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253B1 - 수치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수치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253B1
KR920005253B1 KR1019890702028A KR890702028A KR920005253B1 KR 920005253 B1 KR920005253 B1 KR 920005253B1 KR 1019890702028 A KR1019890702028 A KR 1019890702028A KR 890702028 A KR890702028 A KR 890702028A KR 920005253 B1 KR920005253 B1 KR 920005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numerical control
control device
controlling
ax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2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0944A (ko
Inventor
히데아끼 가와무라
겐따로 후지바야시
모리마사 사또
Original Assignee
후아낙크 가부시끼가이샤
이나바 세이우에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낙크 가부시끼가이샤, 이나바 세이우에몽 filed Critical 후아낙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700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0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14Structure of the control system, e.g. common controller or multiprocessor systems, interface to servo, programmable interface controller
    • G05B19/4141Structure of the control system, e.g. common controller or multiprocessor systems, interface to servo, programmable interface controller characterised by a controller or microprocessor per axi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3Director till display
    • G05B2219/33129Group spindles, axis into motion groups, nc channel structu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3Director till display
    • G05B2219/33163Multichannel master bu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3Director till display
    • G05B2219/33334Load balancing, distribution between process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3Director till display
    • G05B2219/33341Peer to peer, change master if overload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4Director, elements to supervisory
    • G05B2219/34009Coprocess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4Director, elements to supervisory
    • G05B2219/34011MMU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4Director, elements to supervisory
    • G05B2219/34422SBC single board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치제어장치
수치제어장치에서는, 수치제어지령을 판독하고, 해독하여, 실행하는 기능은 일반적으로 1계통이며, 이것으로 복수의 축을 제어하고 있었다. 그후 복수의 주측을 갖는 다수 헤드의 수치제어선반등에서는, 이들의 기능을 복수개 갖는 수치제어장치가 사용되도록 되어왔다. 즉, 마치 2개의 수치제어장치가 일체로 구성되며, 한쪽의 게통에서 제1의 주측과 X1 축, Z1 축을 제어하고, 다른 계통에서 제2의 주축과 X2 측, Z2축을 제어하는 구성의 수치제어장치가 사용되도록 되어 왔다.
그리나, 이와 같은 수치제어장치에서는, 2개의 주축을 갖는 수치제어선반을 제어할수 있지만, 단순히 2개의 수치제어장치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 뿐이며. 이하와 같은 과제가 있었다.
제1은 처리능력의 불균형이다. 즉, 한쪽의 계통을 구성하는 프로세서의 타스크와, 다른쪽의 프로세서의 처리해야할 타스크가 균형되어 있을 때에는 좋지만, 이것이 무너져서 한쪽의 프로세서의 처리해야할 타스크와, 다른쪽의 타스크가 불균형으로 되더라도, 서로 상대측의 타스크를 처리할 수가 없다.
제2는 서로의 데이터의 억세스가 안되는데 있다. 즉, 수치제어장치로서는 2계통의 기능이 있는데, 제어해야할 선반은 1개의 기계이며, 서로가 필요한 데이터가 있더라도, 억세스 할수가 없고, 쓸데없는 메모리등을 필요로하고, 유연한 제어도 할수 없다. 이를 위해서는, 통신 포오트등을 별도로 필요로 하고 있었다.
제3에 공통의 외부기기, 예컨대 CRT/MDI 유닛, 플롭피 디스크등을 하나하나 설치할 필요가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수치제어지령을 판독하고, 해독하여, 실행하는 복수의 채널을 갖는 수치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겻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측을 다계통으로 제어하는 수치제어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슬롯을 갖는 채널버스와, 그 채널버스에 접속되며, 1군의 축의 수치제어지령을 판독하고, 해독하여, 실행하는 복수의 채널과, 복수의 서어보모터를 제어하는 축제어 모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또, 복수의 채널의 1개를 마스타채널로 하여 전체를 제어할수 있다.
수치제어지령을 처리하는 채널을 복수개 설치하고, 이것을 채널버스로 결합하여, 처리능력의 균형을 꾀하고, 서로가 데이터를 억세스하고, 외부기기를 공통화한다.
또, 채널중의 1개를 마스타채널로하여, 전체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하겠다.
제1도에 본 발명의 수치제어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냄. 도면에 있어서, 1은 채널버스이며, 각 채널을 결합할 수 있는 멀티마스타버스이다. 채널버스(1)에는, 다수의 슬롯(la,lb,···lf)이 있고, 후술하는 체널등을 결합할수 있다.
2는 CRT/MDI 유닛이며, 슬롯 1f에 설치되어 있으며, 수치제어장치의 데이터, 도형을 표시하고, 다시키이보오드에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CRT/MDI 유닛(2)은 각 채널에서 억세스 할 수 있다.
3 및 4는 측 제어 모듈이며, 슬롯 1b 및 1d에 설치되어 있으며, -1개의 모듈로 2∼3측의 서어보 모터를 제어할수 있다.
10,20 및 30은 채널이며, 슬롯 1a, 1c, 1e에 설치되어 있다. 채널의 상세는 후술하겠으나, 1개의 채널이종래의 수치제어장치 1개분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1개의 채널로, 수치제어지령의 판독, 해독, 실행을 처리할 수 있다. 또, CRT/MDI 유닛(2)등의 기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개개의 채널로 종래의 수치제어장치가 처리해온, 일정한 수의 축의 지령을 처리할 수 있다. 애컨대, 2 헤드의 수치제어선반으로, 채널 I(10)으로 제1의 주축, X1 축 및 Z1 축을 제어하고, 채널 II(20)로 제2의 주축, X2 축 및 Z2 축을 제어하고, 채널 III(30)을 마스타 채널로하여, 다른 채널의 감시등 전체의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물론 마스타채널(30)도 축제어모듈, 주축등을 제어할 수도 있다. 다시 각 채널(10,20,30)은 CRT/MDI 유닛(2)에 억세스 할 수 있다.
이들의 채널 10∼30이 채널버스(1)에 걸합되며, 처리를 분담하고,1개의 채널의 처리능력이 부족해졌을때에는, 다른 채널에 처리를 일부 이전한다. 예컨대, 한쪽의 채널 I (10)이, 대단히 가는 보간을 실행하고, 채널 II(20)가 직선 보간을 실행하고 있을때에는, 채널 I(10) 보간의 전처리 연산 일부를 채널 II(20)에 실행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처리에 불균형이 생기지 않도록, 처리능력의 균형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채널은 서로가 채널버스(1)를 경유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억세스 할 수 있다. 다시, CRT/MDI 유닛(2)은 채널버스(1)의 슬롯(1f)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 채널에서 표시데이터가 출력되며, CRT/MDI 유닛(2)의 키이보오드의 입력은 각 채널(10,20,30)에 입력된다.
채널 III(30)는 마스타채널로서, 채널버스(1) 사용권의 조정, 다른 채널의 감시등 전체의 제어를 실행한다. 또, 채널 III(30)의 처리해야할 타스크가 증가하여 전체의 제어를 실행못하게 되며, 다른 채널이 여유가 있을때에는, 마스타권을 다른 채널로 이전할 수 있다.
특히, 종래에는 제어해야할 축의 조합이 고정화되어 있었으나, 이와 같은 채널을 채널버스에 결합하므로서, 제어해야할 축의 조합을 임의로 번경할 수 있다. 예컨대 최초에 채널 I (10)으로 X1 축, Z1 축을 제어하고, 채널 II(20)로 X2 축, Z2 축을 제어하는 조합으로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가공해야할 가공물이 바뀌며, 채널 I (10)으로 X1 축, Z1 축, X2축을 제어하고, 채널 II(20)로Z2 축을 제어하도록 변경한다. 이와 같은, 제어해야할 축의 조합을 변경하므로서 공작기계 그 자체의 기능을 변경할 수 있다.
이들의 변경은 공작기계에 따라서 파라미터등을 변경 하므로서, 다시 짤수 있다. 또, 가공 프로그램중에 다시, 외부신호등을 사용하여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이와 같은 수치제어장치를 사용하므로서, 새로운 개념의 기구를 구비한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설계도 가능해진다.
또, 제1도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았으나, 플롭피디스크, 드라이브, 종이테이프 리더, 종이페이트 펀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등의 입력기기를 채널버스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들은 채널버스를 경유하며, 각 채널이 제어하고, 가공 프로그램등의 데이터를 입출력 할 수 있다. 또, 포스트컴퓨터등이 통신회선용의 인터페이스도 채널버스에 결합하고, 각 채널로 제어할 수 있다. 다시, 주축을 제어하기 위한 주축 제어회로, 내장형의 PC(프로그래머블·콘트롤러)등을 채널버스에 결합하고, 각 채널로 제어할 수 있다.
제2도에 채널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를 나타냄. 도면에 있어서, 10은 채널, 11은 판독수단이며, 내부의 메모리 혹은 외부의 다른 채널의 메모리에서 지령 프로그램을 판독한다.
12는 해독수단이며, 판독된 가공 프로그램을 해독하고, 실행 처리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한다. 소위 수치제어장치의 전처리 연산이라 칭하는 것이며, 앱소류트 지령값의 인크리멘털 값으로의 변환, 옵셋계산, 보간해야할 곡선의 직선으로의 변환등의 연산처리등이 있다. 또, 축 제어지령과 그 이외의 MST 기능등의 지령도 처리한다.
13은 실행수단이며, 해독수단(12)으로 처리된 지령을 보간하고, 출력 펄스를 출력한다. 또, MST 기능등의 접점 출력을 출력한다. 이들의 출력은 직접 혹은 채널버스를 경유하여, 축 제어 모듈 혹은 PC 장치에 출력된다.
14는 표시제어수단이며, 채널버스를 경유하여, CRT/MDI 유닛등에 대해서, 표시데이터를 출력하고, CRT/MDI 유닛의 키이보오드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한다.
15는 외부인터페이스이며, 외부기기, 예컨대 플롭피디스크, 드라이브, 종이테이프 펀처, 종이데이프 리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등의 외부기기를 채널버스를 경유하여 제어한다. 또 포스트 컴퓨터와 접속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채널은 프로세서, RAM, ROM 인터페이스등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시스템으로서 구성할 수있다. RAM의 일부는 버블메모리 혹은 배터리로 배업하여 불휘발성의 메모리로서 구성할 수 있다. ROM은 EPROM 혹은 EEPROM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시, 처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코.프로세서, MMU(메모리 관리 유닛)등을 추가할 수 있다. 또, 하드웨어의 구성으로서는, 1에의 프린트판을 채널로서 구성하여, 시스템 구성에 따라서 적당한 개수의 채널을 사용하므로서, 경제적인 수치제어장치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채널은 처리를 분담하고, 채널버스(1)를 거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고, 필요에 따라 처리의 분담을 변경할 수가 있으므로, 각종의 공작기계에 따른 수치제어장치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1개의 채널에 종래의 수치제어장치의 기능을 갖게 하고, 이것을채널버스로 결합했으므로, 분산처리능력이 향상하고, 서로의 채널데이터의 억세스가 가능해지며, CRT/MDI 유닛등을 공유할 수 있다.
특히, 처리해야할 타스크를 채널마다에, 프로그램지령, 입력신호, 파라미터등으로 변경할 수가 있으며, 제어해야할 공작기계에 따라서 유연한 수치제어장치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채널을 갖는 수치제어장치에 관하며, 특히 수치제어지령을 판독하고, 해독하며, 실행하는 채널을 갖는 수치제어장치에 관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수치제어장치의 구성도.
재2도는 채널의 기능을 나타낸 블륵도.

Claims (8)

  1. 다수의 축을 다계통으로 제어하는 수치제어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슬롯을 갖는 채널버스와, 그 채널버스에 접속되며, 1군의 축의 수치제어지령을 판독하고, 해독하여, 실행하는 복수의 채널과, 복수의 서어보모터를 제어하는 축 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제어장치.
  2. 제l항에 있어서, 전기한 채널이 제어하는 1군의 축의 그루우프 나누기 처리의 내용은 파라미터, 지령프로그램 혹은 외부신호에 의해서 변경하도륵 구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채널중 1개를 마스타채널로 하고, 다른 채널의 감시등의 수치제어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하도륵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제어장치.
  4. 제l항에 있어서, 전기한 마스타채널은, 필요에 따라서 다른 채널로 옮기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치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채널은 CRT/MDI 유닛을 제어하는 표시제어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치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채널은 플롭피디스크, 드라이브, 종이테이프 리더, 종이테이프 핀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등의 입출력 기기를 제어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채널은 1매의 프린트판에 프로세서, RAM, ROM 인터페이스등을 설치한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전기한 채널에는 코·프로세서, 메모리 관리 유닛(MMU)을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제어장치.
KR1019890702028A 1988-03-09 1989-03-02 수치제어장치 KR9200052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55758/88 1988-03-09
JP63055758A JPH01229302A (ja) 1988-03-09 1988-03-09 数値制御装置
JP88-055758 1988-03-09
PCT/JP1989/000223 WO1989008874A1 (en) 1988-03-09 1989-03-02 Numerical contro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0944A KR900700944A (ko) 1990-08-17
KR920005253B1 true KR920005253B1 (ko) 1992-06-29

Family

ID=13007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2028A KR920005253B1 (ko) 1988-03-09 1989-03-02 수치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404939A4 (ko)
JP (1) JPH01229302A (ko)
KR (1) KR920005253B1 (ko)
WO (1) WO19890088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1339B2 (ja) * 1995-03-03 2003-12-22 三菱電機株式会社 駆動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7802B2 (ja) * 1979-08-10 1985-12-17 株式会社クボタ 移動農作業機
CH637228A5 (fr) * 1980-03-27 1983-07-15 Willemin Machines Sa Dispositif de commande d'une machine ou d'une installation.
GB2077459B (en) * 1980-05-22 1985-02-27 Bryant Grinder Corp An electro-mechanical control system for a grinding machine
JPS57169812A (en) * 1981-04-14 1982-10-19 Fanuc Ltd Numerical controlling system
JPS60151775A (ja) * 1984-01-19 1985-08-09 Chiyuushiyou Kigyo Shinko Jigyodan マルチプロセツサシステム
JP2687119B2 (ja) * 1986-07-04 1997-12-08 三菱電機株式会社 数値制御装置
JPH01173204A (ja) * 1987-12-28 1989-07-07 Fanuc Ltd 数値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0944A (ko) 1990-08-17
EP0404939A4 (en) 1992-09-02
WO1989008874A1 (en) 1989-09-21
JPH01229302A (ja) 1989-09-13
EP0404939A1 (en) 1991-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2899A (en) Numerical control system
EP0207172B1 (en) Drive control system for servo motors
US20040186613A1 (en) Device for automating and/or controlling of machine tools or production machines
EP0188621B1 (en) Numerical control system
EP0777167A1 (en) Numerical controller
EP0362398A1 (en) Numeric control unit for multiple-spindle and multiple-system machine tool
US5877959A (en) Numerical-control system
KR930001583B1 (ko) 수치 제어장치
US5084660A (en) Nc command system
EP0965895B1 (en) Control System with a input/output card interface
KR920005253B1 (ko) 수치제어장치
EP0055301B1 (en) Numerical control unit
CN201926895U (zh) 一种异型车铣复合机床的数控系统
US20040059434A1 (en) Device for automating and/or controlling machine tools or production machines
KR920006161B1 (ko) 수치제어장치
US20040187097A1 (en) Method for parameterizing software process signal connections of a drive unit
Stute et al. The application of a modular multiprocessor NC system
JP2664492B2 (ja) Cncの協調動作方式
EP0380685A1 (en) Nc command system
Stute et al. Principle and Examples of a Modular Multiprocessor NC System
CN116540625A (zh) 十轴双通道数控系统
JP2810668B2 (ja) マシンロック制御方式
SU151173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ограммного управлени шпинделем
JPS5852768A (ja) マイクロプロセツサの構成方式
JPS6314204A (ja) 数値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