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279B1 - 데이타 처리장치의 os 및 nos 로딩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타 처리장치의 os 및 nos 로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279B1
KR920003279B1 KR1019900001457A KR900001457A KR920003279B1 KR 920003279 B1 KR920003279 B1 KR 920003279B1 KR 1019900001457 A KR1019900001457 A KR 1019900001457A KR 900001457 A KR900001457 A KR 900001457A KR 920003279 B1 KR920003279 B1 KR 920003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
server
boot
system memory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1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5926A (ko
Inventor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01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279B1/ko
Publication of KR910015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5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데이타 처리장치의 OS 및 NOS 로딩방법
제1도는 종래의 OS로딩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제2도는 본 발명의 구성에 나타낸 블록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OS 및 NOS를 로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프로우챠트.
제4도는 네트워크 사용을 설명하는 동작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조기억장치 14 : 시스템메모리
17 : RAM
본 발명은 컴퓨터를 구성하는 중앙처리장치(CPU), 기억장치(시스템메로리), 입출력장치 등의 효율적인 운열을 위한 O.S(운영체제)와 컴퓨터 네트워크를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신 규약(Protocol) 및 소프트웨어인 네트워크 운영체제(NOS; Network Operating System)를 상기 컴퓨터 내의 시스템 메모리 상에 로딩(loading)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사용목적, 특성, 기능 및 성능에 따라 오늘날 사용 가능한 기종의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 기본적 구성은 CPU(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의 주변기기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요소들을 갖는 컴퓨터를 운영하는 OS 역시 매우 다양하다. 이미 발표된 OS는 예를들면, DOS(disk operating system), UNIX, XEINX, OS/2 등이 있고 NOS 또한 현재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많은 종류의 OS 외에도 컴퓨터를 운영하는데 요망되는 프로그램의 기종에 구별없이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이 기본적으로 필요하다. 이에는 OS를 포함하여 모니터 프로그램(monitor program), 부트스트랩 로더(bootstrap loader)등이 있다.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모니터 프로그램은 통상 ROM(read only memoty)상에 존재하며, 컴퓨터 전원공급 후 이 프로그램이 수행되는데 그 내용은 컴퓨터 하드웨어의 테스트(test), 하드웨어 초기화, 보조기억장치로부터 OS를 시스템메모리에 로드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부트스트랩 로더는 OS를 시스템 메모리에 로드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통상 이 프로그램이 위치하는 곳은 보조기억장치내의 특정위치에 존재하거나 ROM상에 존재한다. 그리고, OS는 컴퓨터 하드웨어를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로 작성된 프로그램으로서, CPU,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데이타 운영등을 지원 관리한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제1도에 나타낸 흐름도와 같이 전원 투입후 진행되어 컴퓨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초기화가 설정 완료된다.
그 일련의 과정을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의 스템 1에서와 같이 컴퓨터에 전원이 투입되면 스텝 2로 진행하여 상기 설명한 모니터 프로그램이 수행된다. 즉, 하드웨어 초기화, 인터럽트 벡터테이블(interrupt vector table)형성과, FDD(floppy disk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의 특정위치, 예를들면, 디스크 상의 트랙
Figure kpo00001
와 같이 미리 지정된 영역에 있는 부트스트랩 로더를 컴퓨터 본체의 시스템 메모리상에 로드하는 작업을 수행하고(스텝 3), 이 작업이 종료되면 스텝 4로 진행하여 로드된 부트스트랩 로더를 수행한다. 이 프로그램은 보조기억장치 내에 존재하는 OS를 시스템 메모리에 로드하는 작업을 행한다(스텝 5). 이어서 스텝 6으로 진행하여 로드된 OS를 수행한다.
OS는 특히 컴퓨터 장치에 네트워크 장치가 있는지를 검색하고(스텝 7)없으면 종료하고, 네트워크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면 네트워크를 운영하기 위한 NOS를 보조기억장치로부터 메모리에 로딩한 후에(스텝 8)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상기 작업이 종료된 후에 다른작업, 예를들면 사용자 프로그램등이 실행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는 FDD 또는 HDD 등과 같은 보조기억장치로부터 OS 및 NOS를 시스템 메모리에 로드하는데 OS 및 NOS의 프로그램이 방대하여 컴퓨터 내의 ROM상에 존재할 수 없는 경우에는 반드시 FDD 또는 HDD 등의 보조기억장치가 요구되며 특별한 부가장치가 없는 한 종류의 OS만을 로드하게 되며 다른 OS를 필요로 할때는 컴퓨터는 제1도와 같은 작업이 재반복되어야 한다.
또한 제1도의 스텝 7과 같이 네트워크 사용시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OS등을 로드할 때는 제1도의 과정이 재반복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어 컴퓨터 수행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된 네트워크르 이용하여 시스템 메모리에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OS를 로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데이타 처리장치 내에 보조기억장치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도 네트워크를 이용, 필요한 OS를 제공받도록 하며, 또한, 시스템 동작중에 또다른 OS를 로드할 시 사용자는 셋 업(set-up)작업만으로 용이하게 OS를 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구성은 크게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부와 서버(server)부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상기 두 부분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다수의 보조기억장치(10)내의 OS는 로컬부트프로그램(12)을 거쳐 시스템 메모리(14)상에 로드되고, 네트워크인터페이스장치(네트워크 연결부)를 사용하여 서버부로부터의 내용을 리모트부트 프로그램을 거쳐 상기 시스템 메모리에 로드되며, 셋 업을 위한 RAM으로부터의 정보를 받는 모니터 프로그램은 상기한 로컬 부트와 리모트부트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서버부는 다운로드서버(down loadserver)(21)와 다수의 OS를 갖는 부트이미지 파일(22)를 포함하여 네트워크 연결부(20-S)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워크스테이션부를 설명하면, 부트스트랩로더, OS, NOS 및 다수의 응용프로그램 등이 들어있는 다수의 보조기억장치(10)가 펌웨어로 된 로컬부트(12)에 연결되고, 이때 로컬부트(12)는 이에 연결된 다수의 보조기억장치중에서 선택된 1개의 보조기억장치로부터 OS를 시스템 메모리(14)에 로드시키기 위한 제어부이다.
동시에 이 시스템 메모리(14)에는 리모트 부트(15) 즉, 리모트 부트스트랩 로더가 연결되는데 이것은 네트워크로부터 OS를 제공받기 위한 펌웨어로 된 제어부이다. 이와 같이 시스템 메모리(14)에는 리모트부트(15)와 로컬부트(12)가 동시에 연결되고 이 연결된 부트들은 모니터 프로그램부(16)에 의해 제어된다. 통상 ROM상에 존재하는 이 모니트 프로그램은 컴퓨터 전원공급 후 컴퓨터 하드웨어 자체 테스트, 하드웨어 초기화, 인터럽트 벡터 테이블 형성 및 시스템 메모리에 로드할 OS의 선택 및 제어하는 모듈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 모니터 프로그램부(16)에는 일고 쓰기가 가능한 기억장치인 RAM이 연결된다는 것이다.
이 RAM에는 시스템 메모리 로드할 OS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다. 즉, 시스템 동작중 또다른 OS를 로드 할 시 RAM에 로드할 OS에 대한 정보가 모니터 프로그램에 전달되고 이 프로그램은 리모트 부트(15)와 로컬부트(12)를 제어하므로 또다른 OS가 로드될 수 있다.
이러한 RAM으로서 리얼 타임 클럭의 CMOS RAM이 사용될 수 있고 전원이 오프될때라고 기록된 데이타가 지워지지 않는 예를들면, EEPROM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상기한 보조기억장치가 없을시 필요한 OS를 제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는데, 프로토콜 머신(18)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9)가 연결된 네트워크 연결부(20)가 상기한 리모트 부트(15)에 연결된다. 물론 보조기억장치가 다수 연결된 경우에도 필요에 의한 OS를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워크스테이션측 네트워크 연결부(20-W)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부 내의 상기한 네트워크부 연결부(20-W)에 대앙하는 동일 구성의 서버부측 네트워크 연결부(20-S)에 연결된다.
여기서 프로토콜 머신(18)은 네트워크 처리, 전송처리, 세션(session)처리 등과 같은 통신규약을 처리하기 위한 모듈이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9)는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회로이다.
서버부측 네트워크 연결부(20-S)에는 다운 로드 서버(down load server)(21)가 연결되고 이에 부트 이미지 파일(boot image file)(22)이 연결된다.
워크스테이션부에서 리모트부트 요구가 있을 때, OS와 NOS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기능을 위한 프로그램이 상기한 다운로드서버(21)이며, 부트 이미지 파일(22)은 워크스테이션에 제공하기 위한 OS 및 NOS를 포함하고 있는 파일이다.
이와 같인 본 발명을 이루는 각 부분의 설명에 이어 이 구성요소가 이용되는 바를 제3도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OS를 로드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술한다.
먼저, 제3도와 같이 스텝 1에서 데이타 처리장치 즉, 워크스테이션부에 전원을 공급하면 스텝 2로 진행하여 모니터 프로그램부(16)(제2도 참조)에서 모니터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여기서는 데이타 처리장치의 자체시험, 하드웨어 각 부품 및 디바이스에 대한 초기화, 인터럽트 벡트 테이블을 메모리 상에형성하는 등의 일을 수행한다.
이어서, 스텝 3으로 진행하여 시스템 메모리에 OS를 로드하기 위한 준비작업으로서, 리얼 타임 클럭의 CMOS RAM 또는 EEPROM에 기록되어 있는 로드할 OS에 대한 정보를 읽는다. 기록되어 있다는 것은 데이타 장치를 셋 업할 당시에 설정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시스템 구성, 날짜/시간, OS의 종류, 로드할 OS가 있는 장소등의 정보를 기록하는 것으로, 기록방법은 상기 모니터 프로그램안에 존재하는 셋 업 프로그램 또는 셋업을 위한 유틸리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셋 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RAM(17)(제2도 참조)의 소정 번지내에 시스템 메모리에 로드할 OS가 존재하는 예를들면 FDD 또는 HDD 등의 보조기억장치(10)중 어느 하나로부터 부팅할 것인가가 셋 업되고 그 다음 번지에는 네트워크상의 서보로부터 다운로딩할 또다른 OS에 대한 정보르 셋 업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정보를 읽은 후에 스텝 4로 진행하여, 로드할 OS가 보조기억장치에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
보조기억장치(10)는 유한하며 따라서 포함되어 있는 OS 또한 유한하므로 요망하는 OS가 상기 장치에 없을 때는 스텝 10으로 진행하고 보조기억장치(10) 내에 존재하면 스텝 5로 진행한다. 이때 스텝 3에서 메모리 로드할 OS에 대한 정보를 읽은 후에는, 모니터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는 리모트 부트(15) 또는 로컬부트(12)(제2도 참조)로 제어가 옮겨진다. 이 제어는 스텝 4의 판단의 결과에 따라서 수행된다.
로컬부트인 경우 즉, 보조기억장치로부터 OS를 메모리에 로드할 경우 스텝 5에서는 OS가 존재하는 보조기억장치로부터 부트스트랩 로더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에 로드한다. 이때 로컬부트 모듈에 의한 제어는 부트스트랩 로더로 옮겨진다.
이어서 스텝 6으로 진행하여 부트스트랩로더를 수행하여 스텝 7과 같이 OS를 보조기억장치로부터 시스템 메모리에 로드하고 스텝 8 및 9와 같이 OS 및 NOS를 수행하고 종료한다.
다음, 리모트부트인 경우에는 모니터 프로그램의 제어가 리모트부트로 옮겨져 스텝 4에서 스텝 10으로 진행하여 리모트 부트스트랩 로더 프로그램이 수행된다. 이어서 스텝 11 및 12로 진행하여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부터 선택된 OS 및 NOS를 시스템 메모리에 로드하여 이를 수행하는데, 이를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워크스테이션부와 서버부가 서로 주고받는 내용의 관계를 순서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 순서는 화살표 방향의 지시와 같이 진행된다.
먼지 워크스테이션부의 리모트부는 네트워크상의 서버를 찾기 위하여 서버부에 서치(Search)정보를 전송하고 대개(wait)한다. 그리고 이어서 이 정보에 우선적으로 반응(Ack; Acknowledge)하는 서버에게 로드받고자 한 OS의 정보와 함께 서비스요구 패킷(Service request packet)을 서버에게 보낸다.
서버는 워크스테인션의 리모트부트가 요청한 상기한 OS에 해당하는 부트 이미지 파일(제2도의 '22')를 오픈(open)한 후, 워크스테이션의 리모트부트에 준비가 되었다는 응답 패킷을 보낸다. 이때, 워크스테이션이 요청한 정보가 잘못된 경우에는 응답패킷 대신 에러패킷을 보낸다. 에러패킷을 받은 리모트부트는 사용자dp게 경고 메시지를 보내고 시스템 동작이 중지된다.
이어서, 워크스테이션의 리모트부트는 응답패킷을 서버로부터 받으면, OS를 메모리에 로드할 준비를 하고, 서버에게 OS를 보내라는 데이타 요구 패킷을 보낸다.
서버는 데이타 요구 패킷을 워크스테이션으로부터 받으며, 오픈된 부트 이미지 파일로부터 데이타를 읽어서, 순차적으로 데이타 패킷을 워크스테이션에게 보낸다. 워크스테이션의 리모트 부트는 서버로부터 데이타 패킷을 받아서 메모리에 로드한 후에 리모트부트는 제어를 OS에 넘긴다.
동작 개시한 OS는 시스템을 초기화하면서 최종적으로 리모트 부트를 다시 불러내어 NOS를 상기 과정과 동일하게 제공받는다. 제공받는 NOS의 수행에 따라서 서버부의 부트 이미지 파일을 클로즈(close)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동작은 제2네트워크 인터페이스회로(20-W)와 (20-S)를 통해 이루어짐은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채용한 네트워크 사용의 데이타처리 장치로서 사용자는 셋 업 만을 다시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여러 OS중 하나를 시스템 메모리에 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데이타 처리장치에 보조기억장치가 없다해도 네트워크를 이용하므로 다양한 OS를 제공받을 수 있다.

Claims (3)

  1. 다수의 보조기억장치와, 시스템메모리와, 네트워크연결부를 갖는 워크스테이션부와, 다수의 OS를 포함하고 있는 네트워크 연결부가 있는 서버부로 이루어진 데이타 처리장치의 OS 및 NOS 로딩방법에 있어서, 전원 온시 모니터 프로그램 수행에 따라 상기 데이타 처리장치가 초기화된 상태에서, 셋 업용 RAM으로부터 로딩할 OS에 대한 정보를 읽는 단계와, 상기 로딩할 OS가 상기한 로컬부트 즉, 보조기억장치 또는 리모트부트 즉, 서버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로컬부트인 경우 부트스트랩로더에 의해 보조기억장치로부터 OS가 시스템 메모리에 옮겨져 수행되고, 리모트 부트인 경우 네트워크 연결부를 통해 서버부 내의 OS 및 NOS를 시스템메모리에 옮겨져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처리장치의 OS 및 NOS 로딩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셋 업용 RAM은 리얼타임 클럭 CMOS RAM 또는 EEPROM이며, 이에는 NOS 및 OS의 정보가 요망에 따라 재셋 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처리장치의 OS 및 NOS 로딩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서버부의 OS 및 NOS는 워크스테이션부로부터 서버부의 서치정보에 따라 서버부의 부트 이미지 파일을 오픈하는 단계와, 이 오픈된 파일로부터 워크스테이션부의 리모트 부트에 의하여 OS를 제공받아 시스템 메모리에 로딩하는 단계와, 제공받는 OS는 리모트 부트를 재 개시하여 서버로부터 NOS를 받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처리장치의 OS 및 NOS 로딩방법.
KR1019900001457A 1990-02-07 1990-02-07 데이타 처리장치의 os 및 nos 로딩방법 KR920003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1457A KR920003279B1 (ko) 1990-02-07 1990-02-07 데이타 처리장치의 os 및 nos 로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1457A KR920003279B1 (ko) 1990-02-07 1990-02-07 데이타 처리장치의 os 및 nos 로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926A KR910015926A (ko) 1991-09-30
KR920003279B1 true KR920003279B1 (ko) 1992-04-27

Family

ID=19295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1457A KR920003279B1 (ko) 1990-02-07 1990-02-07 데이타 처리장치의 os 및 nos 로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2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642B1 (ko) * 1998-10-09 2006-07-25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부트 스트랩 로더가 없는 cpu에서 플레쉬 이이피롬을 갱신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926A (ko) 199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8735B2 (en) Test tool and methods for testing a computer structure employing a computer simulation of the computer structure
CN1333332C (zh) 用于计算机系统的故障恢复方法、计算机及操作计算机的方法
US5280627A (en) Remote bootstrapping a node over communication link by initially requesting remote storage access program which emulates local disk to load other programs
US563004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software on a computer network
US5276863A (en) Computer system console
US5367667A (en) System for performing remote computer system diagnostic tests
CA2058933C (en) Reset method when adaptor module is faulty and computer system executing same
KR920003279B1 (ko) 데이타 처리장치의 os 및 nos 로딩방법
JPH01245346A (ja) 情報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
JP3085730B2 (ja) 複合cpuシステムの並列シミュレーション方式
US6725189B2 (en) Adapter for coupling a legacy operating system to a driver of an I/O channel which has an incompatible native operating system interface
US7386712B2 (en) Firmware developer user interface with break command polling
KR920010410B1 (ko) 교환기 설치시 하드웨어 시험 프로그램의 수행관리방법
KR930010294B1 (ko) 사용자 프로그램 로딩방법
KR100477138B1 (ko) 퍼스널컴퓨터시스템
CN115879095A (zh) 密码重置方法、装置、计算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KR930004425B1 (ko) 디버깅 터미널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수행방법
JPH04337849A (ja) メモリ・ダンプ方法
JPH04157854A (ja) プログラム・ローディング方式
JPH047655A (ja) プログラム評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評価装置
JPH11167501A (ja) プログラムデバッグシステムとそのデバッグ方法
KR20040041776A (ko) 부트로더 상에서 유에스비를 이용한 파일 다운로드 방법
Guide Alpha Microprocessors Motherboard Debug Monitor User’s Guide
JPS59174949A (ja) エミユレ−ト方式
JP2001101027A (ja) インサーキットエミュレ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