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755B1 -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 - Google Patents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755B1
KR920003755B1 KR1019880014796A KR880014796A KR920003755B1 KR 920003755 B1 KR920003755 B1 KR 920003755B1 KR 1019880014796 A KR1019880014796 A KR 1019880014796A KR 880014796 A KR880014796 A KR 880014796A KR 920003755 B1 KR920003755 B1 KR 920003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rechargeable battery
auxiliary terminal
cover plate
en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4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9016A (ko
Inventor
노리유끼 미야자끼
테쓰노리 마쓰오까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9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9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9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
제 1a 도는 종래의 전지의 일예를 보인 종단면도.
제 1b 도는 종래의 전지의 일예를 음극단자측에서 본 부분절개 단면도.
제 1c 도는 종래의 전지의 일예를 양극단자 측에서 본 평면도.
제 2 도는 종래의 전지의 다른예를 보인 종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의 케이스를 보인 단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의 1 보조단자를 보인 평면도.
제 6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제 8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 4 실시예을 보인 종단면도.
제 9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 5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41, 61, 81, 101 : 셀 22, 42, 62, 82, 102 : 리이드부재
23, 43, 63, 83, 103 : 케이스
24, 64, 84, 104 : 저벽(34)에 형성된 구멍
25, 45, 65, 85, 105 : 돌출부 26, 46, 66, 86, 106 : 제1보조단자
119 : 제2보조단자 27, 47, 67, 87, 107 : 커버판
28, 48, 68, 88, 108 : 이음매부 29, 49, 69, 89, 109 : 돌기
30, 50, 70, 80, 110 : 방사상 리브 30a : 원호상 프레임
32, 52, 72, 92, 112 : 캡판 34, 74, 94, 114 : 저벽
35, 55, 75, 95, 115 : 개구 36, 56, 76, 96, 116 : 관통구
37, 57, 77, 97, 117 : 플랜지부
38, 58, 78, 98, 118 : 제1보조단자(26)에 형성된 구멍
63a, 83a : 층계부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규격화된 칫수를 가지는 건전지 보다 지름 및 높이가 작은 재충전이 가능한 셀(sell)를 절연성의 케이스내에 넣어서, 그것에 의하여 건전지의 칫수에 일치시킨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선행기술로서, 미국특허 제 3,684,588 호에는, 건전지와 형상적으로 호환성을 가진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는 통상적으로 규격화된 칫수를 가지는 건전지보다 지름 및 높이가 작은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와 절연통 케이스와 보조단자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a 도는, 상기한 종래의 전지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제 1b 도는 종래의 전지를 음극단자측에서 본 부분절개단면도이며, 제 1c 도는 이 종래의 전지를 양극단자측에서 본 평면도로서, 제 1a 도를 참조하여 단일사이즈의 건전지보다 작은 재충전이 가능한 셀(1)의 양극단자(2)에는, 통형상부재로 되는 제 1 보조단자(3)이 견고하게 고정되 있고, 이것에 의하여 높이방향의 사이즈가 증가하고 있다.
셀(1)의 저부(4)에는 셀(1)보다 큰 지름을 가진 접시형상부재로 되는 제 2 보조단자(5)가 용접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지름방향의 사이즈가 증가되어 있다.
플라스틱으로 되는 절연성의 통케이스(6)에는 단벽(7)이 설치되어 있다.
그 단벽(7)에는 제 1 보조단자(3)이 정확히 관통하는 개구(8)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6)의 타측단은 제 2 보조단자(5)에 의하여 밀폐되어 있다.
제 1b 도를 참조하여, 케이스(6)의 내벽에는 방사상의 리브(rib)(9)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셀이 지름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지에서는, 제 1 보조단자(3)이 직접 셀(1)의 양극단자(2)에 부착되어 있고, 케이스(6)에 대하여는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제 1 의 보조단자(3)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용력은 직접 셀(1)의 양극단자(2)에 전달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전지를 충전기나 전지 용융기기의 전지수납부에 착탈할때, 혹은 잘못하여 떨어뜨린때등에, 제 1 보조단자(3)에 가하여지는 충격이나 용력이 셀(1)의 양극단자(2)에 직접 전달되어서 양극단자(2)에 부착된 안전밸브에 나쁜 영향을 초래하고, 밸브의 작동압이 정확히 유지할 수 없게되는 결점이 있었다.
제 2 도는, 여러개의 셀을 내장한 종래의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제 2 도에 보인 종래의 전지는 미국특허 4,489,268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다.
제 2 도를 참조하여, 원통형상의 케이스(11)에는, 여러개의 재충전이 가능한 셀(12a)(12b)(12c)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셀(12a)와 셀(12b) 및 셀(12b)와 셀(12c)의 사이는 도전판(도시하지 않음)으로 접속되어 있다.
케이스(11)의 일측단에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양극 보조단자(14)이 설치되어 있고, 타측단에는 음극보조단자(16)이 설치되어 있다.
양극보조단자(14)근방의 케이스(11)의 둘레면에는, 충전용의 단자(13)이 설치되어 있다.
리이드부재(15)는 셀(12a)의 양극을 양극보조단자(14) 및 충전용의 단자(13)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양극보조단자(14)는 양극단자 유지부(17)에 의하여 유지되어 있다.
케이스(11)은 이 양극단자 유지부(17)과, 셀(12a), (12b) 및 (12c)를 지름방향으로 지지하는 원통부(18)과 음극보조단자(16)을 유지하는 음극저면부(19)로 구성되어 있다.
양극단자 유지부(17)과, 원통(18) 및 음극저면부(19)는 절연성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링 형상의 충전용 단자(13)은 양극단자유지부(17)의 둘레가장자리에 형성된 개구(17a)를 통하여 리이드 부재(lead member)(15)와 용접되어 있다.
양극보조단자(14)는 이 리이드부재(1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서 양극단자 유지부(17)에 작은 구멍(eyelet)에 의하여 유지되어 있다.
음극보조단자(16)은 셀(12c)의 음극단자에 스포트 용접등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음극보조단자(16)은 수지제의 원통부(18)에 삽입되고, 중앙에 개구를 가진 음극저면부(19)를 초음파용접등의 방법에 의하여 원통부(18)에 접착하고 있다. 양극단자 유지부(17)도 초음파용접등의 방법에 의하여 원통부(18)에 접착된다.
이 종래의 전지는 양극보조단자(14)가 작은 구멍에 의하여 양극단자유지부(17)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양극보조단자(14)가 유지되는 강도가 약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예컨데, 양극보조단자(14)를 아래로하여 전지를 낙하시킨 경우, 양극보조단자(14)에 직접 힘이 가해지고, 작은 구멍에 의한 접합부가 파괴될 염려가 있었다.
또, 부품갯수가 많고, 조립에 필요한 공정이 많으므로, 여러가지의 제약을 받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에 착안된 것으로 보조단자의 케이스에의 부착을 견고하게 하는 동시에, 조립이 공정상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는, 한쌍의 전극을 가진 내부셀과, 내부셀을 유지하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내경 칫수가 소정의 통상적인 전지에 대략 일치하고, 또한 양단에 단벽을 가진 절연통케이스와, 중앙에 개구가 형성되어 케이스의 일측 단벽위에 설치되는 절연성의 커버판과, 케이스의 일축 단벽과 커버판으로 끼워지는 것에 의하여 지지되는 플랜지부 및 커버판의 중앙 개구에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내부 셀의 일측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의 보조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재충전이 가능한 축전지에서는 제 1 보조단자는 그 플랜지부가 케이스의 일측 단벽과 커버판의 사이에 끼워지는 것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보조단자를 지지하는 면적을 넓게 할 수 있고, 그 부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 보조단자를 양극보조단자로 한 경우, 내부셀에의 외부힘의 전달을 저지하고, 안전밸브의 병형 및 파괴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에 있어서는, 제 1 보조단자를 간단하고 손쉬운 구조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상의 공정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케이스의 일측 단벽에는, 내측에 향하여 연장하는 저벽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벽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제 1 보조단자를 지지하는 면적을 늘림수 있으므로, 보다 견고하게 제 1 보조단자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에 있어서는 내부셀의 타측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보조단자를 구비하여도 좋다.
케이스의 타측 단벽위에는 중앙에 개구를 가진 캡판을 구비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제 2 보조단자 또는 내부셀이 타측 전극이 그 캡판의 개구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에 있어서는, 제 1 의 보조단자의 플랜지부의 끝가장자리에 케이스둘레면을 따라 연장하는 충전전용 단자부가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충전전용 단자부가 설치되는 케이스의 둘레면에 충전전용 단자부를 받기 위한 층계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 의하면, 케이스의 일측 단벽 및 커버판의 열가소성 수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의 단벽 또는 커버판중 적어도 일측은 돌부를 가지고, 제 1 보조단자의 플랜지부에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관통부에 삽통된 돌부를 끼워서 일측 단벽 및 커버판이 용융접착되어 커버판이 일측 단벽에 고정된다. 이 경우, 초음파용접에 의하여 커버판이 일측 단벽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부는 구멍이라도 좋고 절개한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부셀은 1개의 셀로 구성되어 있어서 좋고, 직렬로 여러개의 셀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제 4 도는 제 1 실시예에 사용되어 있는 케이스(2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제 5 도는 제 1 실시예에 사용되는 제 1 보조단자(26)의 평면도이다.
제 3 도를 참조하여, 케이스(23)내에는 셀(21)이 넣어져 있다.
셀(21)은 재충전이 가능한 셀이며 예컨데 원통밀폐형의 니켈카드뮴 축전지이다.
이 셀의 높이는 42mm이며, 지름은 22mm이다.
이 셀(21)의 양극단자에는 안전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셀(21)의 양극단자에는 리이드부재(22)가 전기용접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하, 이 제 1 실시예의 조립공정을 설명하는 것에 의하여 그 구성을 설명한다.
리이드부재(22)가 용접된 셀(21)을 케이스(23)의 개방단부에 삽입한다.
케이스(23)의 양극측의 단벽에는 내측에 향하여 연장하는 저벽(34)가 형성되며, 제 1 보조단자(26)이 얹혀 있다. 저벽(34)에 형성된 구멍(24) 및 제 1 보조단자(26)에 형성된 구멍(38)에서 리이드부재(22)의 타측단을 내단다. 이 리이드부재(22)의 타측단과, 제 1 보조단자(26)의 플랜지부(37)을 전기용접으로 고정한다.
제 1 보조단자(26)의 중앙에는 돌출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보조단자(26)의 위에는 커버판(27)이 얹혀 있다. 커버판(27)의 중앙에는 개구(3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구(35)에서 돌출부(25)가 돌출된다. 제 5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 1 보조단자(26)에는 3개의 관통부(36)이 형성되어 있다. 예컨데 커버판(27)에 이 관통부(36)에 끼워지는 돌기를 설치하고, 커버판(27)을 제 1 보조단자(26)위에 얹혀서 초음파용접하여 커버판(27)을 케이스(23)의 단벽에 접착한다. 그 결과, 커버판(27)과 케이스(23)의 단벽에 의하여 플랜지부(37)이 끼워져 지지되며, 제 1 보조단자(26)이 고정된다.
커버판(37)의 두께는 약 2mm이며, 케이스(23)의 두께와 대략 동일한 것이다.
제 3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3)의 내부에는 돌기(29)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29)는 셀(21)의 양극단자근방에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이음매부(28)가 끼워진다.
케이스(23)의 내부에는 또 제 4 도에 보인 바와 같이 3개의 방사상리브(3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방사상리브(30) 및 돌기(29)에 의하여 셀(21)이 케이스(23)내에 설치된 원호형상 프레임(frame)(30a)의 위에 형성되어 있고, 이 원호상프레임(30a)는 케이스(23)내의 음극측에 까지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원호형상 프레임(30a)에 의하여 셀(21)이 케이스(23)내에서 지지되어 있다. 케이스(23)의 음극측 단벽에는 캡판(32)가 설치되어 있다. 캡판(32)의 중앙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에서는 셀(21)의 음극단자(31)이 돌출되어 있다.
캡판(32)는 케이스(23)의 음극측 단벽에 초음파용접에 의하여 접착된다. 케이스(23)은 단일 케이스와 동일한 지름 34mm이다. 또 돌출부(25)의 상단에 음극단지 하단까지는 단일사이즈와 동일한 높이 60mm이다.
이 케이스(23)에 셀(21)을 내장하는 것에 의하여 얻어진 재충전이 가능한 축전지는 단일사이즈의 전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제 6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케이스(43)의 양극측 단벽에 저벽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큰 개구(44)가 형성되어 있다. 셀(41)은 케이스(43)내에서 방사상리브(50) 및 돌기(49)에 의하여 위치결정되어 있다. 돌기(49) 이음매부(48)에 끼워져 있다.
리이드부재(42)의 일측단은 셀(41)의 양극에 전기용접되어 있다.
케이스(43)의 양극측의 단벽위에는, 제 1 보조단자(46)이 얹혀 있다. 리이드부재(42)의 타측단은 이 제 1 보조단자(46)에 형성된 구멍(58)의 가운데를 통하여, 제 1 보조단자(46)의 플랜지부(57)위에 전기용접되어 있다.
제 1 보조단자(46)위에는 커버판(47)이 얹혀있고, 초음파 용접에 의하여 관통부(56)에 삽통된 돌부를 끼워서 케이스(43)의 단벽에 접착되어 있다. 커버판(47)의 중앙개구(55)에서는 돌출부(45)가 돌출되어 있다. 케이스(43)의 음극측 단벽에는 캡판(52)가 초음파용접에 의하여 접착하여 부착되어 있다. 캡판(52)의 중앙의 개구에서는 음극단자(51)이 돌출되어 있다. 제 7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 보조단자(66)의 양끝가장자리에 케이스(63)의 둘레에 따라 연장하는 충전용의 단자(73)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63)내에서는 셀(61)이 방사상리브(70) 및 돌기(69)에 의하여 위치결정되어 있다.
돌기(69)는 이음매부(68)과 끼워맞춰져 있다. 셀(61)의 양극에는 리이드부재(62)의 일측단이 전기용접되어 있다.
케이스(63)의 양극측에는 층계부(63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층계부(63a)에 충전용의 단자(73)이 끼워지도록 제 1 보조단자(66)이 얹혀 있다. 리이드부재(62)의 타측단은 구멍(64) 및 제 1 보조단자(66)의 구멍(78)을 통하여, 제 1 보조단자(66)의 플랜지부(77)위에서 전기용접되어 있다.
제 1 보조단자(66)의 위에는, 커버판(67)이 얹혀있고, 관통부(76)을 통하여 커버판(67)이 케이스(63)의 단벽에 접착하여 부착되어 있다. 양극측의 단벽에서 내측에 연장하는 저벽(74)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판(67)의 개구(75)에서는 제 1 보조단자(66)의 돌출부(65)가 돌출되어 있다.
케이스(63)의 음극측의 단벽에는 캡판(72)가 초음파용접에 의하여 접착하여 부착되어 있다.
캡판(72)의 중앙개구에서는 셀(61)의 음극단자(71)이 돌출되어 있다. 제 8 도는 본발명에 의한 제 4 의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쉘(81a), (81b), (81c)가 내부전자로서 케이스(83)내에 내장되어 있다.
각각의 셀은 직열로 접속되어 있다. 셀(81)의 양극에는 리이드부재(82)의 일측단이 전기용접되어 있다. 케이스(83)의 양극측에는 단부(8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층계부(83a)에 충전용의 단자(93)이 끼워지도록 제 1 보조단자(86)이 얹혀 있다. 리이드부재(82)의 타측단은 저벽(94)에 형성된 구멍(84) 및 제 1 보조단자(86)에 형성된 구멍(98)을 통하여, 제 1 보조단자(86)의 플랜지부(97)위에 전기용접으로 부착되어 있다. 제 1 의 보조단자(86)의 위에는 커버판(87)이 얹혀 있다. 커버판(87)은 관통부(96)을 통하여 케이스(83)의 단벽에 접착하여 부착되어 있다. 커버판(87)의 중앙개구(96)에서는 제 1 보조단자(86)의 돌출부(85)가 돌출되어 있다. 셀(81a)(81b)(81c)는 케이스(83)내에서 돌기(89a)(89b) 및 (89c)로 상하방향의 위치결정이 되고, 방사상리브(90)에 의하여 좌우측 방향의 위치결정이 되어 있다. 케이스(63)의 음극측의 단벽에는 캡판(92)가 초음파 용접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다. 캡판(92)의 중앙의 개구에서는, 셀(81c)의 음극단자(91)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케이스(83)은 두개로 나누는 케이스를 접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9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 5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셀(101)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보조단자(119)가 구비되어 있다. 셀(101)은 케이스(103)의 내부에서 방사상리브(110) 및 돌기(109)에 의하여 위치결정되어 있다. 돌기(109)는 이음매부(108)에 끼워져 있다. 셀(101)의 양극에는 리이드부재(102)의 일측단이 전기용접되어 있다. 셀(103)의 양극측의 단벽에는 제 1 보조단자(106)이 얹혀 있다. 리이드부재(102)의 타측단자는 저벽(114)의 구멍(104) 및 제 1 보조단자(106)의 구멍(118)을 통하여 제 1 보조단자(106)의 플랜지부(117)의 위에 전기용접되어 있다. 제 1 보조단자(106)의 위에는 커버판(107)이 얹혀 있다. 커버판(107)은, 관통부(116)을 통하여, 케이스(103)의 단벽에 초음파용접에 의하여 접착하여 부착되어 있다. 커버판(107)의 중앙개구(115)에서는, 제 1 보조단자(106)의 돌출부(105)가 돌출되어 있다. 셀(101)의 음극단자(111)위에는 접시형상의 제 2 보조단자(119)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제 2 보조단자(119)위에는 캡판(11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캡판(112)는 케이스(103)의 음극측의 단벽에 초음파 용접에 의하여 접착하여 부착되어 있다. 캡판(112)의 중앙 개구에서는, 제 2 보조단자(119)가 돌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칫수를 일치시키고자 하는 건전지는, 단일 사이즈를 1개 또는, 여러개를 직렬 접속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적으로 규격화된 칫수이면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재충전이 가능한 축전지에서는 제 1 보조단자는 그 플랜지부가 케이스의 한쪽 일측 단벽과 커버판의 사이에 끼워지는 것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보조단자를 지지하는 면적을 넓게 할 수 있고, 그 부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 보조단자를 양극보조단자로 한 경우, 내부셀에의 외부힘의 전달을 지지하고, 안전밸브의 변형 및 파괴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에 있어서는, 제 1 보조단자를 간단하고 손쉬운 구조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상의 공정수를 적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케이스의 일측 단벽에는, 내측에 향하여 연장하는 저벽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벽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제 1 보조단자를 지지하는 면적을 늘릴 수 있으므로, 보다 견고하게 제 1 보조단자를 지지할 수 있다.

Claims (12)

  1. 한쌍의 전극을 가진 내부셀(21)(41)(61)(81)(101)과, 상기 내부셀을 유지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외측지름 칫수가 소정의 통상적인 전지에 대략 일치하고, 양단에 단벽을 가진 절연통 케이스(23)(43)(63)(83)(103)와, 중앙에 개구(35)(55)(75)(95)(115)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일측인 상기 단벽위에 설치되는 절연성의 커버판(27)(47)(67)(87)(107)과, 상기 케이스의 상기 일측 단벽과 상기 커버판으로 끼워지는 것에 의하여 지지되는 플랜지부(37)(57)(77)(97)(117)와, 상기 커버판의 중앙 개구에서 돌출하는 돌출부(25)(45)(65)(85)(105)를 가지며, 상기 내부셀의 일측인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보조단자(26)(46)(66)(86)(10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일측 단벽에는 내측에 향하여 연장하는 저벽(34)(74)(94)(1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셀의 상기 타측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의 보조단자(11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중앙에 개구를 가진 캡판(32)(52)(72)(92)(112)를 상기 케이스의 단벽위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셀의 상기 타측 전극은 상기 캡판의 상기 개구에서 돌출하도록 상기 케이스내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
  6. 제 3 항에 있어서, 중앙에 개구를 가진 캡판을 상기 케이스의 단벽위에 구비하고, 상기 제 2 의 보조단자(119)는 상기 캡판의 상기 개구에서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단자의 상기 플랜지부(37)(57)(77)(97)(117)의 끝가장자리에는 상기 케이스의 둘레면에 따라 연장하는 충전용의 단자(63)(93)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용의 단자부가 설치되는 상기 케이스의 둘레면에는, 충전용의 단자를 받아들이기 위한 층계부(63a)(83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는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이 상기 일측 단벽 및 상기 커버판이 열가소성 수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벽 또는 커버판중 적어도 일측은 돌부를 가지며, 제 1 보조단자의 플랜지부에는 관통부(36)(56)(76)(96)(11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부에 삽통된 돌부를 끼워서 일측 단벽 및 커버판이 용접접착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커버판이 상기 일측 단벽에 접착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이 초음파용접에 의하여 상기 일측 단벽에 접착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셀이 1개의 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셀이 직열로 접속된 여러개의 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
KR1019880014796A 1987-11-10 1988-11-10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 KR9200037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83613 1987-11-10
JP28361387 1987-11-10
JP87-283,613 1987-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016A KR890009016A (ko) 1989-07-13
KR920003755B1 true KR920003755B1 (ko) 1992-05-09

Family

ID=17667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4796A KR920003755B1 (ko) 1987-11-10 1988-11-10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73160A (ko)
JP (1) JPH01231263A (ko)
KR (1) KR920003755B1 (ko)
DE (1) DE38381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745Y2 (ja) * 1988-02-24 1994-12-12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
AU631944B2 (en) * 1989-12-06 1992-12-10 Sony Corporation Equipment for connection to electronic equipment
JPH03179661A (ja) * 1989-12-06 1991-08-05 Sony Corp 接続用電子機器
US5436088A (en) * 1994-05-02 1995-07-25 Motorola, Inc. Battery cradle
JP3019868B2 (ja) * 1990-10-04 2000-03-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機器
US5187026A (en) * 1990-10-09 1993-02-16 Scrivano Thomas J Battery adapter
US5316873A (en) * 1990-10-09 1994-05-31 Scrivano Thomas J Position adjustable battery adapter
US5277993A (en) * 1990-12-06 1994-01-11 Landers Joseph R Substitute battery device
US5489485A (en) * 1993-12-17 1996-02-06 Ryobi Motor Products Corporation Battery removal and replacement system
US5593222A (en) * 1994-02-15 1997-01-14 Mag Instrument, Inc. Flashlight
US5804331A (en) * 1994-02-15 1998-09-08 Mag Instrument, Inc. Battery device
US6296970B1 (en) * 2000-01-21 2001-10-02 Moltech Power Systems, Inc.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battery cells
US6586134B2 (en) 2001-03-29 2003-07-01 Wilson Greatbatch Ltd. Electrode lead to case and header, laser/electron beam welding
US20050264258A1 (en) * 2004-05-25 2005-12-01 Ta-Kuang Yeh Battery extension assembly
US7579782B2 (en) * 2004-12-07 2009-08-25 Mag Instrument, Inc. Circuitry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and portable rechargeable electronic devices
US7723921B2 (en) * 2004-12-07 2010-05-25 West Stacey H Circuitry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and portable rechargeable electronic devices
US20060232239A1 (en) * 2005-04-18 2006-10-19 Mag Instrument, Inc. Flashlight charger with an improved contact
US8384340B2 (en) * 2007-06-26 2013-02-26 The Coleman Company, Inc. Electrical appliance that utilizes multiple power sources
US8562165B2 (en) 2008-06-26 2013-10-22 Justin Thompson Pressure activated lighted glove
US7819544B2 (en) * 2008-06-26 2010-10-26 Justin Thompson Pressure activated lighted glove
US8169165B2 (en) 2009-01-14 2012-05-01 Mag Instrument, Inc. Multi-mode portable lighting device
KR101146414B1 (ko) * 2010-09-08 2012-05-17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20160380247A1 (en) * 2015-06-25 2016-12-29 Iontensity, LLC Battery Packs Having Single Stacks of Battery Cell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46379A (en) * 1947-04-15 1951-03-27 Olin Ind Inc Dry cel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684583A (en) * 1971-02-23 1972-08-15 Gen Electric Rechargeable cell holder
US4057677A (en) * 1974-05-06 1977-11-08 Mabuchi Motor Co., Ltd. Adapter
US3990919A (en) * 1974-12-31 1976-11-09 Krueger Ralph A Battery adapter
FR2533075A1 (fr) * 1982-09-10 1984-03-16 Accumulateurs Fixes Adaptateur pour generateur electrochimique aux dimensions exterieures non normalisees
US4489268A (en) * 1983-01-05 1984-12-18 General Electric Company Rechargeable battery with separate charging terminal contact 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38187A1 (de) 1989-05-18
US4873160A (en) 1989-10-10
JPH01231263A (ja) 1989-09-14
DE3838187C2 (ko) 1991-05-23
KR890009016A (ko) 198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755B1 (ko)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
US6120564A (en) Connection method for batteries
US4997731A (en) Packed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4402637B2 (ja) 二次電池
US6534212B1 (en) High performance battery and current collector therefor
KR101310015B1 (ko) 밀폐형 전지
JPH05343043A (ja) 密閉型電池
AU2001261222A1 (en) High performance battery and current collector therefor
JP2008098141A (ja) 二次電池及び二次電池モジュール
KR101136320B1 (ko) 전지, 차량 및 전지 사용 기기
KR20220095139A (ko) 원통형 배터리 셀,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EP3998674A1 (en) Secondary battery
US5965290A (en) Non-aqueous electrolyte cell
KR20220118886A (ko) 원통형 이차전지,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JP2003297335A (ja) 蓄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20066600A (ko) 이차전지
CN116826262B (zh) 端盖组件、储能装置和用电设备
KR19980702192A (ko) 박형전지
KR100856833B1 (ko)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2164025A (ja) 角形二次電池
KR102561215B1 (ko) 이차 전지
JP4090181B2 (ja) 組電池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US20110129699A1 (en) Battery pack
KR102603743B1 (ko) 원통형 배터리 셀,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176853A1 (ja) 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