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602B1 - 서멀헤드 어레이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서멀헤드 어레이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602B1
KR920002602B1 KR1019890004466A KR890004466A KR920002602B1 KR 920002602 B1 KR920002602 B1 KR 920002602B1 KR 1019890004466 A KR1019890004466 A KR 1019890004466A KR 890004466 A KR890004466 A KR 890004466A KR 920002602 B1 KR920002602 B1 KR 920002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heating
counter
numbered
ar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4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910A (ko
Inventor
차동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04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2602B1/ko
Publication of KR900016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서멀헤드 어레이 구동장치
제1도는 비디오 프린터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종래 서멀헤드 어레이 구동장치의 회로도.
제3도는 제2도에 의해 프린트되는 예시도.
제4도는 1개 발열체의 온도분포 상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서멀헤드 어레이 구동장치의 회로도.
제6도는 제5도에 의한 수직 1라인 프린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0 : 시프트 레지스터/카운터 132 : 래치회로
134 : 발열체어레이 136 : 트랜지스터어레이
138 : 게이트 어레이 SW1, SW2 : 제1, 제2스위치
본 발명은 서멀헤드어레이(Thermal Head Array ; Thermal Printer Head)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멀헤드어레이 발열체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상호 이웃하는 발열체가 교대로 발열토록 하는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서멀헤드어레이는 감열기록을 위한 프린트장치의 일종으로서 상기의 감열기록은 신호에 따른 소정전류를 발열소자로 구성된 열기록헤드에 가하여 발열시킨 다음 이것과 접합하여 놓은 감열기록지를 발열시켜 하는 카피를 얻는 방식이다. 칼라색을 프린트하는 경우의 감열기록지는 열승화형 전사방식의 기록지로서 발열온도 및 발열시간에 따라 색의 농도를 표현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서멀헤드어레이는 비충격식 인쇄장치(Printingsys tem)의 기록에 사용되며, 영상신호를 프린트 출력하는 비디오 프린터등에는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비디오 프린터는 영상신호를 A/D 변환회로에 의해 디지탈 영상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디지탈 신호를 화상메모리에 메모리하여 상기 메모리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서멀헤드를 발열시켜 기록을 실행하는 장치이다.
제1도는 서멀헤드 어레이를 가지는 종래의 비디오 프린터장치의 블럭도로서, 입력영상신호(CVS)를 디코딩하여, R, G, B의 신호와 동기신호(CSS)로 분리출력하는 디코더(12)와, 상기 디코더(12)로부터 출력되는 R, G, B 신호를 소정 샘플링클럭에 의해 소정비트의 디지탈 데이터로 각각 변환 출력하는 A/D 변환부(14)와, 상기 A/D 변환부(14)의 출력데이터를 소정 제어에 의해 저장하고 억세스 출력하는 화상메모리(16)와, 상기 디코더(12)의 동기신호(CSS)와 메모리지령신호(M)의 입력에 의해 샘플링펄스(SAMP)를 상기 A/D 변환부(14)에 제공하고 상기 화상메모리 (16)에 라이트어드레스(Write Address Signal)(WAS)를 입력시키는 메모리 제어부 (18)와, 상기 화상메모리(16)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소정 스위칭 제어에 의해 수직 1라인씩 선택출력하는 메모리 선택스위치(22)와, 상기 메모리 선택스위치(22)의 출력데이터를 소정 제어에 의해 억세스하는 라인메모리(24)와, 상기 라인메모리(24)의 R, G, B 출력을 순차적으로 Y, M, C(Yellow, magenta, Cyan) 신호로 변환하는 동시에 기록지의 특성과 헤드의 발열량과의 상관관계에 의한 농도변화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Figure kpo00001
보정, 기록헤드의 발열체 저항편차를 줄이기 위한 저항보정등을 수행한 후 Y, M, C색 순서로 기록부의 기록헤드의 발열데이타를 출력하는 제어부(26)와, 상기 제어부(26)의 기록발열 데이터를 입력하여 프린트하는 기록부(28)와, 프린트 지령입력(P)에 의해 상기 화상메모리(16)에 리이드 어드레스(RAS)을 제공하고, 상기 메모리 선택스위치 (22)에 선택제어신호(SS)를 입력시키며 상기 라인 메모리(24)에 리이드/라이트 어드레스를 제공하여 프리팅을 제어하는 프린트제어부(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도와 같은 비디오 프린터 장치는 공지되어 있으며, 제어부(26)의
Figure kpo00002
보정, 저항보정 및 열승화기록방식은 1988년 11월 29일 일본국 NHK 엔지니어링 서어비스에 발행한 "최근의 비디오 하드 카피 기술"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지금 상기 제1도와 같은 회로에 NTSC와 같은 영상신호(CVS)가 입력되면, 디코더(12)는 영상신호(CVS)를 R, G, B 아나로그신호로 분리함과 동시에 수평수직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동기신호(CSS)를 디코딩 출력하게 된다. 이때 메모리 지령신호(M)가 메모리제어부(18)에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 제어부(18)는 수평수직동기신호를 포함하는 입력동기신호(CSS)에 기초하여 A/D 변환부(14)에 샘플링펄스(SAMP)를 제공한다. 그리고 라이트(Write) 어드레스신호 (WAS) 및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WEN)를 화상메모리(16)에 입력시킨다. 상기 A/D 변환부(14)는 메모리제어부(18)의 샘플링펄스(SAMP)에 의하여 입력 아나로그 R, G, B 신호를 각각 a비트의 디지탈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디지탈화된 R, G, B신호는 메모리제어부(18)로부터 출력되는 라이트 어드레스(WAS) 지정에 의해 화상메모리(16)내에 저장(기록)된다. (영상신호의 속도와 프린팅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화상메모리에 일단기록하여 처리함) 화상메모리(16)의 사이즈(Size)는 대개 1피일드분 또는 1프레임분의 용량을 갖춘 것으로써 메모리제어부(30)에서는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로서 1피일드 또는 1프레임 상태를 판별하여 1필드, 1프레임분의 영상신호에 대한 메모리를 종료하면, 샘플링펄스 출력중지 및 화상메모리(16)의 제어를 중지시키어 화상데이터의 메모리동작을 중지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메모리 기능수행이 완료되어진 후, 프린트 지령신호(P)가 프린트제어부(20)에 입력되면, 상기 프린트제어부 (20)는 화상메모리(16)에 리이드(Read) 어드레스(RAS) 제공입력함과 동시에 라인메모리(24)에 라이트 어드레스(LWAS)를 지정하고 선택신호(SS)를 메모리 선택스위치 (22)에 입력시킨다. 선택신호(SS)를 입력하는 메모리 선택스위치(22)는 입력선택 신호(SS)에 부응하여 상기 화상메모리(16)로부터 수평 스캔되어 출력되는 R, G, B 데이터를 스위칭하여 R, G, B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수직 1라인씩 라인메모리(24)에 입력시킨다. 이때 프린터 제어부(20)가 메모리 선택스위치(22)로 선택신호(SS)를 출력하는 이유는 하기와 같다. R, G, B 색 빛신호를 기록지에 기록하기 위해서는 Y, M, C 3색으로 변환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또 기록부(28)의 기록속도와 영상처리속도에는 차이가 있고, 영상신호가 화상메모리에 수평방향으로 기록되어 있는 반면 기록은 화면의 좌에서 우측헤드(기록헤드)이송에 의해 수행됨으로 수직방향의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화상메모리(16)에 수평 기록된 R, G, B 3색 디지탈 데이터를 수직라인으로 변환 및 Y, M, C 3색으로 변환을 위해 메모리 선택스위치(22)를 제어하여 수직 1라인씩 메모리 선택스위치(22)에 의해 라인메모리(24)에 저장시킨다. 그러므로 라인메모리(24)에는 상기 프린트 제어부(20)로부터 출력되는 라이트/리이드 어드레스 (LWAS /LRAS)에 따라 메모리 스위치(2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록하고 이를 억세스하여 제어부(26)에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26)는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R, G, B신호를 Y, M, C신호로 변환함과 동시에 기록지의 특성과 헤드의 발열량과의 상관관계에 의한 농도 변화의 영향의 감쇄시키기 위한
Figure kpo00003
보정을 실행한다. 또 기록헤드의 각각 발열체 저항편차를 줄이기 위한 저항보정등을 수행한 후 Y, M, C 3색 순서로 기록부(28)헤드에 발열데이터를 인가한다. 상기에서 농도의 변화 영향을 감쇄시키기 위한
Figure kpo00004
보정과 발열체의 저항 편차를 줄이기 위한 저항보정은 비디오 프린터에서 일반적으로 행하여지는 것이다. 이때 기록부(28)는 입력되는 발열량의 데이터에 따라 프린트를 1수직라인씩 수행하여 1화면의 프린팅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공지된 비디오 프린터의 동작개요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제2도는 제1도 도시된 기록부(28)의 서멀헤드 어레이의 구성도로서 a비트의 병렬데이터 입력단자와 소정 주파수의 클럭(CLOCK)을 입력하는 단자를 가지고 있으며 입력되는 a비트의 병렬데이터를 상기 클럭에 의해 n수만큼 시프트하고 시프트완료의 a비트의 데이터를 카운트 출력하는 시프트레지스터/카운터(30)와,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카운터(30)의 출력을 소정 클럭에 의해 버퍼링 출력하는 래치회로(32)와, 일측단자가 전원전압라인(VCC)에 각각 접속되고 타측에 전류루프패스가 형성시 발열되는 다수의 발열소자(1-n)로 구성된 발열체어레이(34)와, 콜렉터가 상기 발열체어레이(34)의 다수발열체(1-n) 타측 각각에 접속되고 각 에미터가 접지와 접속되어 베이스 입력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발열체어레이(34)내의 발열체 전류루프를 형성하는 다수의 트랜지스터(Q1-Qn)으로 구성된 트랜지스터어레이(36)와, 각 일측단으로 스트로브 (Strobe)신호를 각각 입력하고 각 타측단자로 상기 래치회로(32)의 출력을 각각 입력하여 상기 래치(32)회로의 출력을 상기 트랜지스터어레이(36)의 각 베이스로 게이팅하는 다수의 게이트(A1-An)로 구성된 게이트어레이(38)로 구성되어 있다.
제3도는 종래 서멀헤드 어레이에 의한 프린트의 예로서, 제3a도는 제1도 화상메모리(16)에 저장되어진 화상데이터의 저장상태이며, 제3b도는 프린트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제1도의 메모리 선택스위치(22)가 제3도 (a)와 같은 화상 데이터를 수직 1라인 (가)의 데이터를 스위칭 출력시 제1도의 라인메모리(24)에 저장되어진 상태이다. 제4도는 1개 발열체의 열분포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M1은 발열체의 폭이며, M2는 발열체와 발열체간의 거리이다. 지금 상기 제2도의 시프트레지스터/카운터 (30)의 데이터 입력단자에 제1도에서 전술한 제어부(26)로부터 a비트 단위로 출력되는 발열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시프터레지스터/카운터(30)는 클럭단자로 입력되는 기준클럭(Clock)에 의하여 시프트레지스터 동작하여 a비트 단위로 입력되는 병렬프린트 데이터를 시프트한다. 상기 시프트레지스터/카운터(30)는 a비트 단위로 입력되는 발열체(1-n)까지의 발열데이터를 모두 시프트 완료하면, 기준클럭(Clock)에 의해 각 발열체( 1-n)의 a비트 발열데이터를 카운트하여 래치회로(32)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발열체(1-n)를 발열하기 위한 a비트의 발열데이터가 10(10)이라면, 상기 시프트레지스터 카운터(30)는 기준클럭을 카운팅하여 그 카운팅값이 10(10)이 될때까지의 시간동안 출력단자(OUT1)으로는 "하이"상태의 발열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발열체(1-n)를 발열하기 위한 a비트의 각 발열데이터로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출력단자(OUT2-OUTn)으로 출력된다. 상기 래치회로(32)는 상기 시프트레지스터/카운터(30)에서 출력되는 발열제어신호를 버퍼링하여 게이트어레이(38)내의 각 게이트(A1-An)의 일측 입력단자에 입력시킨다. 이때 상기 게이트어레이(38)내의 각 게이트(A1-An)의 타측에는 전술한 프린트제어부(20)에서 출력하는 프린트 제어신호(PDS)의 일종인 스트로브(Strobe)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래치회로(32)의 출력을 게이팅하여 트랜지스터어레이(36)내 각 트랜지스터(Q1-Qn)의 베이스에 입력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36)내의 각 트랜지스터(Q1-Qn)들은 게이트 어레이(38)의 게이팅 출력시간, 즉 시프트레지스터/카운터(30)의 출력단자(OUT1-OUTn)에서 각각 소정의 시간동안 출력되는 각 발열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1-Qn)가 상기 게이팅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지면 발열체어레이(34)내의 각 발열체(1-n)에 전류가 흐름으로 상기 발열체(1-n)들이 발열된다. 상기의 과정에 의해 제3b도와 같이된 화소 D1o-Dno까지의 수직 1라인분의 화상이 기록지에 기록된다. 그러나 헤드 즉 발열체어레이(34)내의 발열체 (1-n) 각각의 발열량이 시프트레지스터/카운터(30)의 데이터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a비트의 발열데이터에 따라서 2a의 단계로 제어되고 있음으로 각 발열체(1-n)의 발열량 (온도)가 달라 하기와 같은 문제가 있어 왔다. 각 발열체의 발열량이 달라 인접하고 있는 발열체의 발열량이 이웃하는 발열체 상호간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시프트 레지스터/카운터(30)에 입력되는 a비트의 발열데이터에 대한 농도표현을 정확히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발열체어레이(34)내의 1개의 발열체의 온도분포가 제4도와 같이 발열체 중심부(M1)의 온도가 가장 높고 가장자리(M2)가 낮아 n개로 구성된 발열체어레이(34)내 발열체를 동시에 발열하게 되면
Figure kpo00005
개 영역의 온도가 가장 높게 되므로써 농도의 표현에 문제가 되어 왔다. 또 한편 n개의 발열체가 동시에 발열함으로서 발열하는 동안에는 큰 순시전력이 요구되어 파워서플라이의 용량을 키워주지 않으면 않되므로 전원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멀헤드어레이의 발열체 구동을 홀수와 짝수인 발열체를 교대로 시행함으로서 서로 이웃하는 발열체의 발열량에 의한 상관관계의 영향으로 a비트의 농도변화를 극소화하는 서멀헤드어레이의 구동장치의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멀헤드어레이의 발열체의 구동을 홀수와 짝수발열체를 교번 수행시키어 순시전력을 1/2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서멀헤드어레이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서멀헤드어레이 및 그 구동장치의 회로도로서, a비트 단위로 입력되는 발열데이터를 기준클럭(Clock)에 의해 소정, 시프트하고 시프트된 a비트단위의 각 발열체의 발열데이터를 카운터 인에이블 입력에 따라서 상기 기준클럭으로 카운트하여 각 발열체의 발열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시프트레지스터/카운터(130)와, 상기 시프트레지스터/카운터(130)의 발열 제어신호를 버퍼링 출력하는 버퍼(132)와, 소정 전류의 드라이브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체(1-n)를 다수개 가지는 발열체어레이 (134)와, 콜렉터가 상기 발열체어레이(134)내의 다수발열체(1-n) 일측 각각에 접속되고 각 에미터가 접지와 접속되어 베이스 입력 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발열체어레이(134)내의 발열체 전류루프를 형성하는 다수의 트랜지스터(Q1-Qn)로 구성된 트랜지스터 어레이(136)와, 각 일측단으로 스트로브(Strobe) 신호를 각각 입력하고 각 타측단자로 상기 래치회로(132)의 출력을 각각 입력하여 상기 래치회로(132)의 출력을 상기 트랜지스터어레이(136)의 각 베이스로 게이팅하는 다수의 게이트(A1-An)로 구성된 게이트어레이(138)와, 전원 입력단자와 제1, 제2출력단자를 가지고 있으며, 제1출력단자와 제2출력단자가 상기 발열체어레이(134)내 다수발열체 전원단자에 홀수·짝수의 상태로 배타적 접속되고 소정 제어에 의해 스위칭되어 홀수·짝수번째 발열체에 전원을 배타적으로 공급하는 제1스위치(SW1)와, 카운터 인에이블신호(CNEN) 입력단자와 제1, 제2출력단자를 가지며 상기 제1, 제2출력단자가 상기 시프트레지스터/카운터(130)내에 내장된 다수의 카운터중 홀수ㆍ짝수번째의 카운터에 배타적으로 각각 접속되고 소정 제어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내장카운터중 홀수ㆍ짝수번째의 카운터가 배타적으로 동작도록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2스위치(SW2)로 구성된다.
제6도는 제5도에 의한 수직 1라인의 프린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다른 제5도의 동작예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제1도,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지금 제2도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도의 제어부 (26)로부터 a비트의 단위로 발열데이터가 출력되면, 상기 a비트단위의 발열데이터는 시프트레지스터/카운터(130)에 입력된다. 상기와 같이 a비트의 발열데이터가 출력되는 상태의 초기에는 제1도의 프린트 제어부(20)가 제1, 제2스위치(SW1)(SW2)로 스위칭 제어신호(SCS)를 출력하여 상기 제1, 제2스위치(SW1)(SW2)는 모두 A접점에 스위칭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발열체어레이(134)내 발열체(1-n)중 홀수번째의 발열체(1,3,5,7…n-1)에만 전원(VCC)가 공급되고, 시프트레지스터/카운터(130)의 내장카운터중 홀수번째의 내장카운터(CNT1, CNT3, …CNTn-1)만이 인에이블 모드로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시프트레지스터/카운터(130)는 제2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준클럭(Clock)에 의해 a비트단위로 입력되는 발열데이터를 a비트 단위로 시프트레프트 (shift left)하여 내부의 레지스터(SRn→SRn…SR1)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시프트동작을 완료하게 되면 시프트레지스터/카운터(130)내의 각 레지스터 (SR1-SRn)에는 a비트 단위의 발열데이터를 각각 저장되어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레지스터(SR1-SRn)의 발열데이터 각각은 발열체어레이(134)의 발열체(1-n)를 각각 발열시키기 위한 데이터이다. 상기 시프트레지스터/카운터(130)가 입력 발열데이터의 시프트 동작을 완료하면 카운터모드로 동작하여 입력 기준클럭(clock)로 레지스터(SR1-SRn)내의 발열데이터를 카운팅한다. 이때 상기 시프트레지스터/카운터(130)내의 카운터(CNT1-CNTn)중 홀수번째의 카운터(CNT1-CNT3, …CNTn-1)만이 인에이블 되어진 상태임으로 홀수번째 레지스터(SR1-SR3,…SRn-1)에 각각 저장된 a비트 발열데이터만이 카운팅되어 홀수번째의 출력단자(OUT1, OUT3,…OUTn-1)로만 상기 발열데이터를 카운팅시간 동안 발열제어신호 " 하이"가 출력된다.
상기 시프트레지스터/카운터(130)의 출력단자(OUT1,OUT3,…OUTn-1)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발열제어신호는 제2도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래치회로(132) 및 게이트어레이(138)을 통해 트랜지스터어레이(136)내 각 트랜지스터(Q1, Q3,…Qn-1)의 베이스로 입력된다. 따라서 발열체어레이(134)내의 발열체중 홀수번째 발열체 (1,3,5,…n-1)에만 전류가 흐름으로 상기 홀수번째 발열체(1,3,5,…n-1)만이 발열된다. 그러므로 제6a도와 같은 수직 1라인 데이터중 제6b도와 같이 홀수화소만이 프린팅 되어진다. 홀수번째에 대한 발열제어가 끝나면 프린트제어부(20)에서는 제1, 제2스위치(SW1)(SW2)의 제어신호(SCS)의 제어논리를 천이시키어 상기 제1, 제2스위치 (SW1)(SW2)가 B접점으로 접속되게 스위칭시킨다. 따라서 시프트레지스터/카운터 (130)내의 다수 카운터(CNT1…CNTn)중 짝수번째의 카운터(CNT2, CNT4, …CNT n)만이 인에이블되고, 발열체어레이(134)중 짝수번째의 발열체(2,4,6,…n)에만 전원 (VCC)이 공급된다. 이때 시프트 레지스터/카운터(130)내 인에이블된 짝수번째의 카운터(CNT2, CNT4, … CNTn)들은 입력되는 기준클럭(clock)으로 짝수번째 레지스터 (SR2, SR4,…SRn)에 각각 저장된 a비트 발열데이터를 전술한 바와 같이 카운트하여 출력단자(OUT2, OUT4, …OUTn)로만 상기 발열데이터의 카운팅시간 동안 발열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의 발열제어신호는 래치회로(132), 게이트어레이(138), 트랜지스터어레이(136)를 통하여 발열체어레이(134)중 짝수번째 발열체(2,4,6,…n)만을 구동한다. 따라서 제6a도와 같은 수직 1라인 데이터중 제6c도와 같이 짝수화소만이 프린팅되어 1라인에 대한 프린트를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n개의 발열체로 이루어진 발열체어레이내 발열체를 홀수ㆍ짝수번째 위치에 따라 교대로 구동하여 수직 1라인 데이터 프린팅을 함으로서 인접하는 발열체간에 열에 의한 영향을 극소화하여 프린트되는 화상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고 순시전력을 1/2로 감소시킬 수 있어 전원회로의 효율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입력 비디오신호를 디코딩하여 R, G, B 신호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R, G, B 영상신호를 A/D 변환수단에 의해 디지탈화한 R, G, B 신호 각각을 화상메모리에 저장하는메모리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프린트 지령신호의 입력에 의해 상기 화상메모리로부터 화면의 수직 1라인뿐씩의 데이터를 R, G, B순으로 받아 Y, M, C로의 색변환 및
    Figure kpo00005
    보정등을 행하여 소정비트의 발열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갖춘 열 전사방식의 비디오프린터에 있어서, 다수의 시프트레지스터와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 각각에 대응된 카운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a비트단위로 출력되는 발열데이터를 입력되는 기준클럭에 의해 상기 다수의 시프트 레지스터로 시프트하고, 시프트된 a비트단위의 각 발열체의 발열데이터를 카운터 인에이블 입력에 따라 상기 기준클럭으로 카운트하여 각 발열체의 발열제어신호를 소정시간동안 출력하는 시프트레지스터/카운터 (130)와, 상기 시프트레지스터/카운터(130)로부터 출력되는 각 발열체의 발열제어신호를 버퍼링 출력하는 버퍼(132)와, 소정 전류의 드라이브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체 (1-n)를 다수개 가지는 발열체어레이(134)와, 콜렉터가 상기 발열체어레이 (134)내에 위치된 다수발열체(1-n) 일측 각각에 접속됨과 동시에 각 에미터가 접지와 접속되고 베이스 입력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발열체어레이(134)내의 각 발열체의 전류루프를 형성하는 다수의 트랜지스터(Q1-Qn)로 구성된 트랜지스터 어레이(136)와, 각 일측단으로 스트로브(Strobe) 신호를 각각 입력하고 각 타측단자로 상기 래치회로 (132)로부터 출력되는 발열제어 신호를 각각 입력하여 상기 래치회로(132)의 출력을 상기 트랜지스터어레이(136)의 각 베이스로 게이팅하는 다수의 게이트(A1-An)로 구성된 게이트어레이(138)와, 카운터 인에이블신호와 상기 소정의 전원 각각을 상기 시프트레지스터/카운터(130)내 다수의 카운터들의 인에이블신호와 소정의 전원을 입력하며 스위칭 제어신호입력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카운터 인에이블단자와 상기 발열체어레이(134)내 다수의 카운터들의 인에이블단자와 상기 발열체어레이(134)내 다수발열체 전원단자의 홀수위치로부터 짝수위치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스위칭 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발열체어레이(134)내 발열체중 홀수번째의 발열체를 발열시키어 프린팅되도록한 후 짝수번째의 발열체를 발열시키어 화상 데이터의 수직 1라인을 프린팅 하도록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멀헤드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칭 제어수단이 전원 입력단자와 제1, 제2출력단자를 가지고 있으며 제1출력단자와 제2출력단자가 상기 발열체어레이(134)내 다수발열체(1-n)의 전원단자에 홀수ㆍ짝수의 상태로 배타적 접속되어 있으며 스위칭 제어 신호입력에 의해 스위칭되어 홀수ㆍ짝수번째 발열체에 전원을 배타적으로 공급하는 제1스위치 (SW1)와, 카운터 인에이블신호(CNEN) 입력단자와 제1, 제2출력단자를 가지며 상기 제1, 제2출력단자가 상기 시프트레지스터/카운터(130)내에 내장된 다수의 카운터중 홀수ㆍ작수번째의 카운터에 배타적으로 각각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내장카운터 중 홀수·짝수번째의 카운터가 배타적으로 동작도록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는 제2스위치 (SW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멀헤드 어레이 구동장치.
KR1019890004466A 1989-04-04 1989-04-04 서멀헤드 어레이 구동장치 KR920002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4466A KR920002602B1 (ko) 1989-04-04 1989-04-04 서멀헤드 어레이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4466A KR920002602B1 (ko) 1989-04-04 1989-04-04 서멀헤드 어레이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910A KR900016910A (ko) 1990-11-14
KR920002602B1 true KR920002602B1 (ko) 1992-03-30

Family

ID=19285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4466A KR920002602B1 (ko) 1989-04-04 1989-04-04 서멀헤드 어레이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26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910A (ko) 1990-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0373A (en) Droplet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47274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on of LED-array output power variation in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KR920002602B1 (ko) 서멀헤드 어레이 구동장치
US394501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characters so as to enable reading thereof in a feed direction of a recording sheet therefor
US4992653A (en) Linear image sensor
JP2575306B2 (ja) 熱転写プリンタ・ヘツド用発熱体駆動回路
JPH05308599A (ja) プリンティング方法及びこれに適合したプリンティング装置
JPH05260285A (ja) 画像出力装置
JP2594260B2 (ja) 感熱記録装置
JP3049917B2 (ja) リニアセンサ駆動回路
JP3076630B2 (ja) ビデオプリンタ
JP2810490B2 (ja) 熱転写型プリンタの発熱パルス作成方法
JPH0446229B2 (ko)
JPH0993492A (ja) 固体撮像装置
US20030081032A1 (en) Printer
JPH0314263B2 (ko)
JP2858442B2 (ja) 記録ヘッド駆動装置
JPS6345069A (ja) 感熱記録装置
JPH08127147A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H0153956B2 (ko)
JPS5850857A (ja) 情報読取記録装置
JPS6255346B2 (ko)
JPS61111066A (ja) ラインプリンタ
JPH07101095A (ja) 印字装置
JPH06291933A (ja) 画像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