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486B1 - 보안코드를 구비한 리모트 콘트롤러의 보안코드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보안코드를 구비한 리모트 콘트롤러의 보안코드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486B1
KR100562486B1 KR1019990011471A KR19990011471A KR100562486B1 KR 100562486 B1 KR100562486 B1 KR 100562486B1 KR 1019990011471 A KR1019990011471 A KR 1019990011471A KR 19990011471 A KR19990011471 A KR 19990011471A KR 100562486 B1 KR100562486 B1 KR 100562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code
remote
remote controller
memory
sec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1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5323A (ko
Inventor
김인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11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486B1/ko
Publication of KR20000065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5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60Security, fault tolerance

Abstract

여기에 개시된 리모트 콘트롤러는, 보안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원격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 버튼, 상기 명령 버튼에 해당되는 명령코드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보안코드로 구성되는 원격 데이터를 발생하는 마이크로컴퓨터,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원격 데이터를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원격 데이터 전송회로, 그리고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보안코드는 별도의 보안코드 발생회로나, 제조시의 보안코드 저장 공정 없이도, 마이크로컴퓨터 내부의 상태 정보에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 자체적으로 발생된다. 따라서, 리모트 콘트롤러의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메모리 용량을 보안코드 발생을 위한 확장 바이트로 사용함으로써, 보안코드 발생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보안코드의 안정성(희소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보안코드를 구비한 리모트 콘트롤러의 보안코드 설정 방법{SECURITY CODE SETTING METHOD OF REMOTE CONTROLLER HAVING THE SECURITY CODE}
도 1은 일반적인 리모트 콘트롤러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보안 기능을 가진 원격 제어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콘트롤러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마이크로컴퓨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콘트롤러의 보안코드 설정 방법의 수순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원격 제어 시스템 300 : 리모트 콘트롤러
310 : 배터리 320 : 메모리
330 : 원격 데이터 전송회로 350 : 마이크로컴퓨터
531 : 제어 유닛 352 : 타이머
353 : RAM 354 : ROM
400 : 원격 데이터 수신부
본 발명은 리모트 콘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보안코드(security code)를 가지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보안코드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리모트 콘트롤러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리모트 콘트롤러(300)는 리모트 콘트롤러 본체의 일 측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 버튼(301, 302, 303)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리모트 콘트롤러(300)는 배터리에 의해서 전원을 공급받아서 작동되며, 그것의 전원이 사용자 임의대로 온/오프 될 수 있도록 전원 스위치(305)를 구비하기도 한다. 도 1에 도시된 리모트 콘트롤러(300)에 의해서 원격으로 제어되는 시스템에는 TV, 라디오, VCR과 같은 가전 제품들 등이 있으며,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300)에 의해서 원격으로 제어되는 보안 시스템에는 자동차 도난 경보 장치, 자동차 문 자동 개폐 장치 및 컴퓨터 시스템에 관련된 것 등이 있다.
도 2는 보안 기능을 가진 원격 제어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은, 자동차 또는 컴퓨터 시스템과 같이 보안을 요하는 시스템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발생하는 리모트 콘트롤러(300), 원격 제어 시스템(200)의 본체에 장착되어 리모트 콘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되는 원격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원격 데이터 수신부(400), 그리고 상기 원 격 데이터 수신부(400)에서 받아들인 원격 데이터를 실행하는 시스템 유닛(25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보안 기능을 가지는 원격 제어 시스템들은 Kazuyuki Togashi, Iwaki에 의한 U.S.Pat. No. 4,881,148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원격 데이터를 발생하는 리모트 콘트롤러(300) 및 상기 원격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원격 데이터 수신부(400)를 포함한다. 이들 사이에 송수신 되는 원격 데이터는, 원격 제어 시스템(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코드와, 시스템의 보안 기능을 위한 보안코드(security code)로 구성된다. 리모트 콘트롤러(300) 및 원격 데이터 수신부(400)에는 이 보안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가 포함된다.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300)로부터 원격 데이터가 발생될 때, 리모트 콘트롤러(300)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보안코드는 원격 데이터에 포함되어 원격 데이터 수신부(400)로 전송된다. 리모트 콘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된 원격 데이터가 원격 데이터 수신부(400)로 전달되면, 원격 데이터 수신부(400)에 포함된 마이크로컴퓨터 또는 마이크로 콘트롤러는(미도시 됨) 원격 데이터 수신부(400)의 메모리에 저장되어있는 보안코드와 리모트 콘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된 원격 데이터에 포함되어있는 보안코드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두 보안코드가 서로 동일하면 수신된 원격 데이터의 명령코드에 상응하는 동작이 실행되고, 두 보안코드가 서로 동일하지 않으면 아무 동작도 실행되지 않는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안 기능을 가지는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 보안코드(security code)는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300)의 메모리에 상기 보안코드(security code)를 저장하는 방법에는, 보안코드를 발생하는 칩을 사용하는 방법과 상기 메모리의 제조 시 제조자 측에서 미리 임의의 보안코드를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보안코드 발생 칩을 사용하는 방법은, 그 칩 자체의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리모트 콘트롤러(300)의 제작에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의 제조 시 제조자 측에서 미리 임의의 보안코드를 입력하는 방법은, 각각의 리모트 콘트롤러(300)에 대해서 서로 다른 보안코드를 일일이 저장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이에 대한 별도의 관리가 요구되므로, 생산 원가가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리모트 콘트롤러의 보안코드 생성과 관련된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고, 그리고 상기 보안코드의 안전성(희소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보안코드를 가지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는 보안코드 설정 및 저장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안코드를 발생하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크기를 최소화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안 기능을 가지는 원격 제어 시스템의 리모트 콘트롤러에 저장되는 보안코드의 희소성을 높이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 면, 보안 기능을 가지는 원격 제어 시스템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 보안코드를 구비한 리모트 콘트롤러는, 상기 보안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 버튼, 상기 명령 버튼이 눌러질 때, 상기 명령 버튼에 해당되는 명령코드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보안코드로 구성되는 원격 데이터를 발생하는 마이크로컴퓨터,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원격 데이터를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원격 데이터 전송회로, 그리고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보안코드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서 발생된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보안 코드를 발생하고 저장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콘트롤러의 전원이 공급된 후 상기 명령 버튼이 눌러질 때까지 카운트 된 시간을 상기 보안코드로 설정하는 보안코드발생 수단,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보안코드의 발생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확장 메모리를 상기 보안코드발생 수단으로 제공하는 데이터 메모리, 그리고 상기 제어 수단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동작들이 프로그램 되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보안 기능을 가지는 원격 제어 시스템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콘트롤러의 보안코드의 설정방법은, 상기 보안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에 보안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판별 결과, 상기 메모리에 보안코드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의 명령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에 대 응되는 명령코드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보안코드를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판별 결과, 만약 메모리에 보안코드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보안코드발생 수단에 의해서 상기 보안코드를 설정하고 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의 명령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코드와 상기 설정된 보안코드를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보안코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의 전원이 인가된 이후 상기 명령 버튼의 입력이 발생될 때까지, 상기 보안코드발생 수단에 의해 카운트된 시간으로 설정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리모트 콘트롤러는, 보안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원격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 개의 명령 버튼, 상기 명령 버튼에 해당되는 명령코드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보안코드로 구성되는 원격 데이터를 발생하는 마이크로컴퓨터, 상기 원격 데이터를 원격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원격 데이터 전송회로, 그리고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보안코드는 별도의 보안코드 발생회로나, 제조시의 보안코드 저장 공정 없이도, 상기 마이크로컴퓨터 자체적으로 발생되고 저장된다. 따라서, 리모트 콘트롤러의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 구비된 메모리 용량을 보안코드 발생을 위 한 확장 바이트로 사용함으로써, 보안코드 발생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안코드의 안정성(희소성)을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콘트롤러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보안 기능을 가지는 원격 제어 시스템(200)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콘트롤러(300)는,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200)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 개의 명령 버튼들(301, 302, 303), 리모트 콘트롤러(300)의 전원을 선택으로 온/오프 시킬 수 있는 전원 스위치(305), 전원 스위치(305)에 연결되어 리모트 콘트롤러(300)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원으로 사용되는 배터리(310), 각각의 시스템마다 다르게 설정되는 보안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320), 상기 명령 버튼(301, 302, 303)의 입력에 응답해서 해당되는 명령코드와 상기 메모리(320)에 저장된 보안코드를 모두 포함하는 원격 데이터를 발생하고, 그리고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3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350),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350)로부터 발생된 원격 데이터를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200)에 구비된 원격 데이터 수신부(도 2 참조)로 전송하기 위한 원격 데이터 전송회로(330)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32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안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로서, 본 발명에서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ROM)이 사용된다.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이 메모리(32)에 저장되는 보안코드는 마이크로컴퓨터(350) 자체에서 생성된다. 이 보안코드는, 사용자가 처음으로 리모트 콘트롤러(300)를 통해 원격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시점에서 결정된다. 즉, 사용자가 처음으로 리모트 콘트롤러(300)를 통해 원격 데이터를 발생 시킬 때 마이크로컴퓨터(350)가 가지고 있는 상태 정보, 예를 들면, 상기 명령 버튼 작동 시간, 또는 마이크로컴퓨터(350)의 동작에 관련된 주소(address) 등이 리모트 콘트롤러(300)의 보안코드로서 설정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300)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각기 서로 다른 동작 특성을 가진다. 즉, 각각의 사용자들에 의해서 리모트 콘트롤러(300)의 명령 버튼(301, 302, 또는 303)이 거의 같은 시간에 눌러진다 하더라도, 각 사용자들이 명령 버튼을 누른 시각은 약간씩 다른 특성을 지닌다. 이와 같은 콘트롤러(300)의 작동 시각의 차이는 각 사용자들이 서로 떨어져 있고, 사용자마다 원하는 시각에 자유롭게 상기 명령 버튼을 누를 수 있다면, 그 차이는 더욱 커질 것이다.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해서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콘트롤러(300)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350)가 가지고 있는 상태 정보에 의해서, 각기 다른 보안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마이크로컴퓨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마이크로컴퓨터(350)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컴퓨터(350)는,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수행하는 일련의 모든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 로직(351), 타이머(352),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RAM(353),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350)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ROM(354)으로 크게 나뉘어 진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어 로직(351)에는, 논리 연산 및 산술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처리장치(arithmetic and logic unit ; ALU), 명령 디코더(instruction decoder), 스택 포인터(stack pointer), 프로그램 카운터(program counter ; PC), 프로그램 상태어(program status word), 플래그(flag), 클럭(clock), 그리고 인터럽트 제어 블록(interrupt control block) 등이 포함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안코드를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마이크로컴퓨터(350)가 가지는 상태 정보, 예를 들면, 상기 명령 버튼 작동 시간, 또는 마이크로컴퓨터(350)의 동작에 관련된 주소(address)들은 각각 상기 타이머(352) 및 상기 프로그램 카운터(미도시됨)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컴퓨터(350)에 구비된 타이머(352)는,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규칙적인 간격으로 그 내용이 변화된다. 본 발명에 의한 타이머(352)는,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300)의 전원을 킨 후 명령 버튼(도 3 참조)을 누를 때까지의 시간을 카운트한다. 이 시간은 제어 로직(351)에 의해서 보안코드로 설정되어 리모트 콘트롤러 내에 구비된 메모리(도 3 참조)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동작에 대한 프로그램은 ROM(354)에 저장되어 있다. 이와 비슷하게, 프로그램 카운터(program counter ; PC)가 함유하고 있는 마이크로컴퓨터(350)의 동작에 관련된 주소(address)를 보안코드로 지정할 수도 있다. 상기 타이머(352)와 같은 마이크로컴퓨터(350)의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한정된 비트 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타이머(352)가 8비트로 디자인되어 있다면, 상기 타이머(352)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는 보안코드에 대한 모든 경우의 수는
Figure 111999002939777-pat00001
개, 즉, 256 종류의 보안코드가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352)에 의해서 발생되는 보안코드에 대한 경우의 수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콘트롤러(300)는, 보안코드의 발생을 위해서, 상기 RAM(353)의 메모리 용량을 보안코드 발생을 위한 확장 바이트(byte)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상기 RAM(353)의 메모리 용량 중 2 바이트(16 비트)를 보안코드 발생을 위한 확장 바이트로 사용한다면, 상기 타이머(352)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는 보안코드에 대한 모든 경우의 수는
Figure 111999002939777-pat00002
개, 즉, 16777216 가지 종류의 보안코드가 생성될 수 있다. 보안코드 발생을 위한 확장 바이트를 n 이라고 한다면, 이 경우 발생되는 보안코드의 전체 경우의 수는
Figure 111999002939777-pat00003
이 된다. 보안코드의 안정성(희소성)은 상기와 같이 발생될 수 있는 보안코드의 수에 비례해서 증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콘트롤러(300)는, 상기 RAM(353)의 메모리 용량을 보안코드 발생을 위한 확장 바이트(byte)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타이머(352)에서 발생되는 보안코드의 안정성(희소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안코드의 설정 방법은 아래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콘트롤러의 보안코드 설정 방법의 수순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5를 참조하면, 먼저 단계 S100에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350)의 제어 유닛(351)은, 도 3에 도시된 리모트 콘트롤러(300)의 전원이 배터리(310)에 의해서 인가되면, 상기 메모리(320)의 특정 영역에 보안코드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일반적으로 보안코드는 상기 메모리(320)의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의 영역에 저장되는데, 만약 보안코드가 저장되어있지 않다면, 상기 보안코드에 관련된 특정 주소(address)에는 'FF' 값이 저장된다. 상기 검출 결과, 만약 상기 메모리(320)의 특정 영역에 보안코드가 저장되어 있다면, 수순은 단계 S110으로 진행하여 보안코 드 플래그를 '0'으로 셋팅한다. 그리고 단계 S130에서 마이크로컴퓨터(350) 내에 구비된 타이머(352)를 초기화하고 이를 동작시킨다. 단계 S100에서의 판별 결과, 만약 보안코드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수순은 단계 S120으로 진행하여 보안코드 플래그를 '1'로 셋팅한다. 보안코드 플래그는, 도 4에 도시된 RAM(353)에 저장되며, 이는 보안코드가 상기 메모리(320)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준다. 이와 같이, 리모트 콘트롤러(300)의 메모리(320)에 보안코드가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별되고, 타이머(352)가 동작되면, 수순은 단계 S140으로 진행하여 리모트 콘트롤러(300)의 버튼 상태를 체크한다. 그리고 단계 S150에서는 리모트 콘트롤러(300)의 버튼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만약 리모트 콘트롤러(300)의 버튼이 눌러졌다면 수순은 단계S160으로 진행한다. 단계 S160에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350)의 제어 유닛(351)은, 설정된 보안코드 플래그가 '0'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만약 설정된 보안코드 플래그가 '0'이면, 즉, 리모트 콘트롤러(300)의 메모리(320)에 보안코드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수순은 단계 S170으로 진행하여 현재 타이머(352)에 지정되어 있는 값을 보안코드로 설정하여 메모리(320)에 저장하고, 그리고 보안 플래그를 '1'로 설정한다. 보안코드의 설정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콘트롤러(300)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350) 내에 구비된 RAM(353)의 일부를 타이머(352)의 보안코드 발생을 위한 확장 바이트로 사용한다. 이 때 n 비트의 확장 바이트가 사용된다면, 발생 가능한 보안코드의 전체 경우의 수는
Figure 111999002939777-pat00004
이 된다. 이어서, 수순은 단계 S180으로 진행하여 설정된 보안코드와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300)의 명령 버튼에 의해서 지정된 명 령코드를 포함하는 원격 데이터를 도 2에 도시된 원격 데이터 수신부(400)로 전송한다. 그리고 단계 S160의 판별 결과 설정된 보안코드 플래그가 '0'이 아니면, 즉 설정된 보안코드 플래그가 '1'이면,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300)의 메모리(320)에 보안코드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메모리(320)에 저장되어 있는 보안코드를 이용하여 원격 데이터를 발생한다. 즉, 단계 S180에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350)의 제어 유닛(351)은, 상기 메모리(320)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보안코드와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300)의 명령 버튼에 의해 지정된 명령코드를 포함하는 원격 데이터를 발생하여 상기 원격 데이터 수신부(4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수순에 의해서,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300)의 보안코드가 설정되고, 상기 메모리(320)에 저장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콘트롤러(300)의 보안코드는 리모트 콘트롤러(300) 내부에 구비된 마이크로 콘트롤러(350) 자체에서 발생된다. 따라서, 별도의 보안코드 발생용 칩을 사용하거나, 제조시 임의로 제품 각각의 보안코드를 저장해 주는 과정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리모트 콘트롤러(300)의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RAM(353)의 메모리 용량을 보안코드 발생을 위한 확장 바이트(byte)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타이머(352)에서 발생되는 보안코드의 안정성(희소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리모트 콘트롤러의 제조시 각 제품별로 각기 다른 보안코드를 저장하는 과정을 줄일 수 있고, 그리고 고가의 보안코드 발생 칩이 필요치 않으므로, 보안코드를 가지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보안 기능을 가지는 원격 제어 시스템의 리모트 콘트롤러에 저장되는 보안코드를 생성 및 저장하는데 있어서 별도의 보안코드 발생용 칩이 필요지 않으므로, 보안코드를 가지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보안 기능을 가지는 원격 제어 시스템의 리모트 콘트롤러에 저장되는 보안코드를 생성 및 저장하기 위한 비트 수를 확장함으로써 보안코드의 희소성이 향상된다.

Claims (4)

  1. 보안 기능을 가지는 원격 제어 시스템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 보안코드를 구비한 리모트 콘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보안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 버튼과;
    상기 명령 버튼이 눌러질 때, 상기 명령 버튼에 해당되는 명령코드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보안코드로 구성되는 원격 데이터를 발생하되 상기 보안코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보안코드를 생성하는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원격 데이터를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원격 데이터 전송회로; 그리고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코드를 구비한 리모트 콘트롤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보안 코드를 발생하고 저장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콘트롤러의 전원이 공급된 후 상기 명령 버튼이 눌러질 때까지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 된 시간을 상기 보안코드로 공급하는 타이머와;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보안코드의 발생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확장 메모리를 제공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와; 그리고
    상기 제어 수단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동작들이 프로그램 되어 저장되어 있는 롬(ROM)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코드를 구비한 리모트 콘트롤러.
  3. 보안 기능을 가지는 원격 제어 시스템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콘트롤러의 보안코드의 설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안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에 보안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판별 결과, 상기 메모리에 보안코드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의 명령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코드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보안코드를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판별 결과, 만약 메모리에 보안코드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보안코드발생 수단에 의해서 상기 보안코드를 설정하고 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의 명령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코드와 상기 설정된 보안코드를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코드를 구비한 리모트 콘트롤러의 보안코드 설정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코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의 전원이 인가된 이후 상기 명령 버튼의 입력이 발생될 때까지, 상기 보안코드발생 수단에 의해 카운트된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코드를 구비한 리모트 콘트롤러의 보안코드 설정 방법.
KR1019990011471A 1999-04-01 1999-04-01 보안코드를 구비한 리모트 콘트롤러의 보안코드 설정 방법 KR100562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471A KR100562486B1 (ko) 1999-04-01 1999-04-01 보안코드를 구비한 리모트 콘트롤러의 보안코드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471A KR100562486B1 (ko) 1999-04-01 1999-04-01 보안코드를 구비한 리모트 콘트롤러의 보안코드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323A KR20000065323A (ko) 2000-11-15
KR100562486B1 true KR100562486B1 (ko) 2006-03-21

Family

ID=19578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471A KR100562486B1 (ko) 1999-04-01 1999-04-01 보안코드를 구비한 리모트 콘트롤러의 보안코드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4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8778A (en) * 1987-12-09 1990-05-29 Remote Automation & Control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 car starter
WO1992002702A1 (en) * 1990-08-08 1992-02-20 Trw Inc. Remote programming of vehicle functions
JPH08102978A (ja) * 1994-09-30 1996-04-16 Sony Corp 遠隔操作システム
US5864297A (en) * 1994-12-16 1999-01-26 Chrysler Corporation Reprogrammable remote keyless entry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8778A (en) * 1987-12-09 1990-05-29 Remote Automation & Control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 car starter
WO1992002702A1 (en) * 1990-08-08 1992-02-20 Trw Inc. Remote programming of vehicle functions
JPH08102978A (ja) * 1994-09-30 1996-04-16 Sony Corp 遠隔操作システム
US5864297A (en) * 1994-12-16 1999-01-26 Chrysler Corporation Reprogrammable remote keyless entr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323A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01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s
KR100513281B1 (ko) 확장형 통합 리모컨 및 작동 방법
KR100342020B1 (ko) 고유번호를 구비한 원격제어컴퓨터시스템 및 그것의 관리 방법
AU20022455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s
US20060012461A1 (en) Transmitter for operating rolling code receivers
CA2476536A1 (en) A remote control device with appliance power awareness
KR100562486B1 (ko) 보안코드를 구비한 리모트 콘트롤러의 보안코드 설정 방법
WO1998054034A1 (en) Channel expander for remotely controlled automotive security and convenience systems
CN113932422B (zh) 用于空调的测试方法、测试装置和控制装置
KR101049251B1 (ko) 통합 리모컨 컨트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30018017A (ko) 멀티-디바이스 어플라이언스의 중앙 처리 유닛을주소지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과 이에 대응하는 어플라이언스
EP1793358A2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9990051235A (ko) 범용 리모콘의 커스텀 코드 자동 설정 방법
KR970005234Y1 (ko) 오디오기기의 원격제어장치
KR960002835B1 (ko) 리모콘의 키 기능 메모리 방법
TW202338755A (zh) 電器設備遙控對頻學習系統及方法
JP2511170B2 (ja) リモ―トコントロ―ル装置
KR200184460Y1 (ko) 원격제어기능을 갖는 서보 드라이버
WO2007019662A1 (en) Transmitter for operating rolling code receivers
JP2001157278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ー
KR100425128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어드레스 변경방법
KR970078724A (ko) 통합 적외선 리모터 수신 장치 및 다 기능 제어기
US20040100442A1 (en) Universal remote controller
KR20050067266A (ko) 모니터와 리모콘 기능 제어방법
JPH10289048A (ja) 情報入力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