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101B1 - 전자 악기 - Google Patents

전자 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101B1
KR920004101B1 KR1019890000948A KR890000948A KR920004101B1 KR 920004101 B1 KR920004101 B1 KR 920004101B1 KR 1019890000948 A KR1019890000948 A KR 1019890000948A KR 890000948 A KR890000948 A KR 890000948A KR 920004101 B1 KR920004101 B1 KR 920004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ch
change
designated
change width
musical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0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261A (ko
Inventor
시게오 사가시다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가시오 가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가시오 가주오 filed Critical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2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18Selecting circuits
    • G10H1/26Selecting circuits for automatically producing a series of tones
    • G10H1/30Selecting circuits for automatically producing a series of tones to reiteratively sound two t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45Special instrument [spint], i.e. mimicking the ergonomy, shape, sound or other characteristic of a specific acoustic musical instrument category
    • G10H2230/155Spint wind instrument, i.e. mimicking musical wind instrument features; Electrophonic aspects of acoustic wind instruments; MIDI-like control therefor.
    • G10H2230/205Spint reed, i.e. mimicking or emulating reed instruments, sensors or interfaces therefor
    • G10H2230/221Spint saxophone, i.e. mimicking conical bore musical instruments with single reed mouthpiece, e.g. saxophones, electrophonic emulation or interfacing aspect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 악기
제 1 도는 이 발명을 전자관악기에 적용했을때의 전체회로 구성도.
제 2 도는 상기 전자관악기의 평면도.
제 3 도는 음고변경폭 설정시의 프로우챠트.
이 발명은, 음고 지정조작에 의해 지정된 음고를 미리 설정된 음고변경폭 데이터에 따라서 다른 음고로 변경 가능한 전자 악기에 관한 것인데, 특히 트릴(trill) 연주를 행할때에 적합한 전자악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건반에 대한 음고 지정조작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음고와 반음트릴 키 또는 전음트릴 키 조작에 의해서 변경된 음고(상기 음고보다도 반음 또는 1음 높은 음고)를 교호로 지정하면서 연주를 행할 수가 있는 전자악기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전자악기의 경우 미리 준비되어 있는 반음 트릴키 또는 전음 트릴키 조작에 의해 건반에 대한 음고 지정조작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음고를 그 음고보다도 반음 높은 음고 또는 1음 높은 음고로 변경할 정도의 트릴연주밖에 할 수 없으며, 따라서 각 트릴키의 키 조작에서 변경가능한 음고변경폭은 반음 또는 1음 정도의 것에 불과한 것이었다. 그래서, 트릴키의 키 조작으로 가능한 음고변경폭을 크게 잡기 때문에 상기 반음트릴키 또는 상기 전음 트릴키외에 1음반 트릴키, 2음트릴키등을 새로 설치하는 것이 고려됐으나 음고변경폭이 서로 다른 트릴키를 다수개 설치하면 그만큼 단가가 비싸질 뿐만 아니라 다수의 트릴키를 변경하고 싶어하는 음고변경폭에 맞추어서 적절히 선택하면서 조작해야 하므로 그만큼 음고변경조작이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발명은 간단한 음고변경 조작으로서 지정한 음고에서 소정의 음고변경폭의 어느 다른 음고로 변경하면서 트릴 연주가 가능한 전자악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발명은 변경해야 할 변경폭을 사용자가 임의로 프리셋트 가능한 전자악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발명은 음고 지정수단에 대한 음고 지정조작을 행했을 경우에는 그 조작에서 지정된 음고에서 악음이 발생하고 음고 지정조작에서 소정의 음고가 지정되어 있는 상태하에서 음고변경 지시수단에 대한 음고변경 조작을 행하였을때는 상기 지정되어있는 음고보다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음고변경폭만큼, 높은 음고 또는 낮은 음고로서 악음이 발생하는 전자악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발명은 음고 지정수단에 대한 음고 지정조작으로 소정의 음고가 지정되어 있는 상태하에서 연주 입력수단에 대한 연주입력 조직이 있었을 때에는 상기 지정한 음고로서 악음을 발생해서 상기 연주입력조직이 행해지고 있는 상태하에서 음고변경수단에 의한 음고변경 조작을 행했을때 상기 지정한 음고보다도 미리 지정되어있는 음고변경폭 만큼 높은 음고 낮은 음고로서 악음이 발생하는 전자악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 이 발명은 음고변경폭 지정수단에 의해 임의로 지정된 음고변경폭에 대응한 음고변경폭 데이터를 표시가능한 전자악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하, 도면에 따라서 이 발명을 전자관악기에 적용했을때의 실시예에 대해서 기술한다.
제 1 도는 이 발명에 관한 전자관악기의 전체회로 구성도이다.
마이크로 프로셋서에 중앙처리장치인 CPU(1)는 음고 지정수단을 구성하는 음고지정 스위치 군(2)에 대한 음고 지정조작에 의해 지정된 소정의 음고정보를 받아서 이 음고정보를 악음발생회로(3)에 출력한다.
한편, 관악기본체의 취구부(4)에 대한 연주입력 조작에 따라서, 브레스센서(breath sensor)(5)에서 검출된 브레스정보는 우선 전압변환회로(6)에서 대응하는 전압치로 변경되고 이 전압치는 다시 A/D 변환기(7)에서 대응하는 디지탈 값으로 변환된다. 이 디지탈 값으로 변환된 디지탈 브레스정보는 CPU(1)로 보내진다. CPU(1)는 보내진 디지탈 브레스정보를 악음제어정보등으로 해서 악음발생회로(3)에 출력한다. 다시 CPU(1)는 음색, 효과절환 스위치군(8)에서 선택되는 음색, 효과정보를 받아들여서 이들의 정보를 악음발생회로(3)에 대해 출력한다. 이 악음발생회로(3)에서 출력된 악음은 증폭기(9)와 스피커(10)로서 되는 악음 출력장치(11)에 입력된다. 이 악음출력장치(11)에 입력된 악음은 증폭기(9)에서 증폭된후 악음으로 방음된다.
또, CPU(1)에는 음고변경 지지수단을 구성하는 음고변경 스위치(12)의 ON 조작이 있었을때는 그 조작에 대응해서 음고변경을 지령하기 위한 소정의 전압신호 VDD가 인가되며, 또 음고변경폭 설정수단을 구성하는 음고변경폭 설정 스위치부(13)에서의 음고 엎 스위치(13-1) 및 음고 다운 스위치(13-2)의 ON 조작이 있었을 경우 그 조작에 대응해서 음고를 엎 시키거나 또 다운 시키는가를 지령하기 위한 소정의 전압신호 VDD가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음고변경폭 설정스위치부(13)에 의해 설정된 음고의 변경폭에 대응하는 음고변경폭 데이터는 CPU(1)의 제어에의해 음고변경폭 기억수단인 예컨대 RAM(럼덤 악세스 메모리),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등과 같은 음고변경폭 기억장치(14)(이하 RAM 14라 칭함)에 기억된다.
이 RAM(14)에 기억된 음고변경폭 데이터는 상기 음고변경 스위치(12)에 대한 ON 조작에 대응해서 읽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CPU(1)에 접속되어 있는 음고변경폭 표시장치(20)는 RAM(14)에 현재 기억되어 있는 음고변경폭 데이터 또는 음고변경폭 설정 스위치부(13)에 의해 설정되고 있는 음고변경폭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이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전자관악기의 외관도인데, 제 1 도의 참조부호를 붙인 것은 같은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즉, 색소폰 형상의 관악기본체(100)의 일단에 설치된 취구부(4)의 내부에는 브레스 조작상태를 검출하는 브레스 센서(5)가 설치되어 있다. 또, 관악기본체(100)위에는 발생할 악음의 음고를 지정하기 위한 복수의 음고설정 스위치군(2), 상기 브레스센서(5)에서 출력되는 브레스 정보에 따라서 발생되는 악음에 대해 소정의 음색이나 효과를 부가하기 위한 절환조작되는 음색, 효과절환 스위치군(8), 음고변경폭을 설정할때에 사용되는 음고변경폭 설정 스위치군(13), 및 상기 음고설정 스위치군(2)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음고를 소정의 음고변경폭 데이터에 따라서 다른 음고로 변경할때에 사용되는 음고변경 스위치(12)등이 설치되어 있다. 다시, 관악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CPU(1)를 위시해서 악음발생회로(3), A/D 변환기(7)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 관악기 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나팔꽃부(101)의 내부에는 스피커(10)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나팔꽃부(101)의 개구부에는 스피커(10)에서 출력되는 악음을 확실하게 방음시키기 위한 방음부(102)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제 3 도의 음고변경폭 설정 프로우챠트에 따라서 음고의 변경폭을 설정하기 위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제 3 도의 프로우는, CPU(1)의 메인 루틴의 프로우(도시하지 않았음)에 대해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되풀이해서 동작하는 것이다.
먼저, 스텝(3-1)에서, 음고변경폭 설정 스위치부(13)의 음고 엎 스위치(13-1)가 ON되어 있는 상태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만약 YES라고 판단되었다면 다음단계(3-2)에서 또 한쪽의 음고 다운 스위치(13-2)도 ON되어 있는 상태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만약 YES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음고 엎 스위치(13-1) 및 음고 다운 스위치(13-2) 양쪽모두가 ON 조작이 되어있는 상태의 하므로 이때는 RAM(14)의 내용이 초기화된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트릴연주를 행할때, 가장 일반적 보기인 반음정 높임의 트릴연주를 시키는 경우라고 해서 단계(3-3)에서 RAM(14)에 대해서 초기치 데이터로서 +1을 써넣는다. 그리고, 반음의 음정차를 1로하고, +1의 경우는 반음의 음고만큼 음고를 높이는 데이터, -1의 경우는 반음의 음고만큼 음고를 낮추는 데이터임을 나타낸다. 다음의 단계(3-4)에서 음고 높임 스위치(13-1), 음고낮춤 스위치(13-2)가 함께 ON 상태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음고 높임 프러그(flag)(UF)와 음고낮춤 프러그(DF) 양쪽 모두에 1을 설정하여 메인 루틴으로 리턴시킨다.
단계(3-2)에서 NO로 판단되었을때는 음고낮춤 스위치(13-2)는 현재 ON 조작이 조작되어 있지않은 때이며 단계(3-5)에서 음고 엎 프러그 UF에 현재 1이 설정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YES라고 판단되었을때는 이번에 새로운 음고 높임 스위치(13-1)가 ON이 되었을때가 아니고 이미 ON 조작이 이루어지고 있을 때이므로 RAM(14)에 대해서 음고변경폭을 변하게 하기위한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시킬 필요는 없고 그대로 메인 루틴에 리턴한다. 그러나, 여기서 NO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이번에 새로이 음고 높임 스위치(13-1)만이 ON 조작이 된 경우이므로 트릴연주를 위한 새로운 음고변경폭 데이터를 RAM(14)에 메모리 시키기 위한 처리동작으로 이행한다. 이 처리동작은, 먼저 단계(3-6)에서 현재의 RAM(14)에 메모리 되어 있는 음고변경폭 데이터를 CPU(1)내의 A 레지스터 AR에 임시로 옮기고, 단계(3-7)에서 그 A 레지스터 AR에 저장된 음고변경폭이 11 이상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1옥타브 이상의 음정차의 트릴연주는 행하지 않은것으로 하고, 1옥타브 미만을 나타내는 ±11의 음고변경폭 데이터 이내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YES라고 판단되었을때는 이미 그 이상은 음고변경폭을 증가할 수 없는 경우이므로 이 이상의 음고높임 스위치(13-1)의 ON 조작은 무효이며 RAM(14)으로의 음고변경폭 데이터를 써넣기를 행하는 일은 없으며 단계(3-8)에서 음고 엎 프러그 UF에 1을 설정음고 엎 스위치(13-1)가 ON상태로 한후 메인 루틴에 리턴시킨다. 단계(3-7)에서 NO라고 판단되었을때는 이번에 새로운 음고 높임 스위치(13-1)가 1회 ON 조작되었던 것에 대응할 필요가 있으므로 단계(3-9)에서 A 레지스터 AR의 음고변경폭 데이타는 1만큼 증가된다. 다음의 단계(3-10)에서 앞에서의 A 레지스터 AR에 이미 기록된 음고변경폭 데이터 보다도 반음 높은 음고를 나타내는 +1의 데이터를 음고변경폭 데이터로 해서 새로운 RAM(14)에 기록된다. 그후, 단계(3-7)에서 앞에서 말한 YES라고 판단되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단계(3-8)에서 음고 높임프래그(UF)에 1을 설정한 후 메인루틴으로 리턴시킨다.
이와같이, CPU(1)의 처리동작에 의해서 음고 높임 스위치(13-1)가 1회 ON 조작될때마다 음고변경폭 기억 장치인 RAM(14)에는 앞에서의 음고변경 데이터에 +1의 음고변경폭 데이터가 가산되게 된다. 예를들면, 전원투입 또는 음고 높임 스위치(13-1)와 음고낮춤 스위치(13-2)와의 동시 조작에 의해 RAM(14)에 초기상태치인 +1의 음고변경폭 데이터가 메모리되어 있을 경우에 있어서 트릴연주의 개시로 인해 음고 변경 스위치(12)가 ON 조작되면 앞에서의 음고변경폭 데이터 +1에 따라서 음고설정 스위치군(2)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음고보다도 반은 높은 음고로서 악음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음고변경 제어수단을 구성하는 CPU(1)는 악음 발생회로(3)에 대해서 지시한다. 이 결과, 앞에서의 지정중의 음고보다도 반음 높은 음고로서 악음이 발생하게 된다. 다음에, 음고 높임 스위치(13-2)를 1회 ON하면 위세서와 같이 단계(3-1)이하의 동작이 행해져서 RAM(14)의 초기데이터치가 1만큼 프래스된 +2의 음고변경폭 데이터가 RAM(14)에 새롭게 메모리되게 된다. 이상태하에서 음고변경 스위치(12)가 ON 조작되면 음고설정 스위치군(2)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음고에 반음+반음+전음만큼 높은 음고로서 악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악음발생회로(3)에 지시가 행해진다. 이 결과, 앞에서의 지정음고보다도 1음 높은 음고로서 악음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단계(3-1)에서 NO라고 판단되면 음고 엎 스위치(13-1)는 ON 조작으로 되어 있지 않는 상태이므로 다음의 단계(13-1)에서는 음고 엎 프래그 UF에 O를 설정하고 음고 높임 스위치(13-1)는 ON 상태가 아닌 것으로 해둔다. 다음의 단계(3-12)에서는 역으로 음고낮춤 스위치(13-2)가 ON으로 되어있는가 어떤가를 판단한다. NO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이번에는 음고변경폭 설정스위치부(13)는 ON 조작에 변화가 없을때 이므로 RAM(14)의 음고변경폭 데이터를 아뭏튼 기록할 필요가 없으므로 스텝(3-13)에서 음고낮춤 프래그(DF)에 0를 설정한후 메인루틴으로 리턴시킨다. 단계(3-12)에서 YES라고 판단되었을때는 다음의 스텝(3-14)에서 음고낮춤 프래그(DF)에 1이 기록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YES라고 판단되었을때는 이번에 새로운 음고낮춤 스위치(13-2)가 ON 조작되었을 경우가 아니고 이미 전번에 ON 조작되어 있으므로 RAM(14)의 음고변경폭 데이터는 다시 기록할 필요는 없다. 그로 인해 그대로 메인루틴으로 리턴한다.
그러나, NO라고 판단되었을때는 이번에 새로이 음고다운 스위치(13-2)가 ON되었을 경우이므로 트릴연주에서 지정중의 음고보다도 1(반음)만큼 낮은 음고로 음고변경폭 데이터를 새로 쓸 필요가 있는 경우이다. 그래서, 단계(3-15)에서 RAM(14)의 현재의 음고변경폭 데이터의 내용을 A 레지스터 AR로 옮기고 단계(3-16)에서 그 A 레지스터 AR의 데이터가 -11 이하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YES라고 판단되었을때는 그 이상 음고낮춤의 기능이 움직이지 않는 때이므로 음고낮춤 스위치(13-2)의 ON 조작은 의미가 없고 단계(3-19)에서 음고낮춤 프래그(DF)에 1을 세워서 음고낮춤 스위치(13-2)가 ON 상태에 있도록 해서 메인루틴으로 리턴한다.
단계(3-16)에서, NO라고 판단되면은 새로이 RAM(14)의 음고변경폭 데이터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이므로 단계(3-17)에서 현재의 A 레지스터 AR의 음고변경폭 데이터를 1만큼 감소해서 그 데이터를 레지스터 AR에 새로 옮긴다. 단계(3-18)에서 그 새로운 A 레지스터 AR의 음고변경폭 데이터를 RAM(14)에 저장시킨다. 그리고 단계(3-19)에서 음고다운에 1을 설정하여 음고다운 스위치(13-2)가 ON으로된후 레인 루틴으로 리턴시킨다.
이와같이 음고다운 스위치(13-2)를 1회 ON 조작할때마다 RAM(14)에 메모리되어 있는 음고변경폭 데이터가 1씩-11까지의 범위내에서 감소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예컨대 RAM(14)의 음고변경폭 데이터가 초기 상태치(+1의 데이터 메모리 상태치)의 경우에서 음고낮춤 스위치(13-2)를 1의 ON 조작하면 RAM(14)의 음고변경폭 데이터는 ±0가 되어 음고스위치군(2)에 의해 지정되어있는 음고와 같은 음고의 경우가 되며, 다시 음고낮춤 스위치(13-2)를 1회 ON 조작하면 RAM(14)의 음고변경폭 데이터는 -1이 되어 음고설정 스위치군(2)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음고보다도 반음낮은 음고변경폭 데이터가 RAM(14)에 기억되게 된다. 이 결과, 지정중의 음고보다도 반음 낮은 음고에 의한 트릴연주가 가능해진다. 다시, 예컨대 2번 계속해서 음고낮춤 스위치(13-2)를 ON 조작하면 이번에는 상기 지정되어 있는 음고보다도 1음반 낮은 음고변경폭 데이터가 RAM(14)에 기억되게 된다. 이 결과, 지정중의 음고보다도 반음 낮은 음고에 의한 트릴연주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이 위에서 기술한 실시예에서는 연주자는 미리 음고 높임 스위치(13-1) 또는 음고낮춤 스위치(13-2)의 ON 조작에 의해 1옥타브의 범위내에서 임의의 음고변경폭 데이터를 RAM(14)에 메모리시켜 두고 그상태하에서 음고변경 스위치(12)를 ON 조작하면 RAM(14)에 메모리되어 있는 음고변경폭 데이터에 따라서 음고설정 스위치군(2)에 의해 음고 지정되어 있는 음고를 변경시킬 수가 있다. 이로인해, 음고설정 스위치군(2)에 의해 소정의 음고로 지정하고 있는 상태하에서 음고변경 스위치(12)의 ON 조작 또는 OFF 조작을 적당한 시간 간격으로 되풀이 하므로서 지정중의 음고보다도 소정의 음정의 차만큼 높은 혹은 낮은 음고로서 용이하게 트릴연주가 행해질 수 있다.
또, 제 1 도에서와 같이 RAM(14)에 현재 설정되어 있는 음고변경폭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음고변경폭 표시장치(20)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현재의 음고변경 가능한 폭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가 있다. 이로인해, 트릴연주를 보다 하기 쉽게 할 수가 있다.
앞에서 기술한 실시예에서는, 음고높임 스위치(13-2), 음고 다운 스위치(13-2)에 의해서 기억할 수 있는 음고변경폭 데이터는 1옥타브 미만으로 한정하고 있으나 이 범위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수 옥타브의 범위에서 음고변경폭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반음 단위로서 음고변경폭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는데 불과하나 반음색 음고변경의 폭을 변화 설정시키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센터(cent, 반음의 1/100) 단위로서 좀더 미세하게 음고변경폭 데이터를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 음고변경은 음고설정 스위치군(2)에 의해 지정된 음고에 대해서 음고를 높이는 경우 혹은 음고를 낮추는 경우의 어느한쪽만을 한정시킨 트릴연주를 행할 수 있게 해도 좋다.
또, 앞에서 말한 실시예에서는 음고변경 스위치(12)를 한개 설치하고 이 음고변경 스위치(12)의 ON 조작에 의해서 미리 RAM(14)에 기억되어 있는 1조의 음고변경폭 데이터를 읽어내어 이 데이터에 따라서 지정중의 음고를 변경하도록한데 불과하나 제 1 도에서와 같이 복수의 음고스위치(12), (12a), (12b)…를 설치함과 함께 이들 스위치(12), (12a), (12b)…마다 서로 다른 음고변경폭 데이터를 미리 RAM(14)에 기억 시켜두면 상기 복수의 음고스위치(12)(12a)(12b)…를 적절한 선택으로 ON 조작시키므로서 서로다른 음고변경 데이터에 따라서 변화가 있는 트릴연주를 행할 수가 있다.
다시, 앞에서 기술한 실시예에서는 음고설정 스위치군(2)에 의해 소정의 음고가 지정되어 있는 상태하에서 취구부(4)에 대한 브레스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상기 지정중의 음고로서 소정의 악음을 발생시키는 한편 브레스 조작에 의해서 지정중의 음고로서 소정의 악음을 발생중에 음고 변경 스위치(12)가 ON 조작되었을때에 RAM(14)에 기억되어있는 음고변경폭 데이터에 따른 다른 음고로서 소정의 악음의 발생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음고설정 스위치군(2)에 대해 음고지정 조작이 행해졌을때에 그 조작에 응답해서 상기 조작에 의해서 지정된 음고로서 소정의 악음의 발생을 행하는 한편 음고변경 스위치(12)에 대해 음고변경 지시조작이 행해졌을때에 RAM(14)에 기억되어있는 음고변경폭 데이터에 따른 다른 음고로서 소정의 악음의 발생을 행하도록 해도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 발명의 전자관악기에 적용했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전자악기, 예컨대 전자건반악기, 전자현악기에 적용하도록 해도 좋다. 다만, 상기 전자현악기에 이 발명을 적용할때에는 지판에 대한 음고 지정 조작에 의해 소정의 음고를 지정하고 그 지정 상태하에서 동부 위에 장설한 현에 대한 탄현조작에 의해서 상기 지정중의 음고로서 소정의 악음을 발생시키는 한편 음고변경 스위치의 ON 조작에 의해 미리 RAM에 기억되어있는 음고변경폭 데이터에 따라서 지정중의 음고를 변경한 음고로서 소정의 악음을 발생하도록 해도좋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것처럼 이 발명에 의하면, 음고 지정수단에 의해 소정의 음고가 지정되어 있는 상태하에서 음고변경 지시수단에 의해 음고의 변경이 지시되었을때 상기 지정중의 음고를 음고변경폭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음고변경폭 데이터에 따라서 음고변경 제어수단에 의해서 대응하는 다른 음고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므로 지정중의 음고와 지정중의 음고에서 소정의 음정차가 있는 다른 음고를 음고변경 지시수단으로 조작하는 것만으로서 교호로 지정할 수가 있고 따라서, 간단한 음고변경 조작으로서 트릴 연주를 행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음고변경 기억수단에 대해 음고변경 지정수단에 의해 임의의 음고변경폭 데이터를 기억할 수가 있으므로 지정되어 있는 음고에 대해서 변경해야할 음고의 변경폭을 사용자가 자유로 설정할 수가 있다. 더우기, 본 발명에 의하면, 음고변경폭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음고변경폭 데이터를 표시하는 음고변경폭 데이터 표시수단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변경해야할 음고변경폭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가 있어서 따라서 트릴연주를 확실하고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Claims (10)

  1. 발생될 악음의 음고를 지정가능한 음고지정수단(2)과, 이 음고지정수단(2)에 의해 지정되어있는 음고를 변경하기 위해 지시되는 음고변경지시수단(12)과, 이 음고변경지시수단(12)에 의해 변경되는 음고의 변경폭을 지정가능한 음고변경폭지정수단(13)과, 이 음고변경폭지정수단(13)에 의해 지정된 음고의 변경폭에 대응하는 음고변경폭정보를 기억가능한 음고변경폭정보기억수단(14)과, 상기 음고지정수단(2)에 의해 대응하는 음고가 지정되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음고변경지시수단(12)에 의해 다른 음고로의 변경이 지시된 경우, 상기 음고지정수단(2)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음고를 상기 음고변경폭정보기억수단(14)에 기억되어 있는 음고변경폭정보에 따라, 다른 음고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음고변경제어수단(1)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고지정수단(2)에 의해 대응하는 음고가 지정된 경우, 이에 응답하여 지정되어있는 음고로 악음을 발생하고, 한편, 상기 음고지정수단(2)에 의해 대응하는 음고가 지정되어있는 상태하에서 상기 음고변경지시수단(12)에 의해 다른 음고로의 변경이 지시된 경우, 이에 응답하여 상기 음고지정수단(2)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음고를 상기 음고변경폭정보기억수단(14)에 기억되어있는 음고변경폭정보에 따른 다른 음고로 발생하는 악음발생수단(3, 11)을 다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연주조작상태를 검출하는 연주조작상태검출수단(5)과, 이 연주조작상태검출수단(5)에 의해 연주조작상태가 검출되어있으며 동시에 상기 음고지정수단(2)에 의해 대응하는 음고가 지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음고변경지시수단(12)에 의해 다른 음고로의 변경이 지시된 경우, 이에 응답하여 상기 음고지정수단(2)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음고를 상기 음고변경폭정보기억수단(14)에 기억되어있는 음고변경폭정보에 따라 다른 음고로 악음을 발생하는 악음발생수단(3, 11)를 다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조작상태검출수단(5)은 브레스조작상태를 검출하는 브레스조작검출수단(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조작상태검출수단(5)은 탄현조작상태를 검출하는 탄현조작검출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고지정수단(2) 및 상기 악음발생수단(3, 11)은 악기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고변경지시수단(12)에 의해 변경되는 음고의 변경폭이 지정되면 지정된 음고의 변경폭을 표시하는 음고변경폭지시수단(20)을 다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고변경폭지정수단(13)에 의해 변경되는 음고의 변경폭의 최소단위는 반음단위 또는 센트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
  9. 발생되는 음악의 음고를 지정가능한 음고지정수단(2)과, 이 음고지정수단(2)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음고를 다른 음고로 변경하기 위해 지시되는 복수의 음고변경지시수단(12 ; 12a, 12b)과, 이들 복수의 음고변경지시수단(12 ; 12a, 12b) 마다에 변경되어야 할 변경폭을 각각 지정가능한 음고변경폭 지정수단(13)과, 이 음고변경폭지정수단(13)에 의해 지정된 각 음고의 변경폭마다에 대응하는 음고변경폭정보를 각각 기억가능한 음고변경폭기억수단(14)과, 상기 음고지정수단(2)에 의해 대응하는 음고가 지정되어있는 상태하에서 상기 복수의 음고변경지시수단(12 ; 12a, 12b)중 적어도 하나의 음고변경지시수단(12 ; 12a, 12b)에 의해 다른 음고로의 변경이 지시된 경우, 상기 음고지정수단(2)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음고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고변경지시수단(12)마다에 상기 음고변경폭정보기억수단(14)에 기억되어 있는 음고변경폭정보에 따라 다른 음고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음고변경제어수단(1)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고변경지시수단(12 ; 12a, 12b)의 동시조작에 의해 다른 음고로의 변경이 지시된 경우, 상기 음고변경제어수단은 상기 음고지정수단(2)에 의해 지정되어있는 음고를 이 음고 보다도 반음 높은 또는 낮은 다른 음고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
KR1019890000948A 1988-01-30 1989-01-28 전자 악기 KR9200041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1474(U) 1988-01-30
JP?63-11474 1988-01-30
JP1988011474U JPH01115795U (ko) 1988-01-30 1988-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261A KR890012261A (ko) 1989-08-25
KR920004101B1 true KR920004101B1 (ko) 1992-05-25

Family

ID=11779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0948A KR920004101B1 (ko) 1988-01-30 1989-01-28 전자 악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939975A (ko)
JP (1) JPH01115795U (ko)
KR (1) KR920004101B1 (ko)
GB (1) GB22151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2100U (ko) * 1988-05-23 1989-12-06
US5119712A (en) * 1989-01-19 1992-06-09 Casio Computer Co., Ltd. Control apparatus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GB2319112A (en) * 1996-11-08 1998-05-13 Mellen Chamberlain Peirce Keyboard instrument
DE19713588A1 (de) * 1997-04-02 1998-10-08 Sebastian Kneipp Halbtonvoreinstellung
US6002080A (en) * 1997-06-17 1999-12-14 Yahama Corporation Electronic wind instrument capable of diversified performance expression
JP4258498B2 (ja) * 2005-07-25 2009-04-30 ヤマハ株式会社 吹奏電子楽器の音源制御装置とプログラム
US7723605B2 (en) * 2006-03-28 2010-05-25 Bruce Gremo Flute controller driven dynamic synthesis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7833A (en) * 1971-10-05 1973-10-23 Computone Inc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S5339457Y2 (ko) * 1973-02-19 1978-09-25
US4050343A (en) * 1973-09-11 1977-09-27 Norlin Music Company Electronic music synthesizer
JPS5346447B2 (ko) * 1974-08-14 1978-12-14
US4203338A (en) * 1979-06-04 1980-05-20 Pat Vidas Trumpet and synthesizer apparatus capable of polyphonic operation
US4704682A (en) * 1983-11-15 1987-11-03 Manfred Clynes Computerized system for imparting an expressive microstructure to succession of notes in a musical sco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261A (ko) 1989-08-25
JPH01115795U (ko) 1989-08-03
GB2215112A (en) 1989-09-13
GB2215112B (en) 1992-03-25
US4939975A (en) 1990-07-10
GB8901717D0 (en) 198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1322A (en) Ton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for generating sounds
US5502274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for playing along with prerecorded music and method of operation
JPS6226477B2 (ko)
JPH0574078B2 (ko)
JP2936582B2 (ja) 楽音信号形成装置
JPH09319368A (ja) 電子楽器の移調制御装置
KR920004101B1 (ko) 전자 악기
JPH06332449A (ja) 電子楽器の歌声再生装置
JPH0744162A (ja) 伴奏装置
JPS6331789B2 (ko)
JP2660462B2 (ja) 自動演奏装置
JPS628795B2 (ko)
JP3389803B2 (ja) 電子楽器
JPS6318200B2 (ko)
JP2570214B2 (ja) 演奏情報入力装置
JP2526101B2 (ja) 電子管楽器
JPS628798B2 (ko)
JP4048639B2 (ja) 音源装置
JP2701094B2 (ja) 自動演奏装置の表示制御装置
JP2947150B2 (ja) 自動演奏装置
JPH04257895A (ja) 自動伴奏システムのコードステップレコーディング装置及び方法
JPS6224319Y2 (ko)
JPH05173569A (ja) 電子楽器
JPH0137756B2 (ko)
JPH05188937A (ja) 自動演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5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