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048Y1 - 파열하여 분리가능한 마개를 갖춘 관체 - Google Patents
파열하여 분리가능한 마개를 갖춘 관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3048Y1 KR920003048Y1 KR9270001U KR920070001U KR920003048Y1 KR 920003048 Y1 KR920003048 Y1 KR 920003048Y1 KR 9270001 U KR9270001 U KR 9270001U KR 920070001 U KR920070001 U KR 920070001U KR 920003048 Y1 KR920003048 Y1 KR 92000304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pper
- opening
- rupture
- tube body
- hardness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안의 명칭]
파열하여 분리가능한 마개를 갖춘 관체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파열하여 분리 가능한 마개(cock)를 갖춘 4방분기관의 평면도.
제2a도는 제3a도의 A-A선 단면도.
제2b도는 제3a도의 B-B선 단면도.
제3a도는 본 고안의 파열하여 분리 가능한 마개를 갖춘 4방 분기관의 요부를 확대한 분해단면도.
제3b도는 제3a도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4a도 및 제4b도는 본 고안의 파열하여 분리가능한 마개를 갖춘 4방 분기관의 사용예의 설명 개요도.
제5도는 본 고안의 파열하여 분리가능한 마개를 갖춘 4방 분기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실용신안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고안은 파열하여 분리가능한 마개(栓體;cock)를 갖춘 관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하용직전까지 파손되거나 또는 다른 부재와의 접속시 등에 있어서 오염되는 일이 없는, 파열하여 분리가능한 마개를 갖춘 관체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 혈액 백(bag)등에 사용되는 4방 분기관 등의 마개는 복수의 지관(枝管)을 동시에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순차적으로 사용된다. 이런경우, 사용하지 않은 지관으로부터 유로가 오염되지 않도록 이 사용되지 않은 지관을 마개등으로 완전히 밀봉해두지 않으면 안된다. 한편 지관의 사용시에는 용이하게 마개를 파열제거하여 지관을 개구하고 니들(Needle)등의 다른 부재와 접속되는 것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종래부터 파열하여 분리가능한 마개등이 여러가지로 제안되고 있다. 예를들면 ① 4방 분기관등 관체의 한지관에 부착되고 또한 이 지관의 축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파열부가 설치된 마개를 지관의 축방향으로 당김으로써 파열부를 파열하여 지관을 개구하는 것이다(미합중국 특허 제3,368,560호 참조).
또 ② 4방 분기관 등의 관체의 한 지관에, 이 지관의 축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파열부를 설치하고 또한 핸들을 가진 마개를 부착하고, 또 이 마개는 쇼어(SHORE'S) A경도가 85 내지 100이며 이 마개의 축방향으로부터 이 축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손으로 구부림으로써 지관을 개구하는 것이다(미합중국 특허 제4,228,835호 참조).
그러나, 상술한 ①의 종래예에서는 조작성에 대하여 문제점이 있다.
즉 마개를 잡아당겨서 파열부를 파열하였을때는 그의 반동으로 인한 충격이 있고 이 충격에 의해서 손을 부딪치거나 파열부가 다른 물건에 닿거나 이 파열부가 오염되는 등의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또 ②의 종래의 예는 이와같은 충격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고안되어, 상기 마개에 일정한 경도를 부여하여 구부림으로써 이 마개의 파열부를 파열하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종래예에서는 마개(파열캡)가 파열부와 일체로 되어있고 이 마개에 유연한 튜우브가 접속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이 마개의 일부분을 이른바 파열할시는 허리부분을 이용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 마개는 쇼어경도가 85 내지 100으로 되어 있다. 마개는 이와같은 범위의 쇼어경도를 갖기 때문에, 이 마개는 유연성이 부족하고 기밀유연성, 마개와의 밀착성 및 이 마개를 파열하여 상기 지관을 사용하기 직전까지 이 마개의 파열이 없도록 유지하는 점에 있어서는 문제가 발생한다.
[고안의 개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관체에 대한 마개의 기밀유지성, 관체와의 밀착성이 충분하고 또한 사용전에 있어서는 오염될 가능성이 없는, 파열하여 분리가능한 마개를 갖춘 관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파열하여 분리 가능한 마개를 구비한 관체는 적어도 2개의 개구부를 갖는 경질의 관본체와, 개구부와 폐쇄부를 갖는 동시에 이 개구부가 상기 관본체의 하나의 개구부에 고착되고, 또한 파열하여 상기 관본체로부터의 분리를 허용하는 파열부를 상기 고착부 이외의 부분에 있는 마개를 갖추고 상기 마개재질의 쇼어 A 경도가 68 내지 76이 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경질의 관본체에 재질의 쇼어 A 경도가 68 내지 76인 유연성이 있는 마개를 고착하고 있기 때문에 관체와의 기밀 유지성, 밀착성이 보다 한층 향상하고 또 사용시의 파열성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으며, 불용(不用)시 외력에 의한 마개 파손의 염려가 극히 작아진다.
또 상기 마개는 상기 파열부에 있어서의 파열을 저지하지 않을 정도의 경도의 보호체에 의해 외주를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술한다.
본 고안의 1 구성요소인 관체는 적어도 2개의 개구를 가진 관체이면 좋으나 본 고안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의료용 관체중 특히 혈액백(bag)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4방 분기관을 대표예로써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파열하여 분리 가능한 마개를 갖춘 4방 분기관의 평면도이다. 파열하여 분리가능한 마개를 갖춘 4방 분기과(파열하여 분리 가능한 마개를 갖춘관체) A는 4방으로 분기하여 개구부를 갖는 관본체(1)와 이 마개(2)를 끼움으로써 이 마개(2)를 보호하는 보호체(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관본체(1)의 주유로의 방향에 따라 제1개구부(4)인 채혈침측(제4a도 참조)을 기단측이라고 부르고, 제2개구부(5), 제3개구부(6), 제4개구부(7)를 말단측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제3개구부(6)내에는 파열 연통체(8)가 일체로 설치되고 제4개구부(7)에는 본 고안의 요부인 마개(2)와 보호체(3)가 장착되어 있다. 제3a도는 제4개구부(7)와 마개(2)와 보호체(3)와의 분해도를 나타낸 것이며, 관본체(1)의 제4개구부(7)는 마개(2)를 장착하기 위하여 제4개구부(7)의 선단측 외주면에 소경부(9)를 설치하고 이 소경부(9)와 제4개구부(7)의 기단측 외주면과의 사이에 단차부(1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4개구부(7)의 외주면에는 루어테이퍼(lure taper)(7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본체(1)는 폴리카보네이트(PC)등의 경도가 높은 재질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즉 상술한 바와같이, 제3개구부(6)내에 파열 연통체(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이유는 이 파열 연통체(8)를 구부리기 쉽게하기 위해서이고, 또는 후술하는 마개(2)를 파열하여 분리시킨후, 예를들어 혈구반환용의 웅형(雄形)루어 코넥터 등을 밀착시키기 위해서인데 이는 폴리카보네이트 이외의 연한 재질로 만든 경우, 오토클리브(auto clave)멸균중에 변형하여 루어테이퍼(7a)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마개(2)는 한쪽의 단부에 개구부(11), 다른쪽 단부에 폐쇄부(12)를 가지며 또한 개구부(11)측의 제4개구부(7)의 소경부(9)에 끼워 붙여지는 소경내벽부(13)와 개구부(11)측의 내벽이 크게되어 있는 대경내벽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마개(2)의 소경내벽부(13)와 대경내벽부(14)와의 길이의 합계는 제4개구부(7)의 소경부(9)의 길이에 동등하거나 또는 그것보다도 큰 것이 밀착성의 효과상 바람직하다.
또 마개(2)는 그의 외주면상에 파열하여 관본체(1)로부터의 분리를 허용하는 파열부(15)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파열부(15)의 설치위치는, 상기 마개(2)의 소경내벽부(13)에 제4개구부(7)가 끼워맞추어 고착되었을시, 이 고착부 이외의 위치, 즉 제3a도중 우측의 대경내벽부(14)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은 마개(2)의 파열시 제4개구부(7)의 단부에 니들과 같은 다른 부재를 접속하려고 하는 경우에 단부가 보이므로 접속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니들등의 접속부재가 오염되어 있는 위험성이 있는 마개(2)의 절단면에 저촉될 가능성도 적어져서 관본체(1)의 유로의 오염을 피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또 마개(2)는 쇼어경도가 68 내지 76으로 설정하고 또 바람직하기는 74 내지 76이다.
또한 쇼어 A경도는 플라스틱의 듀로미터(durometer)경도의 일종이며 미국 국내 규격(American National Standard)의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material) D2240-75에 의해 규정되고, 비교적 연질의 플라스틱의 경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JIS에서는 비교적 경질의 플라스틱의 경도로 사용되는 쇼어 D경도만이 규정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관본체(1)는 경질인 폴리카보네이트에 의해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이 관본체(1)에 고착되어 있는 마개(2)는 비교적 경도가 낮은 것이라도 관본체(1)의 경질부분이 허리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기 파열부(15)에 가해진 손톱 등에 의한 절곡력은 그 응력이 분산하는 일이 없어 파열부(15)에 집중하여 용이하게 파열할 수 있게 된다. 또 이와같은 손가락 등에 의한 절곡력과 동일한 외력은 직접 받기 어렵고 더우기 마개(2)는 원래 연질의 것이기 때문에 부주의로 파열하는 것을 매우 적게할 수가 있다. 또 쇼어 A 경도가 68 경도미만의 마개(2)는 지나치게 연하여 굽힐 수는 있어도 파열할 수는 없다.
이하에 실측치를 든다. 즉 상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3,368,560호에 개시된 마개와 동등한 시험편으로 인장강도와 구부림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1에 표시하였다.
[표-1]
상기 표-1에 의하면 쇼어 A경도가 68 내지 76의 것은 절곡에 의한 파열이 불가피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마개(2)에 의해 인장강도와 구부림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2에 표시하였다.
[표-2]
상기 표-2에 의하면 쇼어 A 경도 68 내지 76은 쇼어 경도 87 내지 92의 것보다도 구부림에 의한 파열이 용이하다.
여기서 마개(2)의 단면형상은 폐쇄부(12)로부터 말단측에서는 아주 동그란것 이외의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a도 및 제2b도는 각각 제3a도에 있어서의 A-A선 및 B-B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즉 마개(2)가 관본체(1)의 소경부(9)와 밀착하는 소경내벽부(13)의 단면은 제2a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소경부(9)의 외경과 거의 같은 내경을 가진 아주 동그란것에 가까운 것이다. 이것이외의 부분, 적어도 마개(2)의 폐쇄부(12)로부터 말단측의 단면형상은 아주 동그란것 이외의 형상인 것이 좋다. 제2b도에는 마개선단부(손잡이부)가 4각형인 예를 나타냈다. 마개(2)의 단면형상은 쥐기쉬운 구성이면 구형, 장원형 어떤것이라도 좋다.
상기 보호체(3)는 제3a도 및 제3b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한쪽에 개구를 가지며 다른쪽에 폐쇄부를 가진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의 일부가 마개(2)의 외주면과 끼워맞추는 것이다. 보호체(3)의 형상은 도시 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중공부를 가진 칼집모양의 관체등으로 이 중공부의 일부가 마개의 외경과 끼워맞추는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 이 보호체(3)의 형상은 이 보호체(3)를 쥐고 마개(2)의 파열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보호체(3) 손잡이부의 외형을 정방형, 장원 등의 아주 동그란것이 아닌 형상으로 하는 것도 좋다.
제3b도는 이 보호체(3)를 끼운 마개(2)를 제4개구부(7)에 끼워붙인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제4개구부(7)의 소경부(9)가 마개(2)의 소경내벽부(13)와 밀착하고, 관본체(1)의 개구단과 마개(2)의 대경 내벽부(14)와의 사이에는 공극부(16)가 형성된다. 이 공극부(16)에 의해 마개(2)를 파열할 때 관본체(1)의 개구단은 파열되기 쉽다.
보호체(3)는 마개(2)를 외력으로부터 충분히 보호하고, 보호체(3)를 쥐고 마개(2)를 파열제거할때에 보호체(3)와 마개(2)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충분히 밀착하여 끼워맞추어지는 것이 필요하나, 적어도 마개(2)의 파열부(15)로부터 개구부(11)측은 보호체(3)의 내벽과 마개(2)의 외벽사이에 공극이 있는 구성으로 되어, 파열부(15)로부터 마개(2)의 폐쇄부(1)측에서 보호체(3)의 내벽과 마개(2)의 외벽이 끼워맞추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특히 파열부(15)부근을 보호체(3)의 내벽과 마개(2)의 외벽과의 사이에 공극을 가진 구성으로 하면 마개(2)의 파열시에 파열이 용이하게 된다.
제4개구부(7)는 사용하지 않을시 보호체(3)를 끼운마개(2)에 의해 봉해져 있으나 제4개구부(7)에 다른 부재를 접속할 필요가 생겼을 경우에 마개(2)를 파열부(15)로부터 꺾고 또는 비틀어 끊어서 파열제거한다.
이것에 의해서 관본체(1)와 다른 부재를 유체(流)연통한다.
상기 파열부(15)는 마개(2)의 개구부(11) 내지 폐쇄부(12)와의 사이의 어떤 장소라도 좋으나 바람직하기는 마개(2)의 대경내벽부(14)에 대응하는 외벽상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대경내벽부(14)에 대응하는 외벽상에 설치함으로써 공극부(16)의 상방에 파열부(15)가 존재하도록 되고 비교적 연질의 마개(2)라도 파열하기 쉽게되기 때문에 마개(2)의 비틀어 끊기 또는 파열제거가 용이하게 된다.
마개(2)와 보호체(3)의 끼워맞춤은 보호체(3)를 쥐고 마개(2)를 파열제거할 때, 마개(2)와 보호체(3)의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생기지 않고, 마개(2)를 비틀어 끊거나 또는 파열제거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것이라도 좋다.
관본체(1)는 상술한 바와같이 일반적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나 경질 염화비닐수지가 사용된다. 이와같은 관본체(1)에 마개(2)를 고착할 경우 마개(2)와 관본체(1)의 고착부에는 혈액등의 관체 유체에 대한 오염을 최대한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관본체(1)와 마개(2)를 서로 열에 의해 블록킹(Blocking)하는 성질이 있는 재질로 만들고, 오토클레이브로 멸균할때의 열을 이용하여 블록킹 접착한다. 이 경우에는 마개(2)가 비교적 연질인 염화비닐수지등으로 만들어 지게되므로 마개(2)를 쥐고 파열제거할때에 마개(2) 전체가 비틀어져서 비틀어 끊기가 어렵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마개(2)를 파열제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보호체(3)를 경질재료로 하는 것이 좋다. 또 보호체(3)가 오토클레이브 멸균시 열에 의해 관본체(1) 및 마개(2)와 블록킹 접착하지 않는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경질재료로서는 폴리프로필렌수지등이 사용된다. 이와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적절한 예로서는 관본체(1)를 폴리카보네이트로, 마개(2)를 비교적 연질인 폴리염화비닐제로, 그리고 보호체(3)를 폴리프로필렌제로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관본체(1)와 마개(2)와 보호체(3)의 재질의 조합에 대해서는 상기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임의의 조합을 취할 수가 있다.
또 본 고안에서 공극부(16)는 마개(2)의 내벽부와 제4개구부(7)의 소경부(9)사이에 설치하면 된다. 예컨대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마개(2)의 내벽부(17)에는 단차를 두지말고 제4개구부(7)의 소경부(9)에 제2소경부(18)를 설치하여 그들 사이에 공극부(16)를 형성시켜도 좋다.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보호체(3) 및 마개(2)를 끼워붙인 관본체(1)를 혈장교환요법에 사용할 경우에 대하여 그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제4a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Y형 세트(20)의 3개의 유로를 크렌메(21a, 21b, 21c)로 전부닫고, 생리식염수를 채운 병(22)에 크렌메(21a)측의 니들을 찌른다. 크렌메(21a, 21c)를 여는 동시에 느슨히하여 생리식염수를 Y형세트(20)에 채운후, 재차 크렌메(21c)를 닫는다. 여기까지의 조작은 본 고안의 파열하여 분리가능한 마개를 갖춘 4방 분기관(A)의 마개(2)가 제거되지 않은 상태이다.
관본체(1)의 제1개구부(4)는 채혈니들(23)과 제2개구부(5)는 제1혈액백(24a)과 연통하고, 제3개구부(6)는 파열연통체(8)를 통하여 제2혈액백(24b)과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이상태에서는 파열연통체(8)도 비파열상태에 있고 제1혈액백(24a) 약액이 역류되지 않도록 소톱크렌메(26)로 제1혈액백(24a)에의 튜우브의 도중을 고정시켜 놓고, 마개(2)의 파열부(15)를 파열하고 나서 제4개구부(7)에 Y형세트(20)의 커넥터를 접속한다. 이때, 마개(2)는 쇼어 A 경도가 68 내지 76으로 설정되고 또한 상기 관본체(1)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경질의 재료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이 관본체(1)에 고착되어 있는 마개(2)가 비교적 경도가 낮은 것이라도 이 관본체(1)가 마개(2)의 허리 역할을 하기 때문에 손가락등으로 굽히는 힘은 상기 파열부(15)에 집중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꺽인다.
또 반대로 이 마개(2)의 재질은 연질한 것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부주의한 외력에 의해서는 꺽이기 어렵게 되어 있다.
제4개구부(7)는 손상없이 돌출되어 있는 동시에 제4개구부(7)측을 넓게한 테이퍼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다른 부분에 저촉되는 일도 없으므로 오염을 피할 수가 있다.
이어서 공혈자(27)로부터 채혈한다. 이때 채혈침(23) 바로 가까이의 튜우브의 코페르(28)를 빼내는 동시에 스톱 크렌메(26)를 빼내어 제1혈액백(24a)에의 유로를 연통한다. 그때 제2혈액백(24b)에의 유로는 아직 폐쇄되어 있고, 채혈침(23)을 통하여 채혈되는 혈액은 중력식 채혈에 의해서 제1혈액백(24a)에 수용된다.
또, 제4b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제1혈액백(24a)내로 충분히 혈액이 채혈된후,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1혈액백(24a)에의 유로를 튜우브실러 또는 알루미늄링 2개를 사용하여 밀봉하고 제1혈액백(24a)을 잘라낸다. 그렇게하여 잘라진 제1혈액백(24a)의 혈액은 원심분리되어 혈구성분과 혈장성분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제1혈액백(24a)으로부터 혈장성분을 제거한후, 제1혈액백(24a)의 혈구반환부(29)와 튜우브(30)를 접속하여 혈구성분을 생리식염수와 함께 체내로 반환한다(반환수혈).
공급수혈 종료후는 파열연통체(8)를 파열하여 제2혈액백(24b)에의 유로를 연통상태로 하고, 이미 공혈자(27)에 찔려져 채혈침(23)을 통하여 제2혈액백(24b)에 채혈된 혈액은 제1혈액백(24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심분리, 반환수혈의 각조작이 행하여진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파열하여 분리 가능한 마개를 갖춘 관체는 마개재질의 쇼어 A경도를 68 내지 76으로 설정하였으므로 경질의 관체에 재질이 쇼어 A 경도가 68 내지 76인 유연성이 있는 마개를 고착하고 있기 때문에 관체와의 기밀유지성, 밀착성이 보다 한층 향상하고 사용전에 있어서 오염의 염려가 없고 또 사용시의 파열성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으며, 불용(不用)시에 외력에 의한 마개의 파손될 염려가 극히 낮아지므로 관체의 외적오염을 피하는 것이 가능케되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
- 관체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개구부를 갖는 비교적 경질의 관본체와, (a)개구부를 가지며 이 개구부로부터 신장되고 상기 관본체의 하나의 개구부에 중공장착부의 일부분이 고착되는 중공 장착부와, (b)축방향으로 장착부에 접속되어진 폐쇄부와, 그리고 (c)상기 고착부의 외측 축방향으로 위치됨으로써 상기 마개가 파열부에서 파열되어져 상기 관본체의 하나의 개구부로부터 제거가능한 파열부를 포함하는, 상기 관본체의 하나의 개구부상에 장착된 쇼어 A 경도가 68 내지 76인 재질의 마개와, 그리고 비교적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개의 폐쇄부의 외주면과 끼워맞춰지고, 상기 마개의 파열부를 보호하여 상기 마개의 파열부를 덮도록 뻗어있으며, 상기 관체의 사용에 있어 상기 마개를 파열부를 따라 파열시키기 위해 상기 마개를 파지하는 보호 파지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열하여 분리가능한 마개를 갖춘 관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9270001U KR920003048Y1 (ko) | 1987-07-16 | 1988-03-15 | 파열하여 분리가능한 마개를 갖춘 관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62-177900 | 1987-07-16 | ||
JP62177900A JPS6420858A (en) | 1987-07-16 | 1987-07-16 | Tube body equipped with plug body separable by breakage |
PCT/JP1988/000270 WO1989000433A1 (en) | 1987-07-16 | 1988-03-15 | Medical branch pipe equipped with plug member separable upon fracture |
KR9270001U KR920003048Y1 (ko) | 1987-07-16 | 1988-03-15 | 파열하여 분리가능한 마개를 갖춘 관체 |
KR890070469 | 1989-03-1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03048Y1 true KR920003048Y1 (ko) | 1992-05-21 |
Family
ID=33458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9270001U KR920003048Y1 (ko) | 1987-07-16 | 1988-03-15 | 파열하여 분리가능한 마개를 갖춘 관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20003048Y1 (ko) |
-
1988
- 1988-03-15 KR KR9270001U patent/KR920003048Y1/ko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377035B1 (en) | Medical branch pipe equipped with plug member separable upon fracture | |
JP4509569B2 (ja) | 様々な寸法のバイアル封緘部と共に使用する針なし弁を有するバイアル・アダプタ | |
ES2369889T3 (es) | Método y dispositivo para transferir fluidos entre tubos de muestreo. | |
US3523530A (en) | Needle assembly for parenteral liquid container | |
HU218071B (hu) | Kivezetőnyílás adapter, valamint ezzel ellátott tartályegyüttes | |
US5045067A (en) | Breakaway tube assembly | |
EP0095477A1 (en) | INVIOLABLE CANNULA SUPPORT ASSEMBLY. | |
JPH07503173A (ja) | ルーアアダプターを備えた血液サンプリングシステム | |
GB1573482A (en) | Valve assembly | |
JP2002518098A (ja) | 容器用メンブレンポート | |
US4915704A (en) | Tube assembly with a breakaway plug | |
KR920003048Y1 (ko) | 파열하여 분리가능한 마개를 갖춘 관체 | |
EP0637227A1 (en) | Fluid container and connection component | |
ES2819843T3 (es) | Puerto de extracción para extraer un líquido, sistema y uso de un puerto de extracción | |
AU2023200273A1 (en) | Vascular access device adapter | |
JP3904636B2 (ja) | 医療用針および医療用具 | |
JPH04276258A (ja) | 血液バッグ | |
CN108324291B (zh) | 血样采集防逆流阀装置及采血针 | |
JPH0242510B2 (ko) | ||
CA1312515C (en) | Tube assembly with a breakaway plug | |
JP7574283B2 (ja) | 血管アクセスデバイスアダプタ | |
CA1333704C (en) | Aseptic spike to luer fluid flow adapter | |
JPH0242509B2 (ko) | ||
JPH0315916B2 (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