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019Y1 - 악기용 보면대 홀다 - Google Patents

악기용 보면대 홀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019Y1
KR920003019Y1 KR2019890017340U KR890017340U KR920003019Y1 KR 920003019 Y1 KR920003019 Y1 KR 920003019Y1 KR 2019890017340 U KR2019890017340 U KR 2019890017340U KR 890017340 U KR890017340 U KR 890017340U KR 920003019 Y1 KR920003019 Y1 KR 9200030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usic stand
piano
music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73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9679U (ko
Inventor
남상은
Original Assignee
영창악기제조 주식회사
남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창악기제조 주식회사, 남상은 filed Critical 영창악기제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73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019Y1/ko
Publication of KR9100096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6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0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0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02Ca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악기용 보면대 홀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악기용 보면대 홀다의 제1실시예의 피아노에 부착된 사용상태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3도는 상기 실시예의 암틀, 수틀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암틀, 수틀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피아노본체의 상부 전면판넬 4 : 보면대
10, 20 : 수틀 12, 22 : 돌출부
15, 25 : 암틀 16, 26 : 오목부
17, 27 : 개방부 18 : 리브
본 고안은 피아노나 오르간 등의 건반악기에서 악보를 놓는 보면대를 피아노본체에 장착시키는 악기용 보면대홀다(music desk holder)에 관한 것이다.
피아노건반의 덮개는 대체로 힌지식 덮개와 슬라이딩식 덮개로 구분되는데 힌지식 덮개를 가진 피아노에서는 덮개를 열어 젖혔을 때 드러나느 덮개의 내면판이 그대로 보면대로 사용되지만 슬라이딩식 건반덮개를 가진 소위 가구식 피아노(Furniture piano)에 있어서는 별도의 보면대를 건반위의 상부 전면판넬에 설치해야만 한다.
가구식 피아노에 보면대를 설치하기 위해 종래에는 꺽쇠와 볼트, 너트 등의 고정금구(金具)를 사용하여 반영구적으로 조립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고정금구를 사용한 조립방법이 지니는 문제점으로는 재질이 금속재이므로 부품 제작공정이 성형가능재료에 비해 번거롭고 부품수가 증가되는 것 이외에 외관상의 이유로 피아노 몸체의 내부로부터 나사등을 풀어야 하기 때문에 조립공정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피아노를 운반해야 하는 경우 등에는 보면대를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보면대의 착탈이 곤란한 점 등을 들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이 목적으로 하는 것은 고정용금구대신 목재나 성형가능한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는 암틀과 수틀로 구성되는 보면대 홀다를 제공하여 금속재 공정금구에 의한 조립방법에 비해 소요부품수가 적고, 성형이 가능하여 부품을 대량 제작할 수 있으며 피아노의 조립공정이 보다 더 간편하고 경제적인 보면대 홀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보면대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가구식 피아노의 운반이동시에 보면대를 피아노 몸체로부터 용이하게 착탈가능하게 하는 보면대 홀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요지로 하는 것은 각각 피아노의 상부 전면판넬과 보면대의 뒷면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며 일체로 끼워지고 자유로이 착탈되는 암틀과 수틀로 구성되는 악기용 보면대 홀다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면대 홀다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수틀(10)은 보면대에 부착되는 부착판(11)과, 이 부착판으로부터 돌출된 데이퍼형의 중공식 실린더로 된 돌출부(12)와, 상기 부착판과 상기 돌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13)로 구성되며 부착판의 네 귀퉁이에는 수틀을 보면대에 부착시키기 위한 나사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특에 끼워맞춤되는 암틀(15)은 피아노의 전면 상부패널에 부착되는 부착판(11')과 수틀(10)이 테이퍼형 돌출부(12)에 꼭 끼워지도록 데이퍼형 내주면을 가진 오목부(16)가 구비되고 오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틀의 연결부가 끼워지는 개방부(17)가 구비되며 따라 오목부의 상부와 중간부에 리브(18)가 돌출설치되어 보면대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고 있으며, 부착판의 네 귀퉁이에는 나사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퍼형상의 구조는 수틀과 암틀의 수직방향으로의 끼움 및 빼냄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제1도는 상기 제1실시예인 암틀과 수틀을 수직방향으로 끼워맞추어서, 보면대를 피아노본체에 결합한 상태를 피아노의 측면에서 본 사용상태의 측면도이다.
또한 제2도는 제1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보면대 홀다의 단면도이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면대홀다의 제2실시예로서 제1실시예와는 수틀의 돌출부와 암틀의 오목부의 형태에 있어서만 차이점을 보인다. 본 제2실시예의 수틀(20)의 돌출부(22)는 솔리드한 원형의 균일단면으로 되어 있으며 이에 끼워 맞춤되는 암틀(25)의 원통상의 오목부(26)는 중간부를 절결시킨 형태로 되어 있다.
본 제2실시예는 수틀(20)의 원통상의 돌출부를 암틀(25)의 오목부의 개방부(27)로 횡방향 가압하여 밀어넣음에 의해 개방부가 탄성에 의해 벌어져서 돌출부가 끼워지고 돌출부 외주면과 오목부 내주면간의 마찰력에 의해 보면대가 지지되도록 되어 있으나 제1실시예와 같이 돌출부를 오목부에 수직방향으로 끼우고 도시되지 않은 걸림부재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서 끼워짐이 멈추어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보면대홀다인 암틀과 수틀의 재료는 보통 나일론 등의 성형가능한 플라스틱재로나 목재로 만들어지지만 재료의 선택 자체가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수틀의 형상은 데이퍼형의 중공식 실린더형상과 솔리드한 원형의 균일단면형상의 두가지가 개시되었으나 암틀과 수틀이 용이하게 끼워지고 보면대를 견고하게 장착지지할 수만 있다면 수틀의 단면형상은 사각형이나 기타의 다각형등 다양한 형상틀이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수틀은 보면대에, 암틀은 피아노본체에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와 반대로 수틀이 피아노 본체에, 암틀이 보면대에 부착되어도 상관이 없다.
홀다의 개수 및 부착위치에 있어서는 대체로 보면대의 좌우 양쪽에 2쌍의 암틀과 수틀이 부착되어 보면대를 피아노본체에 좌우 균형있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중앙에 한쌍의 암틀과 수틀만으로 보면대를 장착하거나 중앙과 좌우에 3쌍의 암틀과 수틀을 부착시켜서 보면대를 장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을 암틀과 수틀의 끼워맞춤에 의해 보면대를 피아노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하는 바, 암틀과 수틀의 형상이나 개수, 부착위치 또는 끼움방향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어져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암틀과 수틀과 구성되는 보면대 호울더는 특히 슬라이딩식 건반덮개를 가지는 가구식 피아노 등의 건반악기에 특히 적합한 것으로서 종래의 고정금구등을 사용하는 반영구적 조립방법에 비해 부품의 제작이나 피아노조립공정 및 피아노의 운반이동시의 착탈용이 등의 면에서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

  1. 각각 피아노의 상부 전면파넬과 보면대의 뒷면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며 일체로 끼워지고 자유로이 착탈되는 암틀과 수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보면대홀다.
KR2019890017340U 1989-11-23 1989-11-23 악기용 보면대 홀다 KR9200030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7340U KR920003019Y1 (ko) 1989-11-23 1989-11-23 악기용 보면대 홀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7340U KR920003019Y1 (ko) 1989-11-23 1989-11-23 악기용 보면대 홀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679U KR910009679U (ko) 1991-06-29
KR920003019Y1 true KR920003019Y1 (ko) 1992-05-18

Family

ID=19292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7340U KR920003019Y1 (ko) 1989-11-23 1989-11-23 악기용 보면대 홀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01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272B1 (ko) 2018-12-28 2019-11-29 오세범 여닫이용 자동 닫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679U (ko) 199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142377A (en) Securing unit
KR920003019Y1 (ko) 악기용 보면대 홀다
JP3023371B2 (ja) 弦楽器
GB2132473A (en) Display case
JP3462421B2 (ja) 家具類の開閉蓋構造
JPS627139Y2 (ko)
JPH032183Y2 (ko)
JPS6237507Y2 (ko)
JPH02106892U (ko)
JPS5913646Y2 (ja) ピアノの鍵盤蓋奥部取付構造
JPH0410479Y2 (ko)
JP2811276B2 (ja) 引出しの化粧用前面板の取付構造
JPH0488542U (ko)
JPH0326701Y2 (ko)
JPH0520171Y2 (ko)
JP4750404B2 (ja) 机等における配線装置
JP2920227B2 (ja) 家具等と組合わせて使用されるスライドテーブル
JPH03100552U (ko)
KR200179287Y1 (ko) 착탈식 키보드 재치대
KR910003371Y1 (ko) 다목적 카포
KR19990019419U (ko)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스피커 그릴 체결구조
JP3562612B2 (ja) ミラーキャビネットの固定装置
JPS5835123Y2 (ja) コンパクト等の係合構造
JPH0390285U (ko)
JP2835572B2 (ja) 蝶番用台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