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737B1 - 유량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유량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737B1
KR920002737B1 KR1019880005970A KR880005970A KR920002737B1 KR 920002737 B1 KR920002737 B1 KR 920002737B1 KR 1019880005970 A KR1019880005970 A KR 1019880005970A KR 880005970 A KR880005970 A KR 880005970A KR 920002737 B1 KR920002737 B1 KR 920002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hamber
oil
valve
passag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5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4434A (ko
Inventor
다다오 다나까
다께시 미쯔이
쇼오죠 다끼자와
가즈오 후꾸야마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지도오샤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까무라 켄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707563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45419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19386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0162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38668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9732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024664U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28081U/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지도오샤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까무라 켄조 filed Critical 미쯔비시지도오샤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4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4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1/00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Safety Valves (AREA)
  • Flow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량제어장치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유량 제어밸브의 개략구성도.
제2도는 유량 제어밸브의 종단면도.
제3도는 유량 제어밸브의 유온에 대한 유량 특성을 표시한 특성도.
제4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4도는 유량 제어밸브의 종단면도.
제5도, 제6도는 유량 제어밸브의 유온에 대한 유량 특성도.
제7도는 이상적인 유온에 대한 유량특성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유량 제어밸브의 종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유압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수륜 조타장치 전체의 개략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파우어스티어링장치 8, 28 : 피스톤
24 : 유압작동기 33 : 제어밸브
51 : 유량 제어밸브 52 : 유입포오트
53 : 유출포오트 54 : 리터언포오트
55 : 실린더 56 : 작동밸브(스푸울)
57 : 유량 제어스프링 58 : 제1의 압력실
99 : 제2의 압력실 59 : 제3의 압력실
60 : 스파이럴 초우크 61 : 원통체
62 : 원주체 63 : 나선홈
64 : 연락통로 65 : 릴리프통로
67 : 릴리프벨브 스프링 68 : 릴리프밸브실
69 : 오일류 입구 70 : 오일통로
71 : 환형상흠 72 : 작은구멍
162 : 원통체 170 : 바이패스개구
173 : 로드부
본 발명은 유압장치에 사용되는 유량(流量)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압장치로서, 예를 들면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유압식의 후륜 조타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이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면, 스티어링휘일(3)이 중립위치에서 유지되는 차량의 직진 주행시에는 파우러스티어링장티(4)의 파우어실린더(6)내의 피스톤 (8)이 중립위치에서 유지되고, 좌실(9a)과 우실(9b)은 등압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경우에는 제어밸브(33)의 파일럿신호 압력도입실(36a) 와 (36b)와의 사이가 동압상태에서 유지되고, 스푸울 (35)도 중립위치에서 유지되므로, 유압작동기(24)에 유압은 작용하지 않고 후륜(2),(2)도 제9도중에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직진상태에서 유지된다.
또, 고속주행상태의 차량을 좌방향으로 선회시킬 경우에는 스티어링휘일(3)이 조타에 따라 파우어실린더(6)내의 피스톤(8)이 중립위치로부터 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때문에 이 피스톤(8)의 동작에 연동해서 전륜(1)(1)이 제9도중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좌방향으로 조타된다. 또, 파우어실린더(6)내의 피스톤(8)의 중립위치로부터 우방향으로의 이동시에는 좌실(9a)내의 유압이 우실(9b)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어밸브(33)의 좌측의 파릴럿신호 압력도입실(36a)내의 유압이 우측의 파일럿신호 압력도입실(36b)내의 유압보다도 높게 되므로, 제어밸브(33)의 스푸울(35)이 우방향으로 이동하고, 스푸울(35)의 랜드(35a)(35b)에 의해서 슬리이브(34)의 제1, 제3의 포오트(40a)(40c)가 각각 죄어지고, 스푸울(35)의 포오트(40b)(40e)와의 사이 및 스푸울 (35)의 제2의 밸브실(39b)와 슬리이브(34)의 제4, 제6포오트(40d)(40f)와의 사이가 각각 연통된 상태로 절환조작되게 되어 있으며, 차동장치(25)내의 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오일핌프(26)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는 유압회로(32)의 오일도입통로(41) 및 제2의 오일통로(43b)를 순차적으로 개재해서 유압실린더(27)의 우실(296)내에 도입되기 때문에, 유압 실린더(27)의 우실(29b)내가 고압상태로 됨과 동시에 유압실린더(27)의 좌실(29a)내는 제1의 오일통로(43a) 및 오일 귀환통로(42)를 개재해서 리저어버탱크(13)에 연통되어서 저압상태로 된다. 그 결과, 유압실린더(27)의 피스톤(28)이 좌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피스톤(28)의 동작에 연동해서 피스톤로드(30) 및 조작로드(31),(31)을 개재해서 트레일링아암(19),(19)의 후부아암(21b),(21b)의 전단부가 좌방향으로 눌리워져, 후륜(2),(2)이 좌방향으로 조타되도록 되어 있으며, 전륜(1)과 동위상쪽으로 후륜(2)의 조타되어서 고속주행상태의 차량의 선호시에 있어서의 주행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저속주행상태 차량을 좌방향으로 선회시킬 경우에는, 파우어실린더(6)내의 피스톤(8)이 중립위치로부터 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파우어실린더(6)내의 좌실(9a)내의 유압이 우실(9b)보다도 높게되어. 제어밸브(33)의 좌측의 파일럿신호 압력도입실(36a)내의 유압이 우측의 파일럿신호 압력도입실(36b)내의 유압 보다도 높아지므로, 스푸울(35)이 우방향으로 이동하나, 저속주행시에는 차동장치(25)에 의해 구동되어 차속에 따라서 회전하는 오일펌프(26)의 토출유량은 작고 발생유압도 작으므로, 후륜(2),(2)는 조타되지 않고, 직진상태에서 유지된다. 또한, 우방향의 선회에 대해서는 상기한 반대의 작동이 발생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후륜 조타장치에 있어서는 오일펌프로부터의 토출오일량은 차속에 따라서 상승하는 것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어느정도 이상의 차속 영역에서는 발생유압이 너무 높아져서 필요 이상의 타각이 발생하게 되는 동시에 유압회로의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오일펌프로부터의 토출유량이 소정치를 초과하면 귀환통로를 열어서 작동유의 일부를 귀환시키는 유량 제어밸브를 사용하는 것을 쉽게 고려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유압식 후륜조타장치에 한하지 않고, 유압장치에 있어서는 유압회로속을 흐르는 작동유는 온도에 의해서 점성이 변화하는 문제가 있다. 즉, 유온이 낮을때에는 작동유의 점성은 높고, 유온이 높을때에는 작동유의 점성은 낮아진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는 동일차속의 경우(작동유의 유량이 동일한 경우)에서도 유온이 낮을 경우에는 유온이 높은 경우에 비해서 발생유압이 대폭적으로 증대되는 문제가 있으면, 유압작동기(24)에의 작용유압에 따라서 결정되는 후륜의 타각이 유온에 의해서 변화되어 버리고, 자공유의 온도에 의해 후륜의 조타 특성이 변화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작동유의 온도에 의한 점성의 변화에 대응한 발생유압의 변화의 보상을 가능하게하는 유압장치의 유량제어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작동유가 유입하는 유입포오트수단과, 유입한 작동유가 유출하는 유출포오트수단과, 유입한 작동유가 일부를 되돌리는 리터언포오트수단과, 상기 유입포오트수단과 상기 유출포오트수단을 연통하는 긴 도로틀링 통로수단과, 이 긴 드로틀링 통로수단의 상류쪽과 하류쪽의 차압에 의해 변위해서 상기 리터언포오트단의 개폐를 제어하여 상기 차압의 상승에 따라서 상기 리터언포오트수단을 열도록 설치된 작동밸브수단을 구비한 유량제어장치이다.
즉, 작동유가 긴 드로틀링 통로수단을 통과할때의 작동유의 유통저항은 작동유의 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일정유량에 대해서 드로틀링 통로수단의 상류쪽과 하류쪽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차압(差押)은 유온의 상승에 따라서 작아진다. 이 때문에 상기 차압에 따라서 작동하는 작동밸브수단이 리터언포오트수단을 열기위해서 필요한 작동유의 유량(流量)이 유온의 상승에 따라서 증대한다. 즉, 저온시에는 본 발명의 유량제어장치에의해 제어되는 유량이 감소하고, 고온시에는 이 유량이 증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동유의 온도의 상승에 따라서 제어류량이 증대되므로, 유온의 변화에 따른 점성변화의 영향을 받아서 발생하는 유압의 변화가, 상기한 제어류량의 변화에 의해 보상되어, 유온의 변화에 대해서 발생유압이 안정화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기타의 발명은, 상기 발명의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작동밸브수단의 리터언포오트수단의 개방방향으로의 변위에 연동해서 상기 긴 드로틀링 통로수단의 실효길이를 짧게 하는드로틀링 통로수단을 더 구비한 유량제어장치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발명의 작용에 추가해서, 리터언포오트수단이 열릴때에는 드로틀링 통로제어수단의 작용에 의해 드로틀링 통로수단의 실효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차압이 감소해서 작동밸브수단이 리터언포오트수단을 닫을려고 한다. 이 때문에, 상기 발명에 비해서 리터언포오트로부터 되돌아오는 작동유의 양은 감소하고, 유입유량의 증대와 더불어, 리터언포오트이 실질적 열림정도가 증대해가게 된다. 이 때문에, 유온의 변화에 따라서 유량을 변화시키면서, 유입유량의 증가와 더불어 유출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유온의 변화에 대해서 발생유압을 안정화시키면서 유입유량에 따른 발생유압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유압식 후륜조타장치의 오일핌프(26)쪽과 제어밸브(33)쪽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유압회로(32)의 오일도입통로(41)내에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유량제어밸브(51)을 설치한 것이다. 이 유량제어밸브(51)에는 유입포오트(52), 유출포오트952), 유출포오트(53) 및 리터언포오트(54)가 각각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유입포오트(52) 및 리터언포오트(54)는 유량제어밸브(51)의 원통형상이 실린더(55)의 주벽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 유출포오트(53)은 유량제어밸브(51)의 일단부쪽에 형성되어 있다. 또, 유입포오트(52)의 유입포오트(53보다도 리터언포오트(54)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유량제어밸브(51)의 유입포오트(52)는 오일핌프(26)쪽에,유출포오트(53)은 제어밸브(33)쪽에, 리터언포오트(54)는 리저어탱크(13)쪽에 각각 송유배관을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다.
또, 이 유량제어밸브(51)의 실린더(55)의 내부에는 리터언포오트(54)를 재폐조작하는 작동밸브(스푸울) 및 작동밸브(56)을 리터언포오트(54)의 폐색위치방향으로 가압하는 유량제어스프링(57)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실린더(55)의 내부는 작동밸브(56)에 의해서 제1의 압력실(58)과 제3의 압력실(유량제어스프링 수납실)(59)로 구획되어 있으며, 제1의 압력실(58)쪽에 유입포오트(52)가 연결되어 있다.
또, 유량제어스프링(57)은 압출코일스프링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실린더(55)의 제3의 압력실(59)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유량제어밸브(51)의 제1의 압력실(58)과 유출포오트(53)와의 사이에는 유로면적을 죄는 스파이럴초우크(긴 드로톨링 통로)(6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파이럴초우크(60)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체(61)의 통내에 끼워붙인 원주체(62)의 주위의 나선홈(63)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 스파이럴초우크(60)의 하류쪽개구와 유출포오트(53)과의 사이에는 제2의 압력실(99)이 형성되고, 유량제어밸브(51)의 제2의 압력실(99)쪽에는 연락통로(64)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이 연락통로(64)의 타단은 유량제어밸브(51)의 제3의 압력실(59)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유량제어밸브(51)의 작동밸브(56)내에는 작동밸브(56)이 리터언포오트(54)를 폐색하는 폐색위치에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유량제어밸브(51)의 제3의 압력실(59)내와 리터언포오트(54)와의 사이를 연통하는 릴리이프통로(6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릴리이프통로(65)내에 오이핌프(26)의 토출압력의 상한을 설정하는 릴리이프밸브(6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릴리이프밸브(66)는 밸브(66a)와 이 밸브 (66a)를 릴리이프통로965)를 폐색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릴리이프밸브스프링(67)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유량제어밸브(51)의 작동밸브(56)에는 축심부에 릴리이프밸브실(68)이 형성되어 있다. 또, 유량제어밸브(51)의 작동밸브(56)에 있어서의 제3의 압력실(59)쪽의 단면에는 오일유입구(69)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오일유입구(69)와 릴리이프 밸브실(68)과의 사이에는 소 직경의 오일통로(70)이 형성되어 있다. 또 유량제어밸브(51)의 작동밸브(56)의 외부면에는 환형상흠(7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환형상흠(71)과 릴리이프밸브실(68)과의 사이는 작은 구멍(72)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작동밸브(56)의 환형상흠(71)은 작동배브(56)이 리터언포오트(54)를 폐색하는 폐색위치에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리터언포오트(54)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오일유입구(69), 오일통로(70), 릴리이프밸브실(68), 작은구멍(72), 환형상흠(71)에 의해서 릴리이프통로(65)가 형성되어 있다.
또, 릴리이프밸브실(68)내에는 릴리이프밸브(66)의 밸브(66a) 및 릴리이프밸브스프링(67)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릴리이프밸브(66)의 뱁브(66a)는 오일통로(70)보다도 큰 직경의 보올밸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 릴리이프밸브스프링(67)은 누름부재(73)를 개재해서 릴리이프밸브66)의 밸브(63a)를 릴리이프통로(65)의 오일통로(70)을 폐색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차량주향중, 오일핌프(26)으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는 유압회로(32)의 오일도입통로(41)로부터 유량제어밸브(51)의 제1의 압력실(58) 및 스파이러초우크(60)을 순차 개재해서 제어밸브(33)내에 도입된다. 또, 유랭제어밸브(51)의 스파이럴초우크(60)을 통과해서 제2의 압력실 (99)로 유입한 작동유의 일부는 연락통로(64)를 개재해서 제3의 압력실(59)내에 도입된다.
그리하여, 오일핌프(26)의 저속회전시와 같이 오일핌프(26)으로부터의 토출유량이 적을 경우에는 제1의 압력실(58)과, 제3의 압력실(59)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차압이 작기 때문에 유량제어스프링(57)의 스프링힘(Kst)에 의해서 유량제어밸브(51)의 작동밸브(56)이 리터언포오트(54)의 폐색위치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유지되므로, 오일핌프(26)으로부터 토출된 작동유의 대부분은 유압회로(32)의 오일도입통로(41)로부터 유량제어밸브(51)의 제1의 압력실(58), 스파이럴초우크(60), 제2의 압력실(99) 및 유출포오트(53)을 거쳐서 제어밸브(33)쪽으로 토출된다. 또, 오일핌프(26)의 회전속도의 상승에 따라 오일핌프(26)으로부터의 토출유량이 증대한다. 그리하여, 오알핌프(26)으로부터의 토출량의 증대에 따라 유량제어밸브(51)에 유입하는 유량이 증대하여 제의 압력실(58)과 제3의 압력실(59)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차압(밸브본체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킬려고 하는 힘)이 상승하고, 이 차압이 유량제어스프링(57)의 스프링힘(Kst)보다도 커지면, 유량제어밸브(51)의 그리고 작동밸브(56)이 제1,2도 중에서 아랫방향으로 변위해서, 유량제어밸브(51)의 제1의 압력실(58)내와 리터언포오트(54)와의 사이가 연통된다. 그 때문에, 이 경우에는 유량제어밸브(51)의 제1의 압력실(58)내에 도입된 작동유의 일부가 리터언포오트(54)르보터 리저어버탱크(13)쪽으로 되돌려진다. 따라서, 오일핌프(26)으로부터 제어밸브(33)쪽으로 흐르는 가동유의 유량은 오일핌프(26)의 회전수(N)이 소정회수로 상승한 시점이루(소정차속 이상)는 대략 일정유량(Q)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 유량제어밸브(51)의 제1의 압력실(58)내에 도입된 작동유는 스파이럴초우크(60)에 의해서 감압시킨 상태에서 제어밸브(33)쪽으로 인도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작동유의 온도에 대응한 작동유의 점성의 변화가 스파이럴초우크(60)을 통과할 때의 작동유의 유통저항에 크게 영향을 준다. 즉, 온도상승시에 유통저항이 작아지고, 유온 저하시에 유통저항이 커진다. 이 때문에 제1의 압력실(58)과 제2의 압력실(99) 및 제3의 압력실(59)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차압은 유온상승시에는 낮아지고 유온저하시에는 높아진다. 그 때문에 작동밸브(56)이 리터언포돐트(54)를 여는 차압에 의해서 제어되는 유량(流量)은, 온도의 상승과 더불어 증대한다. 즉, 스파이럴초우크(60)을 설치하므로서 작동유의 유통저항을 유온에 따라서 크게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일핌프(26)쪽으로부터 제어밸브(33)쪽으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제어유량을 온도의 상승에 대응해서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동유의 온도가 저온상태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도 제어밸브(33)쪽으로 공금되는 유량이 감소하므로 말미암은, 점성의 영향에 의한 발생압력의 증대를 발생유압하는 감소분에 의해 상쇄할 수 있어, 유온에 대한 발생유압의 변화가 작게 되어 작동유의 온도에 대한 후륜(2), (2)의 조타특성의 변화를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유온의 변화에 따른 점성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유압의 변화가 유온에 따라서 유량을 제어하므로서 보상되어서 발생유압이 안정되는 것이다.
또, 유량제어밸브(51)내로부터 유출포오트(53)를 개재해서 유출하는 작동유의 유출압력의 상승에 따라 율량 제어밸브(51)의 제3의 압력실(59)내의 압력이 릴리이프 밸브스프링(67)의 세트하중보다도 상승하면, 릴리이프밸브(66)이 열리고, 유량제어밸브(51)의 제2의 압력실(59)내의 작동유의 일부가 릴리이프통로(65)를 거쳐서 리저어버탱크(13)내로 되돌려진다. 그리고, 릴리이프통로(65)를 거쳐서 리저어버탱크(13)내로 되돌려지는 작동유의 유출에 의해서 유량제어밸브(51)의 제3의 압력실(59)내의 압력이 저하하면 재차 릴리이프밸브(66)이 닫히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릴리이프밸브(66)의 열림동작에 따라 유량제어밸브(51)의 제3의 압력실(59)내 및 연락통로(64)를 개재해서 유량제어밸브(51)의 제1의 압력실(58)내의 압력을 순차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유량제어밸브(51)로부터의 유출압력, 즉, 오일펌프(26)으로부터의 토출압력이 릴리이프밸브(66)에 의해서 설정되는 상한 압력보다도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술한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유량제어밸브(51)의 제1의 압력실(58)과 제2의 압력실(59)와의 사이에는 유로(流路)면적을 죄는 나선형상의 긴 드로톨링 통로가 되는 스파이럴초우크(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파이럴초우크(60)은, 실린더(55)의 상부에 끼워 넣어지는 원통체(61)내주부와 이 원통체(61)내에 끼워 붙여진 원통체(162)의 외주에 형성된 나선홈(63)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 원통체(162)의 중심부에는 제2의 압력실(99)쪽에 개구한 바이패스 통로(170)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이패스통로(170)와 스파이럴초우크(60)의 중간부는 도면중 상하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바이패스개구(171)(도시한 것은 2개소)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한편, 작동밸브(56)의 상부에는 바이패스통로(70)내에 끼워진 로드부(173)이 뻗어있다. 이 로드부(173)은 작동밸브(56)이 리터언언포오트(54)를 폐색하는 위치에서 모든 바이패스개구(171)을 폐색하고, 밸브(56)이 아래쪽으로 변위해서 리터언포오트(54)의 열림정도를 넓힘에 따라, 바이패스개구(71)을 순차적으로 열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제2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오일펌프(26)로부터의 토출류량의 증대에 따라 제1의 압력실과 제3의 압력실(59)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차압(밸브본체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킬려고 하는 힘)이 상승하고 이 차압이 유량제어스프링(57)의 스프링힘(Kst)보다도 커지면 유량제어밸브(51)의 작동밸브(56)이 제4도중에서 아랫방향으로 눌리워져, 유량제어밸브(51)의 제1의 압력실(58)내와 리터언포오트(54)와의 사이가 연통된다, 그 때문에 이 경우에는 유량제어밸브(51)의 제1의 압력실(58)내에 도입된 작동유의 일부가 리터언포오트(54)로부터 리저어버탱크(13)쪽으로 되돌려진다. 그러나 작동밸브(56)의 변위에 의해 리터언포오트(54)가 염림과 동시에 작동밸브(56)의 로드부(173)에 의해 바이패스개구(171)이 개방되고, 스파이럴초우크(60)을 흐르는 작동유의 일부가 바이패스개구(171)로부터 바이패스통로(170)으로 유입하여 유출포오트(53)쪽으로 유출하게 된다. 이 때문에 스파이럴초우크(60)의 실효길이가 감소하여 스파이럴초우크(60)의 상류쪽과 하류쪽에 각용하는 차압이 감소된다. 그러면, 작동밸브(56)이 위쪽으로 이동하여 리터언포오트가 폐색됨과 동시에 바이패스개구(171)이 폐색되어 재차 상기한 차압이 상승한다. 이와 같이 오일펌프로부터의 유입유량이 어느 정도 상승하면, 작동밸브(56)은 리터언포오트(54) 및 바이패스통로(170)의 개폐를 반복한다.
그리하여 유입유량이 더욱 상승하면 스파이럴초우크(60)의 상류쪽과 하류쪽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차압이 한층 커져서 작동밸브(56)은 리터언포오트(54)를 더욱 크게 개구시킬려고하나, 작동밸브(56)이 크게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바이패스개구(171)의 개방되는 수가 증가하여 스파이럴초우크의 상류쪽과 하류쪽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차압이 크게 감소해서 작동밸브(56)은 상승한다. 이 때문에 상기한 경우와 마찬가지고 작동밸브(56)은 리터언포오트(54) 및 바이패스통로(70)의 개폐를 반복한다.
이 때문에, 리터언포오트(54)가 열리는 영역에서는 유입유량에 대해서 거의 일정비율의 작동유가 리터언포오트(54)로부터 리저어버쪽으로 되돌려지고, 유입유량의 증가에 따라서 유출유량도 증가하게 된다. 또, 유량제어밸브(51)의 제1의 압력실(58)내에 도입된 작동유는 스파이럴초우크(60)에 의해서 감압시킨 상태에서 제어밸브(33)쪽으로 인도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파이럴초우크(60)을 통과할 때의 작동유의 유통저항이 유온상승시에는 작아지고, 유온저하시에는 커진다. 이 때문에 스파이럴초우크(60)의 상류쪽(제1의 압력실(58)쪽)과 하류쪽(재2의 압력실(99) 및 제3의 압력실(59)쪽)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차압은, 유온의 상승시에는 낮아지고, 유온의 저하시에는 높아진다. 그 때문에 리터언포오트(54)를 열기 시작하는 차압을 발생하는 유입유량은 온도의 상승과 더불어 증대한다. 또 상기의 차압은 온도의 저하와 더불어 높아지기 때문에, 리터언포오트(54)가 열리는 열리는 영역에 있어서 유입유량에 대한 리터언포오트(54)로부터 리저어버쪽으로 되돌려지는 작동유량의 비율은 유온의 상승과 더불어 많아진다. 바꾸어 말하면, 유입 유량의 증가에 대한 유출유량의 증가 비율은 위온의 상승과 더불어 증가하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스파이럴초우크(60)에 의해 작동유의 유통저항을 유온에 따라서 크게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일핌프(26)쪽으로부터 제어밸브(33)쪽으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제어 유량을, 유온의 상승 및 유입유량의 증가에 따라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앞에 설명한 제1실시예에서는 제7도에 표시한 이상(理想)특성과 같이 유입유량에 대한 유출유량 변화에 온도의 존성을 발휘시킬 수 없으며 온도의 존성이 발휘되는 영역(리터언포오트가 열리는 영역)에서는 유입유량에 대응한 유출유량특성을 얻을 수 없었으나, 이 제2실시예에서는 제7도에 표시한 이상 특성에 접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동유의 온도가 저온상태에 있는 경우라할지라도 제어밸브(33)쪽으로 공급되는 유량이 감소하므로 말미암은 점성의 영향에 의한 발생유압의 증대를 발생유압의 감소분에 의해 상쇄할 수 있어, 유온에 대한 발생유압의 변화가 작게되고, 유온에 대한 후륜(2), (2)의 조타특성의 변화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제어유량에 온도의 존성을 발휘시킴과 동시에 유입유량 특성에 대응한 유출유량 특성을 발휘시킬 수 있다. 있기 때문에, 제4도의 4륜 조타장치에 있어서는, 후륜타작의 차속에 때른 특성을 유온에 상관없이 거의 일정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바이패스개구(71)의 높이를 조정하므로 [개구(71)의 위치와 로드부(73)의 행정량의 관계에 의해]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유량제어특성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앞에 설명한 제1 제2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유량제어밸브(51)의 제1의 압력실(58)과 제2의 압력실(59)와의 사이에 설치된 스파이럴초우크(60)는, 실린더(55)의 상부에 끼워 넣어지는 슬리이브(61)내주부와 이 슬리이브(61)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 초우크체(262)의 외주에 형성된 나선홈(63)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초우크체(262)는 그 하부가 작동밸브(56)의 상부에 연결되어서 작동밸브(56)과 더불어 슬라이드 변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제3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오일펌프(26)로부터의 토출유량의 증대에 따라 제1의 압력실과 제2의 압력실(59)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차압이 상승하면 작동밸브956)는 애래쪽으로 이동할려고 하나, 작동밸브(56)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슬리이브(61)과 초우크체(262)와의 오우버랩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스파이럴초우크(60)의 실효길이가 단축되어서 차압이 감소하게 되어 작동밸브(56)는 본래 위치로 되돌아갈려고 한다.
유입유량의 증가에 따라. 작동밸브(56)와 초우크체(262)에 의해 구성되는 콘트롤스푸올(73)은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면서 서서히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드디어는 리터언포오트(54)가 열리게 된다. 리터언포오트(54)가 열리면, 제1의 압력실(58)내에 도입된 작동유의 일부가 리터언포오트(54)로부터 리저어버탱크(13)쪽으로 되돌려진다. 그러나, 작동밸브(56)에 의해 리터언포오트(54)가 열리므로서 스파이럴초우크(60)를 흐르는 유량이 감소하는 것에 추가해서 스파이럴초우크(60)의 실효길이가 단축되기 때문에 스파이럴초우크 (60)의 상류쪽과 하류쪽에 작용하는 차압이 감소된다 그러면, 작동밸브(56)이 위쪽으로 이동하여 리터언포오트가 폐색됨과 동시에 스파이럴초우크(60)의 실효길이가 길어져서 재차 상기의 차압이 상승한다. 이와 같이 오일펌프로부터의 유입유량이 어느정도 상승하면, 작동밸브(56)은 리터언포오트(54) 및 바이패스통로(70)의 개폐를 반복한다.
그리하여 유입유량이 더욱 상승하면 스파이럴초우크(60)의 상류쪽과 하류쪽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차압이 한층 커져서 자공밸브(56)은 리터언포오트(54)를 더욱 크게 개구시킬려고 하나, 작동밸브(56)이 크게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스파이럴초우크(60)의 실효길이가 대폭 단축되어 스파이럴초우크의 상류쪽과 하류쪽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차압이 크게 감소해서 밸브체는 상승한다. 이 때문에 상기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밸브(56)은 리터언포오트(54)의 폐를 반복한다. 이 때문에 리터언포오트가 열리는 영역에서는 유입유량에 대해서 거의 일정비율의 작동유가 리ㅌ언 포오트(54)로부터 리저어버 쪽으로 되돌려지고, 유입유량의 증가에 따라서 유출유량도 증가하게 된다.
또, 유량제업래브(51)의 제1의 압력실(58)내에 도입된 작동유는 스파이럴초우크(60)에 의해서 감압된 상태에서 제어밸브(33)쪽으로 인도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1,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리터언포오트는(54)를 열기 시작하는 차압을 발생하는 유입유량은 온도의 상승과 함께 증대한다. 또 상기의 차압은 온도의 저하와 함께 높아지기 때문에. 리터언포오트(54)가 열리는 영역에 있어서 유입유량에 대한 리터언포오트(54)로부터 리저어버쪽으로 되돌려지는 작동유의 비율은 온도의 저하와 더불어 많아진다. 바꾸어 말하면 유입유량의 증가에 대한 유출유량의 증가비율은, 유온의 상승과 더불어 증가하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스파이럴초우크(60)에 의해 작동유의 유통저항을 유온에 따라서 크게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유량특성을 얻을 수 있어, 작동유의 제어유량이 유온의 상승 및 유입유량의 증가에 따라서 증대하며, 제7도에 표시한 이상특성에 접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제어유량에 온도의 존성을 발휘시키는 동시에 유입유량특성에 대응한 유출유량특성을 발휘시킬수 있기 때문에, 제9도의 4륜조타장치에 있어서는 후륜타각의 차속에 따른 특성을 유온에 상관없이 거의 일정하게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작동유가 유입하는 유입포오트수단(52)과, 유입한 작동유가 유출하는 유출포오트수단(53)과, 유입한 작동유의 일부를 되돌리는데 리터언포오트수단(54)과, 상기 유입포오트수단(52)과 상기 유출포오트수단(53)을 연통하는 긴 드로틀링 통로수단(60)과, 이 긴 드로톨링 통로수단(60)의 상류쪽과 하류쪽의 차압에 이해 변위해서 상기 리터언포오트수단(54)의 개폐를 제어하여 상기 차압의 상승에 따라서 상기 리터언포오트수단(54)을 열도록 설치된 작동밸브수단(5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량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 드로톨링 통로수단(60)은 상기 유입포오트수단(53)과 상기 유출포오트수단 (53)과의 사이에 설치되어서 나선형상으로 뻗는 스파이럴초우크수단(60)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량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포오트수단(52)에 연통된 제1압력실수단(58)과, 상기 제1압력실수단(58)에 상기 신 드로틀링 통로수단(60)을 개재해서 연통됨과 동시에 상기 유출포오트수단(53)에 연통된 제2압력실수단(99)과, 상기 리터언포오트수단(54)이 폐색되는 방향으로 상기 작동밸브수단(56)을 가압하도록 설치된 가압수단(57)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작동밸브(56)은 상기 제1압력실수단(58)과, 상기 제2압력실수단(99)과의 사이의 차압에 의해 변위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압력실 수단(99)에 연통된 제3압력실수단(59)을 더 수비하고 상기 제1압력실수단(58)과 상기 제3압력실수단(59)이 상기 작동밸브수단(56)에 의해 칸막이져서 구성되고, 상기 가압수단(57)은 상기 제3압력실수단(59)내에 설치되어 하여금 씨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량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포오트수단(52)은, 차속의 상승에 따라서 토출유량이 증대하는 후륜조타장치용의 오일펌프(26)으로부터 작동유의 공급을 받고, 상기 유출포오트수단(53)은, 후륜조타장치용의 유압제어밸브(33)에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밸브수단(56)의 상기 리터언포오트수단(54) 개방향으로의 변위에 연동해서 상기 긴 드로톨링 통로수단(60)의 실효길이를 짧게하는 드로틀링 통로수단(60)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량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틀링 통로제어수단(60)은, 상기 긴 드로틀링 통로수단(60)의 중간부와 상기 긴 드로틀링 통로수단(60)의 하류쪽을 연통하는 바이패스통로수단(170)과, 상기 작동밸브수단(56)에 연동해서 상기 바이패스 통로수단(170)의 개폐를 제어하여 상기 차압의 상기에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 통로수단(170)을 여는 바이패스통로 개폐수단(17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장치.
  8. 제제에 있어서, 상기 긴 드로틀링 통로수단(60)은, 상기 유입포오트수단(52)과 상기 유출포오트수단(53)과의 사이에 설치된 슬리이브(61)와, 이 슬리이브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쪽에 끼워지고, 그 슬라이드 변위에 의해 상기 슬리아브(61)와의 오우버랩량이 변하하는 초우크체(262)와, 상기 슬리이브내주와 상기 초우크체 외주에 의해 형성되고 나선 형상으로 뻗어서 상기 유입포오트수단(52)쪽과 상기 유출포오트수단(53)쪽을 연통하는 스파이럴초우크수단(60)에 의해 형성되고, 또 상기 드로톨링 통로수단(60)은, 상기 초우크체(262)가 상기 작동밸브수단(56)에 연결되어서 상기 차압의 상승에 따라서 상기 오우버랩량을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작동밸브수단(56)과 함께 변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장치.
KR1019880005970A 1987-05-20 1988-05-20 유량제어장치 KR920002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75639 1987-05-20
JP?62-75639 1987-05-20
JP1987075639U JPH0645419Y2 (ja) 1987-05-20 1987-05-20 油圧装置の流量制御機構
JP?62-193866 1987-12-21
JP62-193866 1987-12-21
JP?62-193867 1987-12-21
JP1987193867U JPH0610162Y2 (ja) 1987-12-21 1987-12-21 油圧制御装置
JP19386687U JPH079732Y2 (ja) 1987-12-21 1987-12-21 流量制御装置
JP63-24664 1988-02-26
JP1988024664U JPH01128081U (ko) 1988-02-26 1988-02-26
JP62-193867 1988-02-26
JP?63-24664 1988-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434A KR880014434A (ko) 1988-12-23
KR920002737B1 true KR920002737B1 (ko) 1992-04-02

Family

ID=27458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5970A KR920002737B1 (ko) 1987-05-20 1988-05-20 유량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27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434A (ko) 1988-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3284A (en) Power limiting control apparatus for pressure-flow compensated variable displacement pump assemblies
US5058626A (en) Hydraulic pressure control valve
US3980095A (en) Power transmission
KR830002279B1 (ko) 유압식 조향장치
CN100387878C (zh) 方向控制阀
US7243493B2 (en) Valve gradually communicating a pressure signal
JP3682315B2 (ja) 弁装置
DE1576140B1 (de) Verfahren zum Regeln eines Hydrauliksystems und Regelsystem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US4858515A (en) Priority valve for hydraulic installations
EP0291992B1 (en) Flow control apparatus
KR920002737B1 (ko) 유량제어장치
JPS6114645Y2 (ko)
JP3338531B2 (ja) 減衰力調整式ダンパ
US5072586A (en) Hydrostatic servo-assisted steering system, particularly for motor vehicles
US6179393B1 (en) Distributing valve for load-independent control of a hydraulic consumer with regards to direction and speed
KR870001080A (ko) 동력조향장치
US5184691A (en) Auxiliary power steering system
JPS6188002A (ja) 油圧駆動されるロードのための制御装置
JPH079732Y2 (ja) 流量制御装置
JPH0611867Y2 (ja) 油圧装置の流量制御機構
EP4148014B1 (en) Device for controlled re-entry of a cylinder
JPH0645419Y2 (ja) 油圧装置の流量制御機構
JPH0650641Y2 (ja) 油圧制御装置
US11402027B2 (en) Fluid pressure control device
JPH021422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