2')에 압착되게 하기 위한형의 고정부재(4)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5는 머리부, 6은 손잡이부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제 3 도와 같이 도시된 프레임(1)(2)을 직각으로 위치시킴과 동시에 모서리부쪽이 벌어지게끔 한 다음 프레임(1)(2)에 형성된 요철홈(1')(2')쪽에 별도의 연결부재(3)을 위치시키고, 다시 프레임(1)(2)을 직각으로 서로 맞닿게 하면 되는데, 이때 연결부재(3)의 두께가 요철홈(1')(2')의 폭보다 얇은 두께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재(3)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부재(4)로써 고정시키면 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수단을 도면 제 4 도와 같이형의 요철홈(1')(2')속에 고정부재(4)를 삽입시키기 위하여 먼저 고정부재(4)의 손잡이부(6)를 수직되게 세우고 머리부(5)가 밑으로 향하게 한 다음 고정부재(4)를 옆으로, 즉형태에서 요철홈(1')(2')에 끼운 다음 다시 60°회전시키면형태가 되어 도면 제 4a 도와 같이 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부재(4)가 연결부재(3)의 상부쪽에 겹쳐있는 두께가 요철홈(1')(2')의 폭 보다 약간 헐겁게 형성하여만 슬라이딩 되면서 위치선정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1차 준비가 끝나면 조립자는 도면 제 4b 도와 같이 고정부재(4)와 손잡이부(6)가 하부쪽으로 향하게 눌르면 요철홈(1')(2')속으로 손잡이부(6)는 들어가고 머리부(5)는 90°로 회전되는데, 이때 머리부(5)가 연결부재(3)으로 강압으로 압착되도록 눌러주어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작동을 도면 제 5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고정부재(4)의 머리부(5)쪽 양단부가 요철홈(1')(2')에 걸려있기 때문에 도시된 일점쇄선과 같이형태에서형태로 90°회전시키면 머리부(5)쪽으로 두께가 달라지므로 연결부재(3)를 요철홈(1')(2')에 고정하여 프레임(1)(2)을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와 간편한 작동에 의해 누구나 손쉽게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며, 또한 프레임의 외관손상 및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여 품질을 높일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대향생산에도 적합한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조립식 프레임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프레임(1)(2)에형의 요철홈(1')(2')을 갖도록 형성한 것과, 상기 프레임(1)(2)을 직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요철홈(1')(2')에 끼워지는형의 연결부재(3)와, 상기 연결부재(3)가 요철홈(1')(2')에 압착되게 하기 위한형의 고정부재(4)로 이루어진 조립식 프레임의 고정장치.
KR2019900008902U 1990-06-23 1990-06-23 조립식 프레임의 고정장치 KR9200052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8902U KR920005272Y1 (ko) 1990-06-23 1990-06-23 조립식 프레임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8902U KR920005272Y1 (ko) 1990-06-23 1990-06-23 조립식 프레임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918U KR920000918U (ko) 1992-01-28
KR920005272Y1 true KR920005272Y1 (ko) 1992-07-31

Family

ID=19300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8902U KR920005272Y1 (ko) 1990-06-23 1990-06-23 조립식 프레임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2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918U (ko) 199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272Y1 (ko) 조립식 프레임의 고정장치
CN205457695U (zh) 一种拼角相框
JP3953864B2 (ja) 貯蔵庫
JPH0248622Y2 (ko)
JPH0633190Y2 (ja) ドアの框組構造
JP2542061Y2 (ja) 縦枠と横枠の連結構造
JPS6091038U (ja) 机における側パネル
KR910000771Y1 (ko) 조립식 진열대의 연결구
JPS6132514Y2 (ko)
KR200259038Y1 (ko) 거울이 부설된 액자
JPH07639Y2 (ja) ブラインド内蔵コーナーサッシ
JPS6455784U (ko)
JPH0236873Y2 (ko)
JPH0721819Y2 (ja) ガラスパネルの嵌め込み装置
JPS5930156Y2 (ja) 枠体の連結装置
JPS634787Y2 (ko)
JPS5853853Y2 (ja) たれ壁構造
KR960009683Y1 (ko) 건물용 판유리의 결합장치
JPS608071Y2 (ja) 枠材の結合装置
JPS6240188U (ko)
JPS59154593U (ja) 化粧額縁付き扉枠等枠体
JPS5857487U (ja) 建築用のパネル
JPS61108784U (ko)
JPS6438932U (ko)
JPH0372770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