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222B1 - 원격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원격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222B1
KR920005222B1 KR1019880016319A KR880016319A KR920005222B1 KR 920005222 B1 KR920005222 B1 KR 920005222B1 KR 1019880016319 A KR1019880016319 A KR 1019880016319A KR 880016319 A KR880016319 A KR 880016319A KR 920005222 B1 KR920005222 B1 KR 920005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et
code
main set
mainset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6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1461A (ko
Inventor
카신 틴 요수아
Original Assignee
리모트 오토메이션 앤드 컨트롤 일렉트로닉스 인코오퍼레이티드
카신 틴 요수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모트 오토메이션 앤드 컨트롤 일렉트로닉스 인코오퍼레이티드, 카신 틴 요수아 filed Critical 리모트 오토메이션 앤드 컨트롤 일렉트로닉스 인코오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90011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1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03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itiating engine start or stop
    • F02N11/0807Remote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5/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rrecting errors; Monitoring arrangements
    • G08C25/0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rrecting errors; Monitoring arrangements by signalling back receiving station to transmitting station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격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기능을 도시한 블럭다이어그램.
제2도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동작순서를 도시한 논리적인 플로우 다이어그램.
제3도는 제2도의 자동 턴 오프 모드에서 엔진처리 모듈의 동작순서를 도시한 논리적인 플로우 다이어그램.
제4도는 제2도의 알람 프로세스 모듈의 동작순서를 도시한 논리적인 플로우 다이어 그램.
제5도는 핸드세트의 회로구성도.
제6a도와 6b도는 메인세트의 회로구성을 2개로 분리하여 각각 도시한 메인세트의 회로구성도.
제7도는 메인세트 알람부의 구체적인 회로도.
제8도는 메인세트의 저온조건 자동시동부의 구체적인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원격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이 탑재된 시스템을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된 원격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엔진기술, 특히 내연 엔진기술은 자동차 또는 잔디 깍는 기계와 같은 소비자용도의 기계를 동작시키는데 이용되거나, 크레인과 승강기와 같은 산업용 기계류에 이용되고 있으며, 또한 엔진은 관계용수 시스템이나 기름을 채취하는 유정시스템과 같은 산업에도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엔진은 사용자의 거주지나 사업장에서 원격제어에 의해 자동차를 출발시키거나 에어콘 또는 히터와 같은 부품을 원격제어로 가동시키는 많은 분야에서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원격제어에 의한 사용자의 편안함과 안락함, 일예로 무더욱 날씨에 미리 에어콘을 가동시키거나, 추운날씨에 미리 히터를 가동시키는 것은 매우 편리한 잇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노인분들이나 어린아이들, 그리고 건강상 불편한 사람들에게는 더욱 편리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겨울에 자동차의 히터를 원격제어함으로써 자동 외부에 얼어붙은 얼음이나 싸인 눈송이를 손으로 제거하는 어려움을 덜어주고, 디젤엔진 차량을 추운지방에서 운용할 경우 배터리유지를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시동을 걸어줄 필요가 있는바, 이러한 경우 원격제어를 할 수 있다면 시동을 걸기위하여 뜨거운 물을 주입시키거나 별도의 예열장치를 장착할 필요가 없고 엔진 시동장치를 주기적으로 점검받을 필요도 없게 될 것이다.
또한 리모트 조작에 의하여, 산업기계를 안전하에 동작시킬 수 있고(예를들면 무거운 짐을 나르는 운반기계) 또한 좀더 나은 동작상태를 원격으로 관찰하는 등,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격제어로서 동작되는 장치는 기존의 기술, 즉 카나다 특허 #990, 829(Lessard), #689, 071(Naish), #689, 528(Naish), #1,130,426(Nildrethetal), #1,025,085(Bucher)등에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원공급원 및 그 전원으로 동작되는 구성부품들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원격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제어대상장치의 적절한 위치에 장착되는 메인세트와 사용자가 휴대하며 조작하게되는 핸드세트로 구성되는바, 그 구체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다.
상기 핸드세트는 사용자에 의해서 임의로 선택될 수 있는 암호코드와 명령코드를 발생하여 제어대상 장치내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게 되는 핸드세트코드 발생수단과, 상기 핸드세트코드 발생수단에 연결되어 이에 응답하고 메인세트에 암호코드 및 명령코드를 전송하는 핸드세트 전송수산과, 상기 메인세트로부터 전송된 피드백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명령코드에 따라 제어되는 구성요소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게 되는 핸드세트수신 수단과, 상기 핸드세트수신수단에 연결되어 전송된 상기 피드백코드에 응답하는 핸드세트 지시수단과, 핸드세트 자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세트는 핸드세트 전송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코드와 암호코드를 수신하는 메인세트 수신 수단과, 메인세트의 암호코드를 선택적으로 정의하게 되는 메인세트엔코딩 수단과, 전송된 핸드세트의 암호코드와 메인세트의 암호코드를 비교해서 이들의 일치함을 검증하여 그 검증신호를 발생하는 검증부와 상기 검증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명령코드에 따라 구성요소의 기능을 제어하게 되는 실행부를 갖추면서 상기 메인 세트 수신수단과 상기메인 세트 엔코딩 수단에 연결되어 이들에 응답하고 아울러 코드가 매치될때 상기 제어대상 장치의 각 구성요소에 제어적으로 연결되는 메인세트제어수단과, 상기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그 동작상황에 응답해서 상기 구성요소의 동작 상황을 코드로서 나타내는 피드백코드를 발생하는 메인세트피드백 수단과, 상기 메인세트피드백 수단에 연결되어 이에 응답해서 피드백 코드를 상기 핸드세트 수신수단에 전송하는 메인세트전송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원리는 내연엔진이 사용되는 여러가지 장치에 적용되고, 특히 자동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그 밖의 분야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지된 시스템을 원격제어하기 위해 이에 전체적으로 완전히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잘 알려진 시스템에 장착하거나 부착하기 위하여 적절한 인터페이스와 함께 설치되는 등 그 일부장치로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자동차용 원격제어장치를 그 예로써 설명하게 된다.
제1도에는 본 발명의 핸드세트와 메인세트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바, 상기 핸드세트에는 부호화된 암호나 비밀코드 및 명령코드를 발생하는 코드발생기 및 엔코더(1000)와, 자동차에 장착된 소정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메인세트에 상기 코드를 송신하는 전송부(1010)가 구성된다. 핸드세트에는 또한 메인세트로부터 피드백 코드를 수신하는 수신부(1020)와 함께 상기 피드백코드에 응답하는 지시회로 및 디코더(1030)가 갖추어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드세트를 휴대하면서 원격으로 메인세트를 구동시키게 되는바, 핸드세트로부터 송신된 암호코드가 명령코드와 함께 메인세트에 의해서 받아들여지게되면 자동차의 소정장치가 비로서 제어되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는 또한 핸드세트를 통하여 상기 소정장치의 구동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메인세트에 관련해서, 전송 및 수신장치와 자동차에 장착된 소정의 장치는 총괄적으로 다음과 같은 컨트롤 회로(1090)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바 그 구조는 다음과 같다.
즉, 메인세트에는 핸드세트로부터 전송된 코드를 수신하는 수신부(1050)와, 이에 연결된 디코더 및 암호 코드매치부(1060)가 구성되고 아울러 핸드세트에 피드백 코드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1070)와 이에 연결된 엔코더(1080)가 구성된다.
암호코드 매치부(1060)는 비밀 또는 암호코드를 프리세트하여 보유하고 있다가 그 해당코드가 핸드세트로 부터 수신된 암호코드와 매치됨을 확인하게 되면 메인세트에서 전송된 명령코드는 컨트롤회로(1090)로 인가되게 된다.
상기 컨트롤회로(1090)는 수신된 명령코드에 따라 이에 연결된 몇개의 자동차의 구성 장치들중 하나를 제어하게 된다.
즉, 엔진을 시동하는 회로(1100)나 에어콘을 시동하는 회로(1110) 그리고 낮은 온도조건하에서 별도의 루프로 엔진을 시동하게되는 저온온도 시동부(1120) 및 알람회로(1130)를 동작시킨다.
그밖에 히터팬(Fan)이나 연로분사기와 같은 다른 선택부(1140)를 동작시키게 되는데, 이후에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위하여 총괄적인 의미에서 선택부라 명칭을 부여하기로 한다.
자동차의 구성장치에 관련된 조건상황 예를들면 엔진이 순조롭게 시동 또는 스톱되거나, 알람(경부)시스템이 잘못된 입력을 검출하거나하는 등의 조건상황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선택부를 활용하여 그 검출회로를 구성하게 되고 그 검출된 신호는 컨트롤 회로(1090)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피드백 회로(1150)에 전달된다.
그후 피드백회로(1050)는 그 조건신호를 엔코더(1080)와 전송부(1070)를 통하여 핸드세트에 전달한다.
그러면 핸드세트에 구성되어 있는 지시회로(1030)는 사용자에게 그 상황을 경고의미로 알려주어 차후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한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블럭으로 구분하고 이들의 연관관계를 나타낸 상기 제1도에서 자동차의 구성장치의 구동상황은 피드백회로(1150)로 직접 전송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암호코드 매치부(1060)는 콘트롤회로(1090)의 일부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시스템의 주요장치와 그들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였으며 다음에는 제2도,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동작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핸드세트와 메인세트사이의 논리적인 주요 동작 흐름도를 보여준다.
통신을 시작하기 위하여 핸드세트는 암호코드 및 명령코드를 메인세트로 전송하게되고(처리블럭 2000), 메인세트는 수신된 암호코드가 그 내부에 기설정된 암호코드와 매치되는가를 확인하게 된다(결정블럭 2010).
매치가 됐음을 확인하게 되면 명령코드가 작용하여 적절한 처리모듈이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의 동작은 결정블럭(2020)과 처리블럭(2030), (2040), (2050), (2060)의 흐름과 같이 이루어진다.
이들 블럭들의 처리정보는 핸드세트로 피드백되면서(처리블럭 2070) 그 내용이 핸드세트의 지시기상에 나타나게 된다(처리블럭 2080). 그후에 사용자는 이후의 동작을 선택하게 되는바(결정블럭 2090),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거나 앞서 설명한 동작순서대로 또 다른 메인세트의 제어과정을 수행하게 된다(처리블럭 2000), 그 일예로서 두 처리모듈, 즉 엔진 동작(2040)과 알람동작(2050)을 후술하게 된다.
제3도는 자동정치 모드에서 엔진이 시동되는 동작순서를 보여준다. 적절한 명령코드가 수신되어 그 내용이 실행되는 과정(3000)에 있어서, 만일 엔진이 시동되지 않으면(결정블럭 3010), 그에 합당한 피드백 코드가 핸드세트가 전송되고, 아울러 지시부상에 그 내용이 표시되게 된다(처리블럭 2070, 2080).
이와 달리 엔진이 가동되면(결정블럭 3010) 그에 합당한 피드백 코드가 핸드세트로 전송되어 핸드세트의 지시부상에 그 동작상태가 나타나게 된다(처리블럭 2070,2080).
한편 엔진이 시동된 직후에 가동이 정지되었는가를 검출하기 위하여 결정블럭(3010)의 궤환 점검동작이 이루어지고 그 점검이 이루어지는 동안 대기 상태에 있게되고 그후 상기한 바와 같이 적절한 피드백 코드가 핸드세트로 보내진다.
엔진이 시동되면(결정블럭 3020), 메인세트에 구성된 타이머가 작동되어 기설정된 시간이 초과되었는가를 판단하게 되는데, 그 동작은 동작블럭(3040)에서 궤환루프로 도시된 바와 같다.
엔진이 계속 가동중인 상태에서 그 가동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게 되면 엔진을 턴 오프시키기 위한 적절한 암호코드와 명령코드가 자동으로 보내져서 엔진이 턴오프되고(처리블럭 3050,3060), 그에 해당되는 피드백 코드가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드세트로 보내진다.
엔진이 기설정된 시간 이전에 턴오프되는 경우(결정블럭 3010)에는 지시회로가 전과같이 적절하게 동작(처리블럭 2070,2080)하게 된다.
다음은 제4도를 참조하여 알람동작을 설명한다.
알람동작에 해당되는 명령코드가 핸드세트로부터 보내지면 알람회로가 동작하게 되는데(처리블럭 4000), 이때 자동차의 엔진이 잘못된 입력에 의해 오동작 되는가를 검출하기 위하여 궤환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일정 시간동안 대기 상태에 있게된다(결정블럭 4010).
이 과정에서 잘못된 입력이 있음을 검출하게 되면, 경고발생장치가 동작되어 잘못된 입력에 대한 경보음을 울리게 되고(처리블럭 4020), 아울러 그에 해당되는 피드백 코드가 핸드세트로 보내지면서 그에 관련된 내용을 지시부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게 된다(처리블럭 2080).
그러면 사용자는 엔진을 턴 오프시키게 된다(결정블럭 4030).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회로의 실시예를 제5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7디지트(Digit)의 암호코드(일예로 3663007)와 다음의 1디지트의 명령코드가 세트를 이루게되는데, 명령코드중 "0"코드는 자동차의 선택된 옵션부의 구동상황을 확인하는 코드이고, "1"코드는 엔진을 시동시키는 코드이면, "2"코드는 엔진을 턴오프시키는 코드이고, "3"코드는 히터팬을 가동시키는 코드이며, "4"코드는 차고의 문을 자동으로 열리도록 동작시키는 코드이고, "5"코드는 알람회로를 동작시키는 코드이며, "7"코드는 저온의 조건일때에 자동차엔진을 비상시동시키는 코드이고, "8"코드는 캬브레이터에 연료를 주입시키는 연료분사 회로를 시동시키는 코드이다.
또한 멀티디지트 방식의 10자리 암호코드를 사용하게되면 암호코드로 쓸수 있는 총 경우수는 매우 많으므로 메인세트가 잘못된 신호에 의해서 동작될 가능성은 상당히 줄어든다.
이하 핸드세트의 전송부와 수신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5도를 참조하여 전송부를 설명한다.
전송부에는 여분의 디지트 키 "*"를 가진 공지의 멀티디지트 키보드(1)가 구성되고, 상기 키보드(1)는 해당되는 회로들과 연결된 펄스발생부(2)를 구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순간적으로 키보드(1)상의 키하나를 누르게되면 펄스발생부(2)로부터 그에 해당되는 신호펄스가 지연회로(3)를 통하여 전달된다. 그러면 이 신호펄스는 트랜지스터(4)를 통하여 무선송신을 하는 전송부(24)에 인가된다.
상기 전송부(24)는 본 발명에서 언급된 다른 전송부 및 수신부와 마찬가지로 통상의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이는 동일주파수나 주파수 대역의 동조방식으로 동작하는 무선방식의 송신부와 수신부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한 유성방식이거나 다른 적절한 모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인버터 회로로 구성된 상기 지연회로(3)는 펄스를 전송한 후에 펄스발생부(2)를 리세트 시키게 된다.
또한 펄스발생부(2)가 펄스를 출력하는 동안 뮤트단(MUTE)의 출력은 로우가 되고 이로말미암은 지연회로(3)의 첫번째 인버터가 하이로 유지되어 트랜지스터(5)를 턴-오프로 유지시킴으로써 수신부(25)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전송부(24)에 의해 전송되는 동안 수신부(25)는 핸드세트 전송부(24)나 또다른 전송부 또는 주위 환경에서 발생하는 잡음섞인 어떠한 신호등도 수신하지 않는다.
펄스발생부(20)가 전송을 완료할때 뮤트단(MUTE)의 출력은 하이로되고, 따라서 수신부(25)는 수신상태로 복귀한다.
암호코드는 키보드(1)에 연결된 공지의 보조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사용자에 의해 프로그램되어 지정될 수 있고, 키보드(1)내의 키("*")를 누르게되면 개개의 암호코드 디지트를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수동으로 키를 눌러 입력시키는 방식으로 기억된 암호코드를 수정할 수 있게 된다.
메인세트로부터 피드백된 코드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의 하나로 수신부(25)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4×디코더(26)에 의하여 디코딩된다.
수신된 신호가 해당 메인세트로부터 온 피드백 코드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메카니즘이 있다.
다음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될 핸드세트 디코더(26)와 메인세트 엔코더(181)는 호환성이 있고 서로 보완적인 장치이며, 핸드세트 디코더(26)의 단자(A0-A7)는 메인세트 엔코더(181)의 단자(A0-A7)와 마찬가지로 일괄 접속시켜 접지하거나 접속시킨 상태로 놓아두게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보적인 엔코더(181)에 의하여 보내진 펄스만이 디코더(26)에 의해 적절히 처리될 수 있는 펄스폭을 갖는다.
디코더(26)의 출력단(VT)은 디코더(26)의 입력단(I/P)으로 입력된 신호가 정확히 처리되었을때만이 하이로 된다.
다시말해서, 전송된 피드백 코드가 핸드세트디코더(26)가 인식할 수 있는 코드로 구체화되어야 하는데, 상기 핸드세트디코더(26)가 인식할 수 없다면 핸드세트디코더(26)는 그에 상응하는 적절한 응답을 할 수 없게 된다.
전송되어온 피드백 코드의 진위성을 확인하는 보다 정교한 방법으로서 핸드세트에 암호코드 체계를 구성하고 이를 메인세트에 적용시키는 것이다.
즉, 메인세트는 피드백코드에 선행되는 암호 또는 보안코드를 구성하게 되고 핸드세트는 적절한 암호코드가 수신됐을 때에 한하여 피드백 코드에 응답하게되는 것이다.
다음은 지시회로(Indicator Circuits)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에게 자동차에 탑재된 제어대상의 동작 상황을 알려주기 위하여 발광표시소자(LED)와 가청장치로 구성된 지시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LED지시회로는 디코더(26)의 단자(D0-D3)의 출력에 따라 구동되게 된다. 즉, 단자(D0)는 LED(27)를 컨트롤하여 입력된 신호가 판독될 수 없는 것임을 지시하며, 단자(D1)는 LED(28)를 컨트롤하여 엔진동작이 중지되었음을 지시하고, 단자(D2)는 LED(29)를 콘트롤하여 차고의 자동문 열림 장치가 구동한다는 내용의 신호가 보내졌음을 지시하고, 단자(D3)는 LED(30)를 컨트롤하여 엔진의 시동이 완료됐음을 지시한다.
판독불가능한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LED(28),(27)가 구동되면서 경보음이 발하게 되는 바 그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판독불능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디코더(26)의 단자(VT)로부터의 하이신호가 출력되고 피에조 스피커(Piexo Speaker)(60)를 컨트롤하는 앤드게이트(40)의 한입력단에는 하이레벨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두개의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0)는 주기적으로 상기 앤드게이트(40)의 다른 입력단에 하이신호를 인가하며, 따라서, 상기 피에조 스피커(60)는 사용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한 일련의 경고음을 발생하게 된다.
다음은 엔진의 자동 턴 오프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의 조작으로 스위치(84)가 단락되게 되면 엔진의 동작은 자동으로 턴오프된다.(이 동작은 제3도에 도기된 플로우챠트를 참조로 설명한 바 있으며 그 구체적인 동작은 다음에서 설명한다).
이와 달리, 스위치(84)를 개방시킨 상태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키보드(1)상의 키("2")를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엔진을 턴오프 시킬 수도 있다.
환언하여 스위치(84)가 단락된 상태에서 엔진이 시동되면 메인세트는 핸드세트에 이에 관련된 피드백 코드를 출력하고, 곧이어 디코더(26)의 출력단(D3)은 하이레벨로 상승하여 타이머(64)를 트리거(Trigger)시킨다.
15분의 시간지연후(그 지연시간은 이에 관련된 공지회로를 연결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타이머(64)는 이에 연결된 다른 타이머(65)를 트리거 시키고, 이 타이머(65)는 콜렉터와 에미터가 펄스발생부(2)의 단자(C4),(R4)에 연결된 트래지스터(81)를 트리거시킨다.[이는 키보드(1)상의 키("*")를 수동 동작시킨 결과와 같다]그 결과 펄스발생부(2)는 기억된 암호코드를 메인세트에 보내게 된다.
또한 타이머(65)는 동시에 타이머(66)를 트리거시키고, 이 타이머(66)는 공지회로의 연결로 설정된 지연시간후에 타이머(67)를 트리거하며, 상기 타이머(67)는 콜렉터와 에미터가 펄스발생부(2)의 단자(R1),(C2)에 연결된 트랜지스터(83)를 트리거 시킨다. [이는 키보드(1)상의 키("2")는 수동으로 동작시킨 결과와 같다]그 결과 엔진을 턴 오프 시키기 위한 명령 코드가 메인세트에 보내진다.
이하 메인세트를 설명한다.
제6a도와 6b도는 메인세트의 전체적인 회로를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메인세트의 알람회로와 저온 조건하에 동작되는 자동시동 회로는 제7도와 제8도를 참조로하여 이후에서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먼저 신호 수신 및 암호코드의 매칭 과정을 제6a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6도(a)에서 수신부(101)는 전술한 핸드세트 전송부(24)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게 될때 재트리거 가능한 원샷(one shot)회로 즉, 타이머(102)를 트리거하고 동시에 카운터(103)더 트리거 하게된다.
상기 타이머(102)는 차례로 디코드되는 10진 출력단(Q1-Q8)을 갖춘 1/10카운터(104)를 구동시키게 되고 이로부터 출력되는 출력단(Q1-Q7)의 신호는 4×10엔코더(105)에 입력된다. 여기서 엔코더(105)는 이미 프리세트되어 핸드세트와 메인세트의 주어진 시스템에 맞는 암호코드를 보유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엔코더(105)와 카운터(103)의 출력이 비교기(106)에서 비교될때 그 출력들이 매치가 되면 비교기(106)의 출력(P)은 트랜지스터(110)를 포화(Saturation)상태로 유지시켜 카운터(103)가 리세트 되지 않도록 한다.
카운터(103)의 출력은 래치회로(107)에 입력되고 상기 래치회로(107)는 D플립플롭으로 동작하여 그 출력을 디코더(111)에 입력한다.
암호코드를 나타내는 처음 7디지트가 전송되는 동안에 카운터(104)의 출력(Q8)은 로우상태로 유지하고, 따라서 노아게이트(108),(109)는 저항(33)과 (43)을 연결하여 래치회로(107)의 클럭 입력을 로우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래치회로(107)은 래치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입력(D1-D4)은 출력(Q1-A4)으로 보내지지 않는다.
7디지트 암호코드에 이어서 명령코드를 나타내는 8번째 디지트가 수신되며 그 코드는 카운터(103)로 보내지며, 동시에 래치회로(107)와 비교기(106)에도 각각 보내진다.
8번째 디지트는 또한 타이머(102)로 하여금 카운터(104)를 트리거시키게 하고 그 결과 출력단(Q8)의 전위를 하이로 상승시키는데, 이 하이신호는래치회로(107)의 클럭(CK)입력단에 보내져서 래치회로의 래치를 해제하게 되는바 따라서 입력단(D1-D4)의 신호는 출력단(Q1-Q4)을 통해 디코더(111)에 입력된다.
타이머(102)출력신호의 하강점에서 트랜지스터(113)가 도통되게 되면 곧이어 타이머((112)가 트리거되고 상기 타이머(112)와 비교기(106)의 출력은 트랜지스터(110)에 인가되어 카운터(104)가 리세트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수신부(101)의 수신동작이 완료된 후에만 비교기(106)가 동작되도록 한다. 카운터(103)는 최초의 코드가 처리된 후 두번째 코드가 입력되기 전에 리세트된다.
두번째 코드가 입려될때 타이머(102)의 출력은 로우에서 하이로 변하고, 그 결과 트랜지스터(113)를 통하여 카운터(103)를 리세트시킨다.
최초로 전송된 암호코드가 상이한 것일 경우에는(우연히, 또는 암호코드를 모르는 사용자에 의해선 핸드세트가 운영될 경우) 재 전송이 요구되게 된다.
일예로 암호코드의 두번째 디지트로서 사용자가 핸드세트상의 키"6"을 "5"로 잘못 누르게 되면 카운터(103)의 출력(A-D)은 각각 "A=하이", "B=로우", "C=하이", "D="로우"로 된다. 한편, 타이머(102)는 카운터(104)를 트리거하여 단자(Q2)를 통해 하이를 출력하므로 엔코더(105)의 출력(A-D) 은 각각 로우/하이/로우/하이가 된다.
따라서 비교기(106)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고 트랜지스터(110)를 통하여 카운터(104)를 리세트한다.
한편 양호코드 매치후 불필요한 시호가 수신되어 명령코드로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명령코드는 암호코드 전송 완료후 즉시 보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명령코드로서 신호가 수신되어져야만 되는 동안에 특정기능을 취급하는데 적합하도록 구성된 타임 "윈도우"가 발생된다.
즉, 타이머(114)가 구성되어 일정시간(일예로 3초)을 지연시키게 되는바 이 타이머(114)에 의한 지연후 타이머(115)는 트리거되어 카운터(104)를 리세트 시킨다. 이 리세트 후 수신된 신호는 카운터(104)의 출력(Q8)이 아닌 출력(Q1)의 전위가 상승하기 때문에 명령코드로서 통과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다행스러운 것은 암호코드가 명령코드보다 앞설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한편, 이제까지 설명된 동작 과정과는 달리 핸드세트로부터 명령코드가 먼저 전송되어 메모리되고 그후 암호코드가 전송되어 코드매치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데, 이때 매치가 확인될때 메모리된 명령코드가 처리될 수도 있다.
이하 엔진의 시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엔진을 시동시키기 위한 명령코드 디지트가 "1"이라고 할때 이 명령코드가 수신되면 카운터(103)의 출력은 비교기(106)로 보내져서 그 입력단자(A1-A4)는 각각 하이/로우/로우/로우가 된다.
이와 동시에 로우/로우/로우/로우인 엔코더(105)의 출력(ABCD)은 비교기(106)의 단자(B1-B4)에 보내지게 되는바 결과적으로, 비교기(106)의 단자(O-P)출력은 로우로 되어 트랜지스터(110)와 기존의 회로를 통하여 카운터(104)를 리세트 한다. 디코더(111)의 출력단(1)이 하이로 될때 이에 연결된 회로를 통해 제6b도에 도시된 타이머(150)가 트리거되는데, 상기 타이머(150)는 21/2초로 세트되나 다른 지연수단을 이용함으로써 그 시간은 조정될 수 있다.
상기 타이머(150)는 트랜지스터(151)를 컨트롤하며, 이 트랜지스터(151)는 릴레이(152)를 제어하여 결국 시동 솔레노이드를 구동시키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타이머(150)의 출력이 하이가 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153)의 릴레이(154)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않음)에 점화코일을 연결하는데, 이때 만일 엔진이 시동되지 않으면 점화코일의 전압은 소멸되며 재 시동시키기 위하여는 키보드(1)상의 키("1")를 제차 눌러주어야만 한다. 엔진시동이 이루어지게 되면 트랜지스터(160)의 콜렉터는 하이에서 로우로 반전하여 타이머(161)를 트리거 시킨다.
상기 타이머(161)의 출력은 이에 연결된 회로를 통하여 트랜지스터(153)를 동작시켜 릴레이(154)의 온 상태로 유지키키고 아울러 점화코일의 동작을 지속시킨다. 동시에 타이머(151)는 엔코더(181)의 입력단자(D3)를 액티브시켜 엔코더(181)로부터 전송부(199)를 통하여 그에 해당하는 피드백 코드를 핸드세트로 전송하여, 그 결과 엔진이 시동되었다는 것을 지시해 주게된다. 트랜지스터(160)의 콜렉터의 로우레벨 형성으로 타이머(150)의 출력은 이에 연결된 다이오드 회로를 통하여 접지된다.
그 결과 타이머(150)의 출력단은 로우레벨이 되어 트랜지스터(151)가 턴-오프되고 곧이어 엔지 시동후 시동솔레노이드는 차단된다. 타이머(150)의 출력은 또한 이에 연결된 회로를 통하여 연료를 엔진 캬브레터에 주입하는 연료 분사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시동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에서 제너레이터는 엔진이 풀 스피드로 동작할때 전형적으로 13볼트의 전압(VN)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너레이터에 대략 8볼트에 세트된 제6도(a)의 제너다이오드(165)가 연결되는바, 엔진이 시동될때 제너레이터의 발전전압(VN)은 제너다이오드 양단의 전압(Vzener)보다 크므로 저항과 다이오드에서 전압 강하가 이루어져 트랜지스터(160)가 도통되면서 제6도(b)의 타이머(161)를 트리거 하게된다.
한편 상기 타이머(161)의 출력단은 제6도(a)에 도시된 타이머(170)의 리세트단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엔진이 시동되면 타이머(170)가 리세트되어 후술되는 히터팬을 컨트롤한다.
이하 히터팬의 가동과 정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히터팬을 가동시키는 신호로서 디코더(111)의 출력단(3)이 하이가되면 이에 연결된 회로를 통하여 타이머(170)을 트리거 시키며, 상기 타이머(170)의 출력은 하이로 되어 트랜지스터(171)를 턴-온시키게 되는바, 이로인해 릴레이가 구동하게 된다. 엔진이 정지되어 발전 전압(VN)이 VN=0이될때 타이머(161) 출력의 반전으로 타이머(170)의 리세트단은 로우가 되면서 히터팬이 멈추게 된다. 이러한 구조대신에 내부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할때 차단동작을 하는 감열스위치를 타이머(170)의 리세트단에 연결하는 구조를 채택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감열스위치는 차량내부의 적절한 위치에 장착되게 된다. 다음은 엔진의 톤 오프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코더(111)의 출력단(2)이 하이가 되고 이에 연결된 회로를 통하여 타이머(180)가 트리거되면 엔진의 턴오프 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타이머(180)의 하이출력은 타이머(161)를 턴 오프하고 곧이어 트랜지스터(153)를 턴-오프시켜 릴레이(154)를 원상태로 놓이도록 하므로써 엔진을 멈추게 한다. 상기 타이머(180)는 3초동안 하이출력을 내게되면 이 시간동안 엔코더(181)의 입력단자(D1)은 하이신호를 받아들여 그 결과 이에 해당하는 핸드세트 코드를 만들어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만일 엔진이 웨밍업되는 동안 어떤 이유로 인하여 정지되어 발전전압(VN)이 VN=0가 되면 타이머(161)의 출력은 상승되어 노아게이트(115)를 통해 타이머(180)를 트리거하여 타이머(161)를 턴오프시키며, 그 결과 점화코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엔코더(181)는 핸드세트에 코드를 보내어 엔진이 정지되었음을 지시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다음은 알람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핸드세트 키보드(1)상의 키("5")를 누르면 디코더(111)의 출력단(5)이 상승하여 이에 연결된 회로를 통하여 타이머(182)를 트리거한다.
상기 타이머(182)의 출력이 하이가 되면 이에 연결된 인버터를 통하여 트랜지스터(183)의 베이스는 로우로 되고, 따라서 트랜지스터(183)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전원을 알람회로(190)에 연결하여 이를 동작시킨다. 동시에 엔코더(181)의 단자(D0)의 입력은 상승되고 그리하여 피드백코드가 핸드세트에 보내져서 알람회로가 동작되었음을 지시한다. 판독불능한 신호가 입력되게 되면 알람회로(190)는 부호화된 코드를 트랜지스터(191)와 이에 연결된 회로를 경유하여 엔코드(181)에 반복해서 인가하게 되어 핸드세트의 표시 발광소자(LED)를 점등하게 된다.
이후에 상기 알람회로(190)를 제7도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은 저온 온도 조건하에서 자동으로 시동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제8도에는 저온온도 조건하에서의 자동 시동회로(184)가 도시되어 있다. 핸드세트 키보드상의 키("7")를 누르면 디코더(111)의 출력(7)은 하이로 상승하여 시동회로(184)를 트리거하게 되는바, 이때 주위 온도가 프리세트 된 온도(예를들면 -20℃) 이하로 떨어지면 시동회로(184)는 일련의 포지티브 펄스를 이에 연결된 다이오드 회로(155)를 통하여 타이머(150)에 인가하여 이를 트리거한다.
그후에는 시동회로(184)는 이에 연결된 다이오드 회로((156)와 노아게이트(185)를 통하여 타이머(180)에 펄스를 보내어 이를 트리거하며, 상기 타이머(180)는 타이머(161)에 펄스를 보내어 이를 턴 오프시키고 그결과 엔진을 턴-오프시키게 된다.
이런식으로 엔진은 자동으로 시동되어 주위 온도가 기설정된 레벨 이하로 떨어질때 기 설정된 시간동안 동작하게 되는것이다.
다음은 차고의 문 열림동작을 설명한다. 핸드세트 키보드상의 키("4")를 누르면 디코더(111)의 출력(4)은 하이로 상승되어 그 하이신호가 엔코더(181)의 입력단(D2)에 인가되고 상기 엔코더(181)는 이에 상응하는 차고문 열림신호를 전송부(199)를 통해 전송하게 되는데, 이 신호는 자동 차고문 열림장치(도시되지 않음)에 구성된 차고문 수신부에서 적절히 수신되게 된다.
이런 방법으로 차고문은 원격적으로 열리며, 차고문 열림신호는 핸드세트 수신부(25)에 피드백 코드로 수신되고 이는 차고문 열림 신호가 보내졌음을 지시한다.
상기 차고문 수신부는 적절한 수신부와 디코더 회로로 구성되어 메인세트로부터의 차고문 열림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처리하게 된다. 이 구성으로 처리가 불가능하면 추가적인 기존의 회로가 메인세트에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들면 전송과 수신이 고주파(RF) 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진다고 보면 차고문수신부에 설치된 것과 동조될 수 있는 적절한 회로를 메인세트에 구성하여 차고문 열림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또한 필요하다면 차고문수신부가 받아들여질 수 있는 형태로 차고문 열림신호를 코드화할 수 있는 적절한 회로를 메인세트에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은 연료 분사회로동작을 설명한다. 엔진구동용 연료와 공기와의 최적 혼합비율은 무게로 약 15:1 정도가 된다. 그러나 저온의 주위 환경하에서 시동을 걸 경우에는 더 많은 연료 혼합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도의 본 발명의 따른 연료분사 회로에는 타이머(166)가 구성되어 있는바 세트의 키보드 상의 키("8")를 누르면 동작한다.
즉, 상기 명령코드("8")에 의하여 메인세트의 디코더(111) 출력단(8)은 상승되고 이에따라 타이머(166)가 트리거 되는데, 이 타이머(166)의 하이 출력으로 트랜지스터(76)에 전원이 공급되게 되고, 곧이어 순차적으로 엔진시동 명령코드("1")가 상술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구동부를 가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타이머(150)의 하이신호가 트랜지스터(76)의 바이어스 전압으로 인가되면 트랜지스터(76),(77)가 도통되면서 코일(167)이 여기되는바, 이때 연료분사회로(도시되지 않음)의 일부를 구성하는 솔레노이드가 구동하면서 엔진의 캬브레이터에 연료 혼합을 많이 시키게 된다. 곧이어 엔진이 시동되게 되면 타이머(161)는 하이신호를 출력시켜 인버터 회로를 통해 타이머(166)를 리세트시키고, 일단 리세트되면 타이머(166)의 출력은 로우로 반전되고, 동시에 트랜지스터(76),(77)가 오프되어 연료분사 회로는 차단되게 된다.
즉, 연료분사회로는 엔진의 시동시에만 동작하고 시동후에는 동작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자동차의 옵션으로 설치된 부품의 동작을 설명한다. 자동차의 옵션품목으로 장착된 부품의 기동조건은 사용자에 의해 핸드세트의 키보드상에 키("0")를 동작시킴으로써 선택된다.
이에따라 디코더(111)의 출력단(0)은 상승되어 엔코더(181)를 인에이블 시키며 곧이어 엔코더(181)의 입력(D0-D3)상태에 따른 코드를 핸드세트에 보낸다. 엔코더(181)의 출력(A0-A7)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절한 레벨을 기설정해 줌으로써 피드백코드에 특성을 부여하여 핸드세트 디코더(26)가 수신된 피드백 코드를 적절히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엔코더(181)의 TE 입력단(TE:Transmit Enable)이 로우일때 출력단(O/P)은 엔코더(181)의 입력에 상응하는 신호를 전송부(199)에 보내며 상기 TE 입력단이 하이로 될때 출력단(O/P)은 출력을 멈추게 된다. 엔코더(181)의 입력(D0-D3)중 어느 하나가 로우에서 하이로 되면 포지티브 펄스가 기존의 회로(192)에서 발생되어 타이머(193)에 인가되다. 그러면 상기 타이머(193)는 트리거 되어 하이신호를 트랜지스터(191)에 보낸다.
상기 트랜지스터(191)의 콜렉터는 이때 로우상태로 되고 이로 말미암은 엔코더(181)의 TE단자는 로우로 되면서, 그 결과 엔코더(181)는 입력(D0-D3)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타이머(193)의 타이밍 주기는 이에 연결된 회로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다. 전송부(199)에서 송신할때는 트랜지스터(191)의 콜렉터가 로우상태로 있게됨으로 말미암은 트랜지스터(194)는 그 베이스가 로우상태로 유지되게 되어 컷 오프되고, 따라서 수신부(101)는 전원공급이 안되어 전송부(199)가 전송되는 동안은 수신되지 않는다.
이하 제7도를 참조하여 알람회로를 설명한다.
제6도에서 알람회로(190)는 매치되지 않은 수신 불능한 신호 또는 간섭 신호의 입력을 검출하게 되는데,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신 불능 코드나 간섭신호는 보통 바이브레이션이나 노이즈에 의하여 발생된다. 피에조 센서(201)에 의해 발생된 신호는 2개의 대역통과 필터(202),(203)를 통과하여 다이오드와 캐패시터 회로(204)에 의하여 정류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노이즈 성분은 선택적으로 검출된다. 정류된 신호가 비교기(205)의 한 입력단에 입력되면 그 출력에 연결된 타이머(206)의 트리거 동작이 이뤄짐과 더불어 트랜지스터(207)와 연계한 신호가 출력되게 되는데, 상기 트랜지스터(203)는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208)에 의해 제어된다. 피에조 센서(201)가 노이즈를 검출할때 타이머(206)는 트랜지스터(207)로 전원을 인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멀티 바이브레이터 회로(208)의 출력이 로우이면 트랜지스터(207)의 콜렉터는 하이가 되고, 그 하이레벨의 출력은 제6도(b)의 트랜지스터(191)이 베이스에 인가된다.
따라서 엔코더(181)의 단자(TE)는 로우가 되고 데이타는 상기 엔코더(181)에 의하여 전송부(199)로 보내진다.
이때 핸드세트의 지시기는 점등되어 사용자에게 수신불능임을 알려주게 된다. 피에조센서에 대신하거나 또는 그에 덧붙혀서 자동차의 문이 열려있을때 또는 자동차의 점등회로(도시되지 않음)가 불필요하게 동작될때에 닫히게 되는 마이크로 스위치가 자동차의 적절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가 닫히면 비교기(205)의 출력이 로우로 되어 타이머(206)가 트리거되고 그후 상기 언급된 동작이 이루러지는바 이러한 마이크로 스위치를 이용한 공지의 회로는 알람회로와 함께 비교기(205)의 입력단에 연결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밖에 자동차의 트랜스 미숀이 파킹 이외의 기어에 맞물려 있음을 검출하는 센서가 또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몇몇 조건들 중 하나가 발생되어 수신불능의 신호가 입력되었음을 검출하게 되면 자동차의 헤드라이트가 자동으로 점등되거나 크락숀이 울리게 할 수도 있고 점화회로가 차단되는 등 모든 자동차 장치의 적절한 전기적 단자에 연결된 기존의 회로가 모두 차단되게 할 수도 있다. 다음은 저온온도 조건일 경우 자동으로 시동되는 회로, 즉 제6도에 도시된 자동시동회로(184)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6도(a)에 도시된 디코더(111)의 출력(7)이 하이로 되면 제8도에 있어서, 트랜지스터(305)가 도통하여 본 회로가 전원 소스의 B+전원에 연결된다.
제8도에 도시된 자동시동회로에는 주위 온도나 자동차내의 온도에 응답하는 온도자동 조절장치(Thermostat)(301)나 이와 유사한 장치가 구성되며 이에 에미터 플로워회로(302),(303)가 연결된다.
그중 에미터 플fh워(303)는 슈미트 트리거 회로(304)에 기준전압을 출력하게 되고, 다른 에미터플로워(302)는 검출된 온도가 프리세트되어 있는바 그 설정된 온도(예를들면 -20℃)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그 출력전압이 슈미트 트리거(304)를 트리할 정도로 충분히 떨어진다.
상기 슈미트 트리거(304)의 하이 출력은 제6도에 도시된 다이오드(155)에 보내져 마치 디코더(111)의 출력(1)이 전술한 바와 같이 하이일때와 같이 엔진을 동작시키게 된다.
한편, 슈미트 트리거(304)의 출력은 비교기(306)의 출력을 하이에서 로우로 만들고, 이때 타이머(307)는 출력을 하이로 반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타이머(307)는 15분의 지연 후 또는 이에 별도의 회로를 연결하여서 설정한 다른 시간동안 지연된 후에 그 출력을 하이로 반전하여 그 하이신호를 제6도(a)의 다이오드(156)에 보냄으로써 마치 디코더(111)의 출력단(2)이 하이로 상승되는 것과 같이 엔진을 톤오프시키며, 따라서 엔진은 가동을 정지하게 된다.
상기 설명된 전기회로에 적정하게 장착될 수 있는 소자들의 부품명은 다음과 같다.
타이머-시그네틱스 NE555, NE558, NE556
디바이더-RCA CD4017
카운터-RCA CD4518
비교기-RCA CD4063
엔코더-RCA CD40147
래치회로-RCA CD4020
디코더-RCA CD4028
엔코더(181)-홀텍 세마이콘닥터 인코퍼레이션 HT-12E,
디코더(26)-홀텍 세마이콘닥터 인코포레이션 HT-12D,
펄스발생기-유나이티드 마이크로 일렉트로닉 코퍼레이션 UM91603C
본 도면에서 설명된 연결회로의 구조나 여기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특별히 지적하지 않고 설명되지 않는 회로는 기술상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들이다.
자동차나 산업장치의 엔진 구동장치등에 적용되는 본 발명은 외적으로 미리 언급된 조건하에서 엔진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컨트롤과 관련이 있고 적절한 피드백 코드가 수신되었을때 사용자에 의하여 원격적으로 제어되는 컨트롤에 관련된 것이다. 알람회로를 적용하는 상기 언급된 것외에도 유동적인 압력과 습기찬 용적, 저연료 탱크, 자동차의 경사면(예를들면 경사면의 주차), 엔진분사의 레벨, 엔진스피드등과 같은 것에도 알람회로는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자동차가 에워쌓인 환경에 놓여지게 될 경우 주변의 카본모노옥사이드 센서가 상기 모든 프리세트 레벨을 검출하여 기록하면 자동으로 엔진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상기에서 언급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설명한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것이며, 아울러 이어지는 클레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기술 범주내에서 또다른 실시예의 구성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9)

  1. 엔진이 장착된 장치내의 구성요소들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에 있어서, 제어대상장치에 설치되는 메인세트와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핸드세트로 구성되고, 상기 핸드세트는 (a) 암호코드와 명령코드를 발생하여 장치내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게 되는 핸드세트코드 발생수단과, (b) 상기 핸드세트코드 발생수단에 응답하여 메인세트에 암호코드 및 명령코드를 전송하는 핸드세트전송수단과, (c) 상기 명령코드에 따라 제어되는 구성요소의 동작상황을 나타내기 위해서 피드백코드를 수신하는 핸드세트수신수단과, (d) 상기 핸드세트수신수단으로 전송되어온 피드백 코드에 응답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코드에 관련된 내용을 표시하게 되는 핸드세트 지시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세트는 (a) 상기 핸드세트전송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코드와 암호코드를 수신하는 메인세트 수신수단과, (b)메인세트의 암호코드를 선택적으로 정의하게 되는 메인세트엔코딩 수단과, (c) 전송된 핸드세트의 암호코드와 메인세트의 암호코드를 비교해서 이들이 일치함을 검증하여 그 검증신호를 발생하는 검증부와, 상기 검증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명령코드에 따라 구성요소의 기능을 제어하게 하는 실행부를 갖추면서 상기 구성요소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메인세트수신수단과 상기 메인세트엔코딩 수단에도 연결되어 이들에 응답해서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메인세트제어수단과, (d) 구성요소의 동작상황에 응답해서 상기 명령코드의 수행에 관련된 구성요소의 동작 상황을 코드로서 나타내는 피드백 코드를 발생하는 메인세트피드백 수단과, (e) 상기 메인세트 피드백 수단에 연결되어 이에 응답해서 피드백코드를 상기 핸드세트 수신수단에 전송하는 메인세트전송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세트에는 핸드세트전송수단을 모니터링해서 이 핸드세트전송수단이 전송동작을 하고 있는 동안 상기 메인세트전송수단에 응답하여 핸드세트수신수단의 동작을 차단하는 수단이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세트에는 메인세트 전송수단을 모니터링해서 이 메인세트 전송수단이 전송동작을 하고 있는 동안 상기 메인세트전송수단에 응답하여 메인세트 수신수단의 동작을 차단하는 수단이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4. 제1항, 제2항 그리고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세트제어수단에는 상기 메인세트 검증수단과 메인세트 수신수단에 응답해서, 메인세트 수신수단에서 수신한 핸드세트의 암호코드와 그 명령코드와의 전송된 시간차를 측정한 후 그 시간차가 제1의 기설정된 주기를 초과할때 상기 메인세트 검증수단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없도록 하는 제1타이밍 수단이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세트에는 핸드세트 전송수단을 모니터링하고 아울러 상기 핸드세트 전송수단이 전송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동안 상기 핸드세트 전송수단에 응답하여 핸드세트 수신수단의 동작을 차단하는 수단이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세트에는 메인세트 전송수단을 모니터링하고 아울러 상기 메인세트 전송수단이 전송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동안 상기 핸드세트 전송수단에 응답하여 메인세트 수신수단의 동작을 차단하는 수단이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세트제어수단에는 상기 메인세트검증수단과 메인세트 수신수단에 응답해서 메인세트 수신수단에서 수신한 핸드세트의 암호코드와 그 명령코드와의 전송된 시간차를 측정한 후 그 시간차가 제1의 기설정된 주기를 초과할때 상기 메인세트 검증수단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없도록 하는 제1타이밍수단이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7. 제1항, 제2항 그리고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코드는 멀티디지트코드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8. 제1항, 제2항 그리고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세트제어 수단에는 상기 메인세트 수신수단에서 수신한 암호코드 및 상기 메인세트 검증수단에 응답해서 상기 메인세트 수신수단에서 수신한 멀티디지트코드인 핸드세트의 암호코드와 그 명령코드와의 전송된 시간차를 측정한 후 그 시간차가 제1의 기설정된 주기를 초과할때 상기 메인세트 검증수단의 동작을 차단하는 행할 수 없도록 하는 제1타이밍 수단이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9. 제1항, 제2항 그리고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세트 제어수단에는 메인세트 검증수단과 메인세트 수신수단에 응답해서 메인세트 수신수단에서 수신한 핸드세트의 암호코드와 그 명령코드와의 전송된 시간차를 측정한 후 그 시간차가 제1의 기설정된 주기를 초과할때 상기 메인세트 검증수단의 동작을 차단하는 제1타이밍 수단에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핸드세트에는 (a) 상기 핸드세트코드 발생수단에 응답해서 핸드세트 암호코드를 선택적으로 저장하고 그 저장된 암호코드가 순차적으로 독출되어 상기 핸드세트 전송수단에 의해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수단과, (b) 상기 핸드세트 수신수단과, 이 핸드세트 수신수단에서 수신한 상기 피드백코드에 응답해서 제2의 기설정된 주기를 측정하는 제2타이밍수단과, (c) 상기 제2의 기설정된 주기가 측정될때 제2타이밍 수단에 응답해서 기억된 핸드세트 암호코드를 독출하고 제어대상 장치의 자동차 구성요소가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없도록 하는 명령코드를 발생하여 이들 코드가 상기 핸드세트 전송수단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핸드세트 전송수단에 연결되는 자동차단 수단이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KR1019880016319A 1987-12-09 1988-12-08 원격제어장치 KR920005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000553941A CA1252545A (en) 1987-12-09 1987-12-09 Two way remote controller
CA553941 1987-12-09
CA553,941 1987-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461A KR890011461A (ko) 1989-08-14
KR920005222B1 true KR920005222B1 (ko) 1992-06-29

Family

ID=4137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6319A KR920005222B1 (ko) 1987-12-09 1988-12-08 원격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28778A (ko)
EP (1) EP0320439A3 (ko)
JP (1) JPH0248897A (ko)
KR (1) KR920005222B1 (ko)
CA (1) CA125254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4569A (en) * 1987-07-27 1991-10-08 Comfort Key Corporation Remote vehicle starting system
US5081667A (en) * 1989-05-01 1992-01-14 Clifford Electronics, Inc. System for integrating a cellular telephone with a vehicle security system
DE3927838A1 (de) * 1989-08-23 1991-02-28 Thomson Brandt Gmbh Fernbedienungssystem
FR2657643B1 (fr) * 1990-01-30 1995-03-17 Neiman Sa Systeme de telecommande en particulier pour le controle de portieres de vehicules automobiles.
US4997053A (en) * 1990-02-15 1991-03-05 Clifford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 vehicle seat and steering wheel positioning system
FI85631C (fi) * 1990-02-16 1992-05-11 Smart Set Oy Styrenhet.
ES2025388A6 (es) * 1990-05-21 1992-03-16 S F Electronic S L Dispositivo de arranque y paro a distancia de motores diesel y gasolina.
DE4111582C2 (de) * 1991-04-10 1994-04-28 Ifm Electronic Gmbh Sende- und Empfangssystem, insbesondere für das Verriegeln und Entriegeln von Kraftfahrzeugtüren
KR920021784A (ko) * 1991-05-09 1992-12-18 강진구 세탁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GB2256515A (en) * 1991-06-06 1992-12-09 * Norm Pacific Automation Corporation Interactive remote control
DE4128974A1 (de) * 1991-08-31 1993-03-04 Telefunken Electronic Gmbh Betrieb eines systems mittels einer fernbedienung
EP0628222A4 (en) * 1992-02-28 1995-05-24 Pita Witehira SWITCHING AND POWER SUPPLY SYSTEM FOR AUTOMOBILES.
FR2699606B1 (fr) * 1992-12-23 1995-01-20 Valeo Equip Electr Moteur Circuit de commande d'un démarreur de véhicule automobile.
US5714948A (en) * 1993-05-14 1998-02-03 Worldwide Notifications Systems, Inc. Satellite based aircraft traffic control system
US6314366B1 (en) 1993-05-14 2001-11-06 Tom S. Farmakis Satellite based collision avoidance system
WO1994027264A1 (en) * 1993-05-14 1994-11-24 Worldwide Notification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notifying a recipient of an unscheduled delivery
GB9416040D0 (en) * 1994-08-09 1994-09-28 Philips Electronics Uk Ltd Method of and system for transferring secure data
US6525664B1 (en) 1994-11-10 2003-02-25 Michael J. Erland Control console remote monitoring system
US5644172A (en) * 1994-12-15 1997-07-01 Hodges; Gerald Marvin Vehicle anti-theft device
ATE267141T1 (de) 1995-03-10 2004-06-15 Michael C Ryan Zapfpistole zum kontrollierten abgeben von flüssigkeiten
US5610992A (en) * 1995-03-17 1997-03-11 Hewlett-Packard Company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ported speaker enclosure
US5942988A (en) * 1995-09-15 1999-08-24 Bulldog Security Alarm Systems Remote engine starter with engine cutoff
US5689142A (en) * 1996-05-24 1997-11-18 Continocean Tech Inc. Keyless motor vehicle starting system with anti-theft feature
US6756885B1 (en) * 1996-08-22 2004-06-29 Omega Patents, L.L.C. Multi-vehicle compatible control system for reading from a data bus and associated methods
US6529124B2 (en) 1996-08-22 2003-03-04 Omega Patents, L.L.C. Remote vehicle function control system using data bus adaptor cartridge and associated methods
US5875395A (en) * 1996-10-09 1999-02-23 At&T Wireless Services Inc. Secure equipment automation using a personal base station
KR19980054191A (ko)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차량의 원격시동 확인장치
US5937065A (en) * 1997-04-07 1999-08-10 Eaton Corporation Keyless motor vehicle entry and ignition system
US5955940A (en) * 1997-06-17 1999-09-21 Advance Security Inc. Integrated security door lock system
US6390047B1 (en) * 1997-10-10 2002-05-21 Vincent R Mitchell Activation interface for generic automatic engine starting devices
US6040636A (en) * 1997-11-13 2000-03-21 Audiovox Corporation System controlling vehicle warm up operation responsive to environment CO level
US6091330A (en) * 1998-06-12 2000-07-18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Integrated vehicle remote engine ignition system
US6034617A (en) * 1998-12-04 2000-03-07 Eaton Corporation Operator intent based passive keyless vehicle control system
DE19859255A1 (de) * 1998-12-22 2000-07-06 Bosch Gmbh Robert Fernbedienungseinrichtung
KR100562486B1 (ko) * 1999-04-01 2006-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코드를 구비한 리모트 콘트롤러의 보안코드 설정 방법
US6958702B1 (en) * 1999-09-09 2005-10-25 Alps Electric Co., Ltd.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registering ID codes appropriated to portable transmitters by operating the transmitters
US6791202B2 (en) * 2001-11-01 2004-09-14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remote starting system shutoff
FR2853981B1 (fr) * 2003-04-15 2007-02-02 Somfy Procede de fonctionnement d'un emetteur d'ordres
US20050029869A1 (en) * 2003-08-07 2005-02-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trolled vehicle shutdown system
US7898386B2 (en) * 2005-03-15 2011-03-01 DEI Headquaters Inc. Control device for vehicles
US20060238299A1 (en) * 2005-04-22 2006-10-26 Downey Richard T Electrical enabling device
US7519400B2 (en) * 2005-05-27 2009-04-14 Dei Headquarters, Inc. Multi-modulation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
FR2896087B1 (fr) * 2006-01-10 2009-03-06 Diamecans Soc Par Actions Simp Coupe-circuit de batterie d'accumulateur auto-etalonnable
EP1979426A1 (en) * 2006-01-31 2008-10-15 Valspar Sourcing, Inc. Coating system for cement composite articles
US7886338B2 (en) * 2006-10-06 2011-02-08 Control4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local services without losing failover capibilty
WO2008118532A2 (en) * 2007-01-30 2008-10-02 Fiore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disabling vechicles
US8107946B2 (en) * 2007-02-22 2012-01-31 Control4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wired network to send response messages in an automation system
US20080223645A1 (en) * 2007-03-13 2008-09-18 Shaw Kenneth S Automobile anti-theft and start control device to encourage wearing of seatbelts
WO2008125177A2 (fr) * 2007-03-21 2008-10-2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ème de communication d'une information depuis un véhicule vers un terminal portable de communication, clé électronique pour l'usage dans un tel système de communication et procédé correspondant
US8436943B2 (en) * 2007-03-22 2013-05-07 Control4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audio visual system control
US20080238668A1 (en) * 2007-03-28 2008-10-02 Control4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ty monitoring between trusted neighbors
US20100321151A1 (en) * 2007-04-04 2010-12-23 Control4 Corporation Home automation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8588103B2 (en) * 2007-04-10 2013-11-19 Control4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communications through a dense mesh network
US10877623B2 (en) 2007-06-18 2020-12-29 Wirepath Home Systems, Llc Dynamic interface for remote control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EP2124177A1 (en) 2008-05-21 2009-11-2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between an automobile and a point of sale
US8600578B1 (en) * 2011-07-11 2013-12-03 Roy Preston Auto theft prevention
US20140365100A1 (en) * 2013-06-11 2014-12-11 Gary J. Speier Vehicle control based on sensed enviornmental condition
US9834235B2 (en) * 2014-10-28 2017-12-05 Electro-Motive Diesel, Inc. System for remotely overriding locomotive controls
US20190169916A1 (en) * 2017-12-01 2019-06-06 Tyler W. Morgan Carbon Defense
US11236857B2 (en) 2019-01-18 2022-02-01 Current Products Corp. Low profile remote and wall plat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689528A (en) * 1964-06-30 E. Naish Norman Remote control starting and monitoring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A689071A (en) * 1964-06-23 E. Naish Norman Remote control engine starting and monitoring system
US3790806A (en) * 1972-08-18 1974-02-05 V Lessard Remote engine starting system
US3793529A (en) * 1972-12-21 1974-02-19 J Bucher Remote starting system for combustion engines
JPS53140435A (en) * 1977-05-13 1978-12-07 Kobayashi Mineo Automatic engine starter of car * ship and others
US4334221A (en) * 1979-10-22 1982-06-08 Ideal Toy Corporation Multi-vehicle multi-controller radio remote control system
US4345554A (en) * 1979-11-19 1982-08-24 Hildreth Donald M Vehicle engine remote starter control and protective system
US4413261A (en) * 1981-04-02 1983-11-01 Arthur F. Glaeser Coded control for vehicle engine ignition circuit
JPS5850890A (ja) * 1981-09-21 1983-03-25 Toshiba Corp ワイヤレスリモ−トコントロ−ル装置
FR2545632A1 (fr) * 1983-05-04 1984-11-09 Radiotechnique Systeme antivol comportant un dispositif principal et un element " annexe a proteger "
US4754255A (en) * 1984-03-12 1988-06-28 Sanders Rudy T User identifying vehicle control and security device
FR2569076B1 (fr) * 1984-08-08 1987-03-20 Piechowicz Richard Dispositif de commande a distance de demarrage moteur
JPS6166863A (ja) * 1984-09-11 1986-04-05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の始動装置
US4674454A (en) * 1985-08-22 1987-06-23 Donald Phairr Remote control engine star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28778A (en) 1990-05-29
KR890011461A (ko) 1989-08-14
EP0320439A3 (en) 1990-10-31
EP0320439A2 (en) 1989-06-14
CA1252545A (en) 1989-04-11
JPH0248897A (ja) 199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222B1 (ko) 원격제어장치
US5049867A (en) Vehicle security apparatus
US5042439A (en) Remote, safe, and secure operational control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940964A (en) Vehicle control and theft deterrent with remote transmitter
US4674454A (en) Remote control engine starter
US5019812A (en) Electronic locking system
US5054569A (en) Remote vehicle starting system
US6188326B1 (en) Vehicle control system including token verification and code reset features
US7623663B2 (en) Rolling code security system
KR100248458B1 (ko) 위상지연을갖는원격자동차도어개폐시스템용의휴대용송수신기
US7412056B2 (en) Rolling code security system
US5942988A (en) Remote engine starter with engine cutoff
US5864297A (en) Reprogrammable remote keyless entry system
US6480117B1 (en) Vehicle control system including token verification and code reset features for electrically connected token
US20130021137A1 (en) Rolling Code Security System
JPS63107669A (ja) リモ−トコントロ−ルドアロツク装置
US4446460A (en) Remote starting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GB2079837A (en) Security locking system
US6900552B2 (en) System for controlling starting and stopping of engine
US20050264399A1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6104309A (en) Anti-theft system for automotive electronic accessory with coded interlock
JP3565923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KR20070052128A (ko) 리모콘 입력을 이용한 이모빌라이저 차량 시동 장치 및 그동작방법
CA2291306C (en) Remote starter pass-key module for anti-theft system equipped vehicles and installation method
JP2002130034A (ja) 車両用遠隔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