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580Y1 - 방음 블럭 - Google Patents

방음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580Y1
KR920003580Y1 KR2019900005427U KR900005427U KR920003580Y1 KR 920003580 Y1 KR920003580 Y1 KR 920003580Y1 KR 2019900005427 U KR2019900005427 U KR 2019900005427U KR 900005427 U KR900005427 U KR 900005427U KR 920003580 Y1 KR920003580 Y1 KR 9200035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ber
block
soundproof
noise
fib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54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403U (ko
Inventor
정상도
Original Assignee
정상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도 filed Critical 정상도
Priority to KR20199000054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580Y1/ko
Publication of KR9100184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4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5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5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음 블럭
제1도는 본 고안을 일부 분해한 전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블록에 사용되는 방음 내장재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방음 내장재의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음블럭 2, 3, 4 : 공간부
5 : 돌출벽 6, 6', 6" : 통로
7 : 호일편 8 : 유리섬유망
9 : 유리섬유층 10 : 공간부
11 : 요홈부
본 고안은 소음 공중에서 도로의 차량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최대한으로 흡음(吸音)작용을 할수 있도록 블록 외면에 돌출벽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되 크기를 달리한 공간부는 통로와 관통시켰으며 크기를 달리한 공간부에는 호일(FOIL)과 유리섬유망으로 피복된 유리섬유를 충진시키되 유리섬유도 중앙부에는 공간부를 이루어 흡음효과를 최대한 증진시키어 소음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건물에 사용토록한 구성이다.
종래의 방음블록은 구조상의 문제가 많아 흡음효과가 없을뿐만 아니라 가격이 고가이어서 대중성을 얻지 못하는 결점이 많았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유리섬유를 블록의 공간부에 충진시켜 통로로 들어오는 소음을 흡음시켜 쾌적한 실내 분위기를 얻도록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음블럭(1)을 구성함에 있어서 블록(1)내에 크기를 달리한 공간부(2), (3), (4)를 이루고 블록(1)의 전면에는 다수의 돌출벽(5)을 일정간격이 되게 종방향으로 블록(1)의 몸체와 일체로 형성시켜 다수의 요홈부(11)가 형성되고 공간부(2), (3), (4)와 연통되는 통로(6), (6'), (6")를 각각 형성시켰으며 공간부(2), (3), (4)에는 호일편(7)과 유리 섬유망(8)으로 피복된 유리 섬유층(9)을 내설시키되 유리섬유(9)의 중앙에는 공간부(10)가 형성되게 한 것이다.
이와같은 구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음블록(1)을 공지의 방법으로 적층하여 선택된 건물에 사용될 경우 도로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다수의 돌출벽(5)의 요홈부(11)에서 일차적으로 소음이 제거되며 강한 소음과 진동은 통로(6), (6'), (6")가 있어서 진동을 완화시켜 줄뿐만 아니라 보다 강한 소음은 통로(6), (6'), (6")로 유입되는데 이때 유리섬유망(8)을 통하여 소음을 유리 섬유층(9)에 흡음되므로 쾌적한 실내가 되게한 효과이다.
더욱이 유리섬유망(8)으로 되어 수명이 반영구적이며 유리섬유망(8)은 통로(6), (6'), (6")와 같은 크기로하여 소음이 흡음작용에 저항이 없도록할 뿐만 아니라 흡음된 소음은 호일편(7)이 있어 실내로 전파되지 못하고 공간부(10)를 통하여 소진되므로 실내는 항상 조용하고 쾌적한 분위기를 유지시켜 음악당은 물론 실내경기장 및 강당 등 소음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모든 건물에는 매우 적합한 것으로 경제적 가치가 큰 것입니다.

Claims (1)

  1. 방음블록(1)을 형성함에 있어서 블록(1) 전면에 일정간격으로 종방향 돌출벽(5)과 요홈부(11)를 이루되 크기를 달리한 공간부(2), (3), (4)와 연통되는 통로(6), (6'), (6")를 각각 형성하고 호일편(7)과 유리섬유망(8)으로 피복된 유리섬유층(9)을 공간부(2), (3), (4)에 밀착되게 내설하고 유리섬유층(9)에도 공간부(10)가 형성되게 하여서된 방음블록.
KR2019900005427U 1990-04-30 1990-04-30 방음 블럭 KR9200035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5427U KR920003580Y1 (ko) 1990-04-30 1990-04-30 방음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5427U KR920003580Y1 (ko) 1990-04-30 1990-04-30 방음 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403U KR910018403U (ko) 1991-11-28
KR920003580Y1 true KR920003580Y1 (ko) 1992-05-30

Family

ID=19298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5427U KR920003580Y1 (ko) 1990-04-30 1990-04-30 방음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5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403U (ko) 199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22673C2 (ru) Акустическ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EP0786759A1 (en) Sound absorption body, sound absorption plate and sound absorption unit
JPS61259605A (ja) 防音パネル
US2779429A (en) Sound absorbing structure
KR920003580Y1 (ko) 방음 블럭
JPH09221721A (ja) 路側およびトンネル用等の防音装置
CN110181884B (zh) 全频声学控制模块
JP3198454U (ja) 吸音体
JPH0740002Y2 (ja) レゾネータ型防音パネル
JP3301680B2 (ja) 吸音構造体
JP2894249B2 (ja) 吸音体及び吸音ユニット
CN214994928U (zh) 一种可吸收噪音的建筑墙面结构
JPH01269852A (ja) ガラリ
JPS628251Y2 (ko)
JPH0567746B2 (ko)
KR970050101A (ko) 다공형 흡음판
CN210976156U (zh) 一种建筑房屋吸音保温墙体结构
CN219973764U (zh) 一种基于超微孔结构吸声板
KR200289825Y1 (ko) 실내 칸막이의 마감판
JPH09296538A (ja) 表面材が不燃性で、内部構造に断熱層及び空気循環路と 結露流水路を備えた複合構造体
CN219118618U (zh) 一种带噪音吸收功能的墙板结构
CN219281009U (zh) 一种具有隔音效果的铝板幕墙
CN217872514U (zh) 一种新型双向防火隔音门
KR200193227Y1 (ko) 실내용 방음판
KR200228573Y1 (ko) 흡음 칸막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0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